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26호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慶州 佛國寺 金銅毘盧遮那佛坐像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시설
1구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건축시기
통일신라 경덕왕 8년(750)


파일: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1.jpg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국보 제26호



1. 개요[편집]


慶州 佛國寺 金銅毘盧遮那佛坐像.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비로전에 있는 8세기~9세기 사이제작된 통일신라시대의 금동 불상.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과 함께 통일신라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린다. 현재 불국사에서 소장 중이고 국보 제26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편집]


높이 1.77 m, 너비 1.36 m.

경주 불국사 비로전에 모신 높이 1.77 m 금동불상이다. 광명의 부처인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했는데, 원래는 황금으로 만들어진 대좌와 광배가 있었지만 현재는 사라지고 없다. 불상의 눈썹이 길게 반원으로 그려져 있고 이마와 눈두덩을 구별짓는 경계선같이 음각선이 한 줄 조각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8세기부터 나타나 9세기까지 유행한 양식으로 이 불상의 제작 연대가 서기 700~800년대 사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당당하면서 장대한 편으로 떡 벌어진 어깨, 양감 있는 젖가슴, 잘쏙한 허리, 볼록한 아랫배, 얕으면서도 유난히 넓게 앉은 자세 등은 8세기 중엽 불상들과 서로 비슷하다.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과 거의 같은 시기에 동시에 만들었다고 추정한다.

지금으로부터 천수백여 년 전에 만든 불상이지만 당시의 황금 도금이 거의 원형 그대로 남았고, 불상의 모습 또한 광배를 제외하고는 거의 손상된 부분이 없다.

전신에 위엄과 자비가 넘치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얼굴은 반쯤 뜬 , 복스러운 뺨, 군살진 아래턱 등 자비로운 인상이다. 남성적인 체구를 연상시키는 당당하게 벌어진 어깨, 양감 있는 가슴, 튀어 나온 아랫배, 결가부좌한 넓게 퍼진 무릎 등은 장중한 이미지를 풍긴다. 얇은 법의는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으며 옷무늬 처리도 매우 사실적이다. 손 모양은 오른손 검지를 왼손으로 감싸고 있어 후대의 왕조인 고려조선에서 제작된 비로자나불 불상들이 취하는 일반적인 손 모양과는 반대 방향이다.

훗날 통일신라 시대의 대표 문인으로, 신라삼최로 명성이 높았던 최치원(崔致遠)이 불국사를 방문해 이 불상을 본 후 '대화엄종불국사 비로자나문수보현상찬(毘盧舍那文殊普賢像讚)' 병서를 지었다. 이 글에 따르면 본 불상은 진성여왕이 화엄사상(華嚴思想)에 의하여 조성한 불상으로 한국사에 있어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큰 성보라 할 수 있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4. 국보 제26호[편집]



경주시 토함산 기슭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김대성은 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굴암 석굴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불국사 비로전에 모셔져 있는 높이 1.77m의 이 불상은 진리의 세계를 두루 통솔한다는 의미를 지닌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머리에는 머리칼을 작은 소라 모양으로 표현하였으며, 얼굴은 위엄이 있으면서도 자비로운 인상을 풍기고 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은 매우 얇게 표현되어 있다.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는 옷주름의 표현은 매우 사실적이다. 손모양은 오른손 검지를 왼손으로 감싸고 있어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일반적인 손모양과는 반대로 표현되었다.

이 불상은 양감과 적절한 신체비례 등에서 이상적이면서 세련된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7호),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제28호)과 함께 통일신라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린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1:05:18에 나무위키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