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1. 개요
2. 공번
3. N10(동아운수)
4. N32(한국brt)
5. N34(대원여객)
6. N40(우신운수)
7. N65(범일운수, 공항버스)
8. 100(한국BRT)㈜☆
9. 103(한성여객)☆
10. 107(대원여객)☆
11. 108(태릉교통)☆
12. 108(대원여객)☆
13. 108 골프장지선(대원여객)
14. 110A, 110B(대진여객)☆
15. 141(아진교통)☆
16. 142(아진교통)☆
17. 143(대진여객)☆
18. 145(한성운수)☆
19. 148(한성운수)☆
20. 149(한성여객)☆
21. 153(동아운수)☆
22. 161(다모아자동차)㈜
23. 162(대진여객)
24. 163(삼화상운)☆
25. 170(동아운수)☆
26. 172(한성여객)☆
27. 200(메트로버스)㈜☆
28. 202(태릉교통)☆
29. 203(대원교통)☆
30. 240A, 240B(대원교통)
31. 241A, 241B(대원교통, 대원여객[1])
32. 263(대흥교통)☆
33. 271B(경성여객)
34. 271(경성여객)
35. 300(메트로버스)㈜☆
36. 304(신흥기업)☆
37. 342(메트로버스)㈜☆
38. 342(서울승합)★
39. 345(대성운수)☆
40. 350(한서교통)☆
41. 351(서울승합)☆
42. 352(태진운수)
43. 360(한국brt)☆
44. 361(서울승합)☆
45. 361(남성버스)☆
46. 362(대성운수)☆
47. 363(한서교통)☆
48. 371(신흥기업)☆
49. 400(한국BRT)㈜☆
50. 405(도선여객)☆
51. 405A, 405B(삼성여객)
52. 405(삼성여객)☆
53. 407(대성운수)☆
54. 408(대성운수)
55. 410(동아운수)☆
56. 420(도선여객)☆
57. 462(남성교통)
58. 471(한국brt)
59. 503(보영운수)☆
60. 504(한성운수)☆
61. 505(범일운수)☆
62. 541(우신버스)☆
63. 542(대원여객)☆
64. 570(범일운수, 신성교통)☆
65. 607(신길운수)☆
66. 642(김포교통)☆
67. 652(신길교통)☆
68. 653(신길교통, 영인운수)☆
69. 662(영인운수)☆
70. 670(서울교통네트웍, 보성운수)㈜☆
71. 672(김포교통)☆
72. 673(신길교통)☆
73. 700(다모아자동차)㈜☆
74. 701(한국brt)☆
75. 702A, 702B(선진운수)☆
76. 703(서울운수)☆
77. 704(제일여객)☆
78. 705(서부운수)☆
79. 706(제일여객)☆
80. 707(제일여객)☆
81. 707(동해운수)☆
82. 708(현대교통)☆
83. 708(한국brt)☆
84. 730(신촌교통)
85. 741(한국brt)
86. 742(선진운수)
87. 750A(신촌교통)
88. 750B(유성운수)☆
89. 751(선진운수)☆
90. 752(선진운수)☆
91. 760(서울운수)☆
92. 774(신수교통)☆
93. 775(서울운수)
94. N824(태진운수)
95. N854
96. N866(보성운수)
97. N876(보광교통, 현대교통)
98. N877(보광교통)
99. N850(한남여객운수, 범일운수)



1. 개요[편집]


  • 폐선, 통합, 변경 등으로 인해 번호가 소멸된 노선을 정리한 문서로, 오름차순으로 정리했다. 개편 당시 계획에 들어있었으나 실제로 운행하지 않았거나 노선이 바뀐 경우, 362번처럼 사라졌다가 환원된 번호는 제외한다. 단, 100번처럼 아예 다른 노선으로 부활한 번호는 넣을 수 있다.
  • 시내버스 문서인 만큼, 마을버스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폐선된 마을버스는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목록 참조.
  • 준공영제하에서 개별 노선의 흑자, 적자 여부는 알 수 없으므로 폐선 사유에서 노선의 흑자, 적자에 대해서는 될 수 있으면 기재하지 않도록 한다.
  • 주간선버스는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만 같은 노선은 ☆, 현존하는 노선과 번호와 회사 모두 같은 노선은 ★로 표시한다.


2. 공번[편집]


  • 330~332: 그냥 대성운수숫자 맞추려고.[2]
  • 403, 404: 각각 420, 472번으로 연장되어 공번.
  • 409: 삼성여객 405B의 계획상 변경 번호이나 400번으로 변경.
  • 450, 451: 본래 4권역발 5권역 간선번호는 전혀 없었지만, 462번이 452번으로 단축되면서 사실상 공번이 됐다.
  • 460: 본래 송파차고지~헌릉로~강남대로~고속터미널~노량진~여의도 구간을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360번의 신설로 공번. 현재의 경로는 452번이 물려받고 있다. 또, 맞춤버스인 8663을 정식으로 노선승격을 시킬 때 활용하려 했으나 8663 폐선으로 공번이 되었다.
  • 671: 검단-송정역 간 김포시내버스 671번을 서울 간선버스 전산에 등록시키긴 했다. 그런데 정확한 공번 사유는 미스테리(이 번호를 쓸 기회도 얼마든지 있었다).
  • 770: 과거 고양 770번 버스와 중복이었던 사유가 있지만, 현재는 그 버스가 77번으로 변경되어 지금은 그냥 공번.[3]


3. N10(동아운수)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1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운행경로는 아래와 같았다.
파일:서울 N10 노선도.png
N40번과 통합하면서 N15번이 되었다.


4. N32(한국brt)[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7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DSC_8175-6.jpg
2022년 12월 1월부로 노선이 변경되고 선진운수공동 배차에 참가하면서 번호가 N73번으로 변경되었다.


5. N34(대원여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3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N34_5657.jpg
파일:N34_8206.jpg
2022년 12월 1월부로 노선이 변경되고 대진여객공동 배차에 참가하면서 번호가 N31번으로 변경되었다.


6. N40(우신운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4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서울 버스 N40/N40-74_7023.jpg
위 차량은 4212번 출신으로, 그대로 N15번으로 넘어가 다니고 있다.


7. N65(범일운수, 공항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N65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P1204664.jpg


8. 100(한국BRT)㈜☆[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00.jpg
출처 위 차량은 폐선 후 140번으로 넘어간 후 2014년 대차되었다.
운행구간 : 도봉산역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삼거리역 - 고려대학교 - 신설동역 - 종로6 ~ 2가 - 무교동(종로1가)[4]

개편 초창기에는 도봉산에서 출발해서 쌍문역, 수유역, 미아사거리역, 성신여자대학교를 거쳐 성대입구 → 창경궁 → 광장시장 → 을지로4,3가 → 종로3,4가 → 종로5가 → 대학로 순으로 회차했던 노선이었는데, 150번160번 이외에도 엄청나게 많았던 도봉/미아로 - 종로 노선 때문에 장사가 잘 되지 않았다. 그래서 미아사거리역 - 창경궁로/대학로 구간을 종암동 - 신설동 구간으로 변경했고[5] 그렇게 잘 다니던 도중이었는데, 동사의 360번 증차문제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저 360번 노선은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도 인기 노선이었고, 따라서 증차가 필요했는데 서울특별시청의 버스 준공영제 정책 때문에 순수증차가 불가능했던 것이었다. 하지만 한국brt의 노선들 중에는 딱히 차를 뺄 여유가 있는 노선이 없었다. 따라서 편법을 쓰게 되는데, 140번의 송파공영차고지 출발 차량을 모두 360번에 몰빵하게 되고, 빠져나간 만큼의 댓수를 100번을 없애면서 메꾸는 쪽으로 가게 된 것이다.

때 마침 도봉로 간선버스 중에서 가장 잉여였던 101번을 100번과 똑같은 경로로 바꾸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2010년 1월 8일부로 폐선되었다.이게 다 순수증차 불가 때문이다. 관련 공지사항 다만 회차 방식은 세종대로네거리 → 금호아시아나그룹 본사 → 서울역사박물관(경교장) → 서대문역(농협 본사) → 경찰청 → 서소문, 시청역 → 세종대로네거리이며,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무교동 회차의 전통은 의정부 버스 111이 이어가다가 2019년 4월 8일 하계역으로 단축되면서 더는 볼 수 없게 됐다.

140번, 150번, 160번과 달리 미아로를 전 구간 운행하지 않고 미아사거리에서 왕십리역, 종암사거리방향으로 직진하여 종암동, 고려대학교, 신설동로타리, 종로를 경유해서 종각역네거리(종로1가 사거리)에서 좌회전해서 P자형(엄밀한 의미의 P턴과는 거리가 있지만)으로 회차하던 노선이었다.


9. 103(한성여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10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03.jpg
위 차량은 1144번으로 넘어간 후, 2008년에 대차되었고, 1227번 예비차로 넘어갔다가 2019년 10월에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다시 이 노선으로 복귀했다.출처

현재 103번은 구 1016번이 연장과 단축을 거치면서 생겨난 노선으로, 이 노선과는 무관하다.

4011번 노선의 폐선으로 서초역으로 연장되고 아래의 149번으로 바뀌었으나 405번의 개통으로 다시 서빙고역으로 단축되었다가 용산구청으로 재연장되었으며, 2012년에 번호가 서울 버스 100으로 바뀌었다. 103번 당시와 노선이 비슷하다.


10. 107(대원여객)☆[편집]


서울 버스 1153

파일:서울 107 노선도.png


11. 108(태릉교통)☆[편집]


서울 버스 202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08.jpg
출처
사진 속의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은 2005년 1월 출고(제작은 2004년 12월)분으로, 2006년 말에 전 차량 1155번으로 넘어간 후 2010년에 전부 조기대차되었다.

운행구간: 불암동 - 삼육대학교/서울여자대학교/육군사관학교 - 화랑대역 - 묵동구길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네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서울시동부병원 - 상왕십리역 - 도로교통공단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청계8가 - 청계천로 - 명동역 - 남대문시장 - YTN/숭례문 - 서울역환승센터 → 갈월동 → 숙대입구역 → 삼광초교 → 용산중고교 → 우리은행 후암동지점 → 후암동주민센터 → 후암동우체국 → 후암삼거리 → 남대문경찰서 → YTN/숭례문 - 이후 역순

구 도시형 45번. 대개편 때 번호만 바뀐 채 잘 운행했지만, 2005년 9월 10일 광역 9101번이 바로 아래 문단의 108번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될 때 남는 번호가 없자 출발지의 권역이 2권역[6]이었기에 상대적으로 번호 변경이 유리했던 이 노선의 번호를 가지고 가게 되었다. 기존 108번은 202번으로 번호를 변경.


12. 108(대원여객)☆[편집]


서울 버스 108(폐선)

지금은 진아버스(구 진아교통)가 108번 쓰고 있다.


13. 108 골프장지선(대원여객)[편집]


파일:서울108골프장.pn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8번 (골프장 지선)
기점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덕정동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흥인지문)
종점행
첫차
04:20
기점행
첫차
06:20
막차
19:46
막차
21:40
배차간격
1일 19회 (30~70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인가대수
-[7]
노선
덕정동차고지 - 여단앞 - 내회암 - 김삿갓교 - 세창리베하우스 - 옥정고등학교 - 문화공원 - 율정마을7단지 - 율정마을13단지 - 사단앞 - 삼가대삼거리 - 나래아파트 - 양주GS자이 - MBC문화동산 - 회만동 - 중말 - 레이크우드 C.C - 오리골 - 원학동.골프장입구 - 주내파출소 - 양주시청.화원 - 양주역 - 녹양역 - 가능역 - 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 회룡역 - 장수원.신한대학교 - 도봉산역 - 방학역 - 수유역 - 미아사거리역 - 미아리고개 - 삼선교.한성대입구역 → 혜화동로터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이화장 → 흥인지문 → 종로5가.효제동 → 혜화역.마로니에공원동성중학교.동성고등학교 → 삼선교.한성대입구 → 이후 역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유일하게 전산이나 표기상으로 구분되지 않은 지선 노선을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지선 운행중단 시점에서 적청노선으로 불리던 비공식 지선들은 대부분 전산상 노선이 분리되었고, 108번과 비슷한 이유로 전산상 동일노선으로 운행하는 5515번(A/B)이나 금천01번(적/청)은 노선을 구분할 수 있는 최소한의 표식은 갖추고 운행하였다. 반면, 108번은 운전승무원이 차량 앞에 두는 판넬 이외에는 초승자 입장에서 지선 운행여부 구분이 어려웠다.

지선 운행 당시, 해당 노선이 BMS상 별도로 구분되지 않았던 관계로 골프장 지선을 타도 본선을 탄 것으로 간주하여 서로 환승은 되지 않았다. 경기도 면허의 노선이 차고지 착발 등 가지노선에 대해 별도로 전산 등록을 하여 환승이 가능했던 것과 대조적[8]인데,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는 체계상 예비차 공동사용 인가를 받은 경우 이외에는 같은 날 한 차량은 단일 노선에서만 운행하게 되어있었기에 운영상의 이유로 지선노선을 분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9] 결국 이러한 배차 관리나 BMS 오류 등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지선 운행이 중단되었다.

폐선 후 골프장 노선으로 운행했던 봉양동, 내회암 구간은 양주교통75번이나 76번, 골프장 구간은 은현교통2-4번을 이용해야 한다.

이 노선이 아니어도 머나먼 부산에서도 이와같은 노선을 운행하는 부산 버스 1002번 영산대/대동/장백아파트 지원운행 노선도 공통점이 유사했고, 108번과 포지션도 같다.(두 노선의 공통점은둘 다 좌석버스로 신설. 장거리 노선이자 각 지역버스 최북단으로 등극. 추가로 두 지역버스의 주간 본선/지원운행, 심야버스. 그리고 서울 108번은 주간/심야노선 동일, 다만 부산 1002번은 주간(센텀파크)/심야노선(서면) 자체가 다르다.) 그야말로 평행이론

여담으로 골프장 지선 운행 당시, 774번과 함께 흔하지 않게 서울 면허 시내버스 중에서 시골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몇 안 되는 버스였다. 봉양동, 골프장 부근(만송동 대부분, 삼숭동 자이아파트 외곽)이 그런 편이었다.


14. 110A, 110B(대진여객)☆[편집]


서울 버스 110, 서울 버스 1713, 서울 버스 153

파일:서울 110 노선도.png


15. 141(아진교통)☆[편집]


서울 버스 141(2기), 서울 버스 410


파일:IMG_4931-1.jpg

파일:attachment/141_1.jpg

파일:서울 141 노선도.png


16. 142(아진교통)☆[편집]


서울 버스 142(2기)

파일:IMG_4805-1.jpg
파일:IMG_4954-1.jpg

파일:서울 142 노선도.png



17. 143(대진여객)☆[편집]


서울 버스 405, 서울 버스 145


파일:서울143번개선형.png

파일:대진143번_현대저상.png

파일:서울 143 노선도(2022.12).png


18. 145(한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143

파일:Seoul145-b.png
파일:145_8972.jpg

파일:서울 145 노선도.png


19. 148(한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149

파일:IMG_6052(148_3110).jpg
파일:서울148번저상.png

파일:서울 148 노선도.png


20. 149(한성여객)☆[편집]


서울 버스 100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49.jpg
파일:구서울149.jpg
위 차량은 1140번에서 운행하다 2015년 현대 블루시티로 대차한 후 현재는 1154번 소속이다. 출처
현재는 블루시티로 대차되어 1144번1120번에서 운행 중이다.

지금은 한성운수가 149번 사용 중.


21. 153(동아운수)☆[편집]


서울 버스 163

파일:동아153번_뉴슈퍼개선형저상.png


파일:동아153번_뉴슈퍼FL.png


파일:서울 153 노선도.png


22. 161(다모아자동차)㈜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710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61.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611.jpg
위 차량들은 모두 대차되었고, 현재는 601번에서 운행 중이다.

운행구간 : 도봉산역, 도봉공영차고지 - 수유역 - 미아사거리 - (창경궁로→ / ←대학로) - 종로 - 서대문역(농협본사) - 연세대학교정문 - 마포구청역 - 성산대교 - 등촌중학교 - 공항로 - 발산역 - 김포국제공항 - 방화동(공항버스 차고지)

2004년 7월 대 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6권역에서 거의 제대로 된 사실상 유일한 종로 직통 노선이었던데다, 종로에서 끝나지 않고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있는 미아로까지 한 번에 가는 노선이었다. 게다가 강서구에서 출발하는 관계로 길이도 꽤 길어 줘서 6권역의 막차 기능에도 나름대로 충실했다.

하지만 다모아자동차 입장에서는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입주에 맞춰 새로운 수요를 얻기 위해, 또 새로 이전한 상암공영차고지의 활성화를 위해 6권역 구간 단축을 요구했다.

이를 알게 된 강서구청에서는 극렬히 반대했고, 버스 동호인은 다모아자동차를 향해 "다짤라자동차"로 부르며 굉장히 깠다. 강서구에서 종로로 바로 가는 몇 없는 노선이었고, 도심에서 강서방면으로 유일한 심야 노선이었기 때문.[10] 그 외에도 6권역에 버스 노선이 부족하다는 것도 논리로 내세웠지만 결국 2008년 12월 20일에 상암공영차고지로 단축되었고, 권역에 맞춰 번호도 710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그리고 몇 년 후 710번은 수유역(강북구청)으로 다시 한 번 단축되어 도봉구를 완전히 떠났다.

다모아자동차는 161번 12대를 601번으로 이동시켜 강서구민들을 달래 보고자 했지만, 단축안이 현실이 되자 강서구의 교통 현실[11]을 개탄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한 마디로 161번의 단축은 준공영제의 맹점 중 하나인 버스회사의 편의주의를 극명하게 드러낸 것. 개편 전이었다면 장거리를 운행해야 그만큼 수익이 많으니 절대로 단축했을리 없었을테고.....


23. 162(대진여객)[편집]


서울 버스 170, 서울 버스 148


파일:Seoul162-Apolio.png


파일:Seoul162.png


파일:서울 162 노선도.png

  • 2023년 4월 27일 대학로 구간이 폐지, 창경궁로 - 율곡로 양방향 구간으로 변경, 조계사 - 명동 - 남대문시장 구간이 폐지, 광화문 - 시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구간으로 변경되고 여의도 - 원효로 구간 단축, 원효로 - 용문시장 - 공덕역 구간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번호도 170번으로 변경되었다. 그 대신 아리랑고개 - 율곡로 - 명동 구간은 148번이 대체하고, 숭덕초등학교 - 미아리고개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24. 163(삼화상운)☆[편집]


서울 버스 173
파일:163_3495.png
파일:P3119628(163_3518).jpg
좌측 차량은 103번으로 넘어간 다음 2017년에 대차되었다.

파일:서울 163 노선도.png
개편 당시 월계동~신촌 구간을 운행하는 173번으로 개통 예정이었지만 6713번과 합쳐져서 163번이 되었다. 하지만 2017년 3월부터 서울특별시 장거리 노선 단축 정책에 따라 173번674번으로 분리되어서 개편 초창기안으로 돌아갔다.

현재 이 번호는 동아운수 소속의 163번이 대방역으로 단축되면서 다시 부활했다..


25. 170(동아운수)☆[편집]


서울 버스 163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170.jpg
2005년식 NSAC. 해당 차량은 152번으로 넘어간 후 2015년에 대차되었다. 번호판도 신형으로 교체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우이동 - 수유역 - 정릉 - 국민대학교 - 상명대학교 - 연세대학교 - 연희동 - 대흥동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구 8번과 8-1번의 '우이동 - 수유역 - 미아사거리 - 국민대 - 평창동 - 세검정 - 유진상가 - 연희동 - 신촌' 구간을 가져와 신설하였다. 당시 인가대수는 33대였다.

사고위험으로 인해 2004년 11월 16일에 명물거리 경유에서 신촌기차역 경유로 변경하였다. 회차구간이 반대로 바뀐 셈.

신촌에서 만나는 동사 5711번의 문제로 인해[12] 2007년 4월 23일에 5711번과 통합되면서 153번이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26. 172(한성여객)☆[편집]


서울 버스 1012

파일:IMG_4765(172_6338).jpg

파일:서울 172 노선도.png


27. 200(메트로버스)㈜☆ [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00.jpg
위 차량은 2013년 서울승합과의 차돌리기로 351번으로 넘어간 후, 2014년에 대차되었다. 출처

운행구간 : 중랑공영차고지 - 망우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신설동 - 종로 - 롯데영플라자 - 숭례문 - 서울역

2004년 7월 1일 대개편 때 신설되었다.

흥인지문과 동대문운동장까지만 운행하던 201번이 서울역으로 연장되면서[13] 노선 중복 문제가 대두되었다.[14]

2005년 3월 10일에 능산지하차도, 우림시장 대신 동성프라자, 중랑구청사거리, 신내지하차도 경유로 바뀌었다. 메트로버스 공지사항

2005년 5월 15일에 폐선되었다. 메트로버스 공지사항 기존 차량들은 다음날에 신설된 273번으로 이동했다.


28. 202(태릉교통)☆[편집]


서울 버스 200

파일:서울 버스 202_1710.jpg

파일:서울 202 노선도.png

202번종점 - 신안인스빌아파트 - 화접초등학교 - 별내고등학교 - 별내리슈빌아파트 - 별사랑마을 - 별내동주민센터.별내쌍용예가 - 미리내마을·한별초등학교 - 삼육대앞 - 태릉선수촌 - 서울여대.육군사관학교 - 화랑대역 - 묵동구길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역·동부시장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제기동역.서울약령시 - 서울시동부병원 - 상왕십리역 - 신당역.중앙시장 -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 - 을지로3가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4번 승강장) → 갈월동 → 남영우체국 → 용산중고교 → 후암동종점 → 후암시장 → 남대문경찰서 → 숭례문 → 이후 역순

  • 2023년 4월 27일을 기해 불암동 - 중화동 구간 단축, 중화동 - 신내우디안아파트 - 중랑공영차고지 구간으로 변경, 후암동 - 을지로 - 용두사거리 구간은 82번으로 대체, 용두사거리 - 종로 - 광화문 - 서대문역사거리 - 서소문 구간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번호도 200번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2004년 7월 1일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신설된지 무려 19년만에 부활이다.

이 번호는 한강버스(구 태진운수)가 쓰고 있다.


29. 203(대원교통)☆[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03.jp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03-2.jpg
이 차량은 옆 차량과 동일하게 대차되었다가, 다시 NEW BS106으로 대차되어 241번에서 운행 중이다.
이 차량은 대차되어 2016번에서 운행 중이다.

운행구간 : 중랑공영차고지 - 망우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환승센터 - 신설동 - 종로 - 롯데영플라자 - 숭례문 - 서울역

구 9205번이 2006년 12월 1일에 망우리까지 단축되면서 형간전환한 노선이다. 관련 공지사항

딱 보면 알겠지만, 중복구간이 긴 노선이 너무 많다. 중랑공영차고지를 나가서 종각역에 이를 때까지 서울 버스 260과 100% 겹치고, 그리고 망우역부터는 서울 버스 201과 도심 회차까지 완벽히 겹쳤다. 거기에 종로~동대문 구간에는 의정부 버스 1001까지 있었으니... 이렇게 너무 대놓고 중복이 심하다보니 버스 동호인들도 203은 한 분기 이상 넘기기 힘들 거라는 것을 대놓고 예상할 정도였고[15], 결국 2007년 4월 23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기존에 운행하던 BH116은 운행하던 도중에 전부 신차로 교체되었고 나머지 차량들은 당시 신설된 241번으로 이동했다.

지금은 비비버스(구 북부운수)가 203번 사용 중.


30. 240A, 240B(대원교통)[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40a.pn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40b.png
240A번. 이 차량은 통합 후 241번으로 이동한 후 2010년에 대차되었다.
240B번. 출처

4212번의 '신내동~건대입구역' 구간이 단축된 후, 2009년 6월 20일부터 딱 3주 동안만 존재했던 노선이다.

기존 240번 차량은 구 4212번 대체용인 240A(면목로 경유)로, 폐선된 9202번의 차량을 대차시켜서 만든 240B는 원래의 노선(면목천로 경유)으로 운행하다가, 240B 배차간격이 30분 이상 벌어지자, 7월 12일부로 240A는 다시 240번으로, 240B은 건대입구로 단축되어 2225번이 되었다.


31. 241A, 241B(대원교통, 대원여객[16])[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41a.png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41b.png
241A번. 출처
241B번. 위 차량은 370번에서 운행하다가 현재는 542번에서 운행중이다.[17] 출처

일부 신내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41번이 2010년 1월 8일에 상봉1동주민센터를 경유하는 A노선과 망우역을 경유하는 B노선으로 분리됐는데, 이 때문에 배차간격이 심하게 벌어지기도 했었다. 결국 3년 8개월 후인 2013년 9월 26일에 다시 통합했으며 현재는 B노선으로 다니고 있다. 즉, 2007년에 최초 신설됐을 당시로 돌아오게 된 셈. A노선은 2311번이 청량리까지 대체 중이다.

대원여객 차량들은 모두 B 노선에서 운행했다.


32. 263(대흥교통)☆[편집]


서울 버스 463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263.jpg
사진 속 차량들은 모두 대차되었다.

차고지 이전 때문에 노선거리가 대폭으로 늘어나버렸다.서울 버스 463 문서 참조.


33. 271B(경성여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271B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271(경성여객)[편집]


서울 버스 263


파일:경성271_엔삭에펠.jpg


파일:경성271번_개선형저상.png


파일:서울 271 노선도.png


35. 300(메트로버스)㈜☆[편집]


서울역까지 가던 노선과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역까지 가던 노선이 있었다. 두 노선 모두 서울 버스 300(폐선) 문서를 참조. 재미있게도 둘 다 메트로버스에서 운행하던 노선이었다.


36. 304(신흥기업)☆[편집]


서울 버스 3220서울 버스 371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04.jpg
위 차량은 2415번으로 이동한 후 2008년 말에 뉴슈퍼 저상으로 대차되었다가 2019년에 화이버드로 다시 대차되었다. 출처


37. 342(메트로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00(폐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00번 1기 노선을 폐선시키고 만든 노선이나, 300번 2기 노선 신설을 위해서 없어졌다.


38. 342(서울승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4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42.jpg
위 차량은 2013년 메트로버스와의 차돌리기 때 넘어갔으며, 2016번에서 운행하다 2018년에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 출처

舊 361번으로 342, 351, 342번 순으로 노선번호만 3번씩 변경된 노선이다.


39. 345(대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362

파일:서울 345 노선도.png

이 번호는 송파버스(구. 송파상운)가 사용 중.


40. 350(한서교통)☆[편집]


서울 버스 363

파일:IMG_6711(350_8682)NW.jpg

파일:서울 350 노선도.png

이 번호는 한빛운수(구 신흥운수)가 사용 중.


41. 351(서울승합)☆[편집]


서울 버스 342

파일:서울351.jpg

지금은 진화운수가 351번 사용 중


42. 352(태진운수)[편집]


파일:서울352.jpg

운행구간: 송파공영차고지 - 위례신도시24단지 - 송례중/송례초교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 - 석촌역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종합운동장 - 코엑스 - 청담역 - 프리마호텔 - 청담동명품거리 - 압구정로데오역 - 압구정역 - 현대고 - 신사동주민센터 - 한신한강아파트 - 신동초교 - 반포3동주민센터 - 뉴코아아울렛 - 고속터미널 - 신/구반포역 - 국립현충원 - 한강현대아파트 - 흑석역 - 중앙대학교병원

노들로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이 입석금지가 되면서 362번이 2014년 8월 4일에 중앙대학교로 단축되면서 부여받은 번호이다. 이 때 위례신도시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노들로가 자동차전용도로에서 해제되면서 2015년 10월 26일에 다시 여의도로 연장되었고, 번호도 362번으로 환원되었다. 다만 예전처럼 순복음교회 등은 경유하지 않으며, 여의교부터 국회의사당역까지 직진한 다음 회차한다.


43. 360(한국brt)☆[편집]


서울 버스 373

파일:서울 360 노선도.png

현재 이 번호는 남성버스 소속의 360번이 사용한다.


44. 361(서울승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버스 34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61a.png


45. 361(남성버스)☆[편집]


서울 버스 360

파일:서울 361 노선도.png

현재 이 번호는 서울승합 소속의 361번이 사용한다.


46. 362(대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362

파일:H_362_8469.png
파일:서울362번개선형.png
362 → 352 → 362 → 345 순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47. 363(한서교통)☆[편집]


서울 버스 350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363.jpg
출처
위 차량은 3217번으로 이동하여 운행하였다가 2020년에 저상으로 대차되었다.


48. 371(신흥기업)☆[편집]


서울 버스 3220


49. 400(한국BRT)㈜☆[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00.png
출처
해당 차량은 2004년식 차량이며 140번, 360번, 701번 순으로 이동 후 2015년 대차되었다.

운행구간 : 송파공영차고지(복정역) - 내곡동 - AT센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1호터널 - 광화문 - 서울역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140번을 따라 종로4가로 운행했으나 수요가 신통치 않아 서울역으로 변경했다.
아무래도 광화문을 거쳐가다 보니 서울 버스 471, 경기광주 버스 1005-1(현재는 폐선)과의 중복을 피할 수 없었고 2005년 4월 10일에 폐선되었다. 이는 x00번 주간선 노선 중 가장 빠른 폐선이었다.

이후 408번이 성남구간 단축으로 인해 이 경로를 답습하게 되었는데, 결국 폐선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

참고로 403, 404는 결번인데, 원래 서울 버스 420서울 버스 472가 이 번호들을 받을 계획이었지만 계획단계에서 노선이 바뀌었다.

이후 이 400번이라는 번호는 삼성여객 소속의 405B번이 2013년에 물려받았다.


50. 405(도선여객)☆[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05.jpg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4432번 2020년 10월식 개선형 저상으로 운행중이다.출처
운행구간 : 개포동 - 영동세브란스 - KT영동지사 - 관세청 - 신사역 - 한남동 - 명동성당 - 을지로 - 서울역

대개편 때 도시형 222번이 단축되면서 생겨난 노선이다. 노선이 실로 애매했고, 인가댓수도 얼마 되지 않아 2005년 초에 폐선.
여담으로, 같은 회사에서 기종점이 완벽히 같은 노선을 운행한다. 물론 경유지는 다르다.

현재 운행 중인 405번은 구 0014번과 0015번의 통합형으로 완전히 다르다.


51. 405A, 405B(삼성여객)[편집]


파일:405A.jpg
파일:서울405B.png
405A번.[18]
405B번.[19]
파일:attachment/서울 버스 405/405.jpg
당시 노선도.
2013년 3월 19일 ~ 2013년 9월 25일 동안만 존재했다. 서울 버스 400서울 버스 405 문서 참고.


52. 405(삼성여객)☆[편집]


서울 버스 403

파일:삼성405번_화이버드.png

파일:서울 405 노선도.png


53. 407(대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407(폐선)

운행구간 : 송파공영차고지(복정역) - 장지역 - 세곡동 - 내곡동- AT센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한남오거리 - 장충단로 - 동대입구 - 충무로 - 동대문운동장 이후 역순


54. 408(대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408

운행구간 : 송파공영차고지(복정역) - 세곡동 - 내곡동- AT센터 - 양재역 - 강남역 - 신사역 - 한남동 - 남산1호터널 - 광화문 - 서울역환승센터 - 을지로 - 남산1호터널 - 이후 역순


55. 410(동아운수)☆[편집]


서울 버스 121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410.jpg
[20]출처


56. 420(도선여객)☆[편집]


서울 버스 407, 서울 버스 420


파일:서울420_3316.png


파일:서울 420 노선도.png


57. 462(남성교통)[편집]


서울 버스 452
파일:서울462_alynesinc.png
사진의 차량은 2019년에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


58. 471(한국brt)[편집]


서울 버스 741

파일:Seoul471-b.jpg
파일:Seoul471-a.jpg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15년식.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16년식.
파일:Seoul471-c.png
서울역 환승센터를 경유하는 모습.


59. 503(보영운수)☆[편집]


서울 버스 608

파일:IMG_1142(503_2899).jpg

파일:서울 503 노선도.png


60. 504(한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609, 서울 버스 6517

파일:서울 504 노선도.png


61. 505(범일운수)☆[편집]


서울 버스 504, 광명 버스 70


파일:su505-b1.png


파일:서울 505 노선도.png


62. 541(우신버스)☆[편집]


서울 버스 4435, 군포 버스 908

파일:서울 541 노선도.png


63. 542(대원여객)☆[편집]


서울 버스 541


파일:Seoul542-a.jpg


파일:서울 542번 대우 저상차량.jpg


파일:서울 542 노선도(2022).png

지금은 범일운수가 542번 사용 중.


64. 570(범일운수, 신성교통)☆[편집]


서울 버스 761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570.jpg

사진 속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761번에서 운행중이다.

여담으로 범일운수의 폐선 10대의 잉여차량들은 505로 이동할 때까지 며칠간 간선도색으로 시흥동 소속인 5413, 5619, 5620등 여러 지선 노선에 배정되어 큰 혼란을 야기(?)했다는 후문이 전해진다

사실상 761번은 현재 이 노선에서 영등포 이남 구간이 단축된 노선이다.


65. 607(신길운수)☆[편집]


서울 버스 673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607.jpg
파일:external/blogfiles14.naver.net/dscf1990_sis04160.jpg
두 차량 모두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었으며, 우측 차량은 604번에서 운행중이다.좌측 사진 출처


66. 642(김포교통)☆[편집]


서울 버스 654

파일:attachment/642-1.jpg
파일:서울642구.jpg
노들로를 경유하던 시절.[21]
대림역 경유 후의 모습.[22]

운행구간 : 방화동 - 김포공항 - 송정역 - 발산역 - 목동역 - 대림역 - 보라매역 - 노량진역 - 흑석역 - 고속터미널 - 논현역

2016년 7월 25일 642번이 노들역으로 단축됨에 따라 654번으로 변경되었다. 지금은 한남운수가 642번 사용 중.


67. 652(신길교통)☆[편집]


서울 버스 662


파일:신길652번_뉴비중저상.png


파일:서울 652 노선도.png

지금은 한남운수가 652번 사용 중.


68. 653(신길교통, 영인운수)☆[편집]


서울 버스 653


파일:신길653번_뉴슈퍼개선형.png


파일:영인653번_엔삭FL저상.png

신길교통 차량
영인운수 차량

파일:서울 653 노선도.png


69. 662(영인운수)☆[편집]


서울 버스 260

파일:서울 662 노선도.png


70. 670(서울교통네트웍, 보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660

파일:서울670번개선저상.png
파일:보성670뉴비저상.jpg
서울교통네트웍 차량
보성운수 차량

이 번호는 보영운수가 670번으로 전환하여 사용 중.


71. 672(김포교통)☆[편집]


서울 버스 673

파일:20220109_121138.jpg
파일:서울672일렉.jpg

파일:서울 672 노선도.png


72. 673(신길교통)☆[편집]


서울 버스 607, 서울 버스 672

파일:신길673번_뉴슈퍼개선형저상.png

파일:서울 673 노선도.png


73. 700(다모아자동차)㈜☆[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00.png
개편 때 끌고왔던 2001년식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이다. 2006년에 저상으로 대차되었으며, 2001년식 모델은 신촌교통 등에 중고로 매각되었다.출처

운행구간 : 은평공영차고지 - 수색역 - 모래내 - 신촌 - 충정로역 - 퇴계로/을지로 - 동대문운동장

대개편 때 신설된 노선으로, 원래는 연세대 - 이대부고 - 금화터널 - 영천시장으로 운행했다.

2005년 5월에 '동교동 - 신촌 - 이대역'으로 노선이 변경되었고, 이후 2005년 8월 1일에 폐선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후 이 번호는 동해운수 소속의 9706번이 2010년에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이 번호를 물려받게 된다. 해당 문서 참조.


74. 701(한국brt)☆[편집]


서울 버스 704

파일:서울 701번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저상.jpg

파일:서울 701 노선도.png

진관공영차고지 - (→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 - 지축교 - 진관초교입구 - 입곡삼거리 - 하나고.삼천사.진관사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서대문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남대문시장 - 롯데영프라자 → 우리은행종로지점 → 종로2가.삼일교 → 을지로2가.기업은행본점.서울노동청 → 롯데백화점 → 이후 역순

이 버스는 일부 구간만 변경됨과 동시에 704번으로 변경되었다.

이 번호는 선진운수 소속의 9701번이 간선으로 전환되면서 사용 중이다.


75. 702A, 702B(선진운수)☆[편집]


서울 버스 7015


파일:서울702A_2648.png


파일:서울 702B번 현대차량.webp

702A번
702B번

밑줄 처리 된 구간은 A노선과 B노선이 서로 다른 구간입니다.

A노선: 용두동종점 - 용두사거리_(서오릉로)_[23] - 용두2리 - [서오릉입구 - 선진운수종점 - 구산중학교.구산교회 - 응암역.신사오거리 - 서부병원 - 은평구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영천시장 → 서대문역사거리.농협중앙회 → 광화문 → 을지로입구역.광교 → 롯데백화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영천시장 → 이후 역순

B노선: 용두동종점 - 용두사거리_(화랑로)_[24] - 용두5통 - 용두초등학교 - 선진운수종점 - 구산중학교.구산교회 - 응암역.신사오거리 - 서부병원 - 은평구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영천시장 → 서대문역사거리.농협중앙회 → 광화문 → 을지로입구역.광교 → 롯데백화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영천시장 → 이후 역순

이 버스는 서오릉 - 구산동 구간 단축, 홍제역 - 서대문역사거리 구간 폐지, 신사동고개 - 연세대학교 - 세브란스병원 - 이대부고 - 경복궁역 - 조계사 - 종로1가 - 광화문 구간으로 변경되고 번호도 7015번으로 통합되었다.

현재 이 번호는 유성운수가 쓰고 있다. (7011번)


76. 703(서울운수)☆[편집]


서울 버스 709

파일:DSC703동글이.jpg

문산(선유리) - 향양리 - 주내삼거리 - 용주골 - 검전리 - 창만1리 - 신산5리 - 미군부대앞 - 신산3리 - 광탄 - 분수1리 - 용미리 - 용미리묘지 - 국군고양병원 - 고양동 - 응달촌 - 빈정동 - 선유동입구 - 벽제역 - 서울시립승화원 - 세원마을 - 신원마을 - 삼송역사거리.지축차량기지입구 - 구파발 - 연신내역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대문역 ➡ 서울역사박물관 ➡ 광화문 ➡ 시청앞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경찰청 ➡ 서대문경찰서/역순

노선이 불광역으로 단축되면서 774번으로 바뀌었다. 그 다음 내용은 서울 버스 709 참고.

이 번호는 서울매일버스 소속의 9703번이 간선으로 전환되면서 사용 중이다.


77. 704(제일여객)☆[편집]


서울 버스 774

파일:서울 704 노선도.png

송추반석전원교회 - 장골부대 - 송추초등학교.송추검문소 - 72보병사단 - 우이령.오봉산석굴암입구 - 노고산예비훈련장 - 효자2통 - 북한산성입구 - 백화사 - 은평뉴타운푸르지오.아이파크 - 진관중고교.약수사앞 - 구파발역 - 연신내역.연서시장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영천시장 → 서대문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 숭례문 → 남대문시장 → 롯데영프라자 → 조계사 → 덕성여중고 → 세종문화회관 → 광화문 → 서대문역사거리 → 영천시장 → 이후 역순

노선이 녹번역으로 단축되면서 774번으로 바뀌었다. 현재는 이 번호는 한국brt가 쓰고 있다.


78. 705(서부운수)☆[편집]


서울 버스 721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05.jpg
(출처 : 영화 '광식이 동생 광태')
운행구간 : 북가좌동 - 모래내우체국 - 가좌역 - (구)성산회관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 - 이대역 - 아현역 - 서대문역 - 세종로사거리 - 종로1~6가 - 흥인지문 - 동묘앞역 - 창신역(회차)

서부운수의 간판 노선이었던 구 도시형 134번이 대개편을 거치며 변경된 노선이다. 뜬금없이 경희대와 외대가 아닌 창신동으로 변경되면서 애매모호한 노선이 되었으나, 강동공영차고지와 서울역을 오가던 구 300번이 폐선되면서 2005년 7월 16부로 동대문 - 신설동 - 천호대로 - 군자역 - 능동로 - 건대입구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이를 계기로 서울 버스 721번으로 변경되었고, 다시 서부운수의 간판급 노선이 되었다.

현재 이 번호는 구 9710번 단축 후 신수교통에서 쓰고 있다.


79. 706(제일여객)☆[편집]


서울 버스 773

파일:서울706-5762.jp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운행거리가 가장 길었는데, 교하차고지에서 서울역까지 잇는 초장거리 노선이었다.[25] 워낙 노선이 길어서 그런지 2017년 11월 1일부로 노선이 단축되며 773번으로 번호가 바뀌었다. 한전성서지사.북한산푸르지오(12026)에 정차후 유턴하여 다시 교하방면으로 되돌아가는데, 단축을 했어도 현재 왕복 84km로 장거리 노선이다.

지금은 한국brt가 이 버스 쓰고 있다.


80. 707(제일여객)☆[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07.jpg
위 차량은 704번720번 순으로 이동한 다음 2014년에 대차되어 다시 704번으로 넘어갔다. 출처

운행구간 : 다율리 - 교하/운정지구 - 야당리 - 송산동 - 이마트 - 농수산물센터 - 대화역 - 마두역 - 백석역 - 대곡역 - 고양경찰서 - 화정역 - 화정지구 - 원당역 - 가시골 - 원흥삼거리 - 동산동 - 구파발역 - 불광역 - 무악재 - 독립문 → 경찰청 → 서울역 → 숭례문 → 시청 → 광화문 → 적선동 → 독립문 → 이하 역순

구 907번 도시형버스(현 706번)에서 분리신설된 907-1번 도시형버스가 전신이다. 9701번의 전신노선인 72-2번을 이기려고 신설했지만, 적은 인가대수로 인해 참패하였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광역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9712번으로 바뀌었다.

2004년 12월에 9711번이 간선버스로 전환될 때 같이 전환되면서 번호도 707번으로 바뀌었다.

706번과 거의 대부분 동일했으나 일산신도시에서 706번과 달리 중앙로 직통(대화역, 주엽역, 마두역 경유)이었다. 하지만 수요가 부족했던 데다 배차간격마저 엉망진창이어서 2006년 12월 1일에 706번으로 흡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81. 707(동해운수)☆[편집]


서울 버스 760

파일:서울 707.jpg

구 9708번이 형간전환된 노선으로, 2022년 6월 27일에 종점이 숭례문에서 영등포소방서로 변경되면서 760번으로 전환되었다.

현재 이 번호는 유성운수가 쓰고 있다. (7016번)


82. 708(현대교통)☆[편집]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08.png
해당 차량은 7611번에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 은평공영차고지 - 명지대 - 연대앞 - 안국동 → 명동롯데 → 남대문시장 → 시청 → 광화문 → 이하 역순

구 7020번이 수색/성산로 중앙차로를 입성하면서(당시 지선노선은 짤없이 가변차로로 운행해야 했다. 하지만 이런 규칙은 7727과 7728이 중앙차로를 입성하면서 깨졌다.) 간선으로 형간전환되었다. 이 때 부여받은 번호가 708번. 전환 당시에는 홍은동 - 남대문시장이라는 간선 치고는 짧은 거리(당시 왕복 22km[26])로 인해 버스 동호인들의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후 2008년 12월 20일에 광화문광장 조성 교통 체증 해소를 이유로 을지로입구 - 광화문 단축 및 종로4가 연장이 이루어져 잘 다니던 도중 가스 충전 문제로 2011년 8월 기존 운행대수 그대로 수색으로 연장되는 바람에 배차관리가 어려워져 2012년 8월 28일부로 이대부고로 단축되면서 다시 지선으로 형간전환되었다. 이후 내용은 서울 버스 7716 참조.

현재는 한국brt에서 신설한 노선 번호로 사용.


83. 708(한국brt)☆[편집]


서울 버스 706

파일:서울 버스 708 NSAC.jpg
파일:서울 버스 708 NSAC 저상.jpg

파일:서울 708 노선도.png

지금은 유성운수가 708번 사용 중.


84. 730(신촌교통)[편집]


서울 버스 740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730.jpg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7727번에서 운행 중이다.


85. 741(한국brt)[편집]


서울 버스 754

파일:서울 741번 현대 저상차량.jpg

진관공영차고지 - (→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 - 구파발역입구 - 연신내역.연서시장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 종로2가 - 서울백병원 - 남산1호터널 - 순천향대학병원 - 한남대교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양재꽃시장 - 안골마을 - 헌인릉 - 세곡푸르지오 - 대왕초등학교

노선이 일부구간 단축, 변경됨과 동시에 번호도 754번으로 변경되었다.


86. 742(선진운수)[편집]


서울 버스 751

파일:서울 버스 742_4534.jpg

파일:서울 742 노선도.png

선진운수종점 - 구산중학교.구산교회 - 신사동고개 - 응암오거리 - 북가좌2동주민센터 - DMC파크뷰자이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앞 - (← 세브란스병원 ← 이대부중 ← 이대부고 ← 이대부중 ←) - 신촌기차역 - 이대역 - 아현역 - 충정로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4번 승강장) →)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노들역 - 노량진역 - 동작구청 - 장승배기역 - 상도시장 - 숭실대입구역 - 총신대 - 남성역 - 이수역 - 내방역 - 서리풀터널 - 서초역 → 서울교대사거리 → 교대역 → 대법원앞(서초역) → 이후 역순

노선이 교대역에서 숭실대정문 구간으로 단축되었다.


87. 750A(신촌교통)[편집]


서울 버스 743

파일:IMG_1506(750A_5808).jpg
750A번

밑줄 처리 된 구간은 A노선과 B노선 상에서 차이가 나는 구간입니다

덕은동종점 - 월드컵파크9~12단지 - DMC첨단산업센터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금화터널 - 서대문역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상도터널.노량진동 - 상도터널 - 상도역 - 숭실대입구역 - 봉천사거리.봉천중앙시장 - 서울대학교

2023년 4월 27일에 서울대 구간에서 숭실대 - 교대역 구간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번호도 743번으로 변경되었다.


88. 750B(유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750

파일:750B.jpg
750B번

밑줄 처리 된 구간은 A노선과 B노선 상에서 차이가 나는 구간입니다

은평공영차고지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세대학교 - 이대후문 - 금화터널 - 서대문역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상도터널.노량진동 - 상도터널 - 상도역 - 숭실대입구역 - 봉천사거리.봉천중앙시장 - 서울대학교

2023년 4월 27일에 일부 구간이 변경됨과 동시에 번호도 750번으로 변경되었다.


89. 751(선진운수)☆[편집]


서울 버스 751

파일:IMG_9288(Seoul_751_4592).jpg
파일:선진751_엔삭타요.png

파일:서울 751 노선도.png


90. 752(선진운수)☆[편집]


서울 버스 7613

파일:IMG_1139(Seoul_752_4557).jpg

파일:서울 752 노선도.png

선진운수종점 - 구산역.예일여고 - 역촌역.역촌오거리 - 은평구청 - 녹번역 - 홍제역.서대문세무서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서대문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 노들역앞 →)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 - 동작역.국립현충원 - 정금마을 - 이수역 - 남성역 - 총신대 - 숭실대정문 - 숭실대입구역 - 상도역 → 동작문화복지센터.동작보건소 → 노량진역3번 출구 → 노들역 → 상도터널 → 상도역 → 이후 역순

노선이 일부구간 단축, 여의도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번호는 7613번이 사용 중.


91. 760(서울운수)☆[편집]


서울 버스 760(폐선) 문서 참조.

현재 이 번호는 동해운수의 707번이 종점이 바뀌면서 다시 사용하고 있다.


92. 774(신수교통)☆[편집]


서울 버스 709

파일:774번 고상형.jpg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 은평뉴타운10단지 - 구파발역입구 - 연신내역 - 불광역 - 양광교회 - 불광역 - 연신내역 - 구파발역입구 - 은평뉴타운10단지 -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 삼송테크노밸리 - 신원마을 - 서울시립승화원 - 벽제역 - 응달촌 - 고양동시장 - 국군고양병원 - 혜음령터널 - 용미리묘지입구 - 분수리 - 윤관장군묘 - 광탄면행정복지센터 - 광탄시장 - 신산리 - 검전리 - 용주골삼거리 - 세경고등학교 - 오뚜기냉동식품 → 범일금고 → 주내삼거리 → 파주읍행정복지센터 → 오뚜기냉동식품 → 이후 역순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이 버스는 파주구간 일부 단축, 불광 2구간 폐지, 숭례문.한국일보 회차 구간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번호도 709번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이 번호는 신수교통이 다시 쓰고 있다.


93. 775(서울운수)[편집]


서울 버스 775 문서를 참조


94. N824(태진운수)[편집]


서울 버스 N824 문서를 참조.


95. N854[편집]


서울 버스 N854 문서를 참조.


96. N866(보성운수)[편집]


서울 버스 N866 문서를 참조.


97. N876(보광교통, 현대교통) [편집]


서울 버스 N876 문서를 참조.


98. N877(보광교통)[편집]


서울 버스 N877 문서를 참조.


99. N850(한남여객운수, 범일운수) [편집]


서울 버스 N850 문서를 참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6:28:30에 나무위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노선 한정.[2] 이렇게 한 결과, 의도는 아니나 331번이 경기도 성남시에서 위례신도시를 거쳐 복정역까지 가는 번호로 쓰이게 되었다.[3] 현재 그냥 공번 신세로는 이것 외에도 508번과 509번, 608번과 609번이 있다.[4] 원래는 140과 같이 도봉산 - 쌍문역 - 수유역 - 미아리 - 돈암동 - 혜화동 - 종로1~4가(도봉산행 대학로/종로5가 경유)를 운행했다.[5] 개편 전 아진교통 2-1번과 비슷했다.[6] 물론 원칙적으로는 1권역을 통해서 서울시로 진입하는 노선이기에 앞자리가 1이 되는 것이 맞는다.[7] 시간대에 맞춰 차량을 차출해 운행.[8] 당시 83번은 차고지로 들어가는 83-2번을 별도로 운행하고 있었는데, 본선 간의 상호 환승이 가능했다. 운전기사가 차고지로 들어갈 때면 중간에 전산상 노선 번호를 83-2번으로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9] 비슷한 이유로 노선이 구분된 702번의 사례를 보면, A/B 노선간 환승은 가능한 대신 A/B 노선간 배차간격의 불균형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10] 종로4가 기준으로 새벽 1시 20분. 지금은 N26번이 있어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11] 이 때는 9호선 개통 7개월 전이었다.[12] 서강대교 입구 노상에서 차량들이 대기하다 보니 이 구간의 교통 흐름에 지장을 상당히 많이 주었고, 신대방삼거리 밑으로는 152번과 완전히 중복되다 보니 노선 관리 면에서도 효율성이 그다지 없었다. 여기에 2005년부터 시작된 가스차량 의무출고가 결정타였다.[13] 舊 55번이 서울역에서 청량리역으로 잘려서 2226번이 되자, 도심접근성이 악화되었고, 구리시에서 서울 시내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도록 해달라는 민원이 다수 있었다.[14] 신내동부터 종각역까지 260번과 100% 겹쳤고, 201번과는 망우역 - 서울역까지 100% 겹쳤다. 거기에다가 종로에는 1000번까지 생겼으니...[15] 다만, 중복구간이 심한 노선들이 오히려 오래 살아남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408번-440번771번-7728번.[16] B노선 한정.[17] 3각 트레이드 과정에서, 대원여객 차량들은 전차량 370번으로 넘어갔다가, 370번 저상화로 인해 상당수가 106번으로 재이동했다.[18] 400번으로 이동 후 2019년에 화이버드로 대차되었다.[19] 그대로 400번으로 넘어가서 운행하다 2017년에 일반차량으로 대차되었다.[20] 해당 차량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대차되어 운행중.[21] 2014년에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22] 2008년식이었으며, 2019년에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23] 9701번이 정차했던 정류소.[24] 045번, 075A번이 정차하는 정류소.[25] 왕복 약 100km[26] 343번 신설 전까지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