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상

덤프버전 :

조선귀족
朝鮮貴族
【 펼치기 ・ 접기 】
수작후작백작
완순군 · 의양군 · 창산군 · 청풍군 · 박영효 · 윤택영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5] · 최석민 · 한창수
습작후작백작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윤의섭 · 박찬범 · 이병길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 · 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3]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성주경 · 윤치호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풍한 · 장인원 · 정주영 · 정천모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승작후작백작
이완용고희경 · 송병준
반납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이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조희연 · 한규설 · 홍순형
{{{-2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2] 1872년생 이완용(李完鎔)으로 1858년생 이완용(李完用)과 동명이인임. [3] 1927년 파산자로 선고되어 조선귀족령 제8조 1항에 따라 1928년 2월 29일부로 자작의 예우가 정지되었지만 자식이었던 조중수에게 자작 작위가 승작됨. [4] 1919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독립 운동에 협조해 습작 불능 처리됨. [5] 재산 분쟁으로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오등작일제강점기 조선귀족에 공작은 없었으며, 그에 준하는 작위와 관련한 정보는 왕공족 문서 참고. ※ 취소선 표시는 작위를 박탈당한 인물을 뜻함.
작위 박탈 사유 [ 펼치기 · 접기 ]
  • 윤치호 : 1913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됨에 따라 작위 박탈
  • 김사준 : 1915년, 조선보안법 위반 사건에 연루되어 작위 박탈. 신한혁명당의 간부 중 하나인 성낙형이 고종을 망명시키고자 했는데, 김사준이 이를 수락하고 실행에 옮기려다 일제에 발각되어 김사준을 비롯한 고종 망명 사건 관련자들 다수가 검거
  • 김윤식 : 1919년, 독립 청원서 제출로 인해 작위 박탈
  • 이용직 : 1919년, 독립 청원서 제출로 인해 작위 박탈
  • 민영린 : 1919년, 아편 흡입죄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 김병익 : 1919년, 아편 흡입죄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 민태곤 : 1941년 12월, 도쿄에서 조선민족독립운동 사건으로 구속되어 작위 박탈
}}}


역임 지위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재면
제2대}}}
윤용구
제3대}}}
이경직
제4대}}}
이재면
제5대}}}
이재순
제6대}}}
민영규
제7대}}}
이재순
제8대}}}
윤용구
제9대}}}
민병석
제10대}}}
민영규
제11대}}}
이재순
제12대}}}
이재완
제13대}}}
민영소
제14대}}}
이재완
제15대}}}
민병석
제16대}}}
민영철
제17대}}}
이재극
제18대}}}
이근상
제19대}}}
윤용구
제20대}}}
심상훈
제21대}}}
이재극
제22대}}}
박영효



>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병시
제2대}}}
정범조
제3대}}}
김홍집
제4대}}}
어윤중
제5대}}}
박정양
제6대}}}
정범조
제7대}}}
민영휘
제8대}}}
이호준
제9대}}}
박정양
제10대}}}
한규설
제11대}}}
이종건
제12대}}}
이하영
제13대}}}
조병식
제14대}}}
정낙용
제15대}}}
임상준
제16대}}}
신기선
제17대}}}
김가진
제18대}}}
조병세
권한대행}}}
김가진
제19대}}}
민영소
제20대}}}
박정양
제21대}}}
심상훈
제22대}}}
민종묵
제23대}}}
이근택
제24대}}}
한규설
제25대}}}
서정순
제26대}}}
김윤식

좌의장
우의장
조병세정범조

부의장
초대}}}
김영수
제2대}}}
어윤중
제3대}}}
신기선
제4대}}}
윤치호
제5대}}}
이하영
제6대}}}
윤치호
제7대}}}
홍종억
제8대}}}
서정순
제9대}}}
김가진
제10대}}}
이유인
제11대}}}
이용태
제12대}}}
이도재
제13대}}}
이종건
제14대}}}
이근호
제15대}}}
이건하
제16대}}}
김가진
제17대}}}
이근호
제18대}}}
이종건
제19대}}}
이근상
제20대}}}
이재곤
제21대}}}
성기운
제22대}}}
신기선
제23대}}}
이근상
제국 중추원 의장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062861> 의장1 ||
||<width=20%>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width=20%>
제2대

미즈노
렌타로 ||<width=20%>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width=20%>
제4대

시모오카
주지 ||<width=20%>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
||
제6대

이케가미
시로 ||
제7대

고다마
히데오 ||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
||
제11대

엔도
류사쿠 ||
||<-5><bgcolor=#062861> 부의장 ||
||
초대

김윤식 ||
제2대

이완용 ||
제3대

박영효 ||
제4대

민병석 ||
제5대

윤덕영 ||
||
제6대

이진호 ||
제7대

박중양 ||
||<-5>
[ 1910 ]
고문
고영희권중현민상호박제순송병준
이근상이근택이완용이재곤이지용
이하영임선준장석주조중응조희연
조민희한창수
찬의
강경희권봉수김만수김사묵김영한
남규희민상호박경양박승봉박제빈
박중양염중모유맹유정수윤치오
이건춘이겸제이재정이준상정인흥
조영희조희문한창수홍승목홍종억
부찬의
고원식구희서권태환김교성김낙헌
김명규김명수김준용김필희김한규
김한목나수연민건식민원식박제환
박희양서상훈서회보성하국송지헌
송헌빈신우선신태유어윤적엄태영
오재풍오제영윤치오이도익이만규
이봉로이원용이항직정동식정병조
정진홍조병건조재영조제환조원성
최상돈한동이허진홍우철홍운표
홍재하

[ 1920 ]
고문
고희경권중현민병석민영기박영효
송병준이하영윤덕영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김영한김한목남규희민상호
민영찬민형식박승봉박이양박기양
박상준박승봉박의병박제빈박중양
백인기상호서상훈신석린신응희
어윤적엄준원염중모유맹유성준
유정수유혁로이건춘이겸제정진홍
조민희조진태조영희조희문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고원훈권태환김갑순김교성
김기태김명규김명준김상설김상섭
김연상김영무김정태김준용김창한
김필희김현수나수연노창안박경석
민건식민영은박기동박기순박봉주
박이양박제환박종렬박흥규박희양
방인혁서병조선우순송종헌송지헌
신석우신태유신창휴심준택심환진
안병길양재홍오재풍오태환원덕상
유기호유빈겸유익환유흥세윤치소
이강원이근우이기승이도익이동우
이만규이병렬이병학이택규이택현
이항직이흥재이희덕장대익장도
장상철장응상장직상장인원전석영
정동식정란교정병조정순현정재학
정태균정호봉조병건천장욱최석하
피성호한영원한상봉한창동허명훈
홍성연현은
참의
구연수김윤정김춘희김한목김희작
남규희민병석박기순원응상윤갑병
윤정현장헌식정건유현기봉

[ 1930 ]
고문
민병석윤덕영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서규김영진
김윤정남궁영민상호박두영박상준
박영철박용구박중양서상훈신석린
어담엄준원염중모유정수유진순
유혁로윤갑병이겸제이범익이진호
장헌식정교원조경하조성근조희문
주영환최린한규복한상룡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강번고일청김경진김기수
김기홍김도현김두찬김병규김사연
김상설김상형김상회김신석김영택
김정석김정호김종흡김진수김창수
김한규김한목김한승남백우노영환
문종구민병덕박기석박종렬박보양
박봉진박철희박희옥방의석방태영
서병조서병주석명선선우순성원경
손재하손조봉송지헌신희련안종철
오세호오태환원덕상유승흠유태설
이경식이교식이근수이근우이기찬
이기승이동우이명구이방협이승우
이병렬이선호이은우이종섭이충건
이진호이택규이희덕이희적인창환
장대익장석원장직상장헌근정관조
정란교정대현정석모정석용정해붕
조병상주영환지희열최남선최양호
최연국최윤최윤주최준집최지환
최창조하준석한영원현준호현헌
홍치업황종국
참의
강필성김병원김성규김제하박상준
어윤적유만겸유성준진희규홍정철

[ 1940 ]
고문
김윤정박중양윤치호이범익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김관현김명준김사연김연수
김영배김영진김우영김윤정김태석
김화준박두영박상준서상훈신석린
안종철원덕상유만겸유진순이겸제
이경식이계한이병길이원보장직상
장헌식정교원정란교정연기진학문
최린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권중식김경진김동준김병욱
김부원김사연김신석김원근김재환
김태집노준영민재기박지근박창하
박필병방의석서병조손창식송문화
신현구양재창원병희위정학이경식
이기찬이승우이신용이영찬이익화
이종덕임창수장용관장윤식장준영
장직상전덕룡조병상조상옥차남진
최윤최승렬최정묵최준집한익교
한정석현준호황종국
참의
김하섭문명기이승구

||
||<-5> 1. 중추원 의장은 조선 총독부 정무총감이 맡았다.
†. 재직 중 사망.
||



조선귀족 남작
이근상
李根湘 | Lee Geun-sang
파일:025850290000.jpg
이름이근상 (李根湘)
초명근형 (根瀅)
본관전주 이씨 (全州)
형옥 (瑩玉)
송오 (松悟)
출생1874년 (고종 11년) 9월 14일
한성부 (현 서울특별시)
사망1920년 1월 20일 (향년 46세)
직업정치가, 관료
종교유교 (성리학)
작위조선귀족 남작
가족 관계아버지 이민승(李敏承)
큰형 이근호
작은형 이근택
동생 이근홍(李根洪)
동생 이근목(李根沐)
이름 모르는 배우자
아들 이장훈(李長薰)
조카 이동훈[1](李東薰)
조카 이창훈[2](李昌薰)
비고친일인명사전 등재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이근상(李根湘, 1874년~1920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 귀족이다. 자는 형옥(根瀅), 호는 송오(松悟), 본관은 전주이다. 을사오적 이근택과 그의 형인 이근호의 동생이다.


2. 생애[편집]


1874년에 충청북도 청주의 무인 집안[3]에서 태어났다. 초명은 근형(瑩玉)이었으나 후에 이근상(李根湘)으로 개명했다. 무과에 급제해 두 형들의 후광을 입어 1895년 군부주사, 1898년 궁내부 참리관(參理官), 1899년 시종원 시종이 되었다. 1901년 포천군수·옥과군수, 1902년 임실군수, 1903년 중추원의관·외부교섭국장·법부법무국장·궁내부협판·예식원부장으로 임명되었다.

1904년 특명전권공사에 임명되어 이탈리아 주재로 발령 받았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또한 이 해에 내장원감독·농상공부협판·농상공부대신서리로 임명되었고, 제실제도정리국의정관을 겸임하였으며, 한미전기회사 검찰장이 되었다. 1905년 법부협판으로 임명되었고, 법관양성소장·법부법률기초위원장을 겸임하였다. 이 해 러일전쟁 봉천전투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일본특파대사 이재각(李載覺)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왔고, 남산 왜장대(倭場臺)에서 러일전쟁 해전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열린 축첩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이 해 시종원부경서리·학부협판·중추원찬의·예식원예식경 등으로도 발령 받았다. 또한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이 해 3월 훈3등 팔괘장과 9월 훈2등 팔괘장을, 이 해 4월 일본 정부로부터 훈2등 서보장을 받았다.

1906년 경상북도 관찰사·중추원 부의장·궁내부 특진관·궁내부 대신에 임명되었고, 경상북도재판소 판사와 제도국 총재를 겸임하였다. 궁내부 대신으로 있을 때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지시를 고종에게 전달하였으며, 대한제국 정부의 친일 관료와 일본인 관료들의 사교단체인 대동구락부 위원을 맡아 ‘한일 융화’를 위하여 활동하였다. 이 해 4월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2등 태극장을 받았다.

1907년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1등 팔괘장을 받았다. 1908년 기호흥학회의 주무원·재정부장을 맡았고, 일제가 전국의 산림측량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 대한산림협회 명예회원을 지냈다. 1909년 장충단에서 개최된 이토 히로부미 추도회에 참석하였고, 1910년 이재극(李載克)·이하영(李夏榮) 등과 함께 대한작잠주식회사·종묘회사를 설립하였다.

1910년 10월 7일 ‘한일합병’에 기여한 공으로 남작 작위를 받았고, 1911년 1월 13일 2만 5천원의 은사공채를 받았다. 또한 1910년 10월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으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역임하면서 매년 1,600원을 받았다. 1912년 8월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1915년 1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시정사업을 선전하기 위해 열린 ‘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특별회원이 되었다. 또한 일본적십자사 조선본부 제2회 사원총회에서 특별사원이 되었다.

1916년 조선반도사편찬사업의 심사위원 고문을 맡았다. 1917년 불교옹호회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18년 조선총독부의 산업정책에 따라 전국 6개 농공은행을 통합해 창립한 조선식산은행의 감사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역임하였다. 1919년 조선농사개량주식회사 발기인 총대를 맡았고, 경성삼종현물매매시장주식회사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20년 1월 이근상이 사망하자 아들 이장훈(李長薰)이 작위를 물려 받았다.
[1] 이근호의 아들이다.[2] 이근택의 아들이다.[3] 고조부와 증조부는 수군절도사를, 아버지 이민승은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4:39:04에 나무위키 이근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