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58호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소재지
충청남도 청양군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시설
1구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제작시기
통일신라 후반


파일: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1.jpg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국보 제58호



1. 개요[편집]


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통일신라 말기에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14번지에 위치한 장곡사(長谷寺)에서 제작된 철조 불상과 석조대좌. 현재 장곡사 내 대웅전(보물 제162호)[1] 안에 안치되었고 국보 제58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편집]


파일: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3.jpg
일제강점기인 1936년에 촬영한 사진. 사진 출처 :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靑陽長谷寺鐵造藥師如來坐像─石造臺座)

전체 높이 232㎝.

9세기 말-10세기 초 통일신라 말기에 만들어진 철조 불상으로, 제작 당시 함께 만들어진 화강석제 대좌 위에 앉아 있다. 사각형을 기본으로 한 넓은 지대석은 3단을 이루었고, 불신은 가부좌한 단정한 상인데 육계는 작아서 불분명하고 나발 머리칼은 촘촘하다. 얼굴은 둥글고 단아하며 이목구비 역시 단정하다. 체구는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지만 양감도 풍부하지 않고 탄력적인 부피감도 줄어든 9세기 후반 불상의 특징이 나타난다. 오른손은 내려 항마촉지인을 지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얹었다. 원래는 왼손 위에 약합이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소실되고 없다.

불상의 뒤에 있는 광배는 원래 대좌와 같은 재질의 석조 광배였다고 하나, 기록에 따르면 조선시대에 파괴되어버렸다. 파손될 무렵 조선에는 이미 이만한 석조공예품을 복원하거나 다시 만들어낼 기술이 이미 거의 사라졌기 때문에, 대신 나무를 깎아 그 형태를 복원하였다고 한다. 나무광배의 형태는 일종의 주형 전신광배(舟形全身光背)로, 테두리에 불꽃 무늬, 불신 주위로 꽃무늬를 새겼다. 이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유행했던 광배의 모습으로, 비록 재질이 다르긴 하나 과거 파괴되었던 석조 광배의 모습을 원형 그대로 복원한 것이 유력하다.

파일: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4.jpg

대좌에는 복련(覆蓮)의 복판연화문(複瓣蓮花文)이 양감 있게 부조되었는데, 각 면에 5잎, 모서리에 각각 1개씩이며 여기에는 큼직한 귀꽃까지 조각되었다. 중심 연꽃 외에는 옆으로 비스듬하게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10세기 불상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기단 네 모서리에는 둥근 구멍이 있어서 감실을 이루게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파일: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2.jpg

이 철불 좌상은 특이한 탑모양 대좌와 감실형 구조 그리고 단아한 철불양식을 보여주는 9세기말 양식을 계승한 10세기 전반기의 뛰어난 불상으로, 통일신라 말의 철조 불상 양식을 대표하는 불상으로 평가된다. 지금으로부터 1100여 년 전 한국의 철조 공예술과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에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2016년에는 이 국보 불상이 갑자기 땀을 흘려 잠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3. 외부 링크[편집]




4. 국보 제58호[편집]



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에 자리잡은 장곡사 상대웅전(보물 제162호) 안에 모셔져 있는 철불좌상으로, 나무로 된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거대한 사각형의 돌로 만든 대좌(臺座) 위에 높직하게 앉아 있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아담하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단아한 모습이다.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않고 탄력적인 부피감도 줄어 들어 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오른손은 손끝이 땅을 향하도록 하고 있으며, 무릎 위에 놓인 왼손에는 약항아리가 얹혀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없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만을 감싼 옷은 느슨하게 처리되었고, 옷주름 또한 드문드문 표현되었다.

4각형의 대좌는 불상보다 훨씬 장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중·하 3단 형태의 이 대좌는 하대가 넓고 높은 반면에 중대와 상대는 상대적으로 낮고 작은 편이다. 바닥돌은 매우 넓은 편인데,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세운 흔적이 있어 불상을 모시던 공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대에는 엎어 놓은 연꽃무늬를 새기고 각 모서리에는 귀꽃을 큼직하게 조각하였다. 중대의 각면에는 큼직한 눈모양의 안상(眼象)을 새기고, 상대에는 활짝 핀 연꽃무늬를 조각하였다.

광배는 원래 돌로 되었을 것이나 파손되어 조선시대에 나무광배로 대체한 것 같다. 광배 중심부에는 꽃무늬, 주변에는 불꽃무늬를 새기고 있어 신라말과 고려초에 유행하던 광배를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불상은 특이한 탑 모양의 대좌와 감실형의 구조, 그리고 단아한 철불양식을 보여주는 9세기 말 양식을 계승한 10세기 초의 뛰어난 불상으로 평가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0:59:24에 나무위키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확히는 상대웅전. 장곡사는 대웅전이 2개인 상당히 특이한 절이다. 여담으로 이 상대웅전도 여말선초 시기 건축물로 추정되는 상당히 오래된 건축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