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한 군주

덤프버전 : (♥ 0)

1. 개요
2. 한국
3. 중국
4. 일본
5. 서구
6. 90세를 넘긴 군주
7. 생존 중인 장수 군주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재위기간과 상관없이 장수한 군주에 대해 다루는 문서.


2. 한국[편집]


  • 항목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을 때에는 환갑을 넘겨서도 생존하여 군림한 군주만 등재한다.
  • 정렬시 재위기간이 긴 순서가 첫 번째며 재위기간이 같다면 나이가 두 번째 기준이다.
  • 날짜는 양력으로 환산했다.

한국
군주국가나이탄생사망재위기간즉위년일퇴위년일
수로왕금관국157세[1]42.03.03.199.03.23.157년42.03.03.199.03.23.
태조대왕고구려118세47.165.93년53.146.
장수왕고구려97세394.491.79년412.491.
이시품왕금관국60세??407.04.10.61년346.07.07.407.04.10.
혁거세 거서간신라73세BC69.4.61년BC57.4.
문왕발해60세??793.56년737.793.
거질미왕금관국60세??346.07.08.55년291.01.29.346.07.08.
진평왕신라65세?567.?632.53년579.632.
고이왕백제60세??286.11.52년234.286.11.
기루왕백제60세??128.11.51년77.11.128.11.
영조조선81세 219일1694.10.31.1776.04.22.51년 169일1724.09.19.1776.04.22.
고종고려67세 185일1192.02.03.1259.07.21.45년 339일1213.08.27.1259.07.21.
위덕왕백제73세525.598.44년554.598.
고종조선(대한제국)66세 150일1852.09.08.1919.01.21.44년 190일1863.01.21.1907.07.20.
무왕백제60세 이상[2]?[3]641.41년600.641.
문종고려63세 263일1019.12.29.1083.09.02.37년 79일1046.06.24.1083.09.02.
견훤후백제69세867.936.35년900.[4]935.03.
충렬왕고려72세1236.1308.34년1274.1308.
명종고려71세 25일1131.11.08.1202.12.03.27년 22일1170.10.13.1197.11.04.
태조고려66세 171일877.01.31.943.07.04.24년 350일918.07.25.943.07.04.
탈해 이사금신라99세BC19.80.23년57.80.
무령왕백제61세 340일461.06.01.523.05.07.22년501.11.523.05.07.
남해 차차웅신라74세BC50.24.20년4.24.
일성 이사금신라80세 이상[5]?[6]154.20년134.154.
차대왕고구려94세71.165.19년146.165.
신대왕고구려90세89.179.14년165.179.
지증왕신라77세437.514.14년500.11.514.
태조조선72세 220일1335.11.04.1408.06.18.6년 82일1392.08.04.1398.10.14.
강종[7]고려61세 123일1152.05.10.1213.08.26.2년 209일1211.01.30.1213.08.26.
조선 숙종도 조선에서 두 번째로 재위가 길었지만(45년 10개월) 수명 때문에 안타깝게 탈락. 만 58세 사망. 연 나이로 59세를 겨우 넘긴 나이에 사망해서 환갑을 넘기지 못했다.

그리고 광해군도 수명만 보면 이 항목에 들어갈 수 있지만(만 66세 사망) 환갑을 넘겨서까지 군림하지 못하고 폐위(폐위 당시 만 47세)되었기 때문에 이 항목에 들어오지 못했다.

신라 원성왕은 태어난 해에 대한 기록이 없어 비록 목록에서 빠졌지만 788년생인 증손자 애장왕이 자신의 사망 1년 후에 13세로 즉위했고, 아들이 있을 나이를 최소한 10대 중반으로 잡으면 애장왕의 아버지인 소성왕은 770년대 초반 이전 출생. 원성왕의 아들인 인겸과 의영, 예영을 최소 750년대 중후반으로 추측하면 원성왕은 최소한으로 잡아도 730년 전후생이다. 역산하면 사망 당시 나이는 못해도 환갑을 넘긴 60대 전후로 추정된다. 물론 이건 모든 가정을 최소한으로 잡은 것이고 넉넉하게 잡으면 훨씬 더 많았을 수도 있다.

참고로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 김부는 족보상의 생년을 보면 만 81세까지 살아서 이 항목에 들어갈 수 있지만 만 38세에 퇴위하였다. 즉, 환갑을 넘겨서까지 군림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항목에 들어오지 못했다.


3. 중국[편집]


  • 항목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을 때에는 환갑을 넘겨서도 생존하여 군림한 군주만 등재한다.
  • 재위기간이 긴 순서대로 추가할 것.

중국
군주국가나이탄생사망재위기간즉위년일퇴위년일
성조 인황제 히오완예이69세1654.05.04.1722.12.20.61년 318일1661.02.05.1722.12.20.
고종 순황제 훙리89세1711.09.25.1799.02.07.60년 124일1735.10.08.1796.02.09.
세종 효무황제 유철전한68세BC156.08.10.BC87.03.29.54년 20일BC141.03.09.BC87.03.29.
위무공춘추시대 94세BC852BC758.54년BC812.BC758.
인종 성덕황제 이인효서하70세1124.1193.10.16.54년1139.07.1193.10.16.
성종 선황제 야율융서61세972.01.16.1031.06.25.48년 254일982.10.14.1031.06.25.
고조 무황제 소연85세464.549.47년502.549.
세종 숙황제 주후총60세1507.09.16.1567.01.23.45년 241일1521.05.27.1567.01.23.
도종 문황제 야율홍기70세1032.09.14.1101.02.12.45년 168일1055.08.28.1101.02.12.
현종 명황제 이융기78세685.09.08.762.05.03.43년 340일712.09.08.756.08.12.
이종 안황제 조윤남송60세1205.01.26.1264.11.16.40년 60일1224.09.17.1264.11.16.
고종 헌황제 조구남송81세1107.06.12.1187.11.09.35년 42일1127.06.12.1162.07.24.
세조 문무황제 쿠빌라이 칸80세1215.09.23.1294.02.18.33년 289일1260.05.05.1294.02.18.
세조 광무황제 유수후한63세BC6.12.57.03.29.31년 236일25.08.05.57.03.29.
태조 고황제 주원장71세1328.10.28.1398.06.24.30년 152일1368.01.23.1398.06.24.
선종 성황제 민닝69세1782.09.161850.02.25.29년 145일1820.10.03.1850.02.25.
태종 무황제 이웅성한61세274.334.28년306.334.
세종 인황제 완안옹67세1123.03.29.1189.01.20.27년 85일1161.10.27.1189.01.20.
효종 성황제 조신남송68세1127.11.27.1194.06.28.26년 209일1162.07.24.1189.02.18.
덕종 소황제 이괄64세742.05.27.805.02.25.25년 259일779.06.12.805.02.25.
인종 예황제 용얀61세1760.11.13.1820.09.02.24년 206일1796.02.09.1820.09.02.
고조 문황제 양견64세541.07.21.604.08.13.23년 126일581.03.04.604.08.13.
태조 대황제 손권71세182.252.23년229.252.
성조 문황제 주체65세1360.05.02.1424.08.12.22년 26일1402.07.17.1424.08.12.
태조 성무황제 칭기스 칸66세1162.05.31.1227.08.25.21년1206.1227.08.25.
측천무후 무조81세624.02.17.705.12.16.14년 129일690.10.16.705.02.22.
왕망68세BC45.23.10.06.14년BC9.23.10.06.
고조 명황제 석륵후조60세274.333.08.17.14년319.333.08.17.
태조 의무황제 여광후량62세338.399.13년386.399.
세조 성무황제 모용수후연71세326.396.12년384.396.
태종 문열황제 완안성61세1075.11.25.1135.02.09.11년 153일1123.09.27.1135.02.09.
고조 신무황제 왕건전촉72세847.918.07.11.10년 251일907.11.03.918.07.11.
태조 고황제 누르하치68세1559.02.21.1626.09.30.10년 225일1616.02.17.1626.09.30.
태조 무소황제 요장후진64세330.393.9년384.393.
고조 태황제 이연70세566.635.06.25.8년 78일618.06.18.626.09.04.
명종 흠효황제 이사원후당67세867.10.10.933.12.15.7년 196일926.06.03.933.12.15.
세종 헌무황제 모용덕남연70세336.405.7년398.405.
태조 신무황제 주황후량61세852.12.05.912.07.18.5년 70일907.06.01.912.07.18.
세조 신무황제 유민북한60세895.954.3년951.954.
소열황제 유비촉한63세161.223.06.10.2년221.04.223.06.10.
고조 무황제 유유60세363.04.16.422.06.26.1년 352일420.07.10.422.06.26.
고조 명황제 맹지상후촉61세874.934.7개월934.01.934.07.

신종 현황제 주익균은 58세로 안타깝게 탈락. 48년씩이나 재위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비의 아들 유선은 64세까지 살았지만 환갑이 되기 전에 촉한위나라에 바치고 퇴위했기 때문에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광해군과 비슷한 경우.

한고제 유방의 경우 생년이 불명확하다. 기원전 256년 출생설과 기원전 247년 출생설이 있는데, 기원전 256년생일 경우 간발의 차이로 본 항목에 들어올 수 있지만(만 61세), 기원전 247년 생일 경우 만 52세 사망이라 등재 기준에 맞지 않다.

청나라 선통제 부의는 61세까지 살았으나 청나라에서는 7세에 퇴위(장훈복벽기 11살 때 잠시 복위), 만주국에서는 42세에 퇴위하였다. 즉, 환갑을 넘기고 황제에 계속 군림하지 못했기 때문에 위 표에 들어가지 않는다.


4. 일본[편집]


  • 항목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을 때에는 환갑을 넘겨서도 생존하여 군림한 군주만 등재한다.
  • 재위기간이 긴 순서대로 추가할 것.
  • 날짜는 양력으로 환산했다.


쇼군 등의 집권자는 일단은 가마쿠라 막부, 무로마치 막부, 에도 막부를 개별 참조 바람. 다만 장수한 집권자가 거의 없는 게 특징. 무로마치의 마지막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가 60세 생일을 2달 남기고 사망(더구나 재임 20년, 51세에 물러남), 센고쿠 시대의 집권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만 61세 6개월(간파쿠를 12년간 재임), 에도 막부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만 73세(재임 2년), 도쿠가와 츠나요시가 만 63세(재임 29년),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만 66세(재임 29년), 도쿠가와 이에나리가 만 67세(재임 51년), 도쿠가와 이에요시가 만 60세(재임 16년)에 사망했음.


5. 서구[편집]


  • 작은 소공국이 아닌 경우로 위의 명단에 없는 이미 사망한 70세를 넘기거나, 60세를 넘기면서 40년 이상 재위했거나, 60세에 미치지 못했으나 50년 이상 재위한 경우만 서술할 것.

서구
군주국가나이탄생사망재위기간즉위년일퇴위년일
제임스 6세스코틀랜드 왕국/잉글랜드 왕국58세 296일1566.06.19.1625.03.27.57년 246일1567.07.24.1625.03.27.
프리드리히 빌헬름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68세 120일1620.02.16.1688.05.29.47년 191일1640.12.01.1688.05.29.
레오폴트 1세합스부르크 제국64세 346일1640.06.09.1705.05.05.46년 303일1658.07.18.1705.05.05.
프리드리히 대왕프로이센 왕국74세 213일1712.01.24.1786.08.17.46년 77일1740.06.01.1786.08.17.
샤를로트룩셈부르크89세 189일1896.01.23.1985.07.09.45년 314일1919.01.14.1964.11.12.
카롤루스 대제프랑크 왕국71세 319일742.04.02.814.01.28.45년 122일768.10.09.814.01.28.
펠리페 5세스페인 왕국 62세 218일1683.12.19.1746.07.09.45년 26일1700.11.01.
1724.07.09.
1724.01.15.
1746.07.09.
펠리페 4세스페인 왕국60세 162일1605.04.08.1665.09.17.44년 170일1621.03.31.1665.09.17.
엘리자베스 1세잉글랜드 왕국69세 215일1533.09.07.1603.03.24.44년 127일1558.11.17.1603.03.24.
레오폴 2세벨기에74세 270일1835.04.09.1909.12.17.44년1865.12.17.1909.12.17.
페르디난트 1세합스부르크 제국61세 137일1503.03.10.1564.07.25.43년 95일1521.04.21.1564.07.25.
프란츠 2세합스부르크 제국67세 65일1768.02.12.1835.03.02.42년 249일1792.07.05.1835.03.02.
펠리페 2세스페인71세 115일1527.05.21.1598.09.13.42년 240일1556.01.16.1598.09.13.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프로이센 왕국69세 325일1770.08.03.1840.06.07.42년 203일1797.11.16.1840.06.07.
크리스티안 9세덴마크87세 317일1818.04.08.1906.01.29.42년 85일1863.11.15.1906.01.29.
프리드리히 5세오스트리아 대공국77세 352일1415.09.21.1493.08.19.41년 163일1452.03.19.1493.08.19.
마리아 테레지아합스부르크 제국63세 205일1717.05.13.1780.11.29.40년 39일1740.10.20.1780.11.29.
아우구스투스로마 제국76세BC63.09.23.14.08.19.39년BC27.01.16.14.08.19.
유스티니아누스 1세동로마 제국83세 208일482.05.11.565.11.14.38년 115일527.08.01.565.11.14.
프리드리히 1세신성 로마 제국68세1122.1190.06.10.34년 358일1155.06.18.1190.06.10.
레오폴 1세벨기에75세 12일1790.12.16.1865.12.10.34년 151일1831.07.21.1865.12.10.
조지 2세영국76세 361일1683.10.30.1760.10.25.33년 134일1727.06.11.1760.10.25.
빌헬름 1세프로이센 왕국/독일제국91세 9일1797.03.22.1888.03.09.27년 73일1861.01.02.1888.03.09.
안토니누스 피우스로마 제국74세 198일86.09.19.161.03.17.22년 256일138.07.10.161.03.17.
루돌프 1세신성 로마 제국/오스트리아 공국[8]73세 93일1218.05.01.1291.07.15.17년 293일1273.09.29.1291.07.15.
루이 필리프 1세프랑스 입헌왕정76세 342일[9]1773.10.06.1850.08.26.17년 203일1830.08.09.1848.02.24.
윌리엄 4세영국71세 320일1765.08.21.1837.06.20.6년 361일1830.06.26.1837.06.20.


6. 90세를 넘긴 군주[편집]


  • 원래는 100세를 넘긴 군주 항목이 되어야 하나, 그 수가 많지 않고 기록이 의심스러운 경우도 있어 90세로 기준을 낮추었다.

90세를 넘긴 군주
군주국가나이탄생사망재위기간즉위년일퇴위년일
수로왕금관국157세42.03.03.199.03.23.157년42.03.03.199.03.23.
태조대왕고구려118세47.165.93년53.146.
판두카바야스리랑카 아누라다푸라107세BC474.BC367.70년BC437.BC367.
조타베트남 남월103세BC240.BC137.71년BC203.BC137.
네페르카레 페피 2세이집트 제6왕조100세BC2284.BC2184.94년BC2278.BC2184.
탈해 이사금신라99세BC19.80.23년57.80.
룩셈부르크98세1921.01.05.2019.04.23.35년 331일1964.11.12.2000. 10.7.
장수왕고구려97세394.491.79년412.491.
엘리자베스 2세영국 윈저 왕조96세1926.4.21.2022.9.8.70년 214일1952.2.6.2022.9.8.
필리프 에른스트HRE 호엔로에발덴부르크
쉴링스퓌어스트
96세1663.12.29.1759.11.29.62년 285일1697.02.21.1759.11.29.
미하이 1세루마니아 왕국96세1921.10.25.2017.12.05.10년 75일1927.07.20.(1차)
1940.09.06.(2차)
1930.06.08.(1차)
1947.12.30.(2차)
율리아나네덜란드94세1909.04.30.2004.03.20.31년 240일1948.09.04.1980.04.30.
조지(시아오시) 투포우 1세통가94세1797.12.4.1893.02.18.47년 88일1845.12.04.1893.02.18.
위무공춘추시대 94세BC852BC758.54년BC812.BC758.
마리에토아 타누마필리 2세[10]서사모아94세1913.01.04.2007.05.11.67년 327일1939.07.05.2007.05.11.
차대왕고구려94세71.165.19년146.165.
자야바르만 7세크메르 제국93세1125.1218.37년1181.1218.
빌헬름 1세프로이센 왕국/독일제국92세1797.03.22.1888.03.09.27년 73일1861.01.02.1888.03.09.
사크 빈 모하메드 알카시미아랍 에미리트90세1920.2010.10.27.62년 102일1948.07.17.2010.10.27.
무하마드 쿠다라트필리핀 마귄다나오90세1581.1671.52년1619.1671.
루트비히 2세HRE 이젠부르크뷔딩엔90세1422.1511.50년1461.1511.
람세스 2세이집트 제19왕조90세BC1303.BC1213.66년BC1279.BC1213.
신대왕고구려90세89.179.14년165.179.


7. 생존 중인 장수 군주[편집]


  • 항목의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갑을 넘겨서도 생존하여 군림한 군주만 등재한다.
  • 재위기간이 긴 순서대로 추가하며 여기에 표시된 재위기간은 2024년 1월 14일까지를 기준으로 한다. 차후 재위기간을 수정할 때는 기준일도 함께 수정한다.

생존 중인 장수 군주
순위군주국가탄생나이즉위년일재위기간
01하사날 볼키아브루나이1946.07.15.77세1967.10.05.56년 101일
[11]마르그레테 2세덴마크1940.04.16.84세1972.01.14.52년
02술탄 빈 모하메드 알카시미UAE 샤르자1939.07.02.84세1972.01.25.51년 354일
03칼 16세 구스타프스웨덴1946.04.30.78세1973.09.15.50년 121일
04하마드 빈 모하메드 알샤르키UAE 푸자이라1948.08.25.75세1974.09.18.49년 118일
05후메드 빈 라시드 알누에미UAE 아지만1931.93세1981.09.06.42년 130일
[12]후안 카를로스 1세스페인1938.01.05.86세1975.11.22.37년 218일
06하멩쿠부아나 10세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1946.04.02.78세1989.03.07.34년 313일
07한스 아담 2세리히텐슈타인1945.02.14.79세1989.11.13.34년 61일
[13]베아트릭스네덜란드1938.01.31.86세1980.04.30.33년
08하랄 5세노르웨이1937.02.21.87세1991.01.17.32년 362일
[14]아키히토일본1933.12.23.90세1989.01.07.30년 120일
09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바레인1950.01.28.74세1999.03.06.24년 314일
10오툼포 나나 오세이 투투 2세가나 아샨티1950.05.06.74세1999.04.26.24년 263일
11투안쿠 사이드 시라웃딘말레이시아 퍼를리스1943.05.16.81세2000.04.17.23년 272일
12샤라푸딘 이드리스 샤말레이시아 슬랑오르1945.12.11.78세2001.11.21.22년 54일
[15]알베르 2세벨기에1934.06.06.90세1993.08.09.19년 351일
13무하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UAE 두바이1949.07.22.74세2006.01.04.18년 10일
[16]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카타르1952.01.01.72세1995.06.27.17년 363일
14툰쿠 무흐리즈말레이시아 느그리슴빌란1948.01.14.76세2008.12.29.15년 16일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재위기간이 긴 군주 문서의 r5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재위기간이 긴 군주 문서의 r5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등재된 일수. 다만 이는 신화적인 성격이 가미되어 실제 보다 작거나, 기록되지 않은 왕들 재위 수가 합쳐진 것으로 추정된다.[2] 쌍릉에서 발견된 무왕의 유골 나이가 60대 이상이였다.[3] 유골 감정 결과로 추정하면 581년 이전에 태어났다.[4] 사실 견훤이 왕을 자칭한 해는 서기 892년이지만 국호와 도읍을 정식으로 정한 연도는 이 해이다.[5] 삼국사기 기록을 믿는다면 80세 이상 장수해야 현실성이 있다.[6] 극단적으로 적게 잡아도 80년엔 두살 이상이니 적어도 79년 이전엔 태어났다.[7] 세는 나이로 60세에 즉위했다.[8] 오스트리아 공국슈타이어마르크 공국오타카르 2세에게 회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맏아들 알브레히트에게 넘겨주었다.[9] 퇴위 당시 이미 73세 넘김.[10] 엄밀히 말하면 왕이 아니였다. 사모아 문서 참조[11] 2024년 1월 14일, 프레데릭 왕세자에게 양위.[12] 2014년 6월 8일, 펠리페 왕세자에게 양위.[13] 2013년 4월 30일, 빌럼 알렉산더르 왕세자에게 양위.[14] 2019년 4월 30일, 나루히토 황태자에게 양위.[15] 2013년 7월 21일, 필리프 왕세자에게 양위.[16] 2013년 6월 25일, 셰이흐 타밈 빈 하마드 알타니 왕세자에게 양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01 04:08:34에 나무위키 장수한 군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