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행궁

덤프버전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평양시
중구역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대성구역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력포구역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만경대구역
법운암
모란봉구역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강동군
단군릉
개성시
전체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전체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전체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전체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전체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전체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함경남도
전체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함경북도
전체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전체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전체
성불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
2. 상세
3. 역사
4. 위치



1. 개요[편집]


조선초기부터 조선후기까지 사용했던 강원도 고성군의 초수행궁이자 온궁이다.


2. 상세[편집]


조선시대에는 왕이 온천욕과 휴양을 하기 위한 행궁을 전국적으로 설치했다. 이 중에서 강원도 고성에 건설했던 행궁고성행궁이다. 조선 세종 때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시기는 모른다. 이 행궁의 규모 역시도 정확히 어느 정도인지 알려진 바가 없다.

기록을 보면 세조(조선)가 이곳에 수리를 명하고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순조실록》에도 행궁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 순조때 까지는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상당히 수리와 중축기록이 많이 보인다. 《세조실록》부터 《순조실록》까지 총 다섯 차례 등장한다.


3. 역사[편집]


세종 때에 이곳에 온천이 있다는 정보에 따라 행궁을 세웠다. 또한 이후 세조가 이곳을 수리하고 묵었다. 하지만 이후로는 잘 쓰이지 않다가 《순조실록》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이후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4. 위치[편집]


북한 장전읍에 있는 온정리 온천이 있던 자리가 고성행궁이 위치하였던 자리이며 한국전쟁 전까지만 해도 이곳에 행궁의 기단과 추초석이 남아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한국전쟁 이후 완전히 사라졌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20:01:05에 나무위키 고성행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