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행궁

덤프버전 :






파일:external/mahan.wonkwang.ac.kr/b03.jpg

강화행궁의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
1. 개요
2. 상세
3. 역사와 변천
4. 규모와 형태
5. 행궁의 전각
5.1. 강화행궁
5.3. 장녕전
5.4. 봉선전, 만녕전
6. 복원계획



1. 개요[편집]


江華府 行宮

조선시대의 행궁. 강화도에 있었다.


2. 상세[편집]


강화부 궁전도〉에 나온 행궁의 모습만 보아도 조선에서 잘 쓰지않는 용미를 썼는데 거기다가 금칠(혹은 도금)까지 했다.


3. 역사와 변천[편집]


병인양요 당시 침공한 프랑스군이 행궁 내의 가치가 있는 것들만 챙겨나갔는데, 악탈당한 물건중 하나가 바로 외규장각 의궤이다.


4. 규모와 형태[편집]




5. 행궁의 전각[편집]



5.1. 강화행궁[편집]



파일:강화행궁도.jpg

행궁의 정전과 후원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의 일부


5.2. 외규장각[편집]



파일:외규장각도.jpg

외규장각과 부속 건물의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의 일부


5.3. 장녕전[편집]



파일:장녕전도.jpg

장녕전과 부속 행랑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의 일부


5.4. 봉선전, 만녕전[편집]



파일:봉선전도, 만녕전도.jpg

봉선전과 만녕전 모습을 담은 〈강화부 궁전도〉의 일부


6. 복원계획[편집]



파일:external/f3a95ebe9c00fca2f1dbf72b2387a4626cc89fcbdb9763ea48fe20f6cc566bb7.jpg

〈강화행궁 복원도〉
위 그림과 같이 복원할 가능성도 있어보이나, 고려궁지로 추정하는 곳이기 때문에 현재는 복원이 어렵다.

또한 위 복원도에도 몇몇 문제점이 있다. 〈강화부궁전도〉와 비교하자면 복원도의 용미가 황금색이 아닌 일반 기와처럼 회색이다.. 또한 복원도속 행궁 뒤쪽의 연못도 보이지 않는다. 무엇보다 〈강화부궁전도〉에 나오는 행궁의 뒤쪽 후원에 있는 2중으로 된 담이 복원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1](아예 없다.) 그리고 행랑의 내의 계단들도 복원도에서는 모두 없다.

그래서 행궁 전역을 복원하기는 어렵다. 다만 유일하게 외규장각은 복원했다.
[1] 그림을 자세히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행궁의 뒤쪽에는 외담과 내담으로 나뉘어져있다. 그런데 복원도에서는 외담만 그려놓았기 때문에 고증 문제인 것이다.


이 문서의 r5~35 버전에 sillokwiki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3:19:45에 나무위키 강화행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