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포행궁

덤프버전 :





파일:격포행궁터 전경.png

격포행궁 터 전경[1]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格浦行宮

조선시대에 있었던 행궁. 지금의 전라북도 부안군에 있었다. 다른 행궁들과는 달리 지금은 존재 자체도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부안행궁(扶安行宮)'이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1640년(인조 18년)에 호남관찰사 원두표(元斗杓)가 건립을 요청하여 세운 행궁이었다. 문헌에 따르면 부안에 설치된 전라우수영 관하 격포진(格浦鎭)에서 400 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했는데, 《여지도서》나 《호남읍지》 등 문헌과 〈부안격포도형변산좌우도〉라는 지도에도 그 위치만 표시되었을 뿐이라, 규모는 어떠했고 전각들은 어떠했는지 등 세부정보는 아무것도 알 수가 없다.

격포행궁을 건립한 데에는 병자호란 때 기억이 한몫한 듯하다. 격포행궁의 이름이 된 격포는 군사적 요충지로 주목받아 진을 설치했다. 《경종실록》에 격포진에 대해 전라감사 강이장이 '강화도와 거리가 심히 멀지 않으므로, 강화도에서 옮기게 된다면 이곳이 상륙 지점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검영(檢營)을 두었다가, 여러 가지 의논으로 인해 도로 파직하였다.' 하고 설치 경위를 설명하는 기록이 있다. 강화도의 배후를 지원할 기지로 격포진을 주목, 강화도와 마찬가지로 부안에도 행궁을 지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강이장은 격포진을 두고 '강화도와 가깝기는 하지만 특별히 요해처라고 할 만한 지리적 이점도 없고 배를 감출 곳도 마땅히 없고, 배가 이 지역을 건너다 번번이 침몰하기도 한다.'는 이유를 들어 혁파하다고 주장했다.

영조실록》에는 1754년(영조 30년)에 호남 지역의 어사로 나갔다 돌아온 홍자(洪梓)가 보고서를 올려 '격포 행궁(格浦行宮)을 설치한 것은 장차 뜻밖의 변란에 대비하기 위한 것인데, 행궁의 담 밖은 텅 빈 채 백성의 마을이나 창고의 저축이 하나도 없다.'며 격포의 폐기된 둑을 보수하고, 이어서 행궁의 둔전(屯田)을 만들어 백성을 모아 경작하게 하며 그 대가로 세금을 거두자고 주장했다는 내용의 기록이 있다.

격포진이 설치된 뒤에도. 계속 폐지와 재설치하기를 반복했던 점으로 보아, 격포진이 과연 전략적으로 가치가 충분한지를 두고 조선시대에도 논란이 심했던 듯하다.[2] 격포진이 철폐된 이후 부안의 전략적 위치도 하락해 행궁의 가치도 함께 쇠락한 것 같다.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안대회 교수가 부안행궁의 흔적을 답사한 글을 기고했다. 안 교수에 따르면 현지 주민들의 반응은 "그런 게 있었나?"라는 반응이었는데 일흔 넘은 노인 한 분 중에 가까스로 아는 사람이 있어서 찾을 수 있었다고.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16:13:12에 나무위키 격포행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위 사진의 비닐하우스 자리가 격포행궁의 터이다.[2]정조실록》이나 《일성록》에서는 '격포진은 진이라고 이름만 걸어놨지 배 한 척도 없다.'고 언급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