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와이번스/관련 기록

덤프버전 : r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SK 와이번스

}}} ||
[ 펼치기 · 접기 ]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ce0e2d> 일반 문서 ||
||<bgcolor=#000000><width=20%> 핵심 인물 ||<width=80%>구단주 정용진대표이사 민경삼단장 김재현감독 이숭용2군 감독 손시헌주장 추신수 ||
||<bgcolor=#000000> 구단 세부정보 ||SK 와이번스(2000~2021) | SSG 랜더스(2021~) ||
||<bgcolor=#000000> 경기장 ||1군 인천 SSG 랜더스필드2군 강화 SSG 퓨처스필드
이전 경기장: 숭의야구장 | SK 드림파크 | 송도LNG야구장
건설 예정 경기장: 청라 돔 야구장(가칭) ||
||<bgcolor=#000000> 주요 문서 ||신세계그룹역사선수단등번호유니폼응원가2군사건·사고관련 기록/SK관련 기록/SSG | 가을슼흥참동스타 플레이어쓱나쌩 · 쓱상바 클럽벌떼야구불타는 그라운드
웨시퍼서태훈응원단최신맥주쓱튜브SSG 랜더스 갤러리 ||
||<bgcolor=#000000> 라이벌전 ||경인 시리즈 | 항구 시리즈 | 수인선 시리즈 ||
||<bgcolor=#000000>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2007년2008년2010년2018년2022년 ||
||<bgcolor=#000000> 2024 시즌 ||2024년스토브리그시범경기3~4월5월6월7월8월9월 ||
||<-2><bgcolor=#ce0e2d> 틀 문서 ||
||<-2> 역대 시즌단장감독주장응원단장장내 아나운서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2><bgcolor=#fafafa,#191919> 파일:SSG 랜더스 워드마크.svg
NO LIMITS, AMAZING LANDERS
세상에 없던 프로야구단의 시작! SSG 랜더스 ||




1. 역대 성적
2.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
3. 역대 구단주
4. 역대 사장
5. 역대 단장
6. 역대 감독
7. 역대 주장
8.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
10. 캐치프레이즈


1. 역대 성적[편집]


­우승
­준우승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역대 성적
구단명연도정규시즌 순위최종 순위경기수승률
SK2000매직 4위/4팀8위133443860.338
20017위/8팀7위133602710.458
20026위/8팀6위133613690.469
20034위/8팀준우승133663640.508
20045위/8팀5위133618640.488
20053위/8팀3위126706500.583
20066위/8팀6위126601650.480
20071위/8팀우승126735480.603
20081위/8팀우승126830430.659
20092위/8팀준우승133806470.602
20101위/8팀우승133842470.632
20113위/8팀준우승133713590.546
20122위 /8팀준우승133713590.546
20136위/9팀6위128623630.496
20145위/9팀5위128612650.484
20155위/10팀5위144692730.486
20166위/10팀6위144690750.479
20175위/10팀5위144751680.524
20182위/10팀우승144781650.545
20192위/10팀3위144881550.615
20209위/10팀9위144511920.357
KBO 통산 21시즌V4275514375613310.532

그 외 사항은 KBO 리그/역대 팀 스탯 문서 참고.


2.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편집]


구단시리즈별 전적통산 전적
삼성 라이온즈2003 준PO: 2승
2010 KS: 4승
2011 KS: 1승 4패
2012 KS: 2승 4패
준PO 1승
KS 1승 2패

개별 경기 합계: 9승 8패
KIA 타이거즈2003 PO: 3승
2009 KS: 3승 4패
2011 준PO: 3승 1패
준PO 1승
PO 1승
KS 1패

개별 경기 합계: 9승 5패
현대 유니콘스2003 KS: 3승 4패KS 1패
개별 경기 합계: 3승 4패
한화 이글스2005 준PO: 2승 3패준PO 1패
개별 경기 합계: 2승 3패
두산 베어스2007 KS: 4승 2패
2008 KS: 4승 1패
2009 PO: 3승 2패
2018 KS: 4승 2패
PO 1승
KS 3승

개별 경기 합계: 15승 7패
롯데 자이언츠2011 PO : 3승 2패
2012 PO: 3승 2패
PO 2승
개별 경기 합계: 6승 4패
키움 히어로즈2015 WC: 1패
2018 PO: 3승 2패
2019 PO: 3패
WC 1패
PO 1승 1패

개별 경기 합계: 3승 6패
NC 다이노스2017 WC: 1패WC 1패
개별 경기 합계: 1패


3. 역대 구단주[편집]


구단 구분역대이름재임기간(시즌)그룹 내 직책비고
SK 와이번스초대손길승2000~2013- SK그룹 회장
- SK텔레콤 명예회장
구단주 대행조정남2000~2007- SK텔레콤 부회장
김신배2008- SK텔레콤 사장
정만원2009~2013- SK텔레콤 부회장
2대최창원2014~2021- SK디스커버리 부회장
- SK가스 부회장
최태원 회장의 사촌동생

  • SK 와이번스 시절에는 대다수의 다른 구단들과 달리[1] 그룹의 총수인 최태원 회장이 직접 구단주를 맡은 적이 없다. 다만 한국시리즈처럼 큰 경기에는 구단 점퍼와 모자를 쓰고 관중석에서 직접 응원하는 모습을 보여줬고[2] 김광현이 메이저리그에 진출을 선언하자 직접 격려해주는 등 야구단에 대한 관심은 많은 편이다.[3]


4. 역대 사장[편집]


역대이름재임기간(시즌)
초대안용태2000 ~ 2002
2대정태수2003~2004
3대신영철2005~2012
4대임원일2013~2015
5대류준열2016~2020
6대민경삼2021~매각
  • 초대 안용태 사장은 구단의 초기 기반을 닦은 인물로 평가된다. 다만 의사결정 과정이 다소 과격해[4] 야구계 내에서는 깡패 사장(...)이라는 별명을 듣기도 했다.
  • 3대 신영철 사장은 구단의 역대 사장 중 가장 오래 일했고 족적이 뚜렷한 사람이다. 재임 중 차례 우승의 조력자 역할을 했지만 김성근 감독의 중도 경질 문제와 이른바 '막걸리 야구' 드립을 두고서 당시 많은 논란이 있기도 했다.
  • 6대 민경삼 사장은 역대 KBO 리그 구단 사장 중 최초로 KBO 리그 현역 선수 출신이다. 또한 SK그룹에 입사해서 계열사 임원까지 올랐다가 야구단으로 온 역대 사장들과 달리 SK그룹 임원 출신도 아니다. 물론 과거 SK에서 단장을 역임했던 만큼 SK그룹에서 임원급 대우를 받은 적은 있다.


5. 역대 단장[편집]


역대이름재임기간(시즌)
초대명영철2000~2002
2대최종준2003~2005
3대명영철2006~2007
4대민경삼2010~2016
5대염경엽2017~2018
6대손차훈2019~2020
7대류선규2021~매각
  • 2008년부터 2년간 단장직이 없어졌던 적이 있다. 실무적 의사결정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본부장들의 힘을 더 실어주는 차원의 조직 운영이었지만 이득보다 손해가 많아서 결국 2010년부터 다시 단장직이 부활했다.
  • 초대와 3대 단장을 지낸 명영철 단장은 SK그룹에서 상사맨으로 오랫동안 근무했던 인물이고 최종준 단장은 선수 출신이 아니지만 프로 스포츠팀에서 일한 경력이 길었던 체육행정가로 유명했다.
  • 4대 민경삼 단장부터는 6대 손차훈 단장까지 KBO 리그 선수 출신 인사가 팀을 운영했었으며 손차훈 단장은 구단 역사상 최초의 SK 선수 출신 단장이기도 하다.


6. 역대 감독[편집]


SK 와이번스 역대 감독
역대이름재임기간(시즌)성적비고
초대강병철2000~2002399전 165승 8무 226패
2대조범현2003~2006518전 257승 18무 243패2003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2005년 준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3대김성근2007~2011611전 372승 13무 232패2007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2008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2009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2010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감독대행이만수201140전 19승 3무 18패2011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5]
4대이만수2012~2014389전 194승 8무 187패2012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5대김용희2015~2016288전 138승 2무 148패2015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탈락)
6대트레이 힐만2017~2018288전 153승 2무 133패2017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탈락)
2018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7대염경엽2019~2020203전 110승 2무 91패2019년 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감독대행박경완202095전 39승 0무 56패
8대김원형2021~매각

  • 약 3년에 한 번 꼴로 감독이 바뀌었지만 중도 경질된 김성근 감독과 중도 사퇴한 염경엽 감독을 제외하면 나머지 감독이 모두 계약 기간을 채우고 물러났다. 최초 계약 기간 만료 후 재계약에 성공한 감독은 2004년 시즌 후 2년 재계약을 맺은 조범현 2대 감독이 유일하다. 당초 트레이 힐만 6대 감독도 2018년 시즌 이후 재계약 가능성이 높았지만 미국에 있는 가족의 사정 때문에 본인이 재계약을 포기했다.
  • 강병철 초대 감독을 제외하면 모두 SK 감독 재임 중 1회 이상 KBO 포스트시즌 진출 경험이 있다.


7. 역대 주장[편집]


SK 와이번스 역대 주장
기간이름포지션
2000년최태원내야수
2001년양용모포수
2002년박계원내야수
2003년김기태내야수, 지명타자
2004년조원우외야수
2005년강성우포수
2006년김재현지명타자
2007년김원형투수
2008년이호준내야수
2008년김원형[6]투수
2009년박경완포수
2009년[7]~2010년김재현지명타자
2011년이호준내야수, 지명타자
2012년박정권내야수, 외야수
2013년정근우내야수
2014년박진만내야수
2015년조동화외야수
2016년김강민외야수
2017년박정권내야수, 외야수
2018년~2019년이재원[8]포수
2020년최정내야수
2021년이재원포수



8.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편집]


연도선수상대팀비고
2000년김태석삼성 라이온즈 (대구)홈 개막전 선발 : 박정현
2001년에르난데스LG 트윈스 (숭의)
2002년현대 유니콘스 (수원)홈 개막전 선발 : 이승호
2003년스미스LG 트윈스 (잠실)홈 개막전 선발 : 이승호
2004년카브레라LG 트윈스 (문학)
2005년김원형현대 유니콘스 (수원)홈 개막전 선발 : 채병용
2006년신승현현대 유니콘스 (문학)
2007년레이번한화 이글스 (대전)홈 개막전 선발 : 김광현
2008년LG 트윈스 (문학)
2009년채병용한화 이글스 (문학)
2010년카도쿠라한화 이글스 (문학)
2011년글로버넥센 히어로즈 (문학)
2012년마리오KIA 타이거즈 (문학)
2013년레이예스LG 트윈스 (문학)
2014년김광현넥센 히어로즈 (문학)
2015년밴와트삼성 라이온즈 (대구)홈 개막전 선발 : 김광현
2016년김광현kt wiz (문학)
2017년켈리
2018년롯데 자이언츠 (문학)
2019년김광현kt wiz (문학)
2020년닉 킹엄한화 이글스 (문학)


9. 역대 KBO 한국시리즈 헹가래 투수[편집]


연도헹가래 투수헹가래 포수마지막 타자상대팀
2007년정대현박경완이종욱 (루킹 삼진)두산 베어스 (문학, KS 6차전)
2008년채병용김현수 (1-2-3 병살타)두산 베어스 (잠실, KS 5차전)
2010년김광현현재윤 (루킹 삼진)삼성 라이온즈 (대구, KS 4차전)
2018년허도환박건우 (헛스윙 삼진)두산 베어스 (잠실, KS 6차전)


10. 캐치프레이즈[편집]


연도문구
2000년패기의 SK! 승리의 와이번스![9]
2001년불같은 패기! 뜨거운 감동! SK 와이번스!
2002년패기의 SK! 팬과 함께 우승영광!
2003년세계로 향한 인천! 우승을 향한 SK![10]
2004년정상을 향한 무한비상! SK 와이번스!
2005년구도[11] 100년! 챔피언 원년! 인천 SK!
2006년우승을 향한 행복 날개![12] SK 와이번스!
2007년Fan First! Happy Baseball![13]
2008년
2009년
2010년Go Green! Enjoy Baseball![14]
2011년불꽃투혼 SK! 팬과 함께 V4![15]
2012년Touch Wyverns! Go V4!
2013년
2014년
2015년One Team! One Spirit![16]
2016년새로운 시작! 새로운 도전!
2017년따뜻한 울림 뜨거운 질주
2018년다함께! 더높이! - Rise up Together!
2019년열광, 자부심 그리고 2019
2020년강한 기본, 투혼의 SK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SK 와이번스 문서의 r9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SK 와이번스 문서의 r9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11:20:21에 나무위키 SK 와이번스/관련 기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네이밍 스폰서 제도를 도입한 키움 히어로즈를 제외한 KBO 리그 각 구단의 구단주는 대부분 모그룹의 회장이나 사장(박정원(두산), 구광모(LG), 김택진(NC), 김영섭(kt), 김승연(한화), 신동빈(롯데))이 맡고 있다. SK와 비슷한 경우를 찾자면 삼성그룹 계열사 임원 1명이 구단주를 맡는 삼성 라이온즈기아 사장이 구단주를 맡는 KIA 타이거즈가 있다. 물론 삼성도 2001년까지는 이건희 회장이 구단주였으며, KIA도 2021년까지는 정몽구 명예회장이 구단주였다.[2] 다른 구단주들은 스카이박스석이나 VIP 관중석에서 경기를 지켜봤는데 유독 최태원 회장은 본인이 직관을 할 때면 응원석에서 직관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개인적으로는 1990년대 시카고에서 유학 생활을 할 때 농구를 보며 지낸 덕에 상당한 농구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같은 그룹 농구단에 막대한 투자를 할 수 있던 것도 최태원 회장이 농구팬이어서 그렇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2023년 5월부터는 농구단의 구단주를 직접 맡고 있다.[4] 구단 창단 과정에서 연고지 문제를 두고 박용오 당시 KBO 총재에게 득달같이 전화해서는 "나 SK 사장인데 우리 팀 연고지로 서울을 주시오!"라고 대뜸 말한 것이 유명한 일화다. 당시 박 총재와 안 사장은 일면식도 없었던 남남(...)이었다. 2001년 신인 지명2002년 신인 지명 때 신생팀 지원 혜택으로 1라운드 1~3번 신인 지명권을 요구한 것도 안 사장의 성과인데 이 당시 KBO 이사회에서 다른 구단 사장들을 향해 생떼를 부렸다(...)는 이야기가 있다.[5] KBO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최초의 감독대행[6] 이호준이 무릎 부상의 영향으로 단, 8경기만 출장하는 등 정상적인 시즌 소화가 어려워져 김원형이 주장으로 재선임되었다.[7] 2009년 6월 24일 박경완이 부상을 입어 시즌아웃 판정을 받자 김재현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8] 구단 역사상 최초의 2년 연속 주장[9] 이후 구단의 공식 슬로건이 됐다. '패기'는 SK그룹의 인재상이기도 하다.[10] 캐치프레이즈에 지역명을 직접 표기한 흔치 않은 사례. 인천 팬들에게 가깝게 다가가고 SK가 인천 연고 팀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전략이었다. 결국 이 해 SK는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차지했고 마케팅 측면에서도 적잖은 성공을 거뒀다.[11] 球都. 야구도시라는 뜻으로 인천에서 처음 야구가 시작됐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12] SK그룹의 CI에 행복 날개가 추가된 점을 감안해 제정됐다.[13] "'스포테인먼트' 시대를 열겠다"는 취지로 "팬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면서 마련한 캐치프레이즈이다.[14] 연두색 유니폼을 입는 이마트 그린데이 시리즈가 이 해부터 시작됐다.[15] 원래는 팬 공모를 통해 선정된 'Do Dream! SK Wyverns! Let's go V4!'라는 캐치프레이즈였다. 발표 이후 당시 부천 FC 1995 축구단의 캐치프레이즈와 유사하다는 사실이 밝혀져 재선정됐다.[16] 김용희 감독이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