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은성

최근 편집일시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채은성/선수 경력/2024년 문서
채은성/선수 경력/2024년번 문단을
채은성/선수 경력/2024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1군
'''9 김강민 · 22 채은성 [[주장|

C
]] · 41 최인호 · 50 이원석
· 51 장진혁'''
2군
14 이명기 · 17 권광민 · 24 임종찬 · 30 페라자
· 33 유로결 · 45 이진영 · 65 이상혁 · 02 권동욱
· 03 김선동 · 06 김준석 · 106 유민 · 108 최준서
· 111 권현 · 114 신우재
최종 편집: 2024년 6월 13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채은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



채은성의 수상 경력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2001 ||<width=20%> 2002 ||<width=20%> 2003 ||<width=20%> 2004 ||<width=20%> 2005 ||
||<rowbgcolor=#fff,#191919>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최기문
롯데 자이언츠 || 김기태
SK 와이번스 || 김태균
한화 이글스 ||
|| 2006 ||<width=20%> 2007 ||<width=20%> 2008 ||<width=20%> 2009 ||<width=20%> 2010 ||
||<rowbgcolor=#fff,#191919>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이숭용
현대 유니콘스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강봉규
삼성 라이온즈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 2011 ||<width=20%> 2012 ||<width=20%> 2013 ||<width=20%> 2014 ||<width=20%> 2015 ||
||<rowbgcolor=#fff,#191919> 김선우
두산 베어스 ||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 박용택
LG 트윈스 ||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 2016 ||<width=20%> 2017 ||<width=20%> 2018 ||<width=20%> 2019 ||<width=20%> 2020 ||
||<rowbgcolor=#fff,#191919> 김재호
두산 베어스 || 유한준
kt wiz || 김광현
SK 와이번스 || 채은성
LG 트윈스 || 나성범
NC 다이노스 ||
|| 2021 ||<width=20%> 2022 ||<width=20%> 2023 ||<width=20%> 2024 ||<width=20%> 2025 ||
||<rowbgcolor=#fff,#191919> 고영표
kt wiz || 이지영
키움 히어로즈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 ||


}}} ||



파일:2023 KBO 컴투스프로야구 홈런레이스 로고.jpg
2023 KBO 올스타전 홈런레이스 우승자

파일:일구상 로고.jpg 2018 일구상 의지노력상

채은성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한화 이글스
역대 주장
(빙그레 시절 포함)
}}}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6600><rowcolor=#000000> 1986~1991 ||<width=20%> 1992~1993 ||<width=20%><bgcolor=#f7000d> {{{#ffffff 1994~1995}}} ||<width=20%><bgcolor=#f7000d> {{{#ffffff 1996}}} ||<width=20%><bgcolor=#f7000d> {{{#FFF 1997~2000}}} || || [[유승안]][br][[1988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1989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1991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이강돈]][br][[1992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강정길]] || [[장종훈]] || [[강석천]][br][[1999년 한국시리즈|{{{#c8ab37,#c8ab37 ★}}}]] || ||<rowbgcolor=#f7000d><rowcolor=#ffffff> 2001 || 2002 || 2003 || 2004 || 2005~2006 || || [[장종훈]] || [[김종석(1971)|김종석]] || [[임수민(야구선수)|임수민]] || [[이영우]] || [[이도형]][br][[2006년 한국시리즈|{{{#777777,#888888 ☆}}}]] || ||<bgcolor=#f7000d><rowcolor=#ffffff><rowbgcolor=#ff6600> 2007 || 2008~2010 || 2011~2012 || 2013 || 2014 || || [[정민철]] || [[신경현]] || [[한상훈]] || [[김태균]] || [[고동진(야구선수)|고동진]] || ||<rowbgcolor=#ff6600><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8~2019 || || [[김태균]] || [[정근우]] || [[이용규]] → [[송광민]] || [[최진행]][br]^^[[송광민]] (임시)^^ || [[이성열(1984)|이성열]] || ||<rowbgcolor=#ff6600><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이용규]][br]^^[[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 (임시)^^ || [[노수광]] → [[하주석]] || [[하주석]][br]^^[[장민재]] (임시)^^ || [[정우람]] ||<bgcolor=#e0ffdb,#073300> [[채은성]] ||



LG 트윈스 등번호 92번
결번채은성
(2009~2010)
최원호
(2011~2012)
LG 트윈스 등번호 95번
권명철
(2011)
채은성
(2012)
최경철
(2013.4.25.~2013)
LG 트윈스 등번호 102번
결번채은성
(2013)
이승현
(2014)
LG 트윈스 등번호 54번
주키치
(2011~2013)
채은성
(2014)
정다흰
(2015)
LG 트윈스 등번호 00번
조쉬벨
(2014)
채은성
(2015)
양원혁
(2016)
LG 트윈스 등번호 55번
임지섭
(2014~2015)
채은성
(2016~2022)
이상영
(2023)
한화 이글스 등번호 22번
라미레즈
(2022.6.20.~2022)
채은성
(2023~)
현역

파일:2024 채은성 프로필.png
한화 이글스 No.22

C
채은성
蔡恩成 | Chae Eunseong
출생1990년 1월 6일[1][2] (34세)
전라남도 순천시 매곡동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순천북초 - 순천이수중 - 순천효천고
신체186cm, 92kg, 280mm
포지션우익수[3], 1루수[4], 좌익수[5], 중견수[6]
투타우투우타[7]
프로 입단2009년 신고선수 (LG)
소속팀LG 트윈스 (2009~2022)
한화 이글스 (2023~)
병역제3야전군사령부[8][9] (2010~2012)
계약2023 - 2028 / 90억원[10]
연봉2024 / 10억원 {{{-2

FA
등장곡Carley Rae Jepsen - 《I Really Like You[11][12]
응원가LG 트윈스 시절
Blues Saraceno - 《If you believe》 (2014)[13]
쥬얼리 - 《Step》 (2015~2022)[14][15][16][17][18]
한화 이글스 시절
트랜스픽션 - 《Devilman》 (2023~)[19][20][21]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가족
배우자정가영(2018년 12월 8일 결혼 ~ 현재)
자녀딸 채윤(2021년 5월 27일생)
본관평강 채씨 (平康 蔡氏)
소속사그로윈스포츠
후원사프로스펙스
파일:한화 이글스 심볼.svg

1. 개요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大선수가 되세요

2014년 5월 26일 양상문 당시 LG 트윈스 감독이 채은성의 데뷔 첫 안타를 친 공에 남긴 말.

한화 이글스 소속 우익수1루수. 2023년에 다시 외야수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완전히 1루수로 돌아선 모습.

2009년 LG 트윈스에 신고선수 신분으로 입단해 2014년부터 1군에 모습을 드러냈고, 10년 차가 된 2018년 골든글러브급 성적을 기록하며 팀의 주축이자 프랜차이즈 선수로 입지를 다지기 시작했다. 성실한 모습과 견실한 활약으로 LG팬들의 사랑을 받은 선수로, 응원가 역시 인기가 많았다. 2022년 말 첫 FA 자격을 취득하며 大선수가 되어 6년 90억에 한화 이글스로 이적했다.


2. 선수 경력[편집]




3. 플레이 스타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채은성/플레이 스타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전체적으로 툴은 뛰어나진 않지만, 노림수와 수싸움으로 이를 극복한다.

4. 여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채은성/여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3:06:26에 나무위키 채은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프로필 상으로는 2월 6일이지만 호적신고가 늦어 프로필 생일과 실제 생일이 다르다며 선수의 아내가 본인 인스타 댓글에 직접 언급했다.[2] 빠른 생일로 학교를 1년 일찍 입학해 원래는 1989년생들과 동기였지만, 고등학교 때 1년 유급해 일반 90년생과 같이 졸업했다.[3] LG 트윈스 시절 주로 우익수로 출전하였으며 커리어 대부분을 우익수로 출전하였다.[4] 22시즌 1루수로 전향하였고, 한화 이글스 이적 후 한화의 외야가 무주공산인 탓에 우익수로 정착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1루수로 정착하였다.[5] 좌익수로는 16시즌까지 총 45경기 186⅓이닝을 출장했으며, 그 이후로는 출장 기록이 없다.[6] 중견수로는 16시즌까지 총 29경기 182⅔이닝을 출장했으며, 그 이후로는 출장 기록이 없다.[7] 한화 이글스 홈페이지에서는 우투좌타로 오기입되어 있다.[8] 3군사령부는 2018년 1군사령부와 통합되어서 현재의 지상작전사령부가 되었다.[9] 의장대에서 복무했다.[10] 계약금 36억원 / 연봉 총액 44억원 / 옵션 10억원[11] (But I need to tell you something) I really, really, really, really, really, really like you (<1>안~타 채은성 <2>홈~런 채은성) LG 시절에는 두 번 모두 안타 채은성이라고 했다.[12] 2018년 이후 저작권 문제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가 2022년 오랜만에 부활했다. 한화 이글스로 이적한 뒤에도 아내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 등장곡을 그대로 쓸 것이라고 언급했고, 실제로 이적 후에도 계속 쓰고 있다.[13] LG의 채은성 승리를 위하여~ LG의 채은성 워어~ X2[14] 채은성~ 힘차게 날아올라봐~ LG의 승리 위하여~ 채은성~ 넌 빛나고 있어~ (반짝반짝!) 채은성~ 힘차게 날아올라봐~ LG의 승리 위하여~ 채은성~ 주인공은 바로 너~ (채!은!성!)[15] 응원단장이 "주인공은?"이라고 크게 외치면 관중들이 "바로 너!"라고 답하면서 응원가가 시작된다.[16] 자신의 결혼식 때 신랑 입장곡으로도 사용하였다.[17] 2022년까지 LG에서 유강남, 오지환과 함께 선수응원가 삼대장을 맡고 있었을 정도로 응원가의 호응이 장난 아니었다. 그러나 시즌 후 유강남과 채은성은 각각 롯데 자이언츠한화 이글스로 이적했다.[18] LG 개인 응원가 중에서 무적LG라는 말이 들어가지 않는 흔치 않은 경우다. 한화 이적 후 구단에서 응원가를 주려고 했지만 채은성 본인이 거절하여 추억의 응원가가 되었다. LG가 이적한 선수의 응원가를 주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걸 생각해보면 굉장히 이례적인 일.[19] 최강한화 채은성 워어어어~ 최강한화 채은성 워어어어~ 저! 하늘로 날아올라 빛이 되리라 워어 한화 채은성! (X2)[20] LG시절 응원가 못지않게 평가가 좋다. 타 구단 팬들도 따라부를 정도로 중독성이 강하다.[21] 원곡자인 트랜스픽션이 직접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