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봉규

덤프버전 : r (♥ 0)


}}} ||
[ 펼치기 · 접기 ]
1군
'''70 박진만 [[코치(스포츠)#s-2.1|

]] · 75 손주인 · 77 배영섭 · 79 정민태
· 85 이진영 · 89 이정식 · 90 박찬도 · 94 권오준
· 97 강명구 · 99 이병규'''
2군
'''71 조동찬 · 73 정대현 [[코치(스포츠)#s-2.1|

]] · 78 강봉규 · 84 강영식
· 87 박희수 · 92 정병곤 · 98 채상병'''
(3군) 육성군 / 재활군
74 박한이 · 76 다치바나 · 82 김정혁 · 88 정현욱
· 91 다바타
컨디셔닝 파트
00 정연창 · 72 나이토 · 80 황승현 · 81 권오경
· 83 윤석훈 · 86 한흥일 · 93 윤성철 · 95 박승주
· 96 허준환 · 08 김용해 · 09 염상철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강봉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강봉규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s20.postimg.org/doosan2001.pn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5.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6.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200120112012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
1998 방콕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1998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2001 ||<width=20%> 2002 ||<width=20%> 2003 ||<width=20%> 2004 ||<width=20%> 2005 ||
||<rowbgcolor=#fff,#191919>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 김한수
삼성 라이온즈 || 최기문
롯데 자이언츠 || 김기태
SK 와이번스 || 김태균
한화 이글스 ||
|| 2006 ||<width=20%> 2007 ||<width=20%> 2008 ||<width=20%> 2009 ||<width=20%> 2010 ||
||<rowbgcolor=#fff,#191919>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이숭용
현대 유니콘스 || 윤석민
KIA 타이거즈 || 강봉규
삼성 라이온즈 || 양현종
KIA 타이거즈 ||
|| 2011 ||<width=20%> 2012 ||<width=20%> 2013 ||<width=20%> 2014 ||<width=20%> 2015 ||
||<rowbgcolor=#fff,#191919> 김선우
두산 베어스 || 박석민
삼성 라이온즈 || 박용택
LG 트윈스 ||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 2016 ||<width=20%> 2017 ||<width=20%> 2018 ||<width=20%> 2019 ||<width=20%> 2020 ||
||<rowbgcolor=#fff,#191919> 김재호
두산 베어스 || 유한준
kt wiz || 김광현
SK 와이번스 || 채은성
LG 트윈스 || 나성범
NC 다이노스 ||
|| 2021 ||<width=20%> 2022 ||<width=20%> 2023 ||<width=20%> 2024 ||<width=20%> 2025 ||
||<rowbgcolor=#fff,#191919> 고영표
kt wiz || 이지영
키움 히어로즈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 ||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삼성 라이온즈
역대 주장
}}} ||


{{{#fff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24번}}}
캐세레스
(1999)
강봉규
(2000~2002)
김만윤
(2003)
{{{#fff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38번}}}
김민성
(2000~2002)
강봉규
(2003)
윤재국
(2004.4.11.~2004)
{{{#fff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24번}}}
김만윤
(2003)
강봉규
(2004~2005)
강동우
(2006)
{{{#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번}}}
강동우
(2000~2005)
강봉규
(2006)
윤성환
(2007~2020)
{{{#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4번}}}
최용호
(2005.7.25.~2006)
강봉규
(2007~2015)
이영욱
(2016~2017)
{{{#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8번}}}
김용국
(2011~2016)
강봉규
(2017~)
현역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width=20%><colcolor=#09539D>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9539D,#61ABF6> 16 김원형 · 20 김병현 · 21 경헌호
26 서재응 · 27 강철민 · 37 임창용
45 최원호 · 61 박찬호 ||
|| 포수 || 12 진갑용 · 42 홍성흔 · 44 조인성 ||
|| 내야수 || 6 황우구 · 7 백재호 · 11 강혁
14 신명철 · 18 김동주 · 24 강봉규 ||
|| 외야수 || 9 이병규 · 10 심재학 · 31 장영균
33 박한이 · 62 박재홍 ||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주성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박병준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이기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신현석 ||
||<-3><bgcolor=#09539D>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파일:강봉규_코치.jpg
삼성 라이온즈 No.78
강봉규
康奉珪 | Kang Bong-Gyu
출생1978년 1월 12일 (46세)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부산부천초 - 개성중 - 경남고 - 고려대[1]
신체183cm, 88kg
포지션외야수, 1루수[2]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96년 2차 7라운드 (전체 57번, OB)
소속팀두산 베어스 (2000~2005)
삼성 라이온즈 (2006~2015)
구건버거 레기오네레 (2016)
지도자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타격코치 (2017)[3]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보조코치 (2017~2018)[4]
삼성 라이온즈 1군 타격코치 (2018~2019)[5]
삼성 라이온즈 2군 타격코치 (2019)[6]
삼성 라이온즈 2군 외야수비·작전코치 (2020~2022)[7]
삼성 라이온즈 1군 작전코치 (2022)[8]
삼성 라이온즈 1군 주루코치 (2023)[9]
삼성 라이온즈 1군 벤치코치 (2023~)[10]
병역예술체육요원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금메달)
응원가애프터스쿨 - 잊었나[11][12]
터보 - Goodbye Yesterday[13][14]
노라조 - 고등어[15]
노라조 - 슈퍼맨[16][17]
가족3남 중 막내, 슬하 1녀
1. 개요
3. 지도자 경력
3.1. 2017년
3.2. 2018년
3.3. 2019년
3.4. 2020년 ~ 2022년
3.5. 2023년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두산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의 외야수, 등번호는 24번이지만 2006년에는 1번을 단 적이 있다. 1번을 단 적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의 1번라인에 끼어들지 않는 이유가 두산 베어스 시절때부터 24번에 대한 이미지가 강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8]

기본적인 포지션은 좌익수이나 1루수도 겸한 적이 있다. 우승경력은 2001년 두산 시절, 2006년, 2011년, 2012년 삼성에서 했다. 여담으로 삼성 외야수 중 몇 안되는 우타자이다. 웬만한 외야수들이 전부 좌타자이기 때문에 강봉규의 희귀성(?)이 부각되는 부분이다.

2009년 20-20 클럽을 달성하는 등 백업 선수치고 상당한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2. 선수 경력[편집]



3. 지도자 경력[편집]


2016년 11월 22일, 삼성 라이온즈의 코치로 영입되면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3.1. 2017년[편집]


시즌 개막 당시에는 3군 타격코치로 보직이 정해졌으나, 1군 타선의 부진으로 4월 25일 1군 보조 타격코치로 보직이 바뀌었다.

2017년 5월 21일 한화전 벤치클리어링에서 주먹과 발로 비야누에바를 폭행하는 장면이 잡혔으나, 퇴장당하지는 않았다. 결국 김재걸 코치와 함께 5경기 출장정지와 벌금 300만원의 징계를 받게됐다.


3.2. 2018년[편집]


1군 메인 타격코치였던 김종훈이 2군 타격코치가 되면서 단독으로 1군 타격코치를 맡게 됐다.


3.3. 2019년[편집]


김태한조차 능가하는 무능한 철밥통 코치다. 5, 6월 근래 대구 FC보다도 못한 득점력을 보여주는 삼성의 타자들, 이 사태의 1순위에 강봉규 코치가 있다.

7월 17일 드디어 2군으로 내려갔다. 반대급부로 조동찬 코치가 등록되었다.


3.4. 2020년 ~ 2022년[편집]


시즌 후 일부 코치들이 팀을 떠난 것과 달리 팀에 남았는데, 오주승 전력분석원[19]에 따르면 시즌 중 세이버메트릭스에 대해 알려달라고 했다고 한다.# 허삼영 신임 감독이 데이터를 중시하는데, 코치로서 성과는 별로였다지만 나름대로 데이터에 대해 공부하는 모습이 있어 팀에 잔류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2년 9월 1군에 콜업되었다. 하지만, 김재걸 코치 시절에 비해 주루 실수나 주루사가 많아지며 비판을 받고 있다.


3.5. 2023년[편집]


시즌 후 박진만이 정식 감독으로 부임한 후 대대적인 코칭스태프 개편이 있었음에도 그대로 잔류하게 됐다. 대신 2023년 시즌부터 강명구 코치와 보직을 맞바꿔 1루 주루코치로 보직을 이동했다.

8월 7일 대구 LG전부터 1루 주루코치가 배영섭으로 바뀌면서 벤치코치로 자리를 옮겼다는 게 알려졌다. 다만 투수코치 교체와는 다르게 기사도 없이 바뀌었다.


4. 여담[편집]


정준하의 매니저였던 최종훈과 닮았다. 그래서 한때 별명이 강코디.

2010년 12월 26일 고려대학교 교우회관에서 자신의 팬과 결혼했는데, 신부가 삼성전자의 해외 영업 팀에 재직 중이라고 한다. 방출 후 심경을 밝힌 기사에도 나와 있지만, 비 시즌 중의 거주지는 경기도 광교신도시인 듯하다. 2013년 1월 2일에 득녀했다.

2016년에는 독일에서 다시 현역생활을 하기도 했었다. 유럽에서 야구를 하는 것도 괜찮겠다 싶어서 진출한 거라고 한다. 인터뷰 영상

5. 관련 문서[편집]


[1] 신문방송학과 96학번[2] 2012년부터 이승엽의 백업으로 1루를 보게 되었다.[3] ~4월 24일[4] 2017년 4월 25일~2018년 4월 11일[5] 2018년 4월 12일~2019년 7월 16일[6] 7월 17일~[7] ~8월 29일[8] 8월 30일~[9] ~8월 6일[10] 8월 7일~[11] 빛과 그림자 OST. 강~봉규 안타 강~봉규 안타 날려버려 강봉규~ 안타 오오~[12] 여담이지만 김상수에게 전에 썼던 응원가를 뺏긴 적이 있다(...)[13] 나나나나 안타 강봉규! Hey!(x2) 나나나나 안타 강봉규 나나나 나나 나나나 나나나[14] 나주환최윤석도 이 응원가를 썼다.[15] 아강 아강 아강 아 강봉규 홈런 ×4[16] 뒷부분 불명, 앞부분은 봉규야~ 안타를 날려주세요~ 봉규야~ 홈런도 날려주세요[17] 김상수 응원가로 쓰인 그거 맞다. 정확히는 09시즌 개막 시리즈때 강봉규가 이 응원가를 썼고 이후 김상수에게 넘어갔다.[18] 삼성의 1번라인은 황규봉 - 류중일 - 강동우 - 윤성환[19] 비선출로 통계 관련 데이터를 전담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7:47:30에 나무위키 강봉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