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47

최근 편집일시 : (♥ 0)

>
인천광역시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
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

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파일:47_2547.png
파일:47_1255_New.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4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40321_인천_47번_지도노선도.svg
기점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한국지엠청라주행시험장)종점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서창공영차고지)
종점행첫차05:00기점행첫차05:20
막차22:00막차22:20
평일배차16~22분주말배차22~28분
운수사명마니교통인가대수13대[1]
노선한국지엠청라주행시험장 - (← 태양공단 ← 신북항고가교 ← 한성자동차학원 ← 신북항고가교 ← 태양공단 ← 한국지엠청라주행시험장 ←) - 중봉로교차로 - 서해그랑블 - 루원더퍼스트아파트 - 가정(루원시티)역 - 가정중앙시장역 - 율도입구 - 강남시장 - 석남역 - 원적산터널 - 산곡역 - 부평우체국 - 부평구청역 - 부평시장역 - 부평역 - 부개LH1/2단지 - 일신주공 - 풍림아파트104동 - (→ 일신동행정복지센터 →/← 17사단.다임메가타운 ←) - 송내역 - 구산사거리 -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 인천대공원[A] - 태평1차아파트 - 임광그대가·서창자이아파트 - 장서초등학교 - 서창센트라스아파트후문 - 서창공영차고지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2. 개요[편집]


마니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7.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20년 12월 31일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되었다. 개통을 앞두고 한국지엠청라연구소를 무정차하는 대신 북항다목적부두와 모다아울렛을 경유하도록 조정되었다.

  • 2021년 2월 27일부터 평일 출퇴근시간대 (06:00~08:30, 18:00~19:30) 한정으로 인천대공원 앞을 서지 않고 대공원앞지하차도로 운행하며, 원활한 좌회전을 위해 서창동 방향 한정으로 심곡천봉수교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다.[2]

  • 2021년 6월 19일에 기점이 석남동차고지로 변경되었다.

  • 2021년 11월 27일에 양방향 한국지엠청라주행시험장에 추가로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

  • 2022년 1월 29일에 양방향 중봉로교차로(ID: 89-420, 89-421)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

  • 2022년 5월 1일에 영풍운수에서 마니교통으로 이관되었다.

  • 2023년 9월 2일에 기점이 영종운수의 석남동차고지에서 한국지엠청라주행시험장으로 변경되면서 신북항고가교 구간을 하행만 왕복하도록 변경되었다.

  • 2024년 5월 11일에 신북항고가교 구간이 없어지고 배차간격은 17~21분에서 16~22분으로 변경됐다. #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청라1동 주민들의 철도 접근성, 서창동 주민들의 송내역/부평역 접근성을 높이고 청라와 가정동 구간에서 단축 된 46번과 폐선 된 14-1A번904-1번을 대체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하지만 청라국제도시역을 경유하지 않고, 기존 43번과 폐선 된 904-1번의 일부 구간만 경유하기 때문에 두 노선을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3]

  • 이용률이 높은 편임에도 18~25분 간격으로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2020년 개편 이전 서창동에서 다니던 14-1A번과 가정동, 청라국제도시 구간에서 46번이 10~18분 간격으로 운행하던 점을 감안하면 공급이 상당히 많이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서창동~송내역 구간의 혼잡이 훨씬 심해졌다. 주말에는 30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말에는 사전에 운행정보를 숙지 한 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노선의 주 이용 패턴은 청라/가정~가정역, 청라~부평구, 서창지구~송내역/부평역 구간으로, 단거리 이동 수요가 많은 형태이다. 굴곡이 적기 때문에 환승 없이 청라에서 서창동으로 가는데도 나쁘지 않은 노선이다. 또한 이 노선의 개통으로 서창지구에서는 부평역까지 빠르고 환승없이 갈 수 있는 방법이 다시 생기게 되었고[4], 청라국제도시와 서창지구에서 주요 거점을 이어주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길어도 이용객은 많다. 특히 서창동~송내역 구간은 엄청난 혼잡으로 승차가 힘들 정도이다.

  • 노선 선형은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청라지엠주행시험장을 출발해 원적산터널까지 가는 구간이 직선거리로는 매우 가까움에도 북쪽으로 청라국제도시와 가정역으로 우회한다. 또한 서창동에서 출발한 차량만 한국GM청라주행시험장~신북항고가교 구간을 경유한다. 따라서 이 구간은 사실상의 하차용 정류장이라고 봐도 무방하며, 양방향을 온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63번을 타면 된다.

  • 14-1번과는 '부평LH1(2)단지~태평1차아파트' 구간이 중복된다. 이 구간 사이에 목적지가 있다면 먼저 오는 노선을 이용하면 된다. 11번과는 '부평시장역~무네미마을' 구간이 중복되는데, 11번과는 다르게 일신동행정복지센터(경인로 상), 비전교회(삼미타운)[5], 인천예림학교 정류장에 정차한다.

  • '인천국민안전체험관~가정중앙시장역~율도입구' 구간은 단독 구간이다. 가정중앙시장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다.

  • 상행은 '심곡천봉수교'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음에도 정류소에 47번 노선도가 부착되어 있다. 이 곳에서는 정차하지 않으니 3분 정도 걸어가면 있는 청라자이 정류소에서 승차해야 한다.

  • 혼잡하기로 악명 높은 무네미로를 경유한다. 그래서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평일 출퇴근 시간대[A]인천대공원 정류소는 지하차도를 이용에서 통과하므로 이용시 참고하자. 이는 동일 구간을 운행하는 14-1번, 16-1번 역시 해당한다.

  • 송내역남부와 구산사거리에서는 양방향 모두 정차한다.
한국지엠청라주행시험장 방향[6]서창공영차고지 방향[7]
LED 행선판47 GM청라주행
시험장(방향)
47 서창동차고지
(방향)
운전석 행선판한국지엠청라
주행시험장
방향
서창동차고지
방향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47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21년3,036명-
2022년3,858명△ 822
2023년
하차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 송내역간 버스
[ 펼치기 · 접기 ]
송내역
남부
81114-116-1
2030 37 47
88,[a],급행99 103-19300,[a],
송내역
북부
165380
8730210019008
[a] 구산사거리 정류장 연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자동차전용도로 경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3:46:28에 나무위키 인천 버스 4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 공휴일 10대 운행.[A] A B 석남동 방향 평일 6:00~8:30, 18:00~19:30 미경유[2] 정류장과 좌회전 차선의 거리가 워낙 가깝기 때문에 정류장에서 출발한 뒤 차선을 급격히 바꿔야 했고, 이 때문에 다른 차량들과의 접촉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3] 기존에 46번이 지나가지 않는 구간을 43번이 대체하여 다니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43번/904-1번이 다니던 청라구간에서는 부평행 노선이 없어졌다[4] 14-1번이 2016년 개편으로 동수역과 백운역으로 노선을 꺾으면서 4년간 서창동에서 부평역으로 바로 향하는 노선이 없었다.[5] 14-1번도 경인로 상의 일신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을 정차했으나 무정차 통과하고, 비전교회(삼미타운) 정류장은 똑같이 정차한다.[6] 송내역 기준 부평역, 부평구청, 가정역 방향.[7] 송내역 기준 인천대공원, 장수사거리, 서창휴먼시아8블록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