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503

최근 편집일시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군위군 마을버스|
군위
]]ㆍ[[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폐선
]]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구 최초 수소전기버스 1178호.jpg


파일:대일3955.jpg

신흥버스 차량
대일버스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503_노선도.jpg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연경지구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신흥버스)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11
막차
22:10
평일배차
11분
주말배차
13분
운수사명
대일버스, 신흥버스
인가대수
30대[1][2]
노선
연경지구공영차고지[3] - 팔공초·중교 - 연경초교 - 이곡마을 - 무태조야동 행정복지센터 - 동변초·중교[4] - EXCO - 성화여고 - 영진전문대정문 - 경북대정문 - 동대구시장 - 약령시 - 현충로역 - 대구가톨릭대병원 - 두류역 - 죽전동 행정복지센터 - 성산초·중교[5] - 조달청 - 국민연금네거리 - 계명대동문 - 신흥버스

중간 출발 정류소
성서산업단지 방면
대구차여성병원, 침산코오롱하늘채, 경진초등학교, 엑스코, 서변동영남네오빌
연경동 방면
반월당역, 현충로역, 구병원, 용산2동 행정복지센터토요일, 성서주공2단지평일, 공휴일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 신흥버스 차고지(5)에서 중구 동성로3가 약령시(0)를 거쳐 북구 연경동(3)까지 운행하는[6] 신흥버스, 대일버스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71.9km.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편집]


  • 이 노선의 전신은 1998년 개편 전 달서구 본리동에서 남구 대명동을 거쳐 북구 대현동 구간을 유사하게 운행했던 일반버스 127번이다.[7] 127번은 원래 본리동 우진교통이 기.종점이였으며 1998년 2월 대건중고교로 기.종점 연장 후 대명역, 안지랑네거리, 반월당, 칠성시장, 경대정문, 복현오거리, 동대구역을 경유한 뒤 다시 대건중고교로 순환 운행하던 일반버스였다. 반시계 방향 노선으로 126번이 있었다.[8]

  • 1998년 개편 3달 전에는 본리동에서 월성2동 대건중고교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노선번호가 535번으로 변경되었고, 다사를 기종점으로, 계명대학교동문, 용산역, 두류역, 두류공원네거리를 거쳐 안지랑네거리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노선번호가 503번으로 변경되었다. 기점은 서변동으로 변경되었고, 북구 구간은 이마트 칠성점 경유로 1/2 분리 구간이 통합된 349번을 대체하기 위해 대구역(북편)에서 칠성시장, 경명여중고, 공고네거리 구간 대신 홈플러스 대구점, 경대교, 대현동주민센터 경유로 변경되었다.[9] 성서 구간도 매곡리~죽전네거리 구간은 655번에게 넘기고 신흥버스~용산2동 행정복지센터~죽전네거리로 변경되었다.


  • 2016년 2월 13일 보완 개편 때 234번 출신 대일버스 차량 1대와 304번 출신 영진교통 차량 1대를 증차했다. 증차 이유는 매우 혼잡한 노선이 되었기 때문이다. 증차를 해도 수요가 많은 곳만 골라다니는 데다 달서2번, 202(-1)번, 805번의 승객들을 대부분 흡수한 여파로 증차의 효과를 출퇴근 시간대에는 체감하기 어렵다. 반대로 한산한 시간대에는 원래 배차간격인 11분이 아닌 726번 못지않은 배차간격인 7~8분으로 온다.[10]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신흥버스 입석버스 1대가 달서1번으로 이동했으며, 영진교통에서 304번 출신 1대를 503번에 투입했다.

  • 2020년 3월 2일 개편 때 연경지구 내 첫 번째로 입주하는 연경금성백조예미지를 경유하여 연경LH천년나무1단지 북쪽에 신설되는 연경동 종점 정류소까지 연장되었다.[11] 배차간격 증가를 막기 위해 신흥버스와 대일버스에서 각각 1대씩 증차했다.[12] 이에 따라 814번과 인가대수가 동일해졌다.

  • 2020년 8월 15일 개편 때 연경예미지에서 무태조야동주민센터 연경분소로 내려가지 않고 연경지구2중학교(가칭), 연경지구1초등학교(가칭)을 경유하여 연경LH천년나무1단지 남쪽의 연경지구공영차고지까지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동구 지묘동을 아주 살짝 지나가게 됐다. 공영차고지는 완공 전에도 임시로 쓰다가 다음 해인 2021년 11월 1일 완공되어 정식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 2020년 10월 17일 개편 때 영진교통 차량 1대가 증차되었다. 이로 인해 총 운행대수가 29대에서 30대로 1대 증차되었다.

  • 2021년 7월 31일부터 대일버스에서 651번 출신 차량 1대를 투입했고 신흥버스 소속 1대는 달서1번으로 이동했다.

  • 2022년 1월 22일에 영진교통 차량 3대가 모두 653번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그 빈자리를 대일버스 차량 2대와 신흥버스 차량 1대로 채운다.[13] 인가대수는 변함 없다.


4. 특징[편집]



  • 성서 지역 간선 노선들 중에서 수요가 가장 많으며, 한때 401번을 제치고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이용객 수 2위에 올라왔었다. 노선 개편 이전부터 슬금슬금 수요 Top 10 노선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더니, 개편 후부터는 꼬박꼬박 등재되고 심지어 이용객 수 Top 5 노선 리스트에도 이름을 올렸다. 지금도 Top 10에 들어갈 정도로 이용객 수는 많다.

  • 주요 승객들은 성서산업단지에 출퇴근하는 직장인, 계명대학교 학생, 성서지구, 용산지구 중고등학생들 및 직장인, 두류역 환승 승객, 대구교육대학교, 약령시, 경북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북구 관내 중고교 학생 등이며, 헬게이트 구간을 골라다니는 것같이 느껴질 정도다. 특히 평일 아침 7시 시간대에는 침산동과 대현동(동대구시장) 일대에서 중고교생들이 503번에 벌떼같이 몰려들어서 타는 등, 양방향이 혼잡한 노선이다. 성서에서 북구 방면은 출근 및 등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아침 7시 30분 이전부터 이미 성서에서 한가득 태우고 오는 등 달서2번의 수요를 완벽히 흡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달서2번의 구간 통합을 위해 성산중학교로 돌렸는데 나비 효과가 나타난 것.[14]


  • 구 305번과 달리 달구벌대로의 동에서 서로 계속 달리지 않고 안지랑네거리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 두류역으로 우회하는 것이 주 특징이지만[15] 승객 수가 결코 위의 노선들에 비해 적지 않아 726번처럼 증차 요구가 잦은 노선이다.

  •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중에서 인가대수가 가장 많은 노선이다.(30대)

  • 원래 신흥버스 단독 배차 노선이었으나 어찌 시간이 갈수록 신흥버스의 배차대수는 줄어들고 역으로 대일버스의 배차대수가 증가해 어느새 신흥버스 배차 대수를 추월했다. 신흥버스가 5권역, 6권역 타 노선의 증차에 참여해야 해서 503번 배차분이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된다.[16]

  • 이 노선은 복현장미아파트 안쪽에 유일하게 정차하는 노선으로, 북중학교에서 복현오거리를 앞두고 장미아파트에 들어가기 때문에 복현오거리를 아예 지나가지 않는다. 복현오거리로 가고 싶다면 장미아파트에서 내린 후, 롯데슈퍼 복현점 쪽으로 걸어가면 된다.

  • 노선의 선형이 약간 굴곡져 있고, 순수 거리만 해도 제법 길어서 편도 2시간 이상 소요된다. 연경지구 연장 이후에는 무려 편도 2시간 53분이 걸리는 시간표가 생겼다.[17] 이런 와중에 연경지구 내에서 추가 연장이 확정되어 편도 운행 길이만 40km에 달하는 노선이 되어 운행 여건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18]

  • 노선 연장을 거듭해 온 노선이다. 127번 시절에는 종점을 본리동에서 월성2동으로 종점을 바꾸어 노선이 약간 길어졌다. 535번 시절에는 1998년 기점이 다사로 변경되었고, 2002년 대구종합유통단지를 경유하게 되며 노선이 또 길어졌다. 2006년 개편 때 503번으로 변경했을때도 기점이 대구종합유통단지에서 서변동으로 연장되어 노선이 길어졌다. 2020년 3월 2일 개편 때 기점이 연경동으로 연장되어 14년만에 다시 노선이 길어졌다.

  • 여담으로 대일버스의 노선들 중 유일하게 수성구[19], 달성군[20]으로 가지 않는다.

  • 2019년 3월부터 대구의 첫 전기버스가 503번에 도입되었다. 또 다른 노선으로는 730번이 있다. 전기버스 도입을 계기로 503번은 대구 시내버스들 중 가장 다양한 동력 기반을 가진 버스들이 모인 노선이 됐다.[21]

  • 대일버스 운행 노선들 중에서 공차거리가 길다.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이전에는 수성구 만촌동차고지에서 연경동까지 기본 1시간은 넘어갔다.

  • 대일버스 기사 교대는 반월당역에서, 신흥버스 기사 교대는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실시한다.

  • 성서산단 방향 막차는 신흥버스가, 연경동 방향 막차는 대일버스가 고정 분담한다.

  • 급행6번과 기종점만 반대일 뿐, 출발 지점과 종료 지점이 동일하다.

  • 장기정차와 가스 및 전기 충전 모두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4,810명
-
2015년
14,331명
▽ 479
2016년
16,776명
△ 2,445
2017년
15,960명
▽ 816
2018년
15,821명
▽ 139
2019년
14,902명
▽ 919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11,596명
▽ 3,306
2022년
12,013명
△ 417
하차 인원 미포함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달서2번의 성서권역 수요를 흡수하면서 해당 노선의 일평균 승차량이 증가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06:07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50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일버스 17대 / 신흥버스 13대[2] 토요일 27대(대일버스 16대 / 신흥버스 11대) / 공휴일 25대 운행(대일버스 14대 / 신흥버스 11대)[3] 정류소 이름은 연경동종점(연경동 방면)과 연경천년나무1단지(성서산단 방면)다.[4] 정류소 이름은 동변주공그린빌[5] 성산초교(성서산단 방면), 성산중교(연경동 방면). 503번 단독 구간이다.[6] BIS 상으로는 기종점이 권역번호와는 반대로 되어 있다.[7] 1990년 공동배차제 시행 이전 고정배차제 시절에는 우진교통, 경신교통, 건영교통에서 운행했다.[8] 비슷한 좌석버스 326번, 327번도 있었다. 이들은 1998년 개편 때 306번을 거쳐 2006년 개편 때 706번으로 변경되었다.[9] 칠성시장, 경명여중고 구간은 같은 시기에 신설된 북구2번에 넘겼다.[10] 그래서 간혹 503번의 배차간격에 딱 맞추어 나왔다가 차를 놓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11] 연경지구 개발로 장소는 다르지만 연경동은 예전 388번과 88번의 후신이었던 603번의 종점이었다.[12] 각각 급행5번과 651번에서 차출했다.[13] 대일버스의 투입분은 651번 감차분과 순수증차분이, 신흥버스는 425번에서 한 대 감차한 차량이다.[14] 그나마 성서 지역에서는 503번의 수요를 잠시나마 서로서로 분산해 주는 노선이 급행1번, 급행5번, 523번이다. 그러나 이 노선들도 같은 시각 승객들을 꽉꽉 실어 나르느라 바쁘다. 그 중 523번은 성서보다 서구 수요가 좀 더 많으며, 이전에 시내버스 노선이 없었던 성서, 용산동 - 고성동침산동 방면 노선이 생기면서 경대 승객보다 침산동/고성동으로 가는 승객들이 많다. 실제로 523번을 탔을 때 북구청을 무정차 통과할 확률은 드물다.[15] 성서 및 2호선 일대에서 안지랑역 환승 수요가 있어서 안지랑역까지 갔다 오는 것이다. 물론 계대동문이나 국민연금네거리 주변이라면 남대구IC를 통해 내려가는 564번이 당연히 더 빠르며, 503번을 통해 안지랑역 일대로 가는 승객들은 높은 확률로 용산동과 죽전, 감삼, 두류 주변 승객들이다.[16] 이로 인해 개편할 때가 되면 급행5번도 신흥버스 배차분이 줄어들고 있다.[17] 다만 이런 시간표는 테스트를 위해 일부로 여유롭게 주는 편이다. 승객들의 민원 추이와 기사들의 운행여건 등을 종합해 향후 정식 시간표가 배부되는 편. 다만 이 시간표는 연경지구의 미칠 듯한 차량 지정체를 고려한 것일 수도 있다. 게다가 연경LH천년나무2단지, 연경아이파크, 대원사 구간은 도로가 좁아서 차량들이 저속운행한다.[18] 공교롭게도 503번의 연장 공지가 올라오기 불과 며칠 전에 600번, 623번, 655번의 초장거리 운행으로 인해 노선 단축이 필요하다는 기사가 올라왔었다. 장거리라는 이유로 대폭 칼질해 버린 836번 이후에 꾸준히 노선이 길어지는 503번, 623번, 655번의 사례를 보면 대구시의 행동은 자강두천이다.[19] 651번도 수성구를 경유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효신네거리 → 망우당공원 구간 정류장(동문고교 구간 포함)이 수성구 만촌1동 소재이기 때문에 엄연히 수성구를 경유한다. 단지 동구 효목1동 및 효목2동과의 경계선을 따라갈 뿐이다.[20] 234번은 방천리공영차고지가 달성군 소재이고 524번은 매곡리공영차고지가 달성군 소재 이고 651번은 명곡지구가 달성군 소재이다.[21] CNG, 전기, 수소연료전지버스 3종이다.[22] 연경 방면 이용 시엔 대명5동행정복지센터가 아닌 다른 역 근처 정류소에서 내리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