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역(도시철도)

덤프버전 :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환승역 분리(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구역(역)
파일:Daegu1.svg




한국철도공사 기차역으로 갈아타기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Daegu Station
한자
大邱驛
간체자
大邱站
가나
大邱(テグ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남로30길 지하24 (칠성동2가)
관리역 및 고객센터
중앙로관리역 / 1고객센터
운영 기관
1호선
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
개업일
1호선
1998년 5월 2일
역사 구조
지하 4층(심도 16.6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
2. 역 정보
3. 승강장
4. 일평균 이용객
5. 환승 가능한 시내버스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90년대 대구역 북편 출입구[1]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32번,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남로30길 지하24 (칠성동2가) 소재.

경부선 대구역과 인접했다는 점을 이용해 대구역 민자역사롯데백화점 대구점 지하 2층 출입구로 향하는 통로가 있다. 지하상가와 연결되는 통로도 있는데, 통로 측면에는 지상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롯데백화점 대구점 주차장번개시장이 보인다.

그러나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 출구는 태평로상이 아닌 칠성남로의 북편에 소재해 있고, 이 쪽으로 연계되는 시내버스북구3번 하나밖에 없다. 따라서 시내버스 환승은 태평로상의 경부선 대구역이 훨씬 좋다. 굳이 대구역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한다면 대구역 북편 출구 쪽으로 조금 나가서 대구역북편네거리 정류장을 이용하거나, 롯데백화점 대구점 쪽으로 간 다음 지하상가를 빠져나오면 대구역 앞, 중앙대로 대중교통전용지구도 멀지 않다. 다른 곳으로 이동하려면 아무 것도 없는 대구 1호선 출구 대신 지하 통로로 가는 게 편리하다.

예전에는 전철 대구역으로 들어가다 보면 대학입시정보센터라는 코너가 있었는데 각종 대학 입시 요강들이 빼곡히 진열되어 있었다. 현재는 모두 철거되고 양말을 파는 작은 점포가 들어섰다.


2. 역 정보[편집]


도시철도 동대구역과 함께 외부 채광이 들어오도록 피라미드형 천장 구조물이 설치된 역사며,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공사로 인하여 동대구역의 피라미드형 천장 구조물이 제거된 후 유일하게 피라미드형 천장 구조물이 남아 있다. 지상에는 작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역소재지인 칠성동의 명칭 기원인 칠성바위가 지하철 역사가 조성될 때 대구시민회관 구내에서 이 곳으로 옮겨져 왔다.[2] 철길 쪽은 매우 어둡고 인적이 드물어 낮에도 으스스한 느낌이 든다.

중구 포정동에 있는 중앙로역 3, 4번 출구에서 경부선 대구역까지 걸어서 10분 이내, 전철을 타면 1분 거리로 매우 가깝다. 1, 2번 출구 쪽인 대구백화점 앞에서 커다란 경부선 대구역 폴사인이 잘 보일 정도니... 그래서 대구에서 대중교통 관련하여 하면 바보 소리 듣는 행동 두 가지 중 하나다. 하나는 중앙로 ↔ 대구역 전철 이용. 다른 하나는 반월당 ↔ 중앙로 전철 이용.[3] 이런 가까운 거리 때문에 대구 지하철 참사 당시 일부 승객들이 창문을 깨고 선로로 탈출, 대구역까지 걸어서 대피했으며 중앙로역 직접 진입이 어려워진 소방관들이 지하철공사 직원들과 함께 대구역에서 중앙로역까지 선로를 직접 걸어서 진입해 구조한 사례가 있다.

건설지에 따르면 5호선과의 환승역으로 계획되어 있으나 환승을 대비한 티가 난다던가 하는 것은 없다.

여담으로 대구 FC의 홈 구장인 DGB대구은행 파크까지 도보로 10분 거리다. 그 외에도 북부역에서 대구은행 통일로지점[4]으로 나간 후 북구 침산동 쪽으로 환승해서 갈 때 이 역이 유용하다.

역명은 경부선 대구역 역사가 위치해 있고 도시철도와 일반철도의 환승역이므로 ‘대구역’으로 제정되었다. 여기도 정식역명이 '대구역역'이다. 지하철 동대구역도 '동대구역역'이다. 1904년 경부선 철도 건설과 함께 대구역사가 건립되어 1906년 대구성곽이 헐리기 이전 대구성의 북문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대구 최초로 상업 활동이 이루어졌다. 민자역사가 세워진 2003년 이전까지 철도 대구역[5]과 도시철도 대구역은 직접 연결되지 않아 이동하려면 역 밖으로 나와 꽤 걸어야 했다.

당시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야구보러 온 사람들도 많았다. 대구역에서 걸어서 15분 정도였기 때문. 당시 많은 인기였고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의 마지막 경기였던 2015 한국시리즈를 보러 온 사람들도 있다.

2003년 롯데역사민자역사가 세워지면서 연결 통로가 개설되었지만, 롯데백화점 대구점이 하필이면 대구 지하철 참사가 일어난 직후에 개점하는 바람에 전철 연계는 중앙로역을 복구하기 위해서 한동안 지원되지 않다가 중앙로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형식으로 1호선 대구역의 영업을 재개한 그 해 10월이 되어서야 시작되었다.[6]

2013년 8월 31일 대구역에서 열차 추돌 사고가 일어났을 때 지하철 대구역과 가까운 대구역 북편(북부역) 출구에서 임시 셔틀버스가 선로 복구가 끝날 때까지 운행했다.

지상으로 나갈 수 있는 엘리베이터는 1번/2번 출구 사이와 3번/4번 출구 사이에 하나씩 있다. 이 엘리베이터는 바로타가 가능한 엘리베이터다. 설화명곡 방면은 1번/2번 출구 사이의 엘리베이터를, 안심 방면은 3번/4번 출구 사이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곧바로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일반 시민들은 이 역이 북구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잘 모르고 보통 중구의 역으로 생각한다. 동시에 경부선 대구역도 중구에 있는 줄 아는 시민이 많다. 이는 경부선 대구역이 결국 중구 동성로 방향으로 주출입구가 있고 도시철도 대구역도 실제 출구는 북편인 북구쪽에 있지만 이쪽이 경부선 대구역사 건물에 가려 존재감도 없을 뿐더러 앞은 저밀도 주거단지와 공장으로 이루어져 이 출구를 이용하는 승객은 거의 없다시피 하고, 보통 동성로 쪽에서 롯데백화점이나 지하상가를 통해 역사로 진입하기 때문이다. 고로 위치만 북구, 이용객은 거의 중구 동성로에서 온다는 점에서 특이한 역이다.

2016년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마치고 가동 중이다.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서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하다.


3. 승강장[편집]


파일:대구역(도시철도) 승강장.jpg
파일:대구역 안내도.png
역 안내도(칠성역이 칠성시장역으로 바뀌기 이전)
중앙로




칠성시장



4. 일평균 이용객[편집]


대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연도
파일:Daegu1.svg
비고

[ 2001년~2009년 ]
2001년
6,409명

2002년
6,756명

2003년
4,705명
[1]
2004년
14,488명

2005년
15,938명

2006년
22,542명

2008년
21,576명

2009년
21,526명

2009년
21,216명


2010년
20,965명

2011년
21,471명

2012년
21,293명

2013년
21,304명

2014년
20,686명

2015년
19,729명

2016년
19,384명

2017년
19,145명

2018년
18,800명

2019년
19,035명

2020년
12,180명

2021년
12,999명

2022년
13,707명

출처

[1] 출입구에 붙어있는 역명판과 영문 표기를 보면 최소 2000년 이전에 촬영된 사진으로 추정된다.[2] 역사 조성 전에도 이 곳은 나무가 울창한 놀이터와 노인정, 테니스장 등이 함께 있는 근린공원이었다.[3] 두 역 간의 거리가 약 700m다. 월배 ↔ 상인과 안지랑 ↔ 현충로 ↔ 영대병원 그리고 교대 ↔ 명덕 역시 마찬가지다.[4] 현재는 대구역북편네거리로 정류장 명칭이 변경되었다.[5] 대구시민회관 뒤에 임시 역사가 있었다.[6] 사고 이후 교대역~동대구역 구간이 운행이 중지되었고 각각 두 역을 시종착역으로 하여 갈라진 운행을 하게 된 바 있다. 동대구역은 전 역인 큰고개 건넘선을 통해 운행했다.

  • 2000년 이전의 승객 수 자료 없음

대구 1호선 대구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3,707명(2022년 기준)으로 경부선 대구역보다 4천 명 가량 많으나, 전 역인 중앙로역의 절반 이하에 불과하다. 그나마도 민자역사가 들어서 롯데백화점 대구점 상권이 형성되기 이전에는 하루 평균 6천여 명에 머무르다가, 백화점이 생기면서 무려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대구를 대표하는 철도역이 동대구역이라고는 해도, 대구역 역시 동대구역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데다 대구시내의 정중앙에 있어서 일반열차를 타려는 수요가 상당히 많다. 하지만 이 역에서 반월당역까지 이어지는 동성로 상권의 시작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승객이 많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이유에는 대구역 상권의 몰락을 들 수가 있다. 경부선이 생긴 이래 대구 상권은 대구역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대구읍성이 헐리고 옛 성곽의 동쪽 경계에 만들어진 동성로가 대구 최대 번화가가 될 수 있었던 이유도 바로 대구역과 가장 가까운 길이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대구의 상권은 태평로국채보상로 사이의 동성로를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이곳이 대구 최대 번화가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대구의 상권은 서서히 반월당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달구벌대로가 정비되고 성주경산을 잇는 주요 도로로 기능하기 때문에, 이쪽에서 오는 사람들이 찾기 쉬운 반월당역 부근에 상권이 발달함과 동시에 대구역 상권은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하필 대구역 상권이 몰락한 이후에 지하철이 개통되었기 때문에 1호선 대구역은 처음부터 저조한 승하차 인원을 기록할 수 밖에 없었고, 2003년 민자역사가 완공되고 롯데백화점 대구점이 개점한 이후에야 하루 평균 2만 명 이상으로 수요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동성로 - 중앙대로 방향이 아닌 경부선 북쪽으로 전철역이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사실 아무리 대구역 상권이 몰락했다 할지라도 2000년대까지는 어느 정도 힘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1만 명도 안 되는 숫자가 나올 리가 없었다. 그러나 상권이 있는 남쪽이 아닌 북쪽 광장에 역이 들어섰고, 이곳은 아주 오래된 주택들이 놓여진 구시가지라서 승객을 끌어모으기 어려웠다. 게다가 중앙대로 밑에 역이 놓인 것도 아니고, 칠성남로 밑의 이름 없는 골목길에만 출구가 놓여있어 외부에서 이 역을 찾아오기가 무척 불편했다. 게다가 첫 개통 당시에는 민자역사가 공사 중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이 역에 내려서 경부선 남쪽으로 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러한 문제로 동성로 상권과 전혀 연결되지 못하였고, 이것이 하루 평균 6천 명대의 공기수송을 했던 원인이었다. 이 문제는 민자역사가 개장하고 경부선 남쪽으로 가는 연결통로가 뚫린 2003년 이후에야 해결되었다. 즉, 2004년 이후의 급격한 수요 증가는 롯데백화점 대구점 이용객 뿐 아니라 동성로를 가는 승객이 같이 포함되어 있다는 이야기이다.

2006년에 하루 평균 2만 명을 돌파한 이래 2014년까지 꾸준히 2만 명대를 유지하였으나, 3호선이 개통되고 나서는 침산동, 고성동 쪽으로 가는 승객의 일부가 3호선으로 이탈하면서 수요가 약간 감소하면서 2만 명대가 붕괴되었다.

그러나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가 대구역 인근으로 이전했으며, 중구 태평로와 북구 칠성동 인근에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대구역의 미래는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5. 환승 가능한 시내버스[편집]


2022년 11월 현재 대구역 주변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경산시 시내버스 목록.

(경부선)대구역앞(05-323)

* 대구콘서트하우스앞 방면

간선









도시철도대구역앞(00-146)

* 대구역꽃시장 방면

지선



도시철도대구역건너(00-139)

* 대구소방안전본부건너 방면

지선



도시철도 대구역, 대구역북편네거리 정류장은 대구역 북편 출구 뒤쪽에 있다. 대구역 앞 큰길가(태평로 번개시장 쪽)에 있는 정류장은 대구역앞, 대구역건너. 본래 대구역북편네거리 정류장은 대구은행통일로지점이 정류장명이었다가 변경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대구역 문서의 r4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대구역 문서의 r4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각주]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0:20:43에 나무위키 대구역(도시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