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401 (r3판)

편집일시 :



파일:Seoul401-b.png
파일:DSCF2037.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401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서울버스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세종문화회관)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20
막차
22:30
막차
23:50
평일배차
8~13분
주말배차
토요일 11~15분 / 공휴일 15~17분
운수사명
서울버스
인가대수
26대(예비 1대)[1]
노선
서울버스종점 - 송파파인타운2.3단지 - 문정동현대아파트 - 경찰병원.서울동부고용노동지청 - 가락시장 - 수서역 - 일원본동주민센터 - 일원터널 - 삼성역 - 봉은사역 - 청담역 - 강남구청.강남세무서 - 강남구청역 - 학동역 - 논현사거리.논현역 - 고속터미널 - 반포대교 - 용산구청.크라운호텔 - 남산3호터널 → 롯데영프라자 → 조계사 → 덕성여중고 → 세종문화회관 → 시청앞.덕수궁서울역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 → 숭례문남대문시장 → 남산3호터널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서울버스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2.68km이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노선 자체는 구 37번 좌석버스(장지동 - 문정동 - 배명중고교 - 삼전동 - 종합운동장 - 봉은사 - 강남구청 - 논현역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크라운호텔 - 남산3호터널 - 광화문)와 유사하다. 사실상 송파가 아닌 수서를 경유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구 37번 좌석버스가 부활한 셈. 또는 구 43번 시내버스[2] 중에서 고속터미널 - 광화문 구간이 존치되어 이쪽으로 쳐줄 수도 있다.[3] 사실 저 구간이, 구 540번(입석)을 비롯하여 분당의 원조 고급좌석 1005번[4]등등 쟁쟁한 노선들이 다니던 구간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 서울역고가차도가 폐쇄되면서 2015년 12월 17일에 칠패로 우회 구간이 한국일보 앞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숭례문 중앙차로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으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회차 후 숭례문 가변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17년 9월에 2대가 유상감차되었다.

  • 2020년 2월 1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2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본래 14분이던 평일 최대 배차간격은 13분으로 줄고, 13분이던 공휴일 최소 배차간격은 15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1호선부터 9호선까지 모두 연계되는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다.

  • 3권역인 장지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하나, 수서역 방향으로 넘어가는 간선버스 노선이어서 4권역 번호를 받았다. 이는 402번과 461번도 마찬가지다.

  • 남대문시장 정류장의 경우 회차구간이 같은 406번과 달리 남대문시장(02126)에 정차하며[5] 신세계앞(02144)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한다.


  • 강남 일대는 직선 구간이 많지만 학동로, 영동대로 등 막히는 곳을 경유하는 문제점이 있다.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용에 참고할 것. 301번보다 노선이 더 길지만, 인가대수가 적다.

  • 반포대교남단 - 우리은행종로지점 구간은 143번, 406번과 완벽하게 겹친다.

  • 고속터미널에서 서울역이나 명동으로 이동할 경우 이 노선 대신해서 9007번 직행좌석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실제로 출퇴근시간대에 이 노선을 대신해 후자를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다만 후자는 조계사를 경유하지 않으니 조심해야 한다.

  • 삼성역과 서울역을 이어 주는 유일한 버스 노선이다. 그리고 서울특별시의 중요한 교통센터인 고속터미널과 서울역을 둘 다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40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4,995명
-
2014년
15,403명
△ 408
2015년
15,379명
▽ 24
2016년
14,440명
▽ 939
2017년
13,721명
▽ 719
2018년
12,906명
▽ 815
2019년
12,574명
▽ 332
2020년
8,918명
▽ 3,656
2021년
8,713명
▽ 205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6], 시청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 을지로입구역[7], 시청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경찰병원역[8], 가락시장역, 수서역, 일원역[9], 학여울역[10], 고속터미널역, 안국역[11]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12]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13]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담역, 강남구청역, 학동역, 논현역, 반포역,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 서울 지하철 8호선: 가락시장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고속터미널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서역, 대모산입구역[14], 강남구청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수서역(SRT),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공항철도 직통열차)


[1] 토요일 20대 / 공휴일 17대 운행[2] 2004년 1월에 41번 좌석에서 도시형으로 전환[3] 43번 중에서 알짜구간인 잠실역 - 고속터미널 구간은 서울승합 340번이 대체했다. 한동안 340번에 43번 연장이라고 붙은 것이 이 때문이다.[4] 다만 그 1005번은 2004년 1월에 이미 폐선된 상태였다.[5] 406번과 다른 노선들은 조금 뒤에 있는 남대문시장앞.이회영활동터(02219) 정류장에 정차한다.[6] 조계사 하차[7] 우리은행 종로지점 하차.[8] 경찰병원 하차.[9] 일원본동주민센터 하차.[10] 쌍용아파트, 대치동은마아파트 하차.[11] 덕성여중고 하차.[12] 세종문화회관 하차[13] 해방촌, 국군재정관리단 하차[14] 대치아파트, 개원중학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