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역(수도권 전철)

덤프버전 :

분류

수서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대화 방면
일 원
← 1.8 ㎞
3호선
(349)

오금 방면
가락시장
1.4 ㎞ →
청량리 방면
대모산입구
← 3.0 ㎞
수인·분당선
(K221)

인천 방면
복 정
3.2 ㎞ →




파일:SRT BI.svg SRT로 갈아타기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Suseo
한자
水西
간체자
가나
(西(
주소
3호선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270 (수서동 728)
수서평택고속선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 99 (수서동 214-16)
관리역 등급
분당선
관리역 / 2급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역 운영기관
3호선
서울교통공사
분당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3호선
1993년 10월 30일
분당선
1994년 9월 1일
분당선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3호선)
지하 4층 (수인·분당선)
승강장 구조
2면 3선 복합식 승강장[1] (횡단 가능, 3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수인·분당선)
철도거리표
왕십리 방면
대모산입구
← 3.0 ㎞
분당선
수 서
수원 방면
복 정
3.2 ㎞ →
시종착
수서차량기지
인입선

수서차량사업소
1.2 ㎞ →

1. 개요
2. 역 정보
2.1. 빠른 환승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교통
6.1. 수서역5번출구(23409)·수서역5번출구.이마트앞(23544)
6.2. 수서역(23408)
6.3. 수서역(23402)
6.4. 수서역KT수서지점(23403), 수서역(23871)
6.5. 수서역현대벤쳐빌(23401), 세종고등학교(23944)
6.6. 수서역.로즈데일빌딩(23410)
6.7. 수서역.KT수서지점(23404)
7. 기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 수도권 전철 3호선 349번[2].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270 (수서동 728) 소재.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21번[3].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 99 (수서동 214-16)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3호선 수서역.jpg


파일:수서역 수인분당선.jpg

3호선 대합실
수인·분당선 맞이방

파일:수서역(전철) 안내도(2023.7).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의 중심에 위치한 역이다.

분당선은 1994년부터 2003년까지 관리역이었으나 선릉역 연장 개통으로 인해 보통역으로 격하되었다가 2012년 4월에 분당선 왕십리역 연장 개통을 선반영하여 관리역으로 재승격하였다. 3호선 스크린도어는 진작에 가동하고 있었고 분당선측은 2011년 중순 도곡역과 비슷한 시기에 가동을 시작했다. 2010년 2월 17일까지는 3호선 종착역 기능하는 역할을 했으나 오금역까지 연장 구간이 개통하여 종전의 수서행은 대부분 오금행으로 변경되어 운행한다.

1990년대의 역세권 규모에 비해 역이 상당히 큰 편인데 이는 경부고속철도 시종착역 추가 계획의 흔적이다. 고속철도역은 20년이나 지나서 개통했지만 그 커다란 역 구조물은 잘 쓰이고 있다.


파일:20221205_133322.jpg

1993년 개업 당시의 수서역 폴사인 [4]

3호선은 수서차량사업소의 입출고역이었고 분당선이 처음 개통했을 당시에는 수서역이 종착역 기능을 했기 때문에 지하철을 이용하는 분당신도시 주민이라면 반드시 거치는 환승역이었다. 신분당선이 강남과 양재를 주파하고 있는 지금에 와서는 분당이나 수지 방면으로의 환승거점 역할은 많이 분담되었다.

그리고 이 역이 3호선의 종착역이던 시절의 건설 당시부터 가락시장 방면으로의 3기 지하철 연장[5]을 예정하고 있어서 회차선을 탄천 건너까지 길게 빼놓았는데 이는 지금은 철거했지만 8호선과의 연결선도 만들어서 5호선이나 8호선 전동차 반입에 사용했었고 본격적인 3기 지하철 건설 시에도 수월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모든 출입구는 서울교통공사에서 관리하며 수인·분당선과 3호선은 공통의 대합실을 이용한다. 대신 환승동선은 꽤 길기 때문에 처음에 찍고 들어갈 때 잘 보고 들어가야 시간을 더 까먹는 일이 없을 것이다. 수인·분당선 게이트를 찍고 3호선을 타러 가면 U자 모양으로 길게 돌아가야 하는데 이는 수인·분당선 게이트 들어가기 직전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중간층에 내리면 3호선 타러 가는 길은 가까운 편이니 참고해야 한다. 3호선 게이트를 찍고 수인·분당선을 타러 가면 3호선 승강장을 경유해야 한다. 3호선 대합실은 4번 출구 쪽에 가깝고 수인·분당선 대합실은 1번 출구 쪽에 가깝다.

SRT 연결통로가 2016년 12월 9일에 개통되었고, 도시철도 5번 출구 쪽으로 나 있다. 4번 출구로 나가도 SRT역으로 갈 수는 있지만 무빙워크가 있고 날씨의 영향을 적게 받는 지하 연결통로 이용을 추천한다.[6] 그러나 SRT역과 도시철도역은 출구 번호가 연동되지 않으므로 수서역 1번, 2번 또는 3번 출구에서 약속을 잡을 땐 고속철도인지 지하철인지 여부를 꼭 확인하도록 하자.

이웃한 4역[7]이 모두 수서역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수인분당선 직결로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다른 종착역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풀버전 송출과 다르게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의 하이라이트 버전으로 송출한다.

3호선은 일원역과 가락시장역 둘 다 수서역에서 2km 미만으로 떨어져 있으나, 수인분당선의 수서~복정 구간은 분당선 구간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길며, 수서~대모산입구 구간은 2번째로 길다. 이 구간들은 수도권 전철의 서울 밖을 지나지 않는 구간들 중에서도 최장 역간거리 3, 4위이다.[8]

2.1. 빠른 환승[편집]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대화/구파발 방면) →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3-1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당역종착/오금 방면) →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6-3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대화/구파발 방면) → 파일:SRT BI.svg
7-2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당역종착/오금 방면) → 파일:SRT BI.svg
4-2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왕십리/청량리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RT BI.svg
1-4, 6-1[9]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죽전/인천 방면) →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파일:SRT BI.svg
2-4, 5-2[10]

  • 3호선, 수인·분당선 등 수도권 전철과 SRT 타는 곳은 지하 연결 통로로 이어져 있어 SRT를 이용하기 위해 지상으로 나갈 필요가 없다.

2.2. 막차[편집]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3. 역 주변 정보[편집]


수서역 인근은 일원동과 함께 1990년대에 수서지구라는 택지지구로 개발된 곳이다. 처음부터 부도심으로 개발할 생각이 있었고 중산층을 이주 대상으로 했던 양재천 북쪽 강남지역과는 달리 이곳은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주거지구로 개발되었으며, 개발규모가 크지 않아서 미개발된 개발제한구역 역시 많이 볼 수 있다.

SRT 수서역이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수서역 인근은 개발이 제한된 곳이 많아 역세권이 그리 번화하지 못했다.

현재는 역세권개발사업수서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SRT 수서역세권 내에 위치한 서울 강남구 수서동 197 일원 115,927㎡ 규모의 대지에 역사·판매·숙박·업무·문화 공간 등을 포함한 수서역 환승센터를 복합개발하는 사업이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총합
비고

[ 1994년~2009년 ]
1994년
22,850명
2,219명
25,069명
비고
1995년
24,971명
2,994명
27,965명

1996년
24,053명
5,079명
29,132명

1997년
21,015명
6,302명
27,317명

1998년
19,809명
5,624명
25,433명

1999년
자료없음
5,256명
-

2000년
18,770명
자료없음
-

2001년
20,616명
5,370명
25,986명

2002년
22,384명
6,540명
28,924명

2003년
24,158명
9,219명
33,377명

2004년
23,746명
7,788명
31,534명
[1]
2005년
24,067명
10,877명
34,944명

2006년
23,972명
10,859명
34,831명

2007년
23,679명
10,912명
34,591명

2008년
26,386명
11,327명
37,713명

2009년
24,607명
11,508명
36,115명


2010년
21,472명
9,502명
30,974명

2011년
21,554명
9,256명
30,810명

2012년
21,777명
10,495명
32,272명

2013년
22,723명
15,091명
37,814명

2014년
24,849명
17,174명
42,023명

2015년
25,492명
18,784명
44,276명

2016년
26,387명
19,336명
45,723명

2017년
34,753명
28,872명
63,625명

2018년
36,611명
30,698명
67,309명

2019년
37,703명
31,325명
69,028명

2020년
27,756명
23,302명
51,058명

2021년
28,840명
23,967명
52,807명

2022년
32,601명
27,103명
59,704명

출처
파일:Seoulmetro3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11]
파일:SBLine_icon.svg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1] 1섬식, 단선식[2] 개정 전 39번. 현재 3호선의 39번은 고속터미널역이 가져갔다.[3] 개정 전 10번. 현재 수인분당선의 10번은 왕십리역이 가져갔다.[4] 2000년에 39번에서 349번 역으로 개정되었다.[5] 수서역-오금역 구간 연장[6] 그리고 4번 출구는 좁은데다가 에스컬레이터도 고장난 상태로 방치중이기 때문에 무거운 짐을 끌고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7] 수인분당선의 대모산입구역, 복정역, 3호선의 일원역, 가락시장역이다.[8] 1위는 공항철도 홍대입구~DMC, 2위는 같은 공항철도의 서울역~공덕.[9] SRT로 갈아탈 것이면 1-4, 3호선으로 갈아탈 것이면 6-1이 권장된다. [10] SRT로 갈아탈 것이면 5-2, 3호선으로 갈아탈 것이면 2-4가 권장된다. [11] 이전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2022년 기준으로 두 노선의 일평균 이용객을 합치면 59,704명이다.
  • 분당선의 이용객이 3호선을 추월한 도곡역과는 다르게 아직까지 3호선의 승하차객 수가 더 많다. 하지만 분당선의 이용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도곡역과 같은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있다.
  • SRT 고속열차가 개통되기 이전에는 동네 주민들이 외지로 나가기 위한 용도로만 주로 사용되었던 역이었다. 강남구이긴 하나 시외곽의 고립된 위치에 있고 환승객 수요는 나름 받쳐주지만 환승 게이트가 없어 집계가 안되므로 전적으로 지역 주민에게 수요를 의존했다. 그러나 2016년 12월 9일 SRT 고속열차가 개통되면서 새로운 경부선, 호남선의 간선교통 거점역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면서 이용수요가 매우 증가하였다.
  • 2016년 → 2017년 통계의 변화가 매우 극단적이다. 3호선 기준으로는 하루 평균 26,387명에서 34,753명으로 전년도보다 무려 8,366명이 증가했고, 분당선 기준으로는 하루 평균 19,389명에서 28,872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9,483명이나 증가해 무려 1.5배의 상승폭을 보였다. 게다가 이것은 교통 거점으로 거듭난 지 첫 해에 불과하므로 향후 몇 년간 지속적인 이용객 증가가 예측되는 곳이다.
  • 3호선은 2001년에 2만 명을 넘은 이래로 꾸준히 2만 명대의 수요를 유지하다가 2017년 SRT의 개통으로 갑자기 올라선 반면에 분당선은 하루 평균 5~6천 명 정도만이 이곳을 찾았으나 2003년 선릉역 연장 개통 이후 1만 명 내외로 2배 가량 상승했고, 2012년 왕십리역 연장 개통 이후에는 1만 명대 후반으로 1.5~1.8배 더 올랐다가 2017년 SRT 개통으로 1년 만에 1.5배 증가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용객 증가에서는 분당선 수서역이 전국에서 손꼽을 것이다.
  • 수서역 남쪽으로 수서역세권개발사업이 진행중이고 송파하남선을 통해 교산신도시로 연장되면 승객이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5. 승강장[편집]



5.1.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파일:수서역 지하1.png

3호선 승강장[12]


파일:수서역교체후역명판.jpg

3호선 역명판[13]

일원
2


1
3

가락시장
기지

1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도곡·교대·충무로·대화 방면
2
당역종착/경찰병원·오금 방면
3
수서발 도곡·교대·충무로·대화 방면
이 역은 가락시장 방면으로 5퍼밀 하구배가 있다.

대화 방면 승강장 1-2번 중앙 기둥에 2000년 이전에 사용된 구형 역명판이 남아 있다.사진

2010년 3호선 연장개통[14] 개통 이전엔 종착역이었기 때문, 2개의 대화행, 1개의 오금행 선로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자리의 대화행 선로는 첫차 발차용으로만 이용된다. [15]

2기 지하철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지상역들을 제외하고 서울시내 3호선 전체 역들 중 깊이가 제일 얕다.[16]

서울 3호선 수서소속 승무교대가 이 역에서 이뤄진다.

심야시간대에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1편성이 이 역에서 주박후 첫차시간대 오금역으로 회송한다.
-평일
#K3415->(다음날) 오금역으로 회송->#K3024
-주말 및 공휴일
#K3351->수서역으로 회송 후 주박->(다음날) 오금역으로 회송->#K3014

평일 기준, 막차시간은 다음과 같다.
상행: 23:10 K3422(대화행)[17] 23:58 S3430(구파발행)[18] 00:14 S3432(독립문행)[19] 00:32 S3434(압구정행)[20]
하행: 00:43 S3413(오금행)[21]

토요일 및 공휴일 기준, 막차시간은 다음과 같다.
상행: 22:30 K3356(대화행)[22] 23:06 S3364(구파발행)[23] 23:18 S3366(독립문행)[24] 23:33 S3368(압구정행)[25]
하행: 23:55 K3351(오금행)[26]


5.1.1. 수서역 출발열차 시간표[편집]


첫차 시간대 및 출퇴근시간대에는 일부 열차가 당역에서 출발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만 당역에서 출발한다.
평일
-05:22 #S3018 구파발행
-05:30 #S3022 대화행
-05:48 #S3028 구파발행
-06:02 #S3036 구파발행
-06:11 #S3042 구파발행
-06:21 #S3048 구파발행
-06:26 #S3050 대화행
-06:35 #S3054 구파발행
-06:45 #S3058 대화행
-06:54 #S3062 대화행
-07:02 #S3066 구파발행
-07:19 #S3074 구파발행
-07:43 #S3086 구파발행
-07:58 #S3094 구파발행
-08:12 #S3102 대화행
-16:23 #S3272 대화행
-16:51 #S3282 구파발행
-17:20 #S3294 대화행
-17:34 #S3300 구파발행
-17:44 #S3304 구파발행
-18:19 #S3320 대화행
주말 및 공휴일
-05:25 #S3012 대화행
-05:39 #S3016 구파발행
-05:52 #S3020 구파발행
-06:05 #S3024 구파발행
-06:17 #S3028 구파발행
-06:29 #S3032 구파발행
-09:05 #S3090 대화행
-12:17 #S3154 대화행

5.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편집]



파일:IMG_9333.jpg

수인·분당선 승강장


파일:20221228_064018.jpg

수인·분당선 역명판

대모산입구
2


1
복정


평일기준, 막차시간은 다음과 같다.
상행: 18:25 K6168(청량리행)[27] 23:58 K6234(왕십리행)[28]
하행: 21:57 K6603(인천행)[29] 22:41 K6607(오이도행)[30] 23:15 K6243(고색행)[31] 23:59 K6251(죽전행)[32]

6. 연계교통[편집]



6.1. 수서역5번출구(23409)·수서역5번출구.이마트앞(23544)[편집]


수서역5번출구(23409) 수서역5번출구.이마트앞(23544)
4, 5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강남, 잠실 방면
수서역(23408)
6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세곡동, 성남(판교) 방면
수서역(23402)
2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강남, 잠실 방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마을버스
지선

마을

경기도 시내버스
직행좌석



6.4. 수서역KT수서지점(23403), 수서역(23871)[편집]


수서역KT수서지점(23403)
1-1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세곡동, 장지동 방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지선


수서역(23871)
1-1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세곡동 방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마을



6.5. 수서역현대벤쳐빌(23401), 세종고등학교(23944)[편집]


수서역현대벤쳐빌(23401)
3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지선

서울특별시 공항버스
공항

경기도 시내버스
시내일반


세종고등학교(23944)
3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마을



6.6. 수서역.로즈데일빌딩(23410)[편집]


수서역.로즈데일빌딩(23410)
4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수서역.KT수서지점(23404)
1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1><height=32>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 버스 목록 ]



7. 기타[편집]


개그콘서트 700회 특집 수다맨 코너에서 여의도역으로 가려는 김지민에게 강성범이 3호선 노선도를 수서까지 언급하고 나서 수서역에서 택시를 타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수서에서 여의도까지의 거리는 20㎞가 넘는다.
파일:suseo-yeouido.jpg
수서역에서 여의도역까지 22.3㎞에 소요 시간 30분으로 나와 있지만, 이는 차량 정체가 상당 부분 해소된 토요일 21시 이후에 검색한 결과를 캡처한 것이다. 22.3㎞를 30분만에 이동하려면 평균 시속 44.6㎞가 나와야 가능한데, 이는 평일의 출퇴근시간에 올림픽대로의 교통량을 생각한다면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택시비도 당시 기준 무려 18,100원.[33] 수서역에서 대전역까지의 SRT 운임 20,100원을 넘어설 뿐더러, 교통 상황에 따라 가산요금이 붙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점을 감안하면, 수서역에서 여의도역까지 택시를 타고 가는 비용과 시간으로 대전역까지 SRT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경제성이 있다. 수서역에서 여의도역을 가고자 한다면, 수인·분당선을 타고 선정릉역에서, 혹은 3호선을 타고 고속터미널역에서 9호선 급행을 이용하면 1,450원으로 40분만에 이동할 수 있다.

앞 문단의 팁을 이용하여, 수서역에서 고양시 능곡초등학교까지 63분만에 도달한 사람이 있다. # 당산역에서 백석동까지 자유로 직통으로 연결하는 고양 버스 830번이나 고양 버스 1500번을 이용할 경우, 수서역에서 백석역까지 1시간 만에 찍을 수 있을 듯. 참고로 수서~백석 구간은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환승 없이 이동하는 경우 81분이 소요된다.

8. 둘러보기[편집]









[12] 가락시장 방면, 당역종착 승강장이다.[13] 파일:3호선 수서역 역명판.jpg
역명판 교체 전의 모습
[14] 가락시장역, 경찰병원역, 오금역 [15] 파일:IMG_0357.jpg 가장자리의 선로에는 역명판에도 일원 - 수서 - 가락시장이 아닌, 일원 - 수서로만 표기되어있다.[16] 3호선에서 심도가 가장 깊은 역은 충무로역이다[17] 대화~지축구간, 일산으로 가는 마지막 열차[18] 구파발~무악재구간, 은평구로 가는 마지막 열차[19] 독립문~옥수구간, 서대문구, 종로구로 가는 마지막 열차[20] 압구정~일원구간, 강남구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자, 상행 전체 막차[21] 오금~가락시장구간, 송파구로 가는 막차이자, 하행 전체 막차[22] 대화~지축구간, 일산으로 가는 마지막 열차[23] 구파발~무악재구간, 은평구로 가는 마지막 열차[24] 독립문~옥수구간, 서대문구,종로구로 가는 마지막 열차[25] 압구정~일원구간, 강남구로 가는 마지막 열차이자, 상행 전체 막차[26] 오금~가락시장구간, 송파구로 가는 막차이자, 하행 전체 막차[27] 청량리구간 막차. 다만, 이 열차를 놓쳐도 뒤에 오는 왕십리행을 타고 왕십리에서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면 청량리로 갈 수 있다.[28] 왕십리~대모산입구구간, 성동구로 가는 막차이자, 상행 전체 막차[29] 인천~달월구간, 인천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30] 오이도~오목천구간, 안산시와 시흥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31] 고색~보정구간, 수원시로 가는 마지막 열차[32] 죽전~복정구간, 용인시와 성남시로 가는 막차이자, 하행 전체 막차[33] 캡쳐된 파일은 택시요금 인상 전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0:00:33에 나무위키 수서역(수도권 전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