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삼성전자

덤프버전 :

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사업
DX부문VD사업부 | DA사업부 | MX사업부 | 의료기기사업부 | 네트워크사업부
DS부문메모리사업부 | S.LSI사업부 | 파운드리사업부
SDC부문OLED사업부 | 이매진#미국 기업
HARMAN부문BANG & OLUFSEN | Bowers & Wilkins | Infinity | JBL | 마크 레빈슨 | REVEL | 하만카돈 | AKG | ARCAM | 렉시콘 | AMX | BSS | Crown | dbx | Martin | Soundcraft | AIR | 플럭스 | roon
서비스
매장삼성닷컴 | 삼성스토어 | 삼성 킹스크로스 | 갤럭시 하라주쿠
서비스삼성전자서비스
Samsung Care+ | Galaxy To Go | My 갤럭시 클럽 | 갤럭시 트레이드인 | 갤럭시 아카데미
계열사
자회사삼성전자서비스 | 삼성전자판매 | 삼성전자로지텍 | 삼성전자 재팬 | 삼성메디슨 | 세메스 | 하만 | 플런티 | 셀비 | 스마트싱스 | 콰이어트사이드 | 프린터온 | 프록시멀데이터 | 심프레스 | 루프페이(삼성페이) | 에스코 일렉트로닉스 | 조이언트 | 애드기어 | 데이코 | 비브랩스 | 뉴넷 캐나다 | 스테코 | 미래로시스템 | 도우인시스 | 지에프 | 희망별숲 | 에스유머티리얼스
합작사에스유머티리얼즈 | 스테코 | TSST
교육삼성전자공과대학교 | 삼성종합기술원 | 삼성디자인교육원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삼성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전자삼성전자 (세메스 · 하만) |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코닝어드밴스드글라스 · 코삼테크놀로지 · 에스유머티리얼스) | 삼성SDI (에스티엠 · 에스디플렉스) | 삼성전기 | 삼성SDS (미라콤아이앤씨 · 시큐아이 · 오픈핸즈 · 에스코어)
바이오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바이오에피스 | 삼성메디슨
금융삼성금융네트웍스 (삼성생명 | 삼성화재 | 삼성카드 | 삼성증권 | 삼성선물 | 삼성자산운용 | 삼성벤처투자)
중공업·건설삼성중공업 | 삼성이앤에이 | 삼성물산 건설부문 (씨브이네트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서비스삼성물산 (상사부문 · 패션부문 · 리조트부문) | 호텔신라 (신라스테이) | 제일기획 (삼성스포츠) | 에스원 (휴먼티에스에스 · 에스원CRM) | 삼성글로벌리서치 (삼성EHS전략연구소) | 삼성의료원 | 삼성웰스토리 | 멀티캠퍼스 | 에스비티엠
사회공헌 | 문화예술
사회복지삼성복지재단 | 삼성생명공익재단 | 삼성화재안내견학교
환경보전삼성안전환경연구소
언론재단삼성언론재단
과학기술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자원봉사삼성법률봉사단
문화재단삼성문화재단 | 호암재단
미술관리움미술관 | 호암미술관
박물관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
문화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장학삼성꿈장학재단
학교학교법인 성균관대학 | 학교법인 충남삼성학원
기타삼성의료재단 | 대구삼성창조캠퍼스 | 삼성인력개발원
역대 총수 · 현임 경영진




파일:영국 원형.png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파일:영국 국장.svg
Royal Warrant Holders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의 지역별 이동통신 기지국 제조사
[ 펼치기 · 접기 ]

Clean Network 인증Clean Network 미인증
파일:SK텔레콤 로고.svg파일:KT 로고.svg[[파일:KT 로고 화이트.svg파일:LG U+ 로고.svg
파일:삼성 워드마크.svg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도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대전광역시, 충청도 일부, 광주광역시, 전라도 일부, 경기도 남부 일부[1], 제주도
파일:에릭슨 로고.svg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도강원도, 세종특별자치시, 경상도[2]충청도 일부, 전라도 일부, 강원도 일부
파일:nokia_new_logo.svg광주광역시, 전라도, 강원도, 제주도대전광역시[3], 충청도[4], 광주광역시[5] 전라도[6], 제주도[7]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도, 경기도 남부 일부[8]
파일:화웨이 로고.svgXX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일부, 강원도 일부, 경기도 북부, 경기도 남부 일부[9]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1] 성남시, 광주시[2] 부산, 울산 제외[3] 5G 장비 전부 삼성장비를 사용하고 LTE 장비는 노키아 장비를 사용[4] 5G 장비 전부 삼성장비를 사용하고 LTE 장비는 노키아 장비를 사용[5] 5G 장비 일부만 삼성장비를 사용[6] 5G 장비 일부만 삼성장비를 사용[7] 5G 장비 일부만 삼성장비를 사용[8] 5G 장비 설치시 기존 LTE 장비 철거 후 화웨이와 삼성장비로 교체중[9] 하남시, 김포시











RE100선언 국내 기업
Gold Member
||









팹리스 반도체 제조 회사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ta-hash-start=w-ab1991b977dbb108c0a36a3475d0bc48[[파일:LX세미콘 로고.svgta-hash-start=w-39cd07db4e46ea3704abae9980d11b92[[파일:제주반도체1.pngta-hash-start=w-da34f30d704b7f6a39e077991da5a85a[[파일:abovlogo.pngta-hash-start=w-b12666731b29b9cfd47465af4a508953[[파일:삼성 워드마크.svg[[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ta-hash-start=w-1b43d7fba7dc52fefb991f89812705ad[[파일:TLI 로고.png
ta-hash-start=w-5ebf7203dd113db1b864469b2c23fad5[[파일:DongWoonlogo.pngta-hash-start=w-33daec0dbf4ef64ec090615b090388ac[[파일:칩스앤미디어 로고.pngta-hash-start=w-ac16ada766a84da330763d31e36af6cd[[파일:pixel_logo.jpgta-hash-start=w-77ebef784ecdb4ce5591340311adb2e9[[파일:하나마이크론.jpgta-hash-start=w-1968e73cfcb43ede6c35cf8ef0f7d1d3[[파일:Q8BSeL2.jpg
ta-hash-start=w-3d3f298f60a4333ec4c3916bf59aad87[[파일:Anapass_logo.pngta-hash-start=w-8999501312aae4ed78225c60b323a0f6[[파일:imagis_logo.pngta-hash-start=w-dc1f1e86d49bb24cdec5c39d3f59143b[[파일:아이앤씨_logo.pngta-hash-start=w-0ffb9a9e8b69c347b20f297ae393c6b8[[파일:현대모비스 로고.svg[[파일:현대모비스 로고 화이트.svgta-hash-start=w-3bc4d452b20e38b525cb377b38b0561f[[파일:파두 로고.png
ta-hash-start=w-e2299ee16dcb4ea787ba9f9e8396a26e[[파일:Furiosa_AI_h_rgb.png
대만
ta-hash-start=w-0c4f54575c69e0c77105be10f0499deb[[파일:realtek.svgta-hash-start=w-bb83d7c0cd2928b6da5d26ceb1a98753[[파일:미디어텍 로고.svg
중국
ta-hash-start=w-d69762da81e1d0a33b4d3839e7108eb8[[파일:하이실리콘 로고.svgta-hash-start=w-8afc0327c6d499ed20c99d2a2502c7b9[[파일:UNISOC 로고(1).svgta-hash-start=w-576c3785650e065995fd785f9c08dba6[[파일:Bestechnic.pngta-hash-start=w-169c6230c46c06fd863577a101832bf7[[파일:알리바바 그룹 로고.svgta-hash-start=w-79fc3070bcfc1f4125855692285a3a69[[파일:텐센트 로고 블루.svg[[파일:텐센트 로고 화이트.svg
ta-hash-start=w-a91e05fecf8e5dab788490b917dfff08[[파일:바이두 로고.svgta-hash-start=w-8880ca0deddd14fc387dca5cd9538fa0[[파일:ByteDance_logo.pngta-hash-start=w-7bd89d300d39ced373d95ee7eb3c4b78[[파일:비야디 자동차 BI.svgta-hash-start=w-0aff79643e0e8ce75a892aa9a9e736f4[[파일:OPPO 로고.svgta-hash-start=w-58df5c4f13e698517e6a9aa00e311f9a[[파일:샤오미 아이콘.svg
ta-hash-start=w-b3d97fc266bb8892b7d48aadd19aca31[[파일:vivo(기업) 로고.svg
미국
ta-hash-start=w-2c62462680dc2de3ba2853a5728af2e5[[파일:퀄컴 로고.svgta-hash-start=w-0a979f021ded11b1db1a9468d6a65826[[파일:NVIDIA 로고.svg[[파일:NVIDIA 로고 화이트.svgta-hash-start=w-f0a004b1f4d4817dc596c6a590e68c1f[[파일:브로드컴 로고.svgta-hash-start=w-bccb030132d49adc015f42fd21a0cb5b[[파일:AMD 로고.svg[[파일:AMD 로고 화이트.svgta-hash-start=w-2aca752107ac2bde4cd02805118de503[[파일:IBM 로고.svg
ta-hash-start=w-6bbbbb2a10edb63babf298ec360b299b[[파일:Apple 로고.svg[[파일:Apple 로고 화이트.svgta-hash-start=w-2ac5f9cb8a8e89382c2fc21937c21ae6[[파일:테슬라 로고.svgta-hash-start=w-9303278c089225bea78aa6104f679b36[[파일:텔레칩스 로고.pngta-hash-start=w-49aea21a9ed85c3bd530a37df3de1c7e[[파일:XILINX Logo.pngta-hash-start=w-fc8d5986a039ea16ecfd79ac1c20a0b1[[파일:Lattice_Semiconductor_logo.svg
ta-hash-start=w-0bf484e09e7c18d91a299a904abad43e[[파일:램버스 로고.svg
영국
ta-hash-start=w-7b6e3742792c1e9460c4d70a5bb873b7[[파일:Arm 로고.svg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주요 반도체 제조 업체 (매출 순위)
⠀[ 낸드플래시 ]⠀

메모리
낸드플래시
1위 (34.3%)2위 (19.5%)3위 (15.9%)4위 (15.1%)
파일:삼성 워드마크.svg파일:키오시아 로고.png[[파일:키오시아 로고 화이트.png파일:Western_Digital_logo_(2022).svg[[파일:Western_Digital_logo_(2022)_white.svg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램 ]⠀

메모리
D램
1위 (42.8%)2위 (27.2%)3위 (24.7%)
파일:삼성 워드마크.svg파일: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로고.svg[[파일: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로고 화이트.svg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운드리 ]⠀

파운드리1위 2위3위4위5위
파일:TSMC 로고.svg파일: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로고.png파일:UMC 로고.svg파일:글로벌파운드리 로고.svg파일:SMIC-Emblem.png
파일:대만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대만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

⠀[ HBM ]⠀



삼성전자
Samsung Electronics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Do What You Can't
법인명정식: 삼성전자주식회사[1]
영문: Samsung Electronics Co., Ltd
모기업삼성
창립일1969년 1월 13일 (55주년)
창업주이병철
회장이재용
대표이사한종희, 경계현
임원진
[ 펼치기 · 접기 ]
회장 이재용(회장)
회장 김기남 (SAIT 회장)
대표이사 부회장 한종희 (DX부문장)
부회장 정현호 (사업지원T/F장)
대표이사 사장 경계현 (DS부문장)
사장 노태문 (MX사업부장)
사장 박학규 (CFO)
사장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기타 사외이사 제외)
주소본사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 (매탄동)
삼성디지털시티

캠퍼스
[ 펼치기 · 접기 ]

삼성디지털시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 (매탄동)
스마트시티 구미1사업장
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 244 (공단동)
스마트시티 구미2사업장
경상북도 구미시 3공단3로 302 (임수동)
나노시티 기흥캠퍼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삼성로 1 (농서동)
나노시티 화성캠퍼스
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로 1-2 (반월동)
나노시티 온양캠퍼스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배방로 158 (북수리)
나노시티 평택캠퍼스
경기도 평택시 삼성로 114 (고덕동)
그린시티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6번로 107 (오선동)
서울R&D캠퍼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성촌길 56 (우면동)
미국연구소
665 클라이드 애비뉴, 마운틴 뷰, CA 94043
인재개발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천동로 59 (서천동)
삼성디자인교육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725 (논현동)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다국적 기업)
규모대기업
업종이동전화기 및 반도체, 기타 가전제품 제조업
시가총액463조 6,900억 원[기준][2]
링크파일:삼성 파비콘.svg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삼성닷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코리아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글로벌 뉴스룸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반도체 부문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자본금8,975억 1,382만 원(2022년 기준)
매출액연결: 302조 2,313억 6,041만 6,546원(2022년 기준)
별도: 211조 8,674억 8,297만 5,540원(2022년 기준)
영업 이익연결: 43조 3,766억 3,016만 1,680원(2022년 기준)
별도: 25조 3,193억 2,897만 2,883원(2022년 기준)
순이익연결: 55조 6,540억 7,691만 9,580원(2022년 기준)
별도: 25조 4,187억 7,763만 8,104원(2022년 기준)
자산 총액연결: 448조 4,245억 699만 9,315원(2022년 기준)
별도: 260조 837억 5,031만 786원(2022년 기준)
부채 총액연결: 93조 6,749억 328만 2,824원(2022년 기준)
별도: 50조 6,675억 5,874만 3,206원(2021년 기준)
상장 여부상장 기업
시장
정보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1975년~ )
런던증권거래소[1]
룩셈부르크 증권거래소
[2]
편입
지수
코스피
KRX100
KOSPI200
종목
코드
KS: 005930(보통주)
KS: 005935(우선주)
직원 수123,668명(2023년 6월 기준)[3]

[1] 글로벌주식예탁증서 보통주[2] 글로벌주식예탁증서 우선주[3] 삼성전자 별도 법인에 속하는 한국 직원은 2022년 12월 기준 121,404명으로 어마어마한 규모를 자랑한다(국내직원 비중 39.7%). 이 수치는 별도의 법인인 삼성디스플레이(2만 4천여 명)· 물류서비스판매 자회사(7~8,000명)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삼성전자는 직접고용 외에 삼성D를 합쳐 3~4만 명의 간접 고용 인력을 두고 있는데(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이를 모두 더하면 직간접적인 한국 고용 규모는 대략 15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1. 개요
2. 상세
3. 브랜드 아이덴티티
3.1. CI
3.1.1. 1969 ~ 1979
3.1.2. 1980 ~ 1992
3.1.3. 1993 ~ 현재
3.1.4. 2015 ~ 현재
3.2. 슬로건
3.3. 브랜드 뮤직
7. 경영
7.1. 경영진
7.1.1. 대표이사 회장
7.1.2. 회장
7.1.3. 부회장
7.1.4. 대표이사 부회장
7.1.5. 대표이사 사장
7.1.6. 대표이사 부사장
7.1.7. 대표이사 전무
7.2. 지배구조
7.3. 자회사
7.4. 경영 이념
7.5.1. 친환경 제품
7.5.2. 친환경 R&D
7.5.3. 친환경 서비스
8. 공식 채널
8.1. SNS
9. 직장 생활
11. 기타
11.1. 참고 문헌
11.2. 하위 문서
11.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삼성그룹의 계열사로 대한민국에 본사를 두고 전자제품을 제조하는 대한민국 최대의 다국적 기업이다. 창사 이래로 세계 시장에서 매우 큰 성공을 이루어냈으며, 현재 가장 인지도 높은 한국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 상세[편집]


대한민국에서 가장 거대한 단일 기업임과 동시에 삼성그룹에서 가장 큰 기업이기도 하다. 코스피 시장의 최대 거물.[3]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230여 개[4]의 삼성전자 본사와 계열사와 자회사를 모두 포함한 매출을 전부 합쳐놓은 연결 매출액이다.

외부감사 회계법인은 삼일회계법인이 전담했다. 다만 2019년, 2020년 경 금융감독원이 시행하는 지정감사제에 따라 주로 Big 4라고 일컬어지는 대형 회계법인끼리 돌아가며 외부감사를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3. 브랜드 아이덴티티[편집]



3.1. CI[편집]


파일:external/samsungtomorrow.com/che_10.jpg


파일:삼성전자 로고(1969-1979).svg
1969 ~ 1979


파일:삼성전자 로고(1980-1992).svg
1980 ~ 1992


파일:삼성 로고.svg
1993 ~ 현재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2015 ~ 현재

삼성전자의 로고
삼성닷컴의 회사소개 (브랜드 아이덴티티 > 로고)


3.1.1. 1969 ~ 1979[편집]


1969년부터 삼성상회의 별표국수에 쓰이던 3개의 별 로고를 쓰다가 1978년 미국 현지법인 설립 이후 자사 제품의 직접판매에 주력하기 시작했는데, 당시만 해도 해외 수출시장에 적용시킬 통일된 규정이나 표준이 없어서 로고를 무원칙하게 사용해 현지 판촉 활동을 하였지만, 이는 본사의 이미지 분산만 초래할 따름이었다. 또 당시 사용하던 상표는 미국철강협회의 'Steelmark'와 유사해 미국 내에선 상표등록이 불가하여 수출을 회사명으로만 명기하는 바람에 이미지 손실을 야기하는 등 기업의 국제화에 따른 CIP 제정 작업이 시급해졌다.


3.1.2. 1980 ~ 1992[편집]


1979년부터 본사는 'CIP도입 추진위원회'를 발족하여 그해 12월에 세계적인 CIP 전문 업체인 디자인웨스트 사에 의뢰하여 1980년 2월 들어 CIP가 처음으로 제정되었고, 1981년 1월부터 1993년 3월까지는 이름 그대로 별 세개가 박혀있는 로고를 썼었다. 상호명이나 경영공시 등 공식 문서, 사기(회사 깃발) 등지에서는 기존 삼성그룹 로고를 병행해서 쓴 경우가 있다. 당시 CIP의 상징을 말하자면, 상표는 트라이스타의 이미지에서 도출하여 전자산업의 합리적이고 진취적인 성격과 제품의 품질 및 정밀성을 표현하여 전자 관계사와의 상호 연관성과 유대관계를 상징하였다. 또 해당 로고는 전자기술의 섬세함을 표현하여 전자회사로서의 느낌을 강하게 심어주어 경쟁사와의 심벌과 차별화를 기하였다.

김문석, 이찬규, '기업이미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Korea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5(2), 2020.#


옛 CI도 1969년(1기)와 1980년(2기) 형태가 다르다. 아마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태어난 사람이라면 어렸을 적 2기 CI를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5]

2기 로고를 사용하던 시절 1988년 이전에는 일중체로 '三星電子' 한자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했지만, 동년 11월 1일 삼성반도체통신을 합병하면서 삼성전자 한글 인쇄체로 바뀌었다.


3.1.3. 1993 ~ 현재[편집]


1993년 4월부터 익숙한 타원형 CI를 쓰기 시작했다.[6] '오벌 마크'라고 부르기도 한다.
2015년부터는 전자 측에서 대외적으로는 아래의 워드마크만 쓰고있으나 폰트를 통해 그룹의 정체성은 여전히 남겨두고있고 사내와 그룹 단위에서는 여전히 오벌 마크도 폐기하지 않았다.


3.1.4. 2015 ~ 현재[편집]


파일:삼성전자 로고 변경 역사.png

우리 로고는 영어로 된 브랜드명 ‘Samsung’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재의 레터마크 디자인은 로고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람의 눈이 시각적 신호를 인지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2005년에 이루어진 개선 작업의 결과입니다. 글자 간 간격과 글자별 높이를 섬세하게 조정하여 조화로운 시각적 균형감이 완성된 레터마크를 디자인했습니다. 이렇게 정교하게 시각적 균형과 타이포그래피를 조정하여 탄생한 레터마크는 최고를 지향하는 우리의 노력을 표현하고 인간 중심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5년 3월부터(한국에는 6월부터) 삼성전자의 CI가 워드마크를 차용하면서 삼성그룹 CI가 통일된 지 22년만에 변경되었다.[7] 삼성전자, 46년 만에 CI 바꾼다. 그 이유는.

바뀐 CI로 기존의 그룹 전체에 적용된 타원형 CI에서 워드마크인 SAMSUNG으로 변경되었다. 별도의 고지는 없었지만 대외 홍보물에서 더 이상 타원형 CI를 쓰지 않고 있다. 또한 삼성의 상징인 푸른색과 검정색 마크를 병행 사용하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S 시리즈의 최신 플래그쉽 모델인 갤럭시 S6 | S6 edge의 로고를 새로 만들면서 기존 삼성전자 제품에 들어가는 삼성 폰트 또한 자사의 워드마크로 변경, 삼성전자 모든 제품에 까지 적용하여 BI를 통일시킨 것을 시작으로 주력 제품인 갤럭시 S6를 제작하면서 기업 쇄신과 새로운 원년으로 삼은 것이 CI를 변경한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물론 세계 주요 기업들의 CI가 대부분 영문으로 되어있는 것이 많아 이런 추세에 편승 또는 가독성 면에서 변경한 것으로도 보인다. 삼성전자 제품에도 이전부터 타원형 CI가 아닌 워드마크를 채용하고 있어 브랜드 통일 작업의 일환일 수도 있다.


3.2. 슬로건[편집]


앞서가는 새기술 (1974년 ~ 1983년)


풍요로운 미래창조 (1983년)


최초생산으로 기술인정 최다 수출로 품질인정 (1983년)


세계가 인정한 기술 세계가 인정한 품질 (1983년 ~ 1988년)


첨단기술의 상징 (1984년 ~ 1988년)[8]


휴먼테크 (1986년 ~ 1992년)[9]

[10]


인간과 호흡하는 첨단기술 (1988년 ~ 1992년)


기술의 힘으로 세계와 겨루는 삼성전자 (1993년)


新휴먼테크: 고객사랑 제품사랑 환경사랑 (1993년)


세계 1등 품질에 도전한다 (1994년)


고객 신 권리선언 - 작은사랑 큰실천 (1994년)


세계 1등 제품만을 만들겠습니다 (1994년 ~ 1995년)


멀티미디어의 삼성전자 (1995년 ~ 1997년)


Smart & Soft (1996년 ~ 1997년)


또 하나의 가족 (1997년 ~ 2009년)


How to Live Smart (2011년 ~ 2012년)


Do What You Can't (2017년 ~ 현재)[11]


가전을 나답게 (2020년 ~ 현재)[12]



3.3. 브랜드 뮤직[편집]


||
The Voyage | Over The Horizon | Beyond The Horizon | 삼성 튠




4. 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대한민국
삼성디지털시티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매탄동)
삼성타운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4길 11(서초동)
삼성 서울R&D캠퍼스서울특별시 서초구 성촌길 33(우면동)
삼성 나노시티 (기흥 캠퍼스)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삼성로 1(농서동)
삼성 나노시티 (화성 캠퍼스)경기도 화성시 삼성전자로 1(반월동)
삼성 나노시티 (평택 캠퍼스)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삼성로 114
삼성 나노시티 (온양 캠퍼스)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배방로 158 (북수리)
삼성 스마트시티 (1사업장)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 244(공단동)
삼성 스마트시티 (2사업장)경상북도 구미시 3공단3로 302(임수동)
삼성 그린시티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6번로 107(오선동)
천안캠퍼스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번영로 465 (성성동)
아산캠퍼스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삼성로 181 (명암리)
해외 (DX 부문)
북미 총괄85 Challenger Rd., Ridgefield Park, New Jersey, USA
구주 총괄2000 Hillswood Drive, Chertsey, Surrey, UK
일본 총괄Iidabashi Grand Bloom, Fujimi, Chiyoda City, Tokyo, Japan
동남아 총괄30 Pasir Panjang Rd., Mapletree Business City, Singapore
서남아 총괄Two Horizon Centre, Golf Course RD, Gurgaon, Haryana, India
CIS 총괄31 Novinsky Boulevard, Moscow, Russia
중동 총괄Butterfly Building A, Dubai Media City, Dubai, UAE
아프리카 총괄2929 William Nicol Drive, Bryanston, Johannesburg, South Africa
중국 총괄No.31, Jinghui Street, Chaoyang, Beijing, China
중남미 총괄Av. Dr. Chucri Zaidan, 1240 Diamond Tower, Sao Paulo, Brazil
해외 (DS 부문)
미주 총괄3655 N. 1st St. San Jose, California, USA
구주 총괄Koelner Str. 12, Eschborn, Germany
중국 총괄3F, No.458, Fute North Rd., Shanghai, China
동남아 총괄3 Church Street, #26-01 Samsung Hub, Singapore
일본 총괄Shinagawa Grand Central Tower, Konan, Minato, Tokyo, Japan
Harman 부문400 Atlantic St., Stamford, Connecticut, USA


5.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사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사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1. 제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제품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6.1.1. 액세서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액세서리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삼성전자
액세서리
||
[ 펼치기 · 접기 ]




6.2. 소프트웨어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소프트웨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1.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의 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border: 1px solid #fff; padding-top: 16px; padding-bottom: 16px; letter-spacing: -1px; background-color: #fff; border-radius: 24px; color: #000000; text-align: left"
   기본 애플리케이션




6.3. 매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매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경영[편집]



7.1. 경영진[편집]


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파일:삼성전자 국문 워드마크.svg
회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병철
(1938~1966)
직무 대행
이맹희
(1966~1968)
초대
이병철
(1968~1987)
제2대
이건희
(1987~2008)
직무 대행
이수빈
(2008~2010)
제2대
이건희
(2010~2014)
직무 대행
이재용
(2014~2022)
제3대
이재용
(2022~ )



||
[ 펼치기 · 접기 ]

1969 ~ 1970

정상희
1970 ~ 1972

조용달
1972 ~ 1973

조우동
1973 ~ 1982

강진구
1982

강진구, 정재은
1982 ~ 1986

정재은
1986 ~ 1987

정재은, 한형수
1987 ~ 1988

안시환
1988 ~ 1989

강진구, 안시환
1989 ~ 1990

강진구, 김광호, 정용문
1990 ~ 1991

강진구, 김광호, 황선두, 윤종용, 김영수, 정용문
1991 ~ 1992

강진구, 김광호, 윤종용, 김영수, 정용문
1992 ~ 1993

강진구, 김광호
1993 ~ 1995

강진구, 김광호, 이윤우
1995 ~ 1996

강진구, 이해민, 김광호, 이윤우
1996 ~ 1997

강진구, 이해민, 윤종용, 이윤우
1997

강진구, 문병대, 진대제, 송용로, 이해민, 윤종용, 박희준, 이윤우
1997 ~ 1998

강진구, 문병대, 진대제, 송용로, 윤종용, 박희준, 이윤우
1998

문병대, 진대제, 송용로, 이학수, 윤종용, 이건희, 박희준, 이윤우
1998 ~ 1999

문병대, 진대제, 윤종용, 이학수, 이건희, 박희준, 이윤우
1999

문병대, 진대제, 윤종용, 이건희, 이윤우, 이학수
1999 ~ 2001

윤종용, 이건희, 이기태, 이상현, 이상완, 이윤우, 이학수, 임형규, 진대제, 최도석, 한용외, 황창규
2001 ~ 2003

윤종용, 이건희, 진대제, 이윤우, 이학수, 최도석
2003

윤종용, 이건희, 이윤우, 이학수, 최도석
2003 ~ 2004

윤종용, 이건희, 이윤우, 이학수, 최도석
2004 ~ 2008

윤종용, 이건희, 이학수, 최도석
2008

윤종용, 이윤우, 최도석
2008 ~ 2009

이윤우, 최도석
2009

이윤우
2009 ~ 2010

이윤우, 최지성
2010 ~ 2012

최지성
2012 ~ 2015

권오현
2015 ~ 2018

신종균, 윤부근, 권오현
2018 ~ 2022

고동진, 김현석, 김기남
2022 ~ 현재

한종희, 경계현




7.1.1. 대표이사 회장[편집]




7.1.2. 회장[편집]




7.1.3. 부회장[편집]




7.1.4. 대표이사 부회장[편집]




7.1.5. 대표이사 사장[편집]




7.1.6. 대표이사 부사장[편집]




7.1.7. 대표이사 전무[편집]




7.2. 지배구조[편집]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성생명8.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연금공단7.35%
파일:미국 국기.svg 블랙록5.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성물산5.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라희1.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용1.6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성화재1.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부진0.9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서현0.9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성복지재단0.0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성문화재단0.03%
2023년 6월 30일 공시 기준.#[14]


7.3. 자회사[편집]


흔히 삼성전자의 종속회사가[15] 150개가 넘는다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16] 사실 해외의 생산·판매·연구개발 법인을 제외하면 한국 내 법인은 2017년 상반기 기준 20개에 불과하며 그나마 이중 절반은 실체가 있는 법인이 아니라 삼성벤처투자를 통해 출자한 일종의 펀드이다.

남은 10개의 법인으로 삼성전자와 별도의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군으로 가장 규모가 큰 삼성디스플레이[17], 의료기기 신수종 사업 진출을 위해 2011년 인수한 삼성메디슨, 반도체·디스플레이의 부품·소재를 생산하는 세메스[18], 일본 기업과의 합작사인 에스유머티리얼즈, 스테코, 토다공업과 삼성이 합작한 에스티엠이 있다.

그 외에는 삼성전자의 판매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법인으로 삼성전자로지텍(물류), 삼성전자판매(유통), 삼성전자서비스(사후지원)가 존재하는데 이들 3사의 직원수만 7~8,000명이다.

거기에 전 세계 유망 기업들을 공격적으로 인수하고 있다. 플런티[19], 셀비, 스마트싱스, 콰이어트사이드, 프린터온, 프록시멀데이터, 심프레스, 루프페이[20], 에스코 일렉트로닉스, 조이언트, 애드기어, BYD, 데이코, 비브랩스, 하만, 뉴넷 캐나다 등 차세대 핵심 먹거리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이외에도 광주삼성전자,[21] 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22] 등 세계 각국의 현지법인 중에서 필요에 따라 사명을 변경하여 사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의외로 와콤의 대주주도 삼성전자인데,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 탑재되는 S펜 때문이다.


7.4. 경영 이념[편집]


인재와 기술을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여 인류사회에 공헌한다.

We will devote our human resources and technology to create superior products and services thereby contributing to a better global society.



7.5. 탄소 중립 정책[편집]


2020년대 글로벌 트렌드에 맞게 친환경 정책을 진행 중이다. 장기적으로 RE100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같은 계열사인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엔지니어링 등도 친환경 무브에 합류하고 있다.


7.5.1. 친환경 제품[편집]




7.5.2. 친환경 R&D[편집]





7.5.3. 친환경 서비스[편집]




8. 공식 채널[편집]


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파일:삼성전자 국문 워드마크.svg
공식 채널
||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닷컴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 비즈니스삼성전자의 B2B 제품, 솔루션 온라인 스토어이다.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전자 뉴스룸삼성전자의 공식 보도자료와 뉴스 사이트이다.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전자 배당조회삼성전자의 주식 배당금 조회 사이트이다.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전자 카탈로그삼성전자의 카탈로그(웹, PDF 발행본) 뷰어 사이트이다.
파일:Samsung Design Website_Fabicon.jpg삼성 디자인삼성전자의 디자인 포트폴리오 사이트이다.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 모바일 프레스삼성전자의 사진, 미디어 에셋 사이트이다.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 모바일 세큐리티삼성전자의 보안 정책 및 보안 패치 노트가 올라오는 사이트이다.
파일:삼성 파비콘.svg삼성 오픈 소스삼성전자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와 Git의 저장소 사이트이다.
파일:SamsungMembers.png삼성 멤버스
파일:Samsung Developers_Fabicon.pngSamsung Developers


8.1. SNS[편집]


파일:삼성 워드마크 화이트.svg파일:삼성전자 국문 워드마크.svg
YouTube
||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삼성전자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삼성전자 Samsung Korea삼성전자 코리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US삼성전자 미국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U.S. Newsroom삼성전자 미국 뉴스룸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UK삼성전자 영국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France삼성전자 프랑스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Deutschland삼성전자 도이칠란드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India삼성전자 인디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Vietnam삼성전자 베트남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Indonesia 삼성전자 인도네사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Türkiye삼성전자 튀르키예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Brasil삼성전자 브라질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México삼성전자 멕시코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Italia삼성전자 이탈리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Canada삼성전자 캐나다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España삼성전자 에스파냐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Hong Kong삼성전자 홍콩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Russia삼성전자 러시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Polska삼성전자 폴란드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witzerland삼성전자 스위스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Österreich삼성전자 오스트리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Romania삼성전자 루마니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verige삼성전자 스웨덴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Greece삼성전자 그리스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Česko a Slovensko삼성전자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Belgium삼성전자 벨기에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Magyarország삼성전자 헝가리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uomi삼성전자 핀란드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Bulgaria삼성전자 불가리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Nederland삼성전자 네덜란드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rbija삼성전자 세르비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Norge삼성전자 노르웨이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Danmark삼성전자 덴마크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Latvia삼성전자 라트비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Hrvatska삼성전자 크로아티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lovenija삼성전자 슬로베니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Estonia삼성전자 에스토니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Ireland삼성전자 아일랜드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hqiperi삼성전자 알바니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Makedonija삼성전자 북마케도니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Bosna i Hercegovina삼성전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Crna Gora삼성전자 몬테네그로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Malaysia삼성전자 말레이시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Portugal삼성전자 포르투갈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Pakistan삼성전자 파키스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Philippines삼성전자 필리핀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Taiwan삼성전자 중화민국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Australia삼성전자 오스트레일리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ingapore삼성전자 싱가포르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New Zealand삼성전자 뉴질랜드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Levant삼성전자 레반트 지역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Latinoamérica y Caribe삼성전자 카리브 지역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audi Arabia삼성전자 사우디 아라비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Egypt삼성전자 이집트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Gulf삼성전자 걸프 지역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Israel삼성전자 이스라엘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Maroc삼성전자 모로코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Argentina삼성전자 아르헨티나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Chile삼성전자 칠레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Colombia삼성전자 콜롬비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Perú삼성전자 페루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Ukraine삼성전자 우크라이나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Kazakhstan삼성전자 카자흐스탄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outh Africa삼성전자 남아프리카 지역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Ghana삼성전자 가나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Thailand삼성전자 태국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Myanmar삼성전자 미얀마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Galaxy Mobile Japan갤럭시 모바일 재팬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삼성전자 뉴스룸 [Samsung Newsroom]삼성전자 뉴스룸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삼성전자 반도체 [Samsung Semiconductor]삼성전자 DS부문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삼성전자서비스삼성전자서비스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삼성스토어삼성스토어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 ThinkTankTeam삼성전자 싱크탱크팀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Austin삼성반도체 오스틴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Business삼성 비즈니스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Care삼성 멤버스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CS ID Support삼성전자 인도네시아의 영업 교육용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Display삼성 디스플레이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Global CPC삼성전자의 영업 교육용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LED삼성전자 LED사업부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Networks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Research America삼성리서치 아메리카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emiconductor Innovation Center삼성반도체 이노베이션 센터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 Semiconductor Europe삼성반도체 유럽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SamsungSemiUS삼성반도체 아메리카의 YouTube 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ESE SAMSUNG삼성전자 DX부문의 공조솔루션팀 YouTube 이다.



9. 직장 생활[편집]


대졸자 신입 기준 연봉은 한국 IT 대기업 하위권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많이 적다. 하지만 보너스가 잘 나올 때는 거의 연봉의 절반만큼 나올 때도 있기는 하다. 소속된 사업부의 그 해 성과에 좌우되는게 대기업 연말 성과급의 기본인데 삼성전자는 너무 크다보니 같은 사업부 내에서도 다시 갈라지면서 세부 조직군 별로 성과급을 준다. 때문에 언론에서는 특정 사업부가 연봉을 성과급으로 받았다고 바로 옆에 앉은 사람은 실제로 그걸 받았는데 나는 월급만큼도 안 나오는 경우도 생긴다. 그런 의미로는 운이 따라야 하는 뽑기와도 같아 보인다. 나 혼자 밤 샌다고 소속사업부 전체 실적이 오르는 것도 아니니까.

연봉 상승의 경우 위에 기본 연봉은 모두 동일하게 시작하나 인사평가와 전체 연봉상승률을 더해 연봉 상승이 결정되기 때문에 연차가 지나면 지날수록 동기들과 적든 많든 차이가 나게된다. 단 고졸 입사와 전문대졸 입사는 대졸 직군으로 진급하기전 까지는 호봉제이므로 평가에 따라 연봉이 차이나지 않는다.

일단은 제조업으로서는 대한민국 한정으로 급여나 복지 모두 잘 되는 편이고 매년 삼성 성과급에 대한 언론의 설레발 덕에 대학생들이 입사하고 싶은 기업 1위의 단골손님이다. 물론 요샌 급여보단 안정성, 업무 강도, 근무 여건을 더 중시하는 경우가 많아 삼성전자보다 인기를 끄는 직장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게다가 찾아보면 삼성전자보다 돈을 많이 주는 회사도 많이 있다. 특히 코로나 사태로 IT 분야가 급부상해 국내 IT 대기업들의 높은 연봉 인상으로 저년차 직원들의 퇴사가 많아지자, 2022년 5월부터 소프트웨어 개발 직군(S직군) 에 한해 자격 수당 제도를 신설하여, 자격 등급에 따라 20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추가로 지급하기 시작했다.

근태의 경우 1993년부터는 7시 출근, 4시 퇴근 제도를 실시하였으나 사실상 7시 출근만 지키지 4시 퇴근은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 그후 2002년에 7시 출근, 4시 퇴근 제도를 폐지하고 8시 출근, 5시 퇴근 제도로 바뀌었으며 역시 위에 7.4 제도와 같이 정말 특별한 일이 아니면 5시 퇴근은 '힘든' 문화였다. 그러다 2010년경 오후 1시전까지 시간 상관없이 출근해서 8시간 근무를 하면되는 자율출근제를 시행한 이후로는 많이 나아지는 편인데 시행 초기에는 다들 8시 내외로 맞춰오는 분위기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제도가 어느 정도 정착된 후 같이 일하는 동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 시간에만 출근하면 어느 정도 유연한 편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2014년 말부터는 자율출퇴근제를 시행하였는데 하루에 최소 4시간, 근무일수 기준 일주일에 40시간만 근무하면 되는 제도이다. 즉 이론상 월화수 10시간씩 일하고 목요일 6시간 금요일 4시간 근무 후 퇴근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만 일은 혼자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너무 늦거나 일찍 퇴근할 계획이라면 업무에 지장이 없을 때 말하면 대부분 이해해주는 편이긴 하다.

2018년 7월 1일부터 시작된, 소위 "주 52시간" 제도가 시작되면서, 삼성전자는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였다. 선택적 근로시간제는 주 52시간 최대 근무의 범위가 월 평균 52시간으로 확대된 제도로써, 바쁠 때는 52시간을 넘어서 일을 하고, 여유로울 때는 그만큼 일을 덜 해서 월 평균을 맞추면 되는 제도이다. 이 제도가 도입 되면서 삼성전자의 필수 근무시간은 하루에 최소 4시간, 일주일에 20시간만 일을 하면 근태에 문제가 없게 되었다. 거기다가 특정 직급 이상부터는 책임근로제를 도입하여, 회사가 아예 출퇴근을 체크하지 않고 직원에게 자율로 맡기는 제도까지 생겨났다. 즉, 바쁠 때 밤을 새서 일하다가도, 일이 끝나면 회사를 출근하지 않고 쉬어도(!) 문제가 없는 것이다. 거기에 최근에는 일부 인원들을 대상으로 재택근로제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회사 직원들은 정말 다양한 방법으로 회사에서 근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직급은 평범한 5직급 체제[23]였으나, 개발직군에 한해 4직급 체제[24]으로 바뀌었다. 또한 2016년에 기업 문화 혁신의 하나로 반바지 전면 허용과 직급 폐지를 선포하였는데 호칭은 님으로 통일하며 업무 능력에 따라 CL(Career Level) 1 ~ 4로 바뀌게 되었다. 하지만 말이 업무 능력을 나타내는 Career Level이지 사실상 기존 직급에서 축소되는 것이라 내부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이 대부분. 2017년 부터는 반바지 상시 허용이 되어 겨울에 반바지를 입고 출근해도 상관이 없으며, 휴가를 사용할 경우 보안 게이트가 아예 통과되지 않도록 하여 휴가를 쓰고 출근을 하는 병크를 막았다.

교육부에서 인정 받은 유일한 사내 대학교인 SSIT를 운영하고 있다. 근무 평점이 우수하고 상사의 추천을 받은 직원에 한해 입학이 가능하다. 당연하게도 재학 중에도 월급이 나온다. 근무에 더 적합하도록 훈련시키는 과정이기 때문. 사내 추천 및 지원을 받고 해외 유학나오는 것과 비슷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이렇게 펀딩을 얻어 유학나오는 사원들이 제법 보이며, 해외 대학에서도 이런 학생들을 반긴다. 인건비 없이도 연구 보조를 알아서 해주기 때문.

식사는 사업장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삼성웰스토리에서 운영하며 기본적으로 다양한 메뉴의 조식, 중식, 석식, 야식을 제공한다. 원래 협력사나 삼성 계열 직원 모두 무료였지만 2014년 초 담당자가 바뀌면서 협력사는 유료로 전환되었다. 삼성 계열 직원은 하루 3회 무료였으나 식사당 1회 무료로 바뀌었다. 즉 아침, 점심, 저녁 무료인걸로 바뀐 것.[25]

삼성전자 캠퍼스 내에서 일하는 사람들 중 협력사 인원도 많다. 협력사 인원의 경우 소속 회사에 따라 케바케로 업무 강도 등이 천차만별인데, 기초 전기 공사 등을 담당하는 회사인 경우 대부분 수당은 짜고 할 일은 대부분 더럽게 많지만 반도체 8대 공정을 다루는 ASML, 어플라이드 머테리얼즈 같은 외국계 대기업의 경우 삼성전자 설비군보다 더 나은 근무환경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10년 전 삼성전자로 이직한 한 일본인 엔지니어는 일본 경제주간지에 "월급 1.7배의 '천국과 같은 환경'"이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사내 보안의 우수성에 관해서도 극찬했다. '월급 1.7배에 천국같은 환경'…日 엔지니어의 삼성 10년 회고


9.1. 채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채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 출퇴근버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출퇴근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3. 사내 보안[편집]


삼성전자의 내부 전산보안은 군부대의 보안을 방불케하는 엄격한 규율을 가지고 있다.

일단 삼성전자의 어느 사업장이든[26] 일단 단지 내부에 들어가려면 모든 USB 단자가 있는 기기들은 삼성전자 보안 전용 스티커[27]무조건 봉인되고 카메라 렌즈 역시 무조건 봉인된다.[28]

스마트폰 반입의 경우 카메라 렌즈로 의심되는 모든 부분은 무조건 붙인다. 스마트폰의 USB 단자 부분은 봉인하지 않는데 이것은 충전을 위해서다. 물론 USB 케이블을 이용해 중요 정보를 복사하면 되는 거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으나 USB 케이블은 단순 배터리 충전에만 사용되고, 저장매체 읽기 및 쓰기는 사내 보안 시스템에 의해 방지된다.[29] 저장매체 쓰기 기능을 사용하려면 사내 시스템에서 부서장 결재를 획득하고 보안 관련 부서에서 합의를 받은 후, 신청한 시간만큼만 사용해야 한다. 외부 반입 시, 보안 스티커와 같은 재질로 된 테이프로 봉인되는 비닐팩 안에 넣어 반입하거나 USB 케이블에 붉은 바탕의 보안 통과용 스티커를 보안 요원이 붙여주어야 통과된다. 기흥, 화성 사업장 기준으로 충전용 USB 케이블의 경우 별도의 조치 없이 가지고 다닐 수 있다. 충전만되는 케이블만을 허용되며, 사내 규정은 갤럭시 노트 2의 충전기같이 PC에서도 사용하면서 충전도 되는 케이블은 반입이 금지되었다.

만일 반입했는데 스티커를 뜯었다가 적발될 경우, 정식 사원은 중징계, 협력 업체의 직원은 3진 아웃제에 의해 아웃 시 횟수에 따라 차기 계약과 입찰에 불이익이 미치고 협력 업체 직원의 경우 곧장 해고다. 어딘가에 긁히거나 걸려서 뜯긴 경우 보안 관련 부서에 사실대로 말하면 정상참작으로 봐주고 경고나 별도의 이야기없이 넘어가주는 대신, 관련 부서에 직접 연락이 가면서 관련 사원이나 협력 업체 직원에게 갈굼 당할 각오는 해야할 것이다. 그러니까 순순히 보안 관련 부서로 가자. 자진 신고하면 운이 좋거나 부서 직원들이 착할 경우 관련 부서에서 아웃이 아닌 구두경고로 끝날 수 있다. 물론 근무 부서로 연락이 가서 갈굼이 기다린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게 문제가 되는게, 주머니에 넣었다가 빼는 과정에서 보안 스티커가 떨어지거나, 주말에 카메라를 사용했다가 깜빡 잊고 스티커를 붙이지 않고 출근해버리는 경우가 상당히 빈번하다. 몇 년을 다녀 익숙해진 정직원들도 일 년에 한 두 번 쯤은 하는 실수. 이럴땐 그냥 보안 부서에 가서 자초지종을 설명하면 단말기의 갤러리앱을 들여다보고 그냥 보내준다.[30] 위에서 나온 중징계나 경고도 상습적으로 받지만 않는다면 전혀 문제 없다. 애시당초 진짜로 기술 및 기밀 자료를 빼낼 목적이면 대포폰을 가지고 들어가서 사진을 잔뜩 찍은 뒤 무선 데이터로 전송하고 그 단말기는 안 가져나오면 그만이다.

삼성전자 제품은 부서장 결재 후 전용 보안 앱을 다운받아 작동시키면 스티커를 붙이지 않아도 되며, 대신 카메라 기능 및 캡처 기능 등이 작동되지 않는다. 물론 타사 제품은 호환성 문제로 제외. 앱을 설치하면 단지 내 입문시, 자동으로 실행되며 출문시 꺼진다. 당연하지만 백그라운드에서는 작동되고 있다. 이전에는 보안 앱이 무거워 핸드폰이 느려지는 문제가 있었지만 지금은 많이 개선되어 그런 불편함은 사라졌다.

게이트에 들어갔다가 나갈때는 서면으로 기록되어 있는 모든 것을, 내용을 막론하고 보안 요원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만일 보안 요원의 스트레스 수치가 높은 상태라면 알짤없이 즉시 폐기 혹은 경고, 협력 업체의 직원일 경우 아웃 조치를 받게 된다. 종이가 아니더라도 기록물은 무조건 검사 후 반출되기로 되어 있으며, 반출 전에 보안 부서의 허가가 있으면 된다. 게다가 보안 용지가 따로 있다. 종이 사이에 얇은 금속이 들어가 있는데 종이에 기록했다 지우면 금속지에는 흔적이 남는다. 이러한 보안 용지는 몸에 숨겨서 반출한다해도 출문 시 검색대에서 걸릴 수 밖에 없다. 보안 용지 반출입시 결재 후 보안 요원이 검사한 뒤에 반출입이 가능하다.

특히 반도체 생산 라인이 있는 곳은 보안에 민감하고 철저해서 가방류는 일단 X-레이 검사대로 넣고 게이트를 지나 금속 탐지기를 거쳐 가방을 되찾는 식으로 되어있으니 뭔가 수상한 게 가방에 있다 싶으면 일단 열어서 보여줘야 한다.

현재는 MDM을 설치하면서 스티커 분실 혹은 미부착에 의한 사고를 원천방지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챗GPT가 등장하고 챗GPT에 삼성 내부 정보, 소스 코드를 업로드하는 일이 벌어져서 챗GPT 금지령이 내려졌다. #


10. 논란 및 비판[편집]



하위 문서 외에서의 논란 및 비판을 두고 보자면 이렇다.



11. 기타[편집]



























11.1. 참고 문헌[편집]






11.2. 하위 문서[편집]




11.3. 관련 문서[편집]





[1] 종목 코드 A 00593 0[기준] 2023년 11월 8일 기준[2] 삼성 시가 총액 총합 약 600조 원 중에서 약 68%를 점유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삼성의 대표 기업이다. 우선주와 보통주를 합친 가격이다. 또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서 2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 2023년 기준, 시가총액 2위부터 5위까지 차지하는 기업들인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을 합쳐도 약 320조 규모로 시총 420조인 삼성전자에 못 미친다.[4] 전 세계에 생산, 물류, 판매, 연구소 독립법인이 있으며, 그 밖에 삼성전자서비스 같은 여러 자회사까지 존재한다. 게다가 원체 그 수가 많고, 신규 자회사 및 법인 설립, 기존 사업부문을 별도 회사로 분리하기도 하면서 불어나기도 하며, 구조조정에 의한 통합, 외부에서의 매각도 꽤 자주 일어나 삼성전자에 다니는 사람도 따로 법인이나 계열사, 자회사를 관리하는 부서에 소속된 사람이 아니면 정확한 숫자를 알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5] 2000년대 중반까지 2기 CI가 새겨진 제품이 보이곤 했었다.[6] 정확히는 이 시기에 삼성그룹 CI가 통일되었다. 그 이전에도 계열사 사기(회사 깃발)마다 그룹 로고를 썼으나, CI가 제각각이었다.[7] 다만 기업 차원에서는 계속 사용한다.[8] 이 슬로건과 관련해서는 당시 금성사와의 신경전이 있었다. 금성이 당시 '기술의 상징'이라는 슬로건을 내걸자 삼성은 질 수 없다며 '첨단'을 앞에 붙이면서 경쟁을 심화시켰다. 그러자 금성은 '최첨단' 기술의 상징이라고 한술 더 뜨기도 했다.[9] 위와 아래 각각 두 개의 슬로건과 복합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첨단기술의 상징 휴먼테크"라는 식이다. 이것과 함께 특유의 CG처리된 은색 기계팔이 사람 손과 악수하는 이미지를 주로 썼다.[10] 삼넝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11] 삼성의 브랜드를 표방하는 슬로건이다. 2017년 삼성 언팩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 주로 많이 사용된다. 다만 비 공식적으로 2016년 리우 올림픽의 갤럭시 스튜디오에서 사용된 적이 있다.[12] 자사 가전제품의 통합 슬로건으로 쓰인다. TV 광고에서는 "이제는"이라는 문구가 빠졌다.[13] 삼성종합기술원 회장[14] 삼성가, 임원진 등 특별 관계자들이 20.73%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15] 지분의 과반이나 유의미한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어 모회사와 동일한 법인으로 취급,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자회사를 의미한다.[16] 종속회사를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은 한화그룹으로 260개 정도 된다. 한화는 한국 내 종속회사가 많은편이다.[17] 보통 DS부문 내 사업부의 하나로 취급되기도 하나 실제로 삼성전자 내부의 사업부인 반도체와 달리 디스플레이(DP)는 별도의 법인이 존재하며 지분의 15%는 삼성전자가 아닌 삼성SDI의 몫이다.[18] 삼성이 지분의 90%를 들고 있으며 2021년 매출이 3조에 달해 세계적으로 봐도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분야에서 열 손가락 안에 꼽힐 만한 기업이다.[19] 인공지능 스타트업[20] 모바일 결제 솔루션 개발업체로 이 회사를 인수하면서 지금의 삼성 페이가 탄생했다.[21] 구 광주전자. 2010년부터 본사와 합병되었다.[22] 삼성전자 모바일 사업부의 일본 법인이다. [23] 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24] 사원-선임-책임-수석[25] 무엇이 차이냐면 식사 이외에 사무실에서 먹으면서 일할 수 있게 테이크아웃 제도를 이용하는데 이를 점심에 추가로 받아서 저녁때 식시시간을 따로 제외하지 않고 먹는 사람들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 것.[26] 삼성디지털시티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과 협력사의 삼성타운 회의실 사용 시는 예외다. 사무실만 있는 곳은 일반 기업들처럼 카드리더기로 출입을 통제하는 수준이다. 수원, 그리고 특히 기흥 및 화성 사업장의 보안이 일반 기업에서 보기 힘든 X-레이 검색대까지 사용하는 이유는 삼성전자가 보유한 반도체 제조 관련 기술이 국가에서 지정한 핵심 기밀 기술이기 때문이다.[27] 사이즈 별로 다양한 파란색 바탕에 검은색으로 삼성전자의 마크가 그려진 스티커로 한 번 붙인 뒤에 떼면 반드시 기포가 발생한다. 또 가짜 스티커의 경우 색상과 질감이 다르기에 관문에서 지키고 있는 보안요원들이 귀신같이 알아챈다.[28] 단 2016년 사내 보안 규정이 바뀌어 건물 내 로비까지만 출입하도록 승인된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를 봉인하지는 않는다.[29] 수원 디지털시티의 경우 읽기는 가능하다. 서초 사옥은 읽기조차 불가능. 기흥 및 화성 사업장의 경우도 마찬가지. 사업장 PC에는 정책 기반으로 각종 기능을 제한하는 inCOPS라는 툴이 설치되며 스마트폰에는 악명 높은 MDM을 설치할 수 밖에 없다. 보안 스티커 붙이는게 번거롭기 때문이다. 거기에 NASCA라는 DRM 솔루션은 덤이다.[30] 직원에 따라 초기화를 하고 돌려주는 경우도 있다.[31] 사업부마다 독립된 인사팀이 있다. 보너스(PS: Profit Sharing)도 사업부마다 성과에 따라 다르게 받는다. 사실상 다른 회사나 마찬가지.[32] 퀄컴, 샤프 3대 주주로 부상…삼성전자는 6위로 밀려나 참고.[33] 삼성전자-구글, 특허 서로 공유한다(종합) 참고.[34] 2017년 12월 KSV Esports에 매각, 현 Gen.G Esports.[35] 무선사업부만 포함되는 것으로, 기타 제품들은 스폰서십 대상이 아니다. 디스플레이 및 방송 장비 분야는 파나소닉이 월드와이드 파트너를 맡고 있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모바일 및 컴퓨터 외의 제품에서 올림픽 관련 마케팅을 할 수 없지만,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나머지 사업부가 평창 조직위와 공식 스폰서 계약을 체결한 덕분에 모든 제품에서 올림픽 마케팅을 할 수 있었고, 파나소닉과의 특약으로 디스플레이 역시 공급했다.[36] IOC가 아닌 대한체육회의 로컬 스폰서가 되면 제한적으로나마 올림픽 명칭을 쓸 수 있기에 삼성전자만이 올림픽 직접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은 아니다. 앰부시 마케팅 참조.[37] 삼성 갤럭시/노트 시리즈 관련으로 대주주가 되었다.[38] 1997년부터 현재까지 시보 광고를 맡는 터줏대감이다. 삼성이 시보를 맡아온 것은 1988년이지만 1988년부터 1997년까지 삼성시계(현 SWC)가 시보 광고를 맡아왔다. 하지만 MBC의 논조가 2000년대 당시와 2017년 말 이후로 삼성에 그리 친화적인 편은 아니고 나름대로 삼성그룹에 비판적인 기사를 내왔던지라 나름대로 고충이 있다.[39] 유튜브에 동양방송 라디오 시보를 검색하면 삼성전자 시보가 대부분인데 동양방송이 삼성 계열사였기 때문이다. https://youtu.be/_9mDui3dhZs,https://youtu.be/SVHTlL5Cn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