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전략 차종

덤프버전 :

분류

현지 전략 차종
파일:IMG_7847.jpg
파일:IMG_7613.png
현대 앙투라지[1]
캐딜락 CT6[2]
파일:3시리즈 그란 리무진.webp
파일:현대 i40.png
BMW 3시리즈 그란리무진
현대 i40[3]
파일:현대 밍위.png
파일:이노바 제닉스.jpg
현대 쏘나타 모인카
토요타 이노바 제닉스

1. 개요
2. 필요성
3. 예시
3.1. 외국 → 한국
3.2. 한국 → 외국
3.3. 외국 → 외국
3.3.1. 일본 브랜드
3.3.2. 미국 브랜드
3.3.3. 프랑스 브랜드
3.3.4. 독일 브랜드
4. 철도의 경우
4.1. 한국
4.2. 미국
4.3. 프랑스
4.4. 일본
4.5. 독일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특정 자동차 브랜드가 자국이 아닌 외국의 특정 국가 또는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판매하려고 개발된 차종이다. 반대 의미로 지역 맞춤을 최소화하고[4] 같은 차종을 전 세계에 파는 월드카가 있다.


2. 필요성[편집]


각국의 사회 문화와 경제적인 수준의 차이가 있기 때문. 돈 걱정이 없는 부유층이나 사회지도층은 선진국이건 개발도상국이건 어느 정도 수준이 비슷해 그냥 선진국의 고급 차종을 구매하나[5][6], 중산층 이하 서민들은 경제적인 수준 차이와 함께 사회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대중 성향 차량에 원하는 모습이 크게 달라진다.

경제적인 부분의 예를 들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에서 파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차종을 팔면 비싸서 소비자들이 쉽게 찾지 않으니 해당 국가와 사회가 용인하는 범위 안에서 안전/편의 관련 기능을 조금 빼거나 구형 플랫폼 및 파워트레인을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한 차종을 판매한다. 경제력이 부족하지만 시장성은 무시할 수 없는 인도에 이러한 특성을 지닌 현지 전략 차종이 많다. 경차 플랫폼으로 만든 세단 등 대한민국에서는 볼 수 없는 디자인의 차종들이 인도 시장에서는 드물지 않다. 인도 이외에도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국가에서는 전략형 차종이 나오며 한때 멕시코의 국민차로 불렸으나 반대로 사람 잡는 차라는 악명도 써야 했던 닛산 츠루 역시 현지 전략 차종이라 할 수 있다. 사회 문화적으로도 세단에 집착하는 국가에서는 해치백 모델을 세단으로 마개조하여 전략형 모델을 만들기도 하고, 지역의 종교나 의복의 특성을 살려 차종의 디자인과 옵션을 가미하기도 한다.

선진국 시장에도 현지 전략 차종을 투입시키기도 하는데, 각국의 선호하는 차종이 다르고 법 규정이나 선호되는 옵션도 다르기 때문. 대한민국에서는 해치백이 인기가 없어 경차 아니면 일부 스포츠 성향 차종에서만 쓰이지만 유럽에서는 해치백이나 왜건의 인기가 높아 유럽 전용의 해치백 모델을 만드는 경우도 많다. 미국도 예외는 아니라서 SUV에 대한 선호도가 타국보다 높아 미국 시장용 전략 SUV 모델이 나오기도 한다.

중국의 경우, 빈부격차가 워낙 심해 선진국 시장 성격과 개도국 시장 성격이 혼재되어 있어서 같은 차급이어도 최신 차종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는 이미 단종된 구형 모델도 병행 판매하고 구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모델을 내놓는 등 규모도 큰 국가면 더 다양한 전략 차종이 필요해진다.


3. 예시[편집]


단종된 차종은 취소선


3.1. 외국 → 한국[편집]


외국 브랜드가 한국 시장을 공략하려고 현지 전략 차종을 만드는 경우는 극히 드문 편이며 그나마도 타국 시장보다 한 세대 뒤쳐진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는 중국차 브랜드들이 이런 차종을 내놓는 경우가 많다.

  •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
  • MAN 라이온스 시티[7]
  • MAN 라이온스 투어링
  • 하이거 하이퍼스1609/1611/1612 시리즈
  • BYD T4K[8]

3.2. 한국 → 외국[편집]



3.2.1. 현대자동차[편집]




3.2.2. 기아[편집]


  • 기아 리오 X-라인
  • 기아 벤가
  • 기아 텔루라이드
  • 기아 씨드
  • 기아 엑씨드
  • 기아 쏘넷
  • 기아 쏘울[11]
  • 기아 즈파오
  • 기아 카렌스/4세대
  • 기아 트라벨로
  • 기아 페가스
  • 기아 천리마
  • 기아 K2[12]
  • 기아 K4(2014)
  • 기아 KX5
  • 기아 KX7


3.2.3. 제네시스[편집]


  • 제네시스 G70 슈팅 브레이크[13]


3.3. 외국 → 외국[편집]



3.3.1. 일본 브랜드[편집]


일본 브랜드들은 주로 동남아시아, 북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지 전략 차종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3.3.2. 미국 브랜드[편집]



3.3.3. 프랑스 브랜드[편집]




3.3.4. 독일 브랜드[편집]




4. 철도의 경우[편집]


철도차량 역시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현지 전략 모델이 존재한다.


4.1. 한국[편집]




4.2. 미국[편집]




4.3. 프랑스[편집]


  • 아셀라
  • 펜돌리노
  • AGV[18]
  • TGV 수출형 모델
    • KTX(차량)[19]
    • 영국철도 373형[20]
    • 아벨리아 리버티


4.4. 일본[편집]


  • 영국철도 395형
  • 영국철도 800형
  • CRH2
  • MTA R62 전동차
  • MTA R211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21]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22]


4.5. 독일[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5:25:25에 나무위키 현지 전략 차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약간 손을 대긴 했지만 사실은 기아 카니발 2세대 모델을 엠블럼만 현대로 바꿔서 파는 것이다. [2] 2세대 이후. 1세대는 미국 내수시장 포함 전 세계 시장에서 플래그쉽으로 팔렸으며 2세대는 중국 전략으로 돌리고 나머지 시장에서는 캐딜락 셀레스틱이 플래그쉽으로 등판할 예정이다. [3] 현재는 모든 i시리즈가 유럽 시장 전략형 모델이지만 이 차와 i30은 국내에서도 판매한 적 있다. 현재 내수 시장에서 판매중인 동급 포지션의 차량으로는 i40 대신 쏘나타와 싼타페, 투싼이 있고 i30 대신 아반떼와 코나가 있다. [4] 아예 맞춤을 0으로 하는 경우는 드문데, 각국의 안전 및 교통 법률의 차이로 이 기준을 맞춰야 하기 때문.[5] 심지어 북한조차 김정은 이하 당 고위층들은 벤츠나 BMW 같은 유럽의 고급 승용차를 탄다. 경제제재로 최신 모델 수입은 제한을 받아 구형이기는 하지만.[6] 다만 프리미엄 브랜드라고 해서 현지 전략 모델이 없는 것은 아니다. 중국 현지 생산 롱 휠베이스 모델들이 예시.[7] 원산지 독일에서는 2018년에 풀 체인지가 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구형을 판매하고 있다.[8] 이름부터 대놓고 Truck Four(for) Korea의 약자다. [9] 현대자동차 최초의 현지 전략 차종이다.[10] 밴, 섀시캡 한정[11] 판매 실적이 대부분 미국에서 나오고 있다. 사실상 북미(특히 미국) 전략 차종인 셈.[12] 러시아 수출명은 리오다.[13] G70왜건형 모델이다.[14] 아큐라라는 브랜드 자체가 혼다에서 중국, 특히 북미 시장을 겨냥해 만든 프리미엄 브랜드이다.[15] 인도 시장을 겨냥하기 위해 마루티가 1981년부터 스즈키와 합작법인을 조직하면서 스즈키에서 생산하는 모델을 들여와 현지생산을 하게 된다.[16] 수출형과 미국 내수형이 각각 따로 존재한다.[17] 2세대 한정[18] 원래 내수 시장에도 팔려고 했으나, 실패했다.[19] TGV 레조 기반 [20] TGV TMST라고 따로 분류되어있으나 개발 기간 상 레조와 함께 TGV 아틀랑티크의 별도 후속 기종으로 칠 수는 있다.[21] 초저항 중 일본 직수입분 한정. 당시 일본국철의 통근, 근교형 전동차 사양을 기반으로 하되, 표준궤, 교직류 겸용, 110km/h 고속주행에 조금 더 적합하도록 설계하는 등 현지화해 수출됐다.[22] 683계 전동차를 베이스로 궤간을 표준궤로 넓히면서 광폭차체 대신 평차체를 적용하고, 고/저상홈 겸용 대응을 하는 등 현지화해서 수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