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교형 전동차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대표적인 근교형 전동차들
파일:20210610 E235-1000.jpg
파일:DB_BR_430.jpg
일본 JR 동일본 소속 E235계 전동차 1000번대
독일 도이치반430형
파일:EMU 900.png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6818194169_5878908177_b.jpg
대만 타이완 철로관리국 소속 EMU900형 전동차
미국 SEPTA의 Silverliner V 전동차
도시 근교 노선의 수요에 대응하려고 제작되는 전동차. 대도시를 거점으로 하여 조금 거리가 먼 지역이나 대도시-대도시간의 간선에서 완행 수요를 담당하는 등 여러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장 기본적이며 주력 차량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래 모든 철도 노선이[1] 통근철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일본에서 대도시 근거리를 운행하는 통근형 전동차와 달리 중장거리 보통열차용 전동차를 구분하기 위해 이렇게 따로 분류되고 있지만 땅덩어리가 넓은 외국에서 통근철도 서비스로 운행되는 열차들은 일본의 근교형 차량과 유사한 형태를 띄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에서는 광역전철망이 도시철도처럼 운영되고 일반열차(기차) 는 장거리 위주로 운영되는 기형적인 형태 때문에 근교형 전동차라는 형식이 존재하지 않으나 외국에서는 가장 많은 숫자가 운용되고 있어 대도시를 여행하다 보면 정말 흔하게 볼 수 있으며 가장 저렴하게 여행할 수 있는 차량이기도 하다.

일본에서는 JR선의 보통, 쾌속열차, 대만의 구간차, 독일에서는 RE, S반 등급, 네덜란드의 스프린터, 프랑스의 TER이나 트랑지리엥, 영국 내셔널 레일의 커뮤터 열차, 북미 지역의 커뮤터 레일 서비스 등으로 운용되는 차량들은 대개 이 형태의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2. 특징[편집]


통근형 전동차[2]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으나 좀 더 장거리에 특화되어있는 것이 차이점이 된다. 차량의 성능도 높은 가감속도 보다는 최고속도에 중점을 두었고 1~2시간 정도의 중거리 승객을 감안한 좌석 구조등을 채택하고 있어서 화장실, 크로스시트 좌석과 같은 거주성을 중시한 설비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승하차 시간을 단축하고 입석 승객을 유지하기 위해 칸막이(데크) 없는 구조, 2개소 이상의 승강문을 갖춰 대응하고 있다.

이런 근교형 전동차도 운행되는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을수 있는데 대도시-위성도시나 대도시-대도시 간선 열차로 운행되는 차량은 착석과 수송력을 중시한 형태로 복층형 차량까지 투입되기도 하지만 지방 도시에선 한두량짜리 전동차나 디젤동차가 그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선 착석이 보장되며 좀더 편안한 좌석을 제공하는 등의 1등석을 운영하기도 해서 수익성을 극대화 할 수도 있다. 근교형과 통근형의 설계를 통일하여 원가 절감과 근교형 노선에서의 통근수요 등 유연한 수요대처를 노릴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 차내 설비가 통근형과 비슷한 경우가 많다.


3. 이용법[편집]


의외로 간단한데, 보통은 그 노선의 최저등급으로 운행되며 지정좌석제가 아닌 자유석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해당 열차의 승차권만 사서 열차를 이용하면 된다. 대도시의 도시철도와 연계되거나 해당 도시의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면 그걸로도 이용할 수도 있다. 무궁화호보다도 간단하다[3] 때문에 이런 열차를 타러갈 때 자동개집표기를 이용하여 개표하는 경우가 많다.

4. 종류[편집]


퇴역한 차량은 취소선

4.1. 대만[편집]



4.1.1. 타이완 철로관리국 구간열차[편집]



4.2. 일본[편집]



4.2.1. 일본국유철도[편집]




4.2.2. JR 서일본[편집]




4.2.3. JR 도카이[편집]


  • 311계 전동차
  • 313계 전동차
  • 315계 전동차
  • 373계 전동차[4]


4.2.4. JR 동일본[편집]




4.2.5. JR 큐슈[편집]




4.2.6. JR 홋카이도[편집]




4.2.7. JR 시코쿠[편집]




4.2.8. 도부 철도[편집]




4.3. 호주[편집]


  • New Generation Rollingstock
  • D Set[5]


4.4. 유럽[편집]


본래 각국 철도 운영기관이 독자적으로 제작하던 근교형 차량들은 21세기 들어 차량제작사가 제시하는 표준 플랫폼 차량으로 도입되는 추세로 변화했다. 저상홈이 많은 유럽의 특성상 저상열차가 많다.


4.5. 북미[편집]



5. 국내 도입의 필요성[편집]


아직 근교형 전동차가 국내에 도입된다는 계획은 나오지 않았으나, 2021년경에 일반열차가 셔틀화된다는 계획이 공개되었다. 이에 대해 일부 철도 동호인들은 이렇게 되면 셔틀 열차로 독일 RE나 일본 시티열차, 대만 구간차처럼 근교형 전동차가 투입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을 하기도 했다.

현재는 CDC 디젤동차가 근교형 전동차와 가장 유사한[6]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도 ITX-청춘 차량과 과거 운행했던 서울-신창간 누리로 차량이 근교형 전동차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고 있다.

6. 연관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1:34:18에 나무위키 근교형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고속철도인 신칸센은 신칸센으로 통근하는 사람이 가끔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통근철도의 성격에서는 제외된다.[2]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지하철 전동차[3] 무궁화호는 기본적으로 여객열차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예매하거나 역 창구에서 승차권을 발급해야 한다. 반면 근교형 전동차는 상술했듯이 이용법이 도시철도와 연계되어 통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꼭 그렇지 않더라도 교통카드로 이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4] 특급형 전동차 겸용[5] 한국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2층 열차시티레일에서 운행중이다.[6] 디젤동차라는 점을 제외하면 크로스시트와 롱시트의 혼합형태, 자유석 발매, 화장실 탑재 등의 특징은 근교형 전동차와 가장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