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행열차

최근 편집일시 :

분류


1. 개요
2. 운행 방식
3. 차량
4. 나라별 완행열차 등급 목록
5. 번외: 기존선 경유 고속열차
5.1. 나라별 기존선 경유 고속열차 등급
6. 이것저것
7. 연관 문서


1. 개요[편집]


완행열차는 일반적으로 모든 역에 전부 정차하는 열차를 의미한다. 국내에서 오래 전 사라진 비둘기호를 떠올리면 편하다. 보통열차라고 하기도 한다.

2. 운행 방식[편집]


100% 자유석으로만 운행되는 경우가 많고, 장거리 노선의 경우 전 구간을 운행하기보다는 구간별로 나눠서 운행하는 게 일반적이다.

3. 차량[편집]


왠만한 선진국에서는 완행열차용 차량으로 근교형 전동차를 사용한다. 기관차의 비중이 높은 북미에서는 디젤 기관차와 운전객차[1]의 조합을 사용하기도 한다.

4. 나라별 완행열차 등급 목록[편집]


  • 네덜란드 : 스프린터
  • 독일 : RB
  • 프랑스 : TER
  • 대만 : 구간차
  • 일본 : 각역정차
  • 미국 : 커뮤터 레일
  • 이탈리아 : 레조날레[2]

5. 번외: 기존선 경유 고속열차[편집]


고속철도의 경우 기존선을 경유하는 등급이 완행열차를 맡는다. 기존선을 경유해서 속도가 느린 대신 요금이 저렴한 게 특징. 이 때문에 유럽에서는 이런 고속철도 등급을 저가 고속철도라고 하기도 한다.

5.1. 나라별 기존선 경유 고속열차 등급[편집]


  • 일본 : 미니 신칸센
  • 프랑스 : OUIGO
  • 국제 공동 : IZY
  • 이탈리아 : 프레차르젠토[3]
  • 스페인 : 알비아[4]

6. 이것저것[편집]


비둘기호의 폐지 이후로 광역철도로 전환된 일부 노선[5]을 제외하면 국내에서 완전히 사라진 완행열차이지만, 재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여전히 존재한다. 왜냐 하면 구간 수요가 많은 장거리 노선의 경우 수요가 많은 구간을 이용하는 승객에 밀려 다른 구간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철도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6]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구간별로 나눠서 운행하는 완행열차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일단 2027년에 무궁화호가 퇴역하고 특급형 전동차EMU-150 150대 도입이 예정되어 있지만, 완행열차의 재도입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다. 만약 완행열차를 재도입한다면 근교형 전동차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

7. 연관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6:46:31에 나무위키 완행열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쪽에 운전석이 있는 객차[2] Regionale[3] Frecciargento[4] Alvia[5] 경부선 서울~천안 구간, 경춘선, 수인선, 동해선 일부 구간[6] 대표적인 사례로 경부선의 서울~천안 구간이 있는데, 이 구간의 수요가 상당히 많아 좌석 매진이 빈번하게 일어나서 서울~부산 등 다른 구간을 이용하려는 승객들이 열차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