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소북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설명
3. 주요 인물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탁소북()은 북인에서 분당한 소북에서 다시 분당하여 류영경을 중심으로 형성된 붕당이다. 특이하게 북인인조반정에서 멸문되지 않고 그전에 멸문된 붕당.

탁북, 류당(柳黨)이라고도 한다.


2. 설명[편집]


선조 후반에 소북은 두 영수인 남이공과 류영경 사이 갈등 때문에 청소북과 탁소북으로 다시 분당되었다. 1608년 광해군일기 사론에

"류영경이 나라의 권력을 잡았을 때는, 김신국(金藎國)·남이공이 모주(謀主)가 되더니만, 영경이 패한 뒤에는 김신국과 남이공이 맨 먼저 제창하여 창을 거꾸로 잡고 공격하면서 깊이 희분(希奮)[1]

과 결탁하여 날뛰고 기탄없이 굴었다. 청북(淸北)이니 탁북(濁北)이니 하는 말들을 만들어 내어 영경과 다르다는 것을 보였다. " (『광해군일기(중초본)』 즉위년 4월 21일)

고 하였으며

1610년의 실록 기사에는,

"당초 류영경의 당(黨)을 소북이라고 호칭하였는데, 소북 중에 또 청북(淸北)과 탁북(濁北)이 있었다. 대개 그 중에서 다소 강직하여 스스로 염치가 있다고 하는 자를 사람들이 청북이라고 칭하고, 그 나머지 무리를 탁북이라 이르니 김대래와 같은 무리였다."(『광해군일기(중초본)』 2년 3월 9일)


고 하여, 비록 수장 류영경은 1608년 사망하였으나 그의 영향력으로 탁북의 형성 이유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실록에는 "소북 중에는 또 청북과 탁북이 있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연려실기술』에는

"임인년(1602년)에 류영경이 정승으로 들어와서 등용한 것은 모두 소북이었다. 정권을 잡은 7년 동안 남이공 등은 다시 기용되지 못하다가 영경이 패하게 되자 이공 일파가 미리 그 기미를 알고 대립하는 형상을 취하니, 당시 사람들이 이공의 무리를 청소북(淸小北)이라 하고 영경의 무리를 탁소북(濁小北)이라 지목하였다."


고 하여 남이공과 류영경의 정치적 대립이 소북 분당, 즉 청소북과 탁소북 분당의 주요 원인임을 기록하고 있다.

결국 선조 후기에만 아주 잠깐 정권을 잡았다가 광해군 즉위와 동시에 멸문을 당했고 살아남은 이들은 청소북으로 전향했다. 사실 영수인 류영경영창대군을 선조의 후계로 밀며 당시 세자였던 광해군과 노골적으로 대립하고, 그에게 왕위를 물려준다는 선조의 교지까지 숨겨버릴 정도였으니 목숨을 구하길 바란 것 자체가 무리수였다. 결국 류영경의 부관참시 이후 남아있는 탁소북은 대부분 광해군을 지지했지만, 류영경의 행태가 워낙에 도를 넘었던지라 영향력은 땅에 떨어졌고 대북의 눈치만 보는 신세로 전락했다.

인조반정 이후 류영경이 서인들에 의해 복권됐으니 그걸 위안으로 삼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탁소북은 그때 거의 없어지고 지방의 일부 유림, 유생들이나 중앙의 말단 관리들 모두 남인으로의 흡수, 혹은 서인으로의 전향을 택했다.


3. 주요 인물[편집]


  • 유영경
  • 최천건(崔天健)
  • 김대래(金大來)
  • 이홍로(李弘老)
  • 김신국(金藎國)
  • 유영근(柳永謹)
  • 박이장(朴而章)
  • 박안현(朴顔賢)
  • 박승종(朴承宗)
  • 황섬(黃暹)
  • 황근중(黃謹中)
  • 신광립(申光立)


4. 둘러보기[편집]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집권자 · 집권 붕당

[ 펼치기 · 접기 ]
조선의 역대 권력자
태조조
정종조
태종조
세종조 / 문종조
정도전
이방원
하륜, 조영무정사공신
황희, 맹사성
관학파종친
단종조
세조조
예종조
성종조
김종서, 황보인 등 고명대신과 안평대군
수양대군정난공신
훈구파
성종조
연산군조
중종조
대신 vs 대간
대신
궁중
3
반정공신
조광조사림파
남곤, 심정, 이행, 이항 등 반 김안로 세력
김안로, 허항 등 김안로계
인종조
명종조
선조조
윤임 등 대윤
윤원형 소윤
윤원형 vs. 이량
사림파
동인 vs. 서인
서인
동인
선조조
광해군조
인조조
서인/남인 연립
북인
탁소북
청소북대북
이이첨대북
이귀, 김류 등 반정공신 및 서인
공서
낙당/원당(서인)
효종조
현종조
숙종조
송시열산당 (서인)
서인 vs. 남인
남인
김석주와 일부 서인
송시열서인
탁남
숙종조
경종조
영조조
소론
노론
소론
노론
온건 소론
노론
영조조
정조조
순조조
탕평
홍봉한 vs.
청명당 vs.
홍인한정후겸
홍인한정후겸
홍국영외척
서명선소론
노론 벽파, 시파(일부 노론, 소론, 남인) 등 탕평
심환지벽파
김조순시파
순조조
헌종조
철종조
안동 김씨
안동 김씨/풍양 조씨
고종조
흥선대원군 중심 풍양 조씨, 안동 김씨, 남인, 소론, 북인 연합
여흥 민씨 중심 개화파
흥선대원군
여흥 민씨 중심 온건 개화파
고종조
순종조
급진 개화파
여흥 민씨
김홍집 중심 친일파, 친미파, 친러파
근왕파
친일파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집권자 · 집권 붕당

[ 펼치기 · 접기 ]
조선의 역대 권력자
태조조
정종조
태종조
세종조 / 문종조
정도전
이방원
하륜, 조영무정사공신
황희, 맹사성
관학파종친
단종조
세조조
예종조
성종조
김종서, 황보인 등 고명대신과 안평대군
수양대군정난공신
훈구파
성종조
연산군조
중종조
대신 vs 대간
대신
궁중
3
반정공신
조광조사림파
남곤, 심정, 이행, 이항 등 반 김안로 세력
김안로, 허항 등 김안로계
인종조
명종조
선조조
윤임 등 대윤
윤원형 소윤
윤원형 vs. 이량
사림파
동인 vs. 서인
서인
동인
선조조
광해군조
인조조
서인/남인 연립
북인
탁소북
청소북대북
이이첨대북
이귀, 김류 등 반정공신 및 서인
공서
낙당/원당(서인)
효종조
현종조
숙종조
송시열산당 (서인)
서인 vs. 남인
남인
김석주와 일부 서인
송시열서인
탁남
숙종조
경종조
영조조
소론
노론
소론
노론
온건 소론
노론
영조조
정조조
순조조
탕평
홍봉한 vs.
청명당 vs.
홍인한정후겸
홍인한정후겸
홍국영외척
서명선소론
노론 벽파, 시파(일부 노론, 소론, 남인) 등 탕평
심환지벽파
김조순시파
순조조
헌종조
철종조
안동 김씨
안동 김씨/풍양 조씨
고종조
흥선대원군 중심 풍양 조씨, 안동 김씨, 남인, 소론, 북인 연합
여흥 민씨 중심 개화파
흥선대원군
여흥 민씨 중심 온건 개화파
고종조
순종조
급진 개화파
여흥 민씨
김홍집 중심 친일파, 친미파, 친러파
근왕파
친일파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붕당

[ 펼치기 · 접기 ]
관학파
사림파
훈구파
동인
서인
북인
남인
노론
소론
세도정치
위정척사파
개화파
개화당
수구당
대한제국 이후 (공산정당)
붉은 계열은 원리주의적 강경파, 노란 계열은 탈이념적 정파, 푸른 계열은 개량주의적 온건파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5:05:50에 나무위키 탁소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류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