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트 3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타오-클라제티 공작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아쇼트 1세
바그라트 1세(타오-클라제티)
아다르나세 2세
과람
타오 공작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다비트 1세
구르겐 1세(타오)
아다르나세 3세
아쇼트 2세
타오 공작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구르겐 2세
바그라트 1세
아쇼트 3세
아다르나세 4세
타오 공작
제9대
제10대
제11대
-
바그라트 2세(타오)
다비트 3세
바그라트 3세
-
클라제티 공작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숨바트 1세(클라제티)
다비트 1세(클라제티)
바그라트 1세(클라제티)
숨바트 2세
클라제티 공작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다비트 2세(클라제티)
바그라트 2세(클라제티)
숨바트 3세
바그라트 3세(클라제티)
이베리아 국왕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아다르나세
다비트 2세
숨바트 1세
바그라트 2세
이베리아 국왕
제5대
-
-
-
구르겐 1세
-
-
-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바그라트 3세
기오르기 1세
바그라트 4세
기오르기 2세
조지아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다비트 4세
데메트리우스 1세
다비트 5세
데메트리우스 1세
조지아 왕국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기오르기 3세
타마르
기오르기 4세
루수단
조지아 왕국
제13대
제14대
-
-
다비트 6세
다비트 6세
다비트 7세
-
-
서부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다비트 6세
콘스탄틴 1세(서부 조지아)
미켈(서부 조지아)
바그라트 1세(서부 조지아)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다비트 7세
데메트리우스 2세
바흐탄그 2세
다비트 8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기오르기 5세
바흐탄그 3세
다비트 8세
기오르기 6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9대
-
-
-
기오르기 5세
-
-
-
1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
기오르기 5세
다비트 9세
바그라트 5세
-
1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
알렉산드레 1세(이메레티)
기오르기 1세(이메레티)
콘스탄틴 2세(이메레티)
-
2차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
2대
-
-
바그라트 5세
기오르기 7세
-
-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기오르기 7세
콘스탄틴 1세
알렉산드레 1세
바흐탄그 4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기오르기 8세
바그라트 6세
알렉산드레 2세
콘스탄틴 2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렉산드레 2세
바그라트 3세(이메레티)
기오르기 2세(이메레티)
레반(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로스톰(이메레티)
바그라트 4세(이메레티)
기오르기 3세(이메레티)
알렉산드레 3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바그라트 5세(이메레티)
바흐탄그 츠추나슈빌리
아르칠리(이메레티)
디미트리오스 구리엘리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기오르기 4세(이메레티)
알렉산드레 4세
기오르기 5세(이메레티)
시몬(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마미아 구리엘리
기오르기 6세(이메레티)
기오르기 7세(이메레티)
기오르기 8세(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알렉산드레 5세
기오르기 9세(이메레티)
마무카
솔로몬 1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5대
제26대
제27대
-
테이무라즈(이메레티)
다비트 2세(이메레티)
솔로몬 2세
-
카헤티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기오르기 8세
알렉산드레 1세(카헤티)
기오르기 2세(카헤티)
레반(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알렉산드레 2세(카헤티)
다비트 1세(카헤티)
콘스탄틴 1세(카헤티)
테이무라즈 1세
카헤티 왕국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아르칠리(이메레티)
에레클레 1세
다비트 2세(카헤티)
콘스탄틴 2세(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13대
제14대
-
-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에레클레 2세
-
-
카르틀리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콘스탄틴 2세
다비트 10세
기오르기 9세
루아르사브 1세
카르틀리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시몬 1세
다비트 11세
기오르기 10세
루아르사브 2세
카르틀리 왕국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바그라트 7세
시몬 2세
로스톰
바흐탄그 5세
카르틀리 왕국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기오르기 11세
에레클레 1세
카이호스로(카르틀리)
예세
카르틀리 왕국
제17대
제18대
-
-
바흐탄그 6세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
-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
초대
제2대
-
-
에레클레 2세
기오르기 12세
-
-



타오 공국 10대 공작
დავით | 다비트 3세
파일:다비트 3세.jpg
제호
한국어
다비트 3세
조지아어
დავით
라틴어
David III
칭호
쿠로팔라테스(Kuropalates)
생몰 년도
미상 ~ 1001년
재위 기간
968년 ~ 1001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타오 공국 10대 공작.

2. 생애[편집]


타오 제8대 공작 아다르나세 4세와 제2대 클라제티 공작 다비트 1세의 딸의 아들이다. 형제로 바그라트 2세가 있었다. 961년 바그라트 2세와 함께 아버지를 강제 은퇴시키고 수도원에 유폐했다. 이후 타오 공작에 취임한 바그라트 2세가 968년에 사망하면서 그가 새 타오 공작에 선임되었다. 그는 타오 공국을 확장하여 조지아를 통합하려는 야망을 품고 있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할 필요가 있었다. 당시 동로마 제국은 아르메니아의 타론과 만지케르트 공국을 합병하여 조지아 전역에 경제, 정치적 영향력을 강하게 행사하고 있었다. 그는 제국이 조지아의 통합을 좌시하지 않으리라 예상하고 독립할 때를 노렸다.

그러던 976년, 바르다스 스클리로스바실리오스 2세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군이 소아시아 일대를 휩쓸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위협하자, 바실리오스 2세는 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는 토르니키오스가 이끄는 12,000명의 분견대를 파견해 바르다스 포카스가 이끄는 토벌대에 가담시켰다. 979년 3월 24일, 바르다스 포카스는 판칼리아 전투에서 바르다스 스킬리로스를 격파했고, 스킬리로스는 소수의 추종자만 이끌고 바그다드로 망명했다. 그는 반란 진압에 도움을 준 공적을 인정받아 상당한 영토를 받았다. 이리하여 유프라테스 강 북서쪽에서 에르주름 지방을 거쳐 남동쪽의 무라드-수 상류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가 그의 수중에 들어갔다.

980년, 그는 반 호수의 북서쪽에 있는 마나즈케르트 토후국을 공략했다. 또한 아르메니아 왕 숨바트 2세와 카르스 왕 무첼의 영토 분쟁을 중재해 자신의 권위를 드높였다. 987년 8월, 바르다스 포카스가 바실리오스 2세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포카스에게 2,000명의 기병을 보내주는 한편 그레고리오스 타로니테스가 이끄는 바실리오스 2세 지지파 동로마군을 격파했다. 그러나 989년 4월 13일 포카스가 다르다넬스의 아비도스 전투에서 바실리오스 2세에게 패배하고 목숨을 잃었다. 그 후 바실리오스 2세는 반란군과 손잡은 것에 분노하여 칼데아의 요안니스 휘하의 강력한 군대를 조지아로 파견했다. 도저히 승산이 없다고 판단한 그는 990년 바실리오스 2세에게 복종을 맹세하고 사망 시 모든 재산을 그에게 물려줄 것을 약속하는 조건으로 용서받고 쿠로팔라테스(Kuropalates) 칭호를 수여받았다.

당시 그에게는 자녀가 없었기에, 이베리아 왕국의 어린 왕자 바그라트 3세를 입양했다. 바그라트 3세는 978년 양아버지의 도움으로 압하지야의 왕위에 올랐다. 990년 라티 공작이 자신의 권위를 계속 무시하고 독립적으로 행동하자, 바그라트 3세는 라티 공작을 토벌하고자 군대를 동원했다. 당시 바실리오스 2세에게 굴복하여 자신이 죽으면 영지를 제국에 바치겠다고 서약한 일로 마음이 상했던 그는 양아들이 자신을 해치려 든다고 의심했다. 그는 바그라트 3세의 친아버지이자 역시 이베리아의 왕자인 구르겐 1세의 군대를 기습 공격해 섬멸해버렸다. 이에 바그라트 3세는 홀로 다비트 3세에게 가서 그의 발 앞에 엎드리며, 자신은 복종을 거부한 라티 공국을 징벌하려 했을 뿐이지 그를 칠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다비트 3세는 오해를 풀고 그를 돌려보냈다.

한편, 그가 마나즈케르트 토후국을 공략하고 아제르바이잔에 습격을 일삼는 것에 분노한 아제르바이잔의 라바디드 통치자 맘란은 주변의 여러 에미르들을 설득하여 그의 영역으로 쳐들어갔다. 그는 이에 맞서 아르메니아와 연합했고, 998년 맘란을 상대로 2차례 맞붙어 대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1001년 초 성목요일 때 성찬식에 참석했다가 귀족들이 독을 탄 술을 마시고 즉사했다. 사후 그의 영지는 바그라트 3세에게 양도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02:29:45에 나무위키 다비트 3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