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르겐 1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타오-클라제티 공작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아쇼트 1세
바그라트 1세(타오-클라제티)
아다르나세 2세
과람
타오 공작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다비트 1세
구르겐 1세(타오)
아다르나세 3세
아쇼트 2세
타오 공작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구르겐 2세
바그라트 1세
아쇼트 3세
아다르나세 4세
타오 공작
제9대
제10대
제11대
-
바그라트 2세(타오)
다비트 3세
바그라트 3세
-
클라제티 공작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숨바트 1세(클라제티)
다비트 1세(클라제티)
바그라트 1세(클라제티)
숨바트 2세
클라제티 공작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다비트 2세(클라제티)
바그라트 2세(클라제티)
숨바트 3세
바그라트 3세(클라제티)
이베리아 국왕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아다르나세
다비트 2세
숨바트 1세
바그라트 2세
이베리아 국왕
제5대
-
-
-
구르겐 1세
-
-
-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바그라트 3세
기오르기 1세
바그라트 4세
기오르기 2세
조지아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다비트 4세
데메트리우스 1세
다비트 5세
데메트리우스 1세
조지아 왕국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기오르기 3세
타마르
기오르기 4세
루수단
조지아 왕국
제13대
제14대
-
-
다비트 6세
다비트 6세
다비트 7세
-
-
서부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다비트 6세
콘스탄틴 1세(서부 조지아)
미켈(서부 조지아)
바그라트 1세(서부 조지아)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다비트 7세
데메트리우스 2세
바흐탄그 2세
다비트 8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기오르기 5세
바흐탄그 3세
다비트 8세
기오르기 6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9대
-
-
-
기오르기 5세
-
-
-
1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
기오르기 5세
다비트 9세
바그라트 5세
-
1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
알렉산드레 1세(이메레티)
기오르기 1세(이메레티)
콘스탄틴 2세(이메레티)
-
2차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
2대
-
-
바그라트 5세
기오르기 7세
-
-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기오르기 7세
콘스탄틴 1세
알렉산드레 1세
바흐탄그 4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기오르기 8세
바그라트 6세
알렉산드레 2세
콘스탄틴 2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렉산드레 2세
바그라트 3세(이메레티)
기오르기 2세(이메레티)
레반(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로스톰(이메레티)
바그라트 4세(이메레티)
기오르기 3세(이메레티)
알렉산드레 3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바그라트 5세(이메레티)
바흐탄그 츠추나슈빌리
아르칠리(이메레티)
디미트리오스 구리엘리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기오르기 4세(이메레티)
알렉산드레 4세
기오르기 5세(이메레티)
시몬(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마미아 구리엘리
기오르기 6세(이메레티)
기오르기 7세(이메레티)
기오르기 8세(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알렉산드레 5세
기오르기 9세(이메레티)
마무카
솔로몬 1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5대
제26대
제27대
-
테이무라즈(이메레티)
다비트 2세(이메레티)
솔로몬 2세
-
카헤티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기오르기 8세
알렉산드레 1세(카헤티)
기오르기 2세(카헤티)
레반(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알렉산드레 2세(카헤티)
다비트 1세(카헤티)
콘스탄틴 1세(카헤티)
테이무라즈 1세
카헤티 왕국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아르칠리(이메레티)
에레클레 1세
다비트 2세(카헤티)
콘스탄틴 2세(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13대
제14대
-
-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에레클레 2세
-
-
카르틀리 왕국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콘스탄틴 2세
다비트 10세
기오르기 9세
루아르사브 1세
카르틀리 왕국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시몬 1세
다비트 11세
기오르기 10세
루아르사브 2세
카르틀리 왕국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바그라트 7세
시몬 2세
로스톰
바흐탄그 5세
카르틀리 왕국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기오르기 11세
에레클레 1세
카이호스로(카르틀리)
예세
카르틀리 왕국
제17대
제18대
-
-
바흐탄그 6세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
-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
초대
제2대
-
-
에레클레 2세
기오르기 12세
-
-



이베리아 왕국 5대 군주
გურგენი | 구르겐 1세
제호
한국어
구르겐 1세
조지아어
გურგენი
라틴어
Gurgen II
생몰 년도
미상 ~ 1008년
재위 기간
994년 ~ 1008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이베리아 왕국 바그라티온 왕조 5대 군주.

2. 생애[편집]


이베리아 왕국 바그라티온 왕조 4대 군주 바그라트 2세의 아들이다. 그는 압하지야 왕 기오르기 2세의 딸 구란두크트(Gurandukht)와 결혼하여 바그라트 3세를 낳았다. 그는 어린 아들을 상류 타오 공작 다비트 3세의 양자로 보냈는데, 허울뿐인 이베리아 왕위를 물려주는 것보다는 조지아에서 가장 강력한 권세를 구가하는 다비트 3세의 후계자가 되는 편이 아들에게 더 나은 선택이라고 여겼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975년, 아직 10대 소년이었던 바그라트 3세는 다비트 3세에 의해 카르틀리 통치자로 임명되었고, 그가 섭정을 맡았다. 978년 게오르기 2세가 후계자를 두지 못한 채 사망하자, 다비트 3세는 압하지야 대신들에게 압력을 행사하여 바그라트 3세가 압하지야 왕에 선임되게 했다. 그는 카르틀리에서 아들과 함께 공동 통치를 하면서 아들이 압하지야 내 반대 세력에 맞서 승리하도록 도왔다.

990년, 바그라트 3세는 자신에게 복종하길 거부하는 라티 공작을 징벌하고자 군대를 소집했다. 그는 휘하 병력을 소집하여 아들과 합세하고자 사브세티로 이동했다. 그런데 다비트 3세는 그와 바그라트 3세가 자신을 치려고 하는 줄로 오해하고 기병대를 이끌고 구르겐을 습격했다. 구르겐은 갑작스러운 습격에 별 대응도 못하고 한 요새로 대피했고, 그의 아버지 바그라트 2세는 다비트 3세를 두둔했다. 이에 바그라트 3세가 단독으로 다비트 3세를 찾아가 억울함을 호소했고, 다비트 3세는 자기가 오해했다는 걸 깨닫고 구르겐-바그라트 3세와 화해했다.

994년 바그라트 2세가 사망한 뒤 이베리아의 왕으로 즉위했다. 1001년 다비트 3세가 귀족들에게 독살당하자, 그는 아들이 다비트 3세의 영지를 확보하는 걸 도와줬다. 이보다 전, 다비트 3세는 바르다스 포카스의 반란을 도와줬다가 포카스가 바실리오스 2세 황제에게 패사하자 황제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제가 죽으면 모든 영지를 제국에 헌납하겠습니다."라고 약속했다. 바실리오스 2세는 이를 상기시키며 다비트 3세의 영지를 제국에 귀속시키라고 명령했다. 그러자 바그라트 3세는 자신은 그런 일이 있었다는 걸 전혀 몰랐으며 정당한 후계자인 자신이 아무것도 받지 못하는 건 억울하다며 거부했고, 그는 아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당시 불가리아 제1제국사무일과 국가의 운명을 건 전쟁을 치르고 있던 황제는 조지아인들과 마찰을 벌이는 건 무익하다고 보고, 바그라트 3세가 다비트 3세의 영지를 그대로 가지는 걸 인정했다. 바그라트 3세는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쿠로팔레스 칭호를 받았고, 그는 마기스테르의 칭호를 받았다. 쿠로팔레스가 마기스테르보다 더 높은 칭호였는데, 이는 그가 아들에게 질투심을 느끼고 자중지란을 일으키도록 유도하려는 황제의 술책이었다. 그러나 구르겐이 아들이 자기보다 높은 직위를 가지는 걸 깨끗하게 인정해버리면서 무산되었다.

1008년 사망하면서 이베리아 왕위와 영지를 아들에게 물려줬다. 이리하여 압하지야와 타오 등 조지아 대부분을 확보하게 된 바그라트 3세는 조지아 왕국의 건국을 선포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4:00:46에 나무위키 구르겐 1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