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66 (r1판)

편집일시 :

>
인천광역시
{{{#fff,#1f2023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fff 공항
ㆍ[[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ㆍ[[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
좌석
]]ㆍ[[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ㆍ[[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4px;"
지선
]]ㆍ[[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4px;"
마을]]



파일:66번인천구엔삭.jpg
파일:IMG_7966.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간선버스 6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진웅종점)종점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송정역)
종점행첫차04:30기점행첫차05:00
막차22:40막차23:50
평일배차15~19분주말배차20~25분
운수사명신동아교통인가대수16대
노선진웅종점 - 덕현금속[단독] - 트러스[단독] - 검단지식산업센터 - 금란마트 - 검단오류역 - 단봉초등학교 - 원흥아파트 - 검단사거리역 - 완정초등학교 - 마전역 - 동아아파트 - 완정역 - 엘리지안타운 - 독정역 - 한들마을입구 - 검암역입구 - 서해아파트 - 심곡어린이도서관 - 공촌마을 - 경남아파트 - 계산삼거리 - 경인교대입구역 - 계양구의회 - 작전역 - 한신아파트 - 임학역 - 계양산전통시장 - 박촌역 - 동양지구입구 - 당산초등학교 - 상야동 - 하야동 - 개화검문소 - (→ 김포공항국제선 → 한국공항공사 → 김포공항국내선 →/← 방화중학교 ←) - 송정역

중간 출발 정류장
송정역 방향검단공구상가, 독정역(서구동구예비군훈련장), 경남아파트
진웅종점 방향없음
중간 종료 정류장
송정역 방향없음
진웅종점 방향공단사거리


2. 개요[편집]


신동아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5.2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96년에 6월 16일에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강화운수(현, 선진상운)에서 운행하였고 구간은 계산동 - 상야동 - 김포공항 - 당산역 - 영등포역이었다. 당시 계산동에서 김포공항, 영등포로 가는 유일한 시내버스였기 때문에 수요가 많았다.

  • 1999년 9월 3일에 공항버스에서 계산동과 서울시청을 잇는 63-1번을 신설하면서 경쟁이 시작되었다. 이후 신공항여객300번301번을 신설하면서 경쟁은 더욱 심화되었다.

  • 경쟁을 피하고 새로 수요처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2000년 4월 1일에 왕길동으로 기점이 연장되었다.

  • 신공항여객39번 국도 경유를 버리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초강수를 두면서 계산동과 영등포를 빠르게 연계하는 노선으로 등극한다. 66번이 경쟁력에서 밀리자 2001년 5월 7일에 좌석버스에서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 요금이 인하되면서 수요가 늘었지만 배차간격이 20~30분으로 길어서 좌석버스로 이탈하는 승객도 많았다. 카드 단말기도 서울과 인천에서 주로 사용한 인텍크 기종이 아닌 에이캐시를 사용하여 교통카드 사용자들에게 많이 외면받았다. 결국 2001년 11월 20일에 도원교통에게 매각된다. 부천 면허였지만 부천에는 진입하지 않았다.

  • 2002년 1월 1일에 종점이 송정역으로 단축되고 계산현대아파트~계산삼거리 구간이 삭제되었다. 계산동자연풀장 인근에 차고지를 조성하여 기점을 변경하기에 이른다.

  • 2002년 7월 16일에 공항버스 홈페이지에 63-1번을 매각한다는 공지가 등장하고 66번과 동일하게 도원교통으로 노선이 매각되었다. 당시엔 63-1번과 66번이 같이 다녔으며 오래도록 지속되던 '계산동~서울' 구간의 경쟁은 66번으로 통일되었다.

  • 2002년 12월 1일에 63-1번과 66번이 김포운수로 인수된다. 63-1번은 폐선되어 66번에 흡수되고 다시 좌석버스로 전환된다. 좌석버스로 환원되었지만 이용객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1,000원의 요금만 징수하였다.

  • 좌석버스로 전환되고 다시 영등포로 환원되었지만 수요는 거의 없어서 2007년 7월 2일에 다시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고 동시에 송정역으로 종점이 환원되었다.

  • 2009년 10월 10일에 770번770-1번이 분리되어 770번이 계산역을 경유하지 않게 되자 66번이 심곡동과 연희동 일대를 추가로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공항대로에 버스중앙차로가 개통하면서 2012년 12월 22일부터 중앙차로를 경유하게 되었고 송정역 인근 삼거리가 아닌 공항중학교 앞에서 유턴하도록 변경되었다. 인천광역시 공지사항(pdf 파일)



파일:인천!66 변경.jpg
  • 2016년 7월 30일에 기점이 진웅종점에서 안동포종점까지 연장되고, 계산역을 경유하는 대신 경인교대입구역, 작전역 경유로 변경되면서 노선이 단순화되었다. 배차간격은 14~19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6년 9월 3일에 기점이 다시 진웅종점으로 단축되었다.

  • 2017년 7월 22일에 작전1동행정복지센터 구간이 폐지되고 '작전역 - 뉴서울3차아파트 - 효성사거리 - 로얄금속 - 부평구청역 - 굴포천역 - 광명아파트' 경유로 변경되었다. 인천광역시 공지사항(pdf 파일)

  • 2017년 12월 9일에 '작전역 - 효성사거리 - 로얄금속 - 부평구청역 - 굴포천역 - 광명아파트' 구간이 폐비되고 '작전역 - 북인천세무서 - 한신아파트 - 한림병원 - 임학역'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5월 5일부터 정류장 간격이 멀다는 민원으로 인해 동양동주유소 정류장이 신설되어 정차하였으나 동년 8월 11일에 이용객 저조로 인해 폐지되어 통과한다.

  • 2018년 7월 21일부터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신설된 당산초등학교아래사거리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18년 9월 5일부터 검단 방향만 경유하던 개화역광역환승센터를 경유하지 않고 양방향 모두 개화검문소에만 정차한다.


4. 특징[편집]


  • 서구에서 서구를 운행하는 노선이지만, 굴곡이 심하여 왕복 운행거리가 약 80km 정도 되는 장거리 노선이다.[1]

  • 인천광역시 간선버스중 준공영제 적용을 받지 않는 둘 뿐인 노선이다. 준공영제 노선이 아니라 통합행선판이 아닌 자사 특유의 행선판을 사용하는데 2016년 개편 이전 측면 행선판의 폰트를 바꾸고 윤곽선만 없앤 행선판을 사용한다. 차량의 전면과 후면에는 선진버스와 동일한 디자인의 행선판을 사용한다.

  • 배차간격이 긴 편이므로 이용시에는 사전에 포털을 확인하여 미리 운행 정보를 숙지한 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표기 배차간격은 19~25분이지만, 평일 기준 23~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고 보면 된다. 주말에는 감차가 더 심해져서 4~6대로 40분~6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경우도 많다. 주말에는 버스위치를 꼭 확인하고 이용하자.

  • 김포운수 시절의 66번은 김포 면허 버스였는데 김포는 물론이고 경기 지역 어느 곳에도 경유하는 정류장이 없었다. 즉 아웃김포를 넘어 아웃경기 노선이었던 것.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한국공항공사_투명.png 김포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인천 · 김포 · 김해 · 제주 · 대구 · 청주 · 무안 · 울산 · 여수 · 포항 · 군산 · 원주 · 광주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 강서구간 버스
[ 펼치기 · 접기 ]
6060-5[A]6778
88[A]117[B]3001002
3000[A]7700
[A] 강화도 경유 노선 / [B] 영종도 경유 노선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공영제, 준공영제 미참여 버스노선
[ 펼치기 · 접기 ]
>
광역>

6777[통]

간선
67
지선
마을>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단독] A B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1] 이 노선보다 더 긴 노선들은 16-1번, 700-1번, 70번, 202번이 있다. 이 중 16-1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강화도, 영종도로 가는 노선이기 때문에 내륙 운행 노선중에서는 16-1번 다음으로 긴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