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맥 (r1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한민족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만주 종족 계보








위서(魏書)

[ 본기(本紀)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8b><width=50%> 1권 「무제기(武帝紀)」 ||||<width=50%> 2권 「문제기(文帝紀)」 ||
||||<rowbgcolor=#fff,#191919> 조조 ,조등 왕준, |||| 조비 ||
|||| 3권 「명제기(明帝紀)」 |||| 4권 「삼소제기(三少帝紀)」 ||
||||<rowbgcolor=#fff,#191919> 조예 ,학소 진랑 맹타, |||| 조방 ,장특, · 조모 · 조환 ||
||<-4><width=1000>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열전(列傳) ]
#181818,#e5e5e5 
||<-3><tablewidth=100%><tablebgcolor=#00008b> {{{-1 {{{#ffffff 5권}}}}}} {{{-2 {{{#ffffff 「후비전(后妃傳)」}}}}}} ||
||<-3><rowbgcolor=#fff,#191919><width=1000> [[무선황후|{{{#black,#e5e5e5 무선황후}}}]] · [[문소황후|{{{#black,#e5e5e5 문소황후}}}]] · [[문덕황후 곽씨|{{{#black,#e5e5e5 문덕황후}}}]] · [[명도황후|{{{#black,#e5e5e5 명도황후}}}]] · [[명원황후|{{{#black,#e5e5e5 명원황후}}}]] ||
||<width=33%> {{{-1 {{{#ffffff 6권}}}}}} {{{-2 {{{#ffffff 「동이원유전(董二袁劉傳)」}}}}}} ||<width=33%> {{{-1 {{{#ffffff 7권}}}}}} {{{-2 {{{#ffffff 「여포장홍전(呂布臧洪傳)」}}}}}} ||<width=33%> {{{-1 {{{#ffffff 8권}}}}}} {{{-2 {{{#ffffff 「이공손도사장전(二公孫陶四張傳)」}}}}}} ||
||<rowbgcolor=#fff,#191919> [[동탁|{{{#black,#e5e5e5 동탁}}}]] ,,,[[이각|{{{#black,#e5e5e5 이각}}}]] [[곽사|{{{#black,#e5e5e5 곽사}}}]] [[마등|{{{#black,#e5e5e5 마등}}}]] [[한수(삼국지)|{{{#black,#e5e5e5 한수}}}]],,,[br] [[원소(삼국지)|{{{#black,#e5e5e5 원소}}}]] ,,,[[저수#s-2|{{{#black,#e5e5e5 저수}}}]] [[전풍|{{{#black,#e5e5e5 전풍}}}]] [[원담|{{{#black,#e5e5e5 원담}}}]] [[원희|{{{#black,#e5e5e5 원희}}}]] [[원상|{{{#black,#e5e5e5 원상}}}]],,, · [[원술|{{{#black,#e5e5e5 원술}}}]][br] [[유표|{{{#black,#e5e5e5 유표}}}]] ,,,[[유종(삼국지)|{{{#black,#e5e5e5 유종}}}]] [[부손|{{{#black,#e5e5e5 부손}}}]] [[괴월|{{{#black,#e5e5e5 괴월}}}]] [[한숭|{{{#black,#e5e5e5 한숭}}}]] [[채모|{{{#black,#e5e5e5 채모}}}]],,, || [[여포|{{{#black,#e5e5e5 여포}}}]] ,,,[[장막(삼국지)|{{{#black,#e5e5e5 장막}}}]] [[진궁|{{{#black,#e5e5e5 진궁}}}]] [[진등|{{{#black,#e5e5e5 진등}}}]],,, · [[장홍(삼국지)#s-1|{{{#black,#e5e5e5 장홍}}}]] || [[공손찬|{{{#black,#e5e5e5 공손찬}}}]] ,,,[[유우(삼국지)|{{{#black,#e5e5e5 유우}}}]],,, · [[도겸(삼국지)|{{{#black,#e5e5e5 도겸}}}]] · [[장양|{{{#black,#e5e5e5 장양}}}]][br] [[공손도|{{{#black,#e5e5e5 공손도}}}]] ,,,[[공손연|{{{#black,#e5e5e5 공손연}}}]],,,[br] [[장연|{{{#black,#e5e5e5 장연}}}]] · [[장수(삼국지)|{{{#black,#e5e5e5 장수}}}]] · [[장로(삼국지)|{{{#black,#e5e5e5 장로}}}]] ||
||<-2> {{{-1 {{{#ffffff 9권}}}}}} {{{-2 {{{#ffffff 「제하후조전(諸夏侯曹傳)」}}}}}} || {{{-1 {{{#ffffff 10권}}}}}} {{{-2 {{{#ffffff 「순욱순유가후전(荀彧荀攸賈詡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하후돈|{{{#black,#e5e5e5 하후돈}}}]] ,,,[[하후무|{{{#black,#e5e5e5 하후무}}}]] [[한호#s-2|{{{#black,#e5e5e5 한호}}}]] [[사환(삼국지)|{{{#black,#e5e5e5 사환}}}]],,, · [[하후연|{{{#black,#e5e5e5 하후연}}}]] ,,,[[하후패|{{{#black,#e5e5e5 하후패}}}]],,, · [[조인|{{{#black,#e5e5e5 조인}}}]] ,,,[[조순(후한)|{{{#black,#e5e5e5 조순}}}]],,, · [[조홍|{{{#black,#e5e5e5 조홍}}}]] · [[조휴|{{{#black,#e5e5e5 조휴}}}]] ,,,[[조조(둔기교위)|{{{#black,#e5e5e5 조조(肇)}}}]],,, [br] [[조진#s-1|{{{#black,#e5e5e5 조진}}}]] ,,,[[조상(삼국지)|{{{#black,#e5e5e5 조상}}}]] [[이승(조위)|{{{#black,#e5e5e5 이승}}}]] [[환범|{{{#black,#e5e5e5 환범}}}]] [[하안|{{{#black,#e5e5e5 하안}}}]],,, · [[하후상|{{{#black,#e5e5e5 하후상}}}]] ,,,[[하후현|{{{#black,#e5e5e5 하후현}}}]] [[이풍(조위)|{{{#black,#e5e5e5 이풍}}}]] [[허윤|{{{#black,#e5e5e5 허윤}}}]],,, || [[순욱|{{{#black,#e5e5e5 순욱}}}]] ,,,[[순의|{{{#black,#e5e5e5 순의}}}]] [[예형|{{{#black,#e5e5e5 예형}}}]],,, · [[순유|{{{#black,#e5e5e5 순유}}}]] · [[가후|{{{#black,#e5e5e5 가후}}}]] ||
|| {{{-1 {{{#ffffff 11권}}}}}} {{{-2 {{{#ffffff 「원장양국전왕병관전(袁張凉國田王邴管傳)」}}}}}} || {{{-1 {{{#ffffff 12권}}}}}} {{{-2 {{{#ffffff 「최모서하형포사마전(崔毛徐何邢鮑司馬傳)」}}}}}} || {{{-1 {{{#ffffff 13권}}}}}} {{{-2 {{{#ffffff 「종요화흠왕랑전(鍾繇華歆王朗傳)」}}}}}} ||
||<rowbgcolor=#fff,#191919>[[원환|{{{#black,#e5e5e5 원환}}}]]  · [[장범|{{{#black,#e5e5e5 장범}}}]] ,,,[[장승(조위)|{{{#black,#e5e5e5 장승}}}]],,, · [[양무#s-1|{{{#black,#e5e5e5 양무}}}]] · [[국연|{{{#black,#e5e5e5 국연}}}]] [br] [[전주(삼국지)|{{{#black,#e5e5e5 전주}}}]] · [[왕수(삼국지)|{{{#black,#e5e5e5 왕수}}}]] · [[병원(삼국지)|{{{#black,#e5e5e5 병원}}}]] · [[관녕|{{{#black,#e5e5e5 관녕}}}]] ,,,[[왕렬#s-2|{{{#black,#e5e5e5 왕렬}}}]] [[장천(삼국시대)|{{{#black,#e5e5e5 장천}}}]] [[호소#s-2|{{{#black,#e5e5e5 호소}}}]],,,|| [[최염|{{{#black,#e5e5e5 최염}}}]] ,,,[[공융|{{{#black,#e5e5e5 공융}}}]] [[허유|{{{#black,#e5e5e5 허유}}}]] [[누규|{{{#black,#e5e5e5 누규}}}]],,, · [[모개|{{{#black,#e5e5e5 모개}}}]] · [[서혁|{{{#black,#e5e5e5 서혁}}}]] [br] [[하기(삼국지)|{{{#black,#e5e5e5 하기}}}]] · [[형옹|{{{#black,#e5e5e5 형옹}}}]] · [[포훈|{{{#black,#e5e5e5 포훈}}}]] · [[사마지|{{{#black,#e5e5e5 사마지}}}]] || [[종요|{{{#black,#e5e5e5 종요}}}]] ,,,[[종육|{{{#black,#e5e5e5 종육}}}]],,, · [[화흠|{{{#black,#e5e5e5 화흠}}}]] · [[왕랑|{{{#black,#e5e5e5 왕랑}}}]] ,,,[[왕숙|{{{#black,#e5e5e5 왕숙}}}]],,, ||
|| {{{-1 {{{#ffffff 14권}}}}}} {{{-2 {{{#ffffff 「정곽동류장류전(程郭董劉蔣劉傳)」}}}}}} || {{{-1 {{{#ffffff 15권}}}}}} {{{-2 {{{#ffffff 「유사마량장온가전(劉司馬梁張溫賈傳)」}}}}}} || {{{-1 {{{#ffffff 16권}}}}}} {{{-2 {{{#ffffff 「임소두정창전(任蘇杜鄭倉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정욱|{{{#black,#e5e5e5 정욱}}}]] ,,,[[정효|{{{#black,#e5e5e5 정효}}}]],,, · [[곽가|{{{#black,#e5e5e5 곽가}}}]] · [[동소|{{{#black,#e5e5e5 동소}}}]] [br] [[유엽|{{{#black,#e5e5e5 유엽}}}]] ,,,[[유도(삼국지)#s-1|{{{#black,#e5e5e5 유도}}}]],,, · [[장제(조위 태위)|{{{#black,#e5e5e5 장제}}}]] · [[유방(삼국지)|{{{#black,#e5e5e5 유방}}}]] ,,,[[손자(삼국지)|{{{#black,#e5e5e5 손자}}}]],,, || [[유복#s-2|{{{#black,#e5e5e5 유복}}}]] ,,,[[유정(삼국지)|{{{#black,#e5e5e5 유정}}}]],,, · [[사마랑|{{{#black,#e5e5e5 사마랑}}}]] · [[양습|{{{#black,#e5e5e5 양습}}}]] ,,,[[왕사(삼국지)#s-1|{{{#black,#e5e5e5 왕사}}}]],,, [br] [[장기(삼국지)|{{{#black,#e5e5e5 장기}}}]] ,,,[[유초|{{{#black,#e5e5e5 유초}}}]] [[장집|{{{#black,#e5e5e5 장집}}}]],,, · [[온회|{{{#black,#e5e5e5 온회}}}]] ,,,[[맹건|{{{#black,#e5e5e5 맹건}}}]],,, · [[가규|{{{#black,#e5e5e5 가규}}}]] ,,,[[가충|{{{#black,#e5e5e5 가충}}}]],,, || [[임준|{{{#black,#e5e5e5 임준}}}]] · [[소칙|{{{#black,#e5e5e5 소칙}}}]] · [[두기(삼국지)|{{{#black,#e5e5e5 두기(畿)}}}]] ,,,[[두서#s-2|{{{#black,#e5e5e5 두서}}}]] [[악상(조위)|{{{#black,#e5e5e5 악상}}}]],,, [br] [[정혼(삼국지)|{{{#black,#e5e5e5 정혼}}}]] ,,,[[정태|{{{#black,#e5e5e5 정태}}}]],,, · [[창자(삼국지)|{{{#black,#e5e5e5 창자}}}]] ,,,[[안비|{{{#black,#e5e5e5 안비}}}]] [[영호소|{{{#black,#e5e5e5 영호소}}}]],,, ||
|| {{{-1 {{{#ffffff 17권}}}}}} {{{-2 {{{#ffffff 「장악우장서전(張樂于張徐傳)」}}}}}} ||<-2> {{{-1 {{{#ffffff 18권}}}}}} {{{-2 {{{#ffffff 「이이장문여허전이방염전(二李藏文呂許典二龐閻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장료|{{{#black,#e5e5e5 장료}}}]] · [[악진|{{{#black,#e5e5e5 악진}}}]] · [[우금|{{{#black,#e5e5e5 우금}}}]] · [[장합|{{{#black,#e5e5e5 장합}}}]] · [[서황|{{{#black,#e5e5e5 서황}}}]] ,,,[[주령|{{{#black,#e5e5e5 주령}}}]],,, ||<-2> [[이전(삼국지)|{{{#black,#e5e5e5 이전}}}]] · [[이통|{{{#black,#e5e5e5 이통}}}]] · [[장패|{{{#black,#e5e5e5 장패}}}]] ,,,[[손관|{{{#black,#e5e5e5 손관}}}]],,, · [[문빙|{{{#black,#e5e5e5 문빙}}}]] · [[여건#s-2|{{{#black,#e5e5e5 여건}}}]] ,,,[[왕상(서진)|{{{#black,#e5e5e5 왕상}}}]],,, [br] [[허저|{{{#black,#e5e5e5 허저}}}]] · [[전위(삼국지)|{{{#black,#e5e5e5 전위}}}]] · [[방덕|{{{#black,#e5e5e5 방덕}}}]] ·[[방육|{{{#black,#e5e5e5 방육}}}]] ,,,[[방아친|{{{#black,#e5e5e5 조아}}}]],,, · [[염온|{{{#black,#e5e5e5 염온}}}]] ||
|| {{{-1 {{{#ffffff 19권}}}}}} {{{-2 {{{#ffffff 「임성진소왕전(任城陳蕭王傳)」}}}}}} ||<-2> {{{-1 {{{#ffffff 20권}}}}}} {{{-2 {{{#ffffff 「무문세왕공전(武文世王公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조창|{{{#black,#e5e5e5 조창}}}]] · [[조식(삼국지)|{{{#black,#e5e5e5 조식}}}]] ,,,[[양수(삼국지)|{{{#black,#e5e5e5 양수}}}]] [[정의(삼국지)|{{{#black,#e5e5e5 정의}}}]] [[정이|{{{#black,#e5e5e5 정이}}}]],,, · [[조웅|{{{#black,#e5e5e5 조웅}}}]] ||<-2> [[조앙|{{{#black,#e5e5e5 조앙}}}]] · [[조삭|{{{#black,#e5e5e5 조삭}}}]] · [[조충|{{{#black,#e5e5e5 조충}}}]] ·[[조거|{{{#black,#e5e5e5 조거}}}]] · [[조우(삼국지)|{{{#black,#e5e5e5 조우}}}]] ·[[조림(삼국지)#s-1|{{{#black,#e5e5e5 조림(林)}}}]] · [[조곤|{{{#black,#e5e5e5 조곤}}}]] · [[조현#s-1|{{{#black,#e5e5e5 조현}}}]] ·[[조간|{{{#black,#e5e5e5 조간}}}]] ·[[조표(조위)|{{{#black,#e5e5e5 조표}}}]] ·[[조정(삼국지)|{{{#black,#e5e5e5 조정}}}]] ·[[조림#s-2|{{{#black,#e5e5e5 조림(霖)}}}]] ||
|| {{{-1 {{{#ffffff 21권}}}}}} {{{-2 {{{#ffffff 「왕위이유부전(王衛二劉傳)」}}}}}} || {{{-1 {{{#ffffff 22권}}}}}} {{{-2 {{{#ffffff 「환이진서위노전(桓二陳徐衛盧傳)」}}}}}} || {{{-1 {{{#ffffff 23권}}}}}} {{{-2 {{{#ffffff 「화상양두조배전(和常楊杜趙裴傳)」}}}}}} ||
||<rowbgcolor=#fff,#191919> [[왕찬|{{{#black,#e5e5e5 왕찬}}}]] ,,,[[진림|{{{#black,#e5e5e5 진림}}}]] [[완우|{{{#black,#e5e5e5 완우}}}]] [[유정(건안칠자)|{{{#black,#e5e5e5 유정}}}]],,, · [[위기(조위)|{{{#black,#e5e5e5 위기}}}]] · [[유이(삼국지)|{{{#black,#e5e5e5 유이}}}]] · [[유소(조위)|{{{#black,#e5e5e5 유소}}}]] · [[부하(삼국지)|{{{#black,#e5e5e5 부하}}}]] || [[환계|{{{#black,#e5e5e5 환계}}}]] · [[진군|{{{#black,#e5e5e5 진군}}}]] ,,,[[진태|{{{#black,#e5e5e5 진태}}}]],,, · [[진교#s-2|{{{#black,#e5e5e5 진교}}}]] · [[서선|{{{#black,#e5e5e5 서선}}}]] · [[위진|{{{#black,#e5e5e5 위진}}}]] · [[노육|{{{#black,#e5e5e5 노육}}}]] || [[화흡|{{{#black,#e5e5e5 화흡}}}]] · [[상림#s-2|{{{#black,#e5e5e5 상림}}}]] ,,,[[시묘|{{{#black,#e5e5e5 시묘}}}]],,, · [[양준|{{{#black,#e5e5e5 양준}}}]] ·[[두습|{{{#black,#e5e5e5 두습}}}]] · [[조엄|{{{#black,#e5e5e5 조엄}}}]] · [[배잠|{{{#black,#e5e5e5 배잠}}}]] ,,,[[배수(삼국지)|{{{#black,#e5e5e5 배수}}}]],,, ||
|| {{{-1 {{{#ffffff 24권}}}}}} {{{-2 {{{#ffffff 「한최고손왕전(韓崔高孫王傳)」}}}}}} || {{{-1 {{{#ffffff 25권}}}}}} {{{-2 {{{#ffffff 「신비양부고당륭전(辛毗楊阜高堂隆傳)」}}}}}} || {{{-1 {{{#ffffff 26권}}}}}} {{{-2 {{{#ffffff 「만전견곽전(滿田牽郭傳)」}}}}}} ||
||<rowbgcolor=#fff,#191919> [[한기(조위)|{{{#black,#e5e5e5 한기}}}]] · [[최림(삼국지)|{{{#black,#e5e5e5 최림}}}]] ·[[고유(삼국지)|{{{#black,#e5e5e5 고유}}}]] · [[손례|{{{#black,#e5e5e5 손례}}}]] · [[왕관(삼국지)|{{{#black,#e5e5e5 왕관}}}]] || [[신비(삼국지)|{{{#black,#e5e5e5 신비}}}]] ,,,[[신헌영|{{{#black,#e5e5e5 신헌영}}}]],,, · [[양부(삼국지)|{{{#black,#e5e5e5 양부}}}]] ,,,[[왕이(삼국지)|{{{#black,#e5e5e5 왕이}}}]],,, · [[고당륭|{{{#black,#e5e5e5 고당륭}}}]] ,,,[[잔잠|{{{#black,#e5e5e5 잔잠}}}]],,, || [[만총|{{{#black,#e5e5e5 만총}}}]] · [[전예|{{{#black,#e5e5e5 전예}}}]] · [[견초|{{{#black,#e5e5e5 견초}}}]] · [[곽회|{{{#black,#e5e5e5 곽회}}}]] ||
|| {{{-1 {{{#ffffff 27권}}}}}} {{{-2 {{{#ffffff 「서호이왕전(徐胡二王傳)」}}}}}} |||| {{{-1 {{{#ffffff 28권}}}}}} {{{-2 {{{#ffffff 「왕관구제갈등종전(王毌丘諸葛鄧鍾傳)」}}}}}} ||
||<rowbgcolor=#fff,#191919> [[서막#s-2|{{{#black,#e5e5e5 서막}}}]] · [[호질#s-1|{{{#black,#e5e5e5 호질}}}]] ,,,[[호위(서진)|{{{#black,#e5e5e5 호위}}}]],,, · [[왕창(삼국지)|{{{#black,#e5e5e5 왕창}}}]] · [[왕기(삼국지)|{{{#black,#e5e5e5 왕기}}}]] |||| [[왕릉(삼국지)|{{{#black,#e5e5e5 왕릉}}}]] ,,,[[선고#s-2|{{{#black,#e5e5e5 선고}}}]] [[영호우|{{{#black,#e5e5e5 영호우}}}]],,, · [[관구검|{{{#black,#e5e5e5 관구검}}}]] ,,,[[문흠|{{{#black,#e5e5e5 문흠}}}]],,, · [[제갈탄|{{{#black,#e5e5e5 제갈탄}}}]] ,,,[[당자#s-2|{{{#black,#e5e5e5 당자}}}]],,, · [[등애|{{{#black,#e5e5e5 등애}}}]] ,,,[[주태(조위)|{{{#black,#e5e5e5 주태}}}]],,, · [[종회|{{{#black,#e5e5e5 종회}}}]] ,,,[[장창포|{{{#black,#e5e5e5 장창포}}}]] [[왕필(조위)|{{{#black,#e5e5e5 왕필}}}]],,, ||
||<-3> {{{-1 {{{#ffffff 29권}}}}}} {{{-2 {{{#ffffff 「방기전(方技傳)」}}}}}} ||
||<-3><bgcolor=#fff,#191919> [[화타|{{{#black,#e5e5e5 화타}}}]] · [[두기(조위)|{{{#black,#e5e5e5 두기(夔)}}}]] ,,,[[마균|{{{#black,#e5e5e5 마균}}}]],,, · [[주건평|{{{#black,#e5e5e5 주건평}}}]] · [[주선(삼국지)#s-1|{{{#black,#e5e5e5 주선}}}]] · [[관로|{{{#black,#e5e5e5 관로}}}]] ||
||<-3> {{{-1 {{{#ffffff 30권}}}}}} {{{-2 {{{#ffffff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
||<-3><bgcolor=#fff,#191919> [[오환족|{{{#black,#e5e5e5 오환}}}]] · [[선비(민족)|{{{#black,#e5e5e5 선비}}}]] ,,,[[가비능|{{{#black,#e5e5e5 가비능}}}]],,, · [[부여|{{{#black,#e5e5e5 부여}}}]] ·[[고구려|{{{#black,#e5e5e5 고구려}}}]] · [[왜국|{{{#black,#e5e5e5 왜}}}]] ·[[읍루|{{{#black,#e5e5e5 읍루}}}]] · [[예맥|{{{#black,#e5e5e5 예맥}}}]] · [[옥저|{{{#black,#e5e5e5 동옥저}}}]] ·[[마한|{{{#black,#e5e5e5 마한}}}]] · [[진한|{{{#black,#e5e5e5 진한}}}]] · [[변한|{{{#black,#e5e5e5 변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bgcolor=#fff> {{{-2 {{{#000 관련 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E5B6;"
[[틀:촉서|{{{#008000 촉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E5B6;"
[[틀:오서|{{{#8b0000 오서}}}]]}}} ||}}}
{{{#!wiki style="margin: -27px -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8b><tablebgcolor=#00008b> {{{#!wiki style="background: #ece5b6 ; border-radius: 4px; width: 200px; padding: 3px"
[[:분류:둘러보기 틀/중국의 역사/사서|{{{#000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1. 개요
2. 예맥
3. 예(濊): 부여, 옥저, 동예
4. 맥(貊): (고조선), 고구려
5. 토착민과 혼재된 경우: 백제, 신라, 가야, 탐라국
6. 표기 문제
7.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예맥(濊貊)이란 한반도 중북부, 만주 중남부[1], 연해주 남부 등지에서 거주하던 민족이며, 한반도 중남부에서 거주하던 한(韓)족[2]과 함께 현대 한민족의 직계 조상이 되는 고대 민족이다.

'예맥()족' 자체가 원래부터 하나의 민족을 가리키는 말이라는 설과, '예(濊)족'과 '맥(貊)족' 두 민족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라는 설이 있다. 만약 후자의 설을 지지할 경우에도 고구려가 본격적으로 두 민족을 융합시킨게 되니 결론적으로는 두 가지 설이 다 맞을수도 있다. 참고

고구려발해가 멸망한 뒤 예맥족 일부는 중원 세력이나 만주 세력으로 동화되기도 했지만[3] 대부분은 한반도 세력이 되어[4][5] 지금의 한민족 계보로 이어졌다. 선사시대부터 한반도에서 우세를 차지한 예맥족이 원삼국시대~삼국시대부터 자칭·타칭 삼한(三韓)이라 불린 것으로 보아 크게 보면 서로의 정체성은 하나의 세력권으로 점차 동화되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현대 한국인을 이루는 한민족은 예맥족 중심 국가였던 고조선부여[6], 그리고 이들의 후손인 고구려[7][8]백제[9][10]신라[11], 또한 옥저동예를 모두 계승했지만 한족과 만주족은 해당 국가들을 계승하지 않았다.[12][13]


2. 예맥[편집]


'고구려'는 '요동'의 동쪽 1,000리에 있다. 남쪽은 '조선'예맥이 있고, 동쪽은 '옥저'가 있으며, 북쪽은 '부여'에 접한다.


... '예왕의 도장'이라 하니 나라의 옛성에 '예성'이 있다. 대개 근본은 예맥의 땅이다. '부여'가 그 가운데에서 왕노릇을 하고, ...


'동옥저'는 '고구려'의 '개마대산'의 동쪽에 있다. 큰 바다에 임하여 거한다. 그 땅의 형태는 동쪽과 북쪽은 좁고 서쪽과 남쪽은 길다. 가히 천리이다. 북쪽으로 '읍루'와 '부여'에 접하고, 남쪽으로 예맥에 접한다.


실상 예맥이라는 명칭은 고대 사서에서 매우 넓은 범위로 제시되는 일반적인 종족명이다. 위의 <동이전>이라는 하나의 사료 내에서도 예맥은 고구려와 동옥저의 남쪽, 즉 한반도 동부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이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언급하는 동예) 혹은 부여와 같은 송화강 일대에 있던 고대 국가와도 연관을 가진다.

삼국지에서 종족 명칭이 아니라 국가 명칭으로서의 “예맥”은 동예를 지칭한다. 항목 참고. 한편으로 예맥은 예+맥 이라는 주장 역시 존재한다. 이는 아래 항목들을 참고할 것.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따르면 예족(동예를 의미한다)은 호랑이에 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데, 곽박의 《이아》(爾雅), 《일본서기》 등을 근거[14]로 '맥(貊)'이 을 의미했고, 예족과 맥족의 관계가 단군신화에 반영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즉 하늘과 태양을 숭배하는 천신족(天神族)이 곰을 토템(totem)으로 하는 맥족(貊族)과 호랑이를 토템으로 하는 예족(濊族)을 평정하고 복속시키는 사실을 설화로서 전해주는 신화(神話)로 남아있다고 여겨지고 있다.[15] #[16]삼한인들이 곰을 토템으로 했다는 설도 있다.


3. 예(濊): 부여, 옥저, 동예[편집]


일단 아래의 모든 항목은 학문적으로 현재 완전히 정립된 관점은 아니다. 는 다양한 형태로 사서에 제시되는데, 동예라고 흔히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알려진 영동 지역의 예(濊)가 예족의 대표적인 일파이다.

당나라 가탐(賈耽)은 《고금군국지》(古今郡國志)에 ‘지금 신라 북계인 명주(강릉)는 예(濊)의 고국’이라고 썼다.

또 다른 하나의 예와 관련해서는 [17] 세력을 말한다. 이 예 세력은 위만조선의 북부, 한사군 중 현도군, 부여 등의 고대 국가 집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떤 기록에도 등장하지 않다가 전한 세종 무제 시기에 있었던 창해군 복속 사업과 당시의 군주였던 예군 남려와 관련된 기록으로 인해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위만조선과 느슨한 형태의 연맹을 이루었던 것으로 보이며 무제에 의한 별도의 창해군 복속사업은 실패했고, 이후 위만조선 멸망 당시 현도군의 일부로 편입되었다가 고구려 등의 기반 지역으로 바뀌었던 것으로 보여지는데, 명확한 구분 기준은 아직 알 수 없다. 고조선 멸망 이후 기록된 《후한서》와 《삼국지》에서 동예의 역사 파트는 《사기》와 《한서》의 <조선열전>을 복붙해놓았다.


4. 맥(貊): (고조선), 고구려[편집]


이라는 민족에 관해서는 조선 시대 실학자들 이후 다양한 가설들이 나왔으나 근래의 가설은 맥을 주로 고구려와 연관지어 이해하고 있다.

동로마제국에서는 고구려를 맥과 관련하여 '무쿠리(Mucuri)'라고 불렀는데 이는 '맥+고려'라는 의미이다. 돌궐 역시 맥고려라는 의미의 '뵈클리(Bökli)'라고 고구려를 칭하였다[18]

여호규, 송호정, 김현숙 등 고대사 사학자들이 대체로 동의하는 가설은 '예맥'으로 분류되는 지린성랴오닝성 일대의 집단 중에서 기원전 3세기 이후 구별되어 구려, 고구려 등으로 분류되는 집단이 주변의 '예'와 구별되는 '맥'의 정체성을 발현시켰다는 것이다.

맥계는 이와 같이 고구려 건국 및 확장시에 보다 확실하게 대두된다. 물론 고구려 세력이 유일한 맥계 공동체는 아니었고, 고구려 통합 과정에서 대수맥(大水貊), 소수맥(小水貊), 양맥(梁貊) 등이 편입된 것이다. 중원 입장에서는 영 껄끄러운 세력이었기 때문인지, '맥'을 고구려 세력의 비칭으로 사용한 예가 많다. 대표적으로 북송 시대에 고려 사신의 행패를 소동파가 비난할 때 비칭으로 쓰인 사례를 찾을 수 있다.

근대 사학자들의 경우 과거 《맹자》 등의 중국 고서에 나오는 '맥적' 내지 '맥'을 예맥과 연관시켜 왔지만 《맹자》나 《한서》가 저술되던 시대에 이민족의 족보를 따져 가면서 종족 명칭을 기술하지는 않아 역사학계에서는 진지하게 다루지 않고 있다. 대체로 선진시대 문헌의 '맥'은 북방민족의 범칭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9]. 게다가 '맥'이라는 명칭은 예맥 외에도 '호맥, 만맥' 등 매우 많으며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맥은 이민족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에 가깝다고 인지해야지 아무 맥이나 다 예맥에 갖다 붙여서는 안된다는 것이 현대적 관점이다. 이 “일반적인 이민족을 뜻하는 호칭”으로서 쓰인 것 때문에 위말갈이라는 개념이 탄생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삼국사》(三國史)에서는 이렇게 말하였다.

명주(溟州)는 옛날의 예국(穢國)인데 농부가 밭을 갈다가 '예왕의 도장'(濊王之印: 예왕지인)을 발견해 바쳤다.”

춘주(春州)는 예전의 우수주(牛首州)인데 옛날의 맥국(貊國)이다.”

“지금의 삭주(朔州)가 맥국이라고도 하고, 혹은 평양성이 맥국이라고도 하였다.”

《삼국유사》 제1권 <기이> 제1 -마한- 中.


《삼국유사》의 지역 인식은 이러한 변화를 잘 반영한다. 여기에 나오는 명주는 영동이며, 삭주는 영서 지방을 의미하는데, 현대의 영동 지방은 '예'로 불렸으며 춘천을 중심으로 한 영서세력과 평양성[20] 등 고구려계 세력을 주로 '맥'으로 칭하고 있는 현실을 잘 알 수 있다.

공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모습을 보였고, 일찍부터 뛰어난 용모를 지녔으니, 그 기세가 삼한(三韓)을 압도하였고, 그 이름이 양맥(兩貊)[21]

에 드날렸다.

《부여융 묘지명》, 682년


부여융 묘지명》의 '양맥'은 '두 맥족'이란 뜻으로 백제와 고구려가 예맥을 계승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시점에서는 단순히 예와 맥을 영동/영서로 구분하지 않기도 하며, 이러한 인식은 예맥이 예+맥으로서 , 또는 예맥이라는 삼한 일통 이후의 단일민족적 관점에서도 동시에 인지될 수 있음을 드러내는 바이다.

이후에도 맥은 예와 함께 고구려 세력을 의미했다. 고유 풍습과 관련된 말로 '맥궁'(貊弓)이나 '맥적'(貊炙) 등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맥적은 한국 요리너비아니맥적구이의 기반으로 추측되고 있다. 참고로 백제 기록에서도 '맥'이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책계왕낙랑이 주동이 되어 맥인과 함께 백제에 쳐들어가서 책계왕이 맞서 싸웠으나 전사했다고 한다. 이것 역시 낙랑이 주동이 되어 고구려계 용병과 함께 백제(한성백제)와 대결했다고 하면 해석이 매우 부드럽다.

백제에서는 고구려의 멸칭으로 '박적'(狛賊)이라고 칭했는데, 외관에서 알수 있듯이, '박(狛)= 맥(貊)'에서 유래했으며, 곰이라는 뜻이다. 고구려도 고조선처럼 곰을 숭상했음을 알수 있는 대목인데, 고조선과의 친연성을 풀수 있는 열쇠인 셈. 흔히 고구려를 맥족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는 일본어에서 고구려=고려의 훈독에서도 알 수 있는데, 일본어에서는 고려를 Koma라고 부르며, Kuma는 곰이라는 뜻이다. 狛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일본어 훈독은 koma이며, 안장왕 후손들은 일본으로 망명했는데, 그들의 성씨도 狛으로 개칭했다고 한다. 백제의 경우, 웅진을 《일본서기》에서 '고마나리'라고 부른 것을 알 수 있다. '고마'는 백제어로 웅(熊)에 해당하는 단어로, 마찬가지로 곰을 뜻한다.


5. 토착민과 혼재된 경우: 백제, 신라, 가야, 탐라국[편집]


예맥(濊貊)은 고대 만주 지방과 한반도 북부에 거주했던 종족명으로, 삼한계 민족들과 함께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들 중 하나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그동안 예족맥족을 사실상 동질적인 민족들로 보는 견해가 주류였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 이에 관한 다양한 이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내가 몸소 다니며 약취(略取)해 온 한인(韓人)예인(穢人)들만을 데려다가 무덤을 수호·소제하게 하라."

但取吾躬率所略來韓穢, 令備洒掃言教如此.

광개토대왕릉비』 비문에서.


'한예'(韓穢)를 '한'과 '예'가 섞인 별도의 집단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한과 예를 연칭한 것으로 봄이 일반적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예'는 동예, 옥저와 같이 고구려 이외의 한반도 북부인을 지칭하는 언급이며, '한'은 당연히 '삼한' 즉 한반도 남부 지역의 제 부족을 지칭하는 것으로 봄이 매우 타당하다.

북쪽의 한민족과 남쪽의 한민족, 즉 예인(穢人)과 한인(韓人)들의 차이에 대해서는 백제 지배세력과 피지배세력간의 언어 차이를 하나의 단서로 들 수 있다. 《주서》(周書) <이역전>(異域傳) -백제조-에 의하면

"왕의 성은 부여씨(夫餘氏)이고 이름은 '어라하'라 하는데 백성은 '건길지'(鞬吉支)라고 부른다. 이것은 한자어로 왕(王)과 같다. 처는 '어륙'(於陸)이라 하는데 한자로 비(妃)가 된다."

고 하여 부여계 언어와 한계(韓系) 토착 언어와의 차이를 드러내주는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물론 이것은 지배층 언어와 일반민의 용어 차이로도 해석할 수 있으므로 확실한 근거가 되지는 못하나[22] 동시대 신라 사회나 고구려 사회가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이 왕을 서로 달리 부른 적이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확실히 '백제만의 특징적인 차이'라고 볼 수도 있으며, 바로 그 점에서 의혹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백제어 문서의 '이중언어체계' 문단과 반도 일본어설을 참고. 다만 특기할 점은 ~지 계통의 존칭접미사는 고구려(막리지 등)부터 가야(한기 등)까지 당시 한반도 전체에서 확인된다는 점에서 반도 일본어설과는 다소 궤를 달리 하는 것으로 보인다.[23]

신라, 가야, 탐라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반도 일본어설과 관련해 미국 언어학자인 알렉산더 보빈 교수에 의한 비슷한 지적이 있다. 위처럼 명시적으로 차이가 있는 단어가 있었다고 기록된 건 아니지만 각국의 인명, 지명 등으로 파편처럼 남아있는 각종 단어의 연대에 따른 변천을 근거로 정체불명의 토착어를 예맥계로 보이는 고대 한국어가 대체해나간 것이 아니냐는 가설을 제시했다. 다만 보빈의 경우 일본어족이 상당히 늦게까지 한반도 남부에 잔류해있었다고 주장하는데, 여러모로 고고학적 연구결과와 대응관계가 발견되지 않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보빈은 이에 대해 터키 등의 사례를 언급하며 언어적 변동과 고고학적 물적 변동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방어하나, 이는 따지자면 물적 증거를 언어학적 추정을 통해 일방적으로 기각하는 접근이므로 보빈의 시각도 비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맥=고구려'라는 관점을 보강해서 설명하자면, 광개토대왕릉비의 저 비문만으로 고구려가 같은 예맥계인 예족들도 아예 다른 민족으로 인식했다고 보기에는 힘들다. 애초에 고대에는 같은 민족끼리도 부족별로 나뉘어서 싸우거나 각각 다른 나라들로 나뉘어서 싸우는 경우가 많았고, 그 탓에 서로를 별개의 집단으로 구별해서 인식하는 경우가 매우 많았었다. 비유하자면 6.25 전쟁북한대한민국의 국군 포로들을 노역에 동원했다고 해서 이를 근거로 한국과 북한이 서로 다른 민족이 되는 게 아닌 것처럼, 그 당시 고구려 또한 전쟁 포로들을 활용했다고 해서 같은 부여계인 예족과 맥족이 서로 아예 다른 별개의 민족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맥인'인 광개토대왕이 수많은 민족들 중에서 굳이 '한인'과 '예인'만을 골라 언급한 점으로 보았을 때, "예, 맥, 한을 고구려 천하관으로 포함해서 생각한 사례가 아니냐"고 해석하기도 한다. 진시황이 당시의 중원 천하관에 해당하는 나라들만 통일 대상으로 삼고 이와 관련 없는 이민족 국가[24]고조선은 제외한 것 처럼 말이다.

애초에 전근대에는 혈통과 언어가 비슷한 같은 민족들을 부족이 서로 다르고 나라가 다르다는 이유로 침략해서 노예로 삼는 경우가 매우 흔했었다. 대표적인 예로 조선시대 당시 여진족들만 해도 서로 부족별로 나뉘어서 치열하게 싸웠었고, 정복한 타 부족민들을 전부 노예로 만든 경우가 많았었다. 극단적으로는 같은 계통의 부족들을 아예 대규모 인신공양과 식인의 대상으로 삼았던 아즈텍 제국이 있다.

또한 앞서 명기했듯이 예맥이 항시 모든 시간과 공간에서 동등한 존재로서 나타날 필요는 없으며 이것이 인류유전학적 관점이나 고고학과 반드시 조응할 필요도 없다. 인간의 인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 왜곡되며 이를 후대에 압축해서 보는 과정에서 이렇게 편향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근대사학이나 현대의 재야사학의 대표적 오류이다.

예맥의 뿌리는 같으나 시대에 따라 예와 맥으로 분류되어 호칭되기도 했으며, 다만 그 기준이 과학적이고 혈통적인 것이 아니라 고구려, 동예/옥저 등 영동계열, 후대 백제 등으로 이주한 북방계 한반도 남부인, 부여인 등이 뒤섞여 나타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


6. 표기 문제[편집]


이들 세력이나 종족을 '예맥족'이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표현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문헌상으로 예와 맥은 '예(濊)', '맥(貊)'으로만 존재할 뿐 '예족', '맥족'이라 기록된 적이 없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

반대로 예맥을 예와 맥이라는 특정 혈연 민족으로 보는 경우 이들을 '예맥족'이라 표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문헌상에는 羌(강), 氐(저), 凶奴(흉노)라고 나타나는 민족을 강족, 저족, 흉노족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신라본기> 극 초반에 등장하여 충돌하는 영서, 영동의 말갈 세력을 활동 영역과 기록 시기로 보아, 한반도 중남부에서 활동하던 이질적인 예맥 집단으로 보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위말갈 항목 참조.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전 10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공조전서.정3품 .장관)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7. 같이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15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5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2 00:51:08에 나무위키 예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금의 지린성랴오닝성 일대 동북 3성 부근[2] 그러나 마한, 변한, 진한 또한 형성 초기부터 이미 고조선 출신 예맥족들이 상당수 남하하여 살고 있었던게 문헌상, 고고학상으로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삼한 항목 참고.[3] 주로 고구려와 백제 멸망을 전후로 한 시기에 이민족 국가로의 동화가 이루어졌다. 물론 요동 반도요서의 예맥인들은 수백여 년에 걸친 발해부흥운동 사례와 원간섭기에 고려 왕족을 심양왕에 임명한 사례, 고려 말과 조선 초기의 요동 정벌 사례 및 시도, 그리고 연개소문을 영웅으로 여겼다는 조선 초기의 기록을 보았을 때 조선 초•중기까지는 예맥인의 후예라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박씨 등 일부와 광해군 시기 조선으로 이주한 이들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한(漢)족과 만주족들에게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4] 마한, 진한, 변한을 흡수한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이들을 가리키던 삼한(三韓)이라는 정체성까지 이어받았다.[5] 사실 고구려는 마한이나 변한 계통이 아닌 부여 계통이지만, 전근대 시절에는 저 마한이나 변한 중 하나가 이어졌다고 여겨졌다. 그게 아니더라도 부여계인 예맥계와 남부 지방에 있던 한인들은 혈통과 문화적으로도 한 카테고리라, 어떻게 해석하든 결국 같은 문화집단이라고 보는게 옳다.[6] 고조선 유민들을 다수 흡수했다.[7] 고조선계와 부여계 유민들이 부여와 한사군을 역흡수했다.[8] 후삼국 통일을 전후로 하여 패서▪︎관서▪︎영동 일대의 고구려 유민들은 고려를 건국해 같은 고구려계인 발해 유민들을 대거 흡수한 뒤 신라를 합병, 후백제를 멸망시킴으로써 한민족의 주류로 자리잡게 된다.[9] 부여계 유민들이 마한을 흡수했다.[10] 백제 멸망 이후 절대 다수의 백제인들은 통일신라에 편입, 고구려인, 신라인들과 더불어 한민족의 원류(源類)가 된다.[11] 고조선 유민들이 진한 지역에 정착한 뒤 발전, 진한이 되었으며, 그 중 사로국(신라)이 영토국가화 되면서 진한 전체를 장악했다. 이후에는 변한을 이은 가야를 흡수했다.[12] 예맥계 주민들을 동화시켜 흡수한 경우는 있을지언정, 역사귀속 의식이나 문화계승이 이뤄진 사례는 없다. 당연히 문화적 계승성이 이뤄지지 않았는데 예맥을 중국사나 만주사로 편입할 수는 없다.[13] 무엇보다 특기할만한 사실은, 한민족의 경우 수백년에 걸쳐 지속된 고구려부흥운동의 영향으로 예맥의 직계이자 계승자로서의 정체성이 확고하게 자리잡았다는 사실이다.[14] 고구려박(狛)이라고 쓰고 코마(こま)라고 읽었다.[15] 당연히 정설이라고 볼 고고학적 증거는 아직 부족하다. 어디까지나 신화를 해석하는 설 중 하나일 뿐임을 유의하자. [16] 출처 : 위키백과 한글판, 원출처는 한국사 1권(1973), 한국민족문화대백과로 제시되어 있음. 추가로 제시된 링크 (# 부분)의 경우, 신용하 교수의 저작을 언급하는데 신용하 교수는 2000년대, 즉 70대까지는 일정기와 독립운동 단체, 독도 영유권 등을 다루던 학자였지 고대사학자는 아니다.[17] 穢, 《동사강목》 등에서는 濊로 혼용하여 기재. 穢라는 한자에 '더럽다'는 의미가 있어 이를 피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이기도 하며, 정확하게 ‘종족이름’이라는 훈만 가진 한자는 濊라서 그런 듯 하다.[18] 항간에는 맥고려가 말갈을 의미하거나 발해를 칭한다고도 주장하지만 동로마와 돌궐에서의 기록이 7세기에 쓰여졌다는 점에서 발해 건국시기나 말갈족의 등장시기를 고려했을 때 현실성이 떨어진다.[19] 대표적으로 '동이'라는 명칭은 현대의 우리가 보기에는 한반도 고대 국가와 연관되지만, 《맹자》 이전의 선진시대 문헌 중에서는 산동 지방의 내이 세력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명칭의 혼용은 고대 중국에서 흔히 발견되는 사례이다.[20] 왜 평양성을 놔두고 영서를 고구려 취급하냐고 할 수 있는데 평양성은 삼국통일 이후에는 전쟁피해로 인한 황폐화와 국경지대라는 문제 때문에 남북국시기 영향력을 잃었다. 통일신라 당시 신라에 남은 고구려 유민들의 중심지는 평양이 아닌 영서와 패서지역, 한반도 중부 일대로 보아야 하며 이는 후고구려 세력의 중심이 단순히 평양 등 서북한 지역이 아닌 주로 철원 등 영서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21] '두 개의 맥족'이라는 뜻으로 백제와 고구려를 의미함[22] 실제 조선시대만 보더라도 사대부들은 '주상' 혹은 '전하'라고 부르고 일반 평민, 백성들은 '나랏님'이나 '임금님', 또는 '상감마마'와 같이 서로 다르게 부른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23] 반도 일본어가 실존했다는 전제 하에 반도 일본어는 고대 일본어와 다소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긴 하지만 일단 현전하는 고대 일본어를 비롯한 일본어족 언어/방언들에서 ~지 형태의 존칭접미사는 확인되지 않았다.[24] 초나라처럼 문화적으로 동화된 국가는 제외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