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비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조비(동음이의어) 문서
조비(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조비(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위 초대 황제
고조 문황제 | 高祖 文皇帝


파일:Cao_Pi_Tang.jpg

출생
187년 겨울
후한 예주 패국 초현
(現 안후이성 보저우시)
즉위
220년 11월 25일
후한 영천군 허창
(現 허난성 쉬창시)
사망
226년 6월 29일 (향년 39세)
조위 하남군 낙양 황궁 가복전
(現 허난성 뤄양시)
능묘
수양릉(首陽陵)
재임기간
후한의 승상
220년 3월 15일 ~ 220년 11월 25일
재위기간
후한의 위왕魏王
220년 3월 15일 ~ 220년 11월 25일
조위의 황제
220년 11월 25일 ~ 226년 6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성씨
조(曹)

비(丕)
부모
부황 태조
모후 무선황후
형제자매
25남 6녀 중 3남
배우자
문소황후, 문덕황후
자녀
10남 1녀

자환(子桓)[1]
작호
위왕(魏王)
묘호
고조(高祖)[2] / 세조(世祖)[3]
시호
문황제(文皇帝)
연호
황초(黃初, 220년 ~ 226년)


1. 개요
2. 가족 관계
4. 평가
4.2. 외정
4.3. 내정
4.4. 환관과 외척의 배척
6. 기타
7. 미디어 믹스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후한의 두 번째 위왕(魏王)이자, 삼국시대 위나라창업군주이며 초대 황제. 자는 자환(子桓), 시호는 문제(文帝), 묘호는 고조 혹은 세조. 재위기간은 6년. 제국의 창업군주로는 너무나도 일찍 죽었다.

선양을 통한 왕조 교체에 성공한 최초의 군주[1]이자, 남방 정벌을 통한 중국 통일에 실패한 북조 최초의 군주이기도 하다.[2] 삼국지위진남북조시대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계기가 된 인물. 400년을 존속했던 한 황실이 조비의 선양을 통한 찬탈로 멸망하면서, 이후 350년간 혼란의 시대를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인격적으로도 매우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지만, 후한 말과 삼국 시대의 문학을 정리하여 건안칠자로 묶어 유고 시집을 편찬하는 등 문학계에는 공을 세운 인물이다. 그러나 외정에서는 남정의 실패, 내정에서는 법률이 가혹했고 구품관인법을 제정해 후대에 부담을 안겨줬다는 비판의 시각도 있다.


2. 가족 관계[편집]


조조의 3남이자 무선황후 변씨의 소생.[3] 본디 위로 조앙(曹昻)과 조삭이란 이복형들이 있었지만 그들이 젊은 때 죽은 이후 조비가 사실상 장남이 되었다.

흔히 조비가 장남이나 차남이라고 알려졌지만 이 문서에서 그를 삼남이라고 하는 이유는 조앙, 조삭과 조비의 나이 차이 때문이다. 조앙은 이미 197년에 조조를 따라 종군할 정도로 장성한 상태였고 조비는 187년 생이니 조비가 둘째라고 하기에는 나이 차가 다소 크다. 더군다나 조앙과 조삭은 유부인의 소생인데 생모가 일찍 세상을 뜨면서 조조의 정실인 정부인에게 입적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만약 조비가 차남이고 조삭이 187년 이후 출생이라고 하면 조앙과 조삭의 나이 차가 크게 되어 유부인이 조삭을 낳은 후 요절했다고 하기에는 적지 않은 나이가 된다. 유부인이 일찍 죽었다는 기록에 비추어 보아 조앙이 장남, 조삭이 차남, 조비가 삼남이라는 것이 현재의 정설이다.[4]

아내로는 문소황후문덕황후 곽씨가 있다. 그리고 습유기와 고금주에는 조비의 첩으로 설영운, 막경수, 단교소(段巧笑), 진상의(陳尙衣)가 기록되어있다. 재미있게도 문소황후는 조비보다 5살, 곽여왕은 3살 연상인데 아내들이 모두 연상인 걸 보면 조비의 취향이 연상이거나 우연의 일치로 둘 다 연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조비는 헌제의 장녀와 차녀를 귀인으로 삼았다. 그 두 딸의 모친이 조조의 딸들이자 자신의 여동생들[5]의 소생인지는 알 수 없지만 조비의 몰년을 감안하면, 조비의 후궁이 된 헌제의 딸들이 조씨 자매들 중 누군가의 소생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조조가 헌제에게 세 딸[6]을 바친 것은 213년이고, 셋 다 나이가 어려 위국에서 나이가 차기를 기다리다가 214년에 귀인으로 승격되었다. 만일 세 사람 중에 하나가 입궁하자마자 회임해서 딸을 낳았다고 가정해도, 조비가 사망하는 226년에도 그 아이의 나이는 불과 12~13세. 따라서, 조비의 후궁이 된 헌제의 딸들은 조조의 딸들이 입궁하기 이전에 태어난, 다른 여성의 소생이라고 간주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다.[7]

조비의 자녀로는 문소황후와의 사이에서 낳은 조예동향공주, 구소의와의 사이에서 낳은 조림 등 여럿이 있다.


3. 생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비/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평가[편집]


부친인 조조는 도덕성에 문제가 있었기에 호불호가 갈리긴하지만 적어도 후한 말의 난세에 정국을 수습한 능력만큼은 인정받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어느 정도는 있지만, 조비는 본인의 눈에 띄는 업적은 딱히 없고 아버지 조조가 만들어준 제위를 받았을뿐인데 인성은 조조보다도 안 좋아서 평가가 더 박하다.

조비의 인성은 찌질하고 유치한 인성쓰레기라고 할 만하다. 별 이유도 없이 죄없는 신하을 여럿 잡아서 거인이었던 아버지에 곧잘 비교되곤 한다.[8] 이런 인물이 황제였던지라 조비 개인의 인격적 결점에서 오는 기행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다. 조비에게도 개인적으로 훈훈한 일화들도 있고 자기가 애착관계를 형성한 사람들에게는 매우 잘 대해줬지만, 속이 좁고 자의식 과잉에 사소한 원한도 모두 기억해뒀다가 보복해대려는 성격의 문제가 심각했다. 자화자찬도 매우 많이 했고, 사람을 감정적으로 대하고 미남을 유난히 좋아하는 등 여러모로 사이코패스보다는 유아적인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분류해야 한다.

다만 조비의 인격에 문제가 심각했던 것은 맞으나 국정이 파탄날 정도로 이상한 정책을 강요했거나 개인적으로 너무 큰 문제를 일으켜서 조위의 국운을 기울게 한 것은 아니었다. 이세황제, 손호, 수 양제, 충혜왕, 연산군 등등 진짜 암군이나 폭군 라인업에 거론될 정도로 조비가 잘못한 것은 별로 없다. 만약 조비의 치세가 길었다면 개인적인 문제가 누적되고 더 심해져서 결국 국가적으로도 훨씬 더 안 좋은 영향을 주었을지 모르겠지만, 황제가 된지 6년만에 39세라는 젊은 나이로 죽었고 그의 치세때나 그의 아들 조예의 치세때에 조위의 국가 시스템은 지극히 멀쩡하게 잘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비는 딱히 나라를 망친 암군이나 폭군으로 분류할 수는 없다.


4.1. 인간성[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비/인간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외정[편집]


대외 정책에서도 결정적인 삽질을 저질렀는데, 이릉대전을 앞두고 촉과 오가 적대 관계로 돌아서면서 삼국 정립 이래 통일에는 다시 없을 최고의 호재를 맞았음에도 그 기회를 전혀 살리지 못했고, 선양을 받아 이미 통일 왕조의 황제가 된 것처럼 행세하며 위신 세우기에만 급급했다.

손권이 열심히 비위를 맞춰주며 칭신 의사를 밝히자 '대범하게' 개입을 포기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릉대전이 끝나고 손권이 더 이상 조비의 장단에 맞춰주지 않자 분노해 원정에 나섰으나, 손권이 반성하겠다며 밀당을 걸어오자 정작 원정에 나선 것을 대신들 탓으로 돌리며 손권을 달래는 등 시간만 잔뜩 허비하고말아 손권에게 농락당했다.

결국 조비가 추진한 연이은 남정은 모조리 실패해 천하 통일의 기회는 상실되었으며, 국력에 크나큰 손실을 가져왔다. 설상가상으로 그 후유증을 복구하기도 전에 본인이 일찍 죽어버렸다.[9]

즉, 이릉대전 이후에도 삼국지가 삼국지가 된 것은 조비에게도 원인이 있다.


4.3. 내정[편집]


여기서도 찬반이 엇갈린다. 조비를 옹호하는 쪽에서는 조비가 정치, 인사, 행정 제도의 확립과 민심 안정에 힘을 기울여 성과도 보였다고 평가한다. 아버지 가업 이어받아서 황제로 등극했고, 조비 때 위나라는 법률이 가혹하고 백성들의 삶이 힘들긴 했어도 그렇다고 딱히 바로 흔들려서 무너질 위기도 아니였던 데다 조씨/하후씨 근황세력 형성도 하고 제도 정비도 하고 다른 황제들도 하는 구휼책, 사면령을 내리는 등, 자기 할 건 다하고 간 황제라는 것이다. 세력 판도에 영향을 끼칠 실책인 조비의 남정도 따지고 보면 동시기 다른 군주들도 실책 거하게 한 전적[10]들이 있는지라 조비만 특별히 비판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사실 6년도 안되는 짧은 제위기간 덕분에 사실 뭐 남정 말고는 작정하고 말아먹고 할 것도 없었다. 짧은 기간에 그 많은 막장 일화를 남긴 걸 보면 조비의 인격이 대단하긴 하지만. 다만 후대의 삽질로 변질되었을 뿐이라고 보는 편. 반면 비판하는 쪽에선 남방 원정의 실패나 구품중정제의 무책임한 도입[11] 등 대내외적으로 삽질만 거듭했지만, 조조가 유산으로 남긴 권력 기반과 재정 흑자가 워낙 건실했던 데다 이릉대전이라는 뜻하지 않은 호재까지 누렸기 때문에 이런 삽질들에도 불구하고 당장은 큰 문제가 없어 보였을 뿐이며 조위 말기의 폐단들은 조비가 방향성 측면에서 포석을 단단히 잘못 깔아뒀던 원인이 크다는 것. 조비 사후 수십 년 뒤 벌어지는 고평릉 사변도 따지고본다면 조비가 구품관인법 등으로 도화선을 마련해뒀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이 일은 고평릉 사변은 아들 조예의 실책도 크지만 조예기 말년 급격하게 정신줄을 놓는 모습을 보이며 요절하게 된 건 조비에게도 원인이 있어서 조비에게 좀 더 비중이 큰 쌍방책임이라고 볼 여지가 존재한다.

팬덤에서는 조조 이상 가는 정치적 역량을 가져 위나라 최전성기를 이끈 유능한 성군이었다는 평가가 주였으나, 두 번 다시 없을 호재를 잔뜩 맞고서도 대내외적으로 거하게 삽질을 저지르면서 삼국 정립 구도를 고착화시켰으며 인간성조차 최악이었다는 점이 조명받으면서 까이는게 트렌드가 되었다. 진수의 평가 또한 위 왕조를 정통으로 놓고 있는 이상 초대 황제를 대놓고 깔 수가 없으니 지식이나 기억력 등 개인적인 장점들을 열거한 립서비스에 불과하다는 주장은 물론, 아예 대놓고 최소 유선 이하의 암군급으로 취급된 적도 있었다. 이는 유선에 대한 재평가 여론이 일었던 것도 한몫한다. 이런 비판에 대한 반발로 다시 최소한 내치 면에서는 유능한 군주였다고 조명 받기도 했는데, 이 또한 최훈삼국전투기에서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논란이 계속되었다.[12] 지나친 빠가 까를 부르고, 까가 다시 빠를 불렀으며, 다시 빠가 까를 부른 사례로 봐야 할 것이다. 이런 시기를 거친 후엔 대충 인격적인 문제나 외정말고 내정은 후세에 문제가 된 몇몇 부분을 제외하고 그럭저럭 해나갔다는 평가가 있다. 애당초 치세도 그리 긴 편은 아니고 조비 같은 경우는 사가들로부터 인성에 대한 평가가 나빴지 군주로서의 평가는 그냥 별로 주목 받지 못했다.

진수는 조비에 대해 "문제는 천부적으로 문학적 소질이 있었으니, 붓을 대면 문장이 되었고, 넓은 지식도 갖추고 있었고, 기억력이 탁월해 다방면으로 재능을 갖추었다. 만일 여기에 그의 도량이 약간만 더 크고 공평한 마음 씀씀이에 힘쓰며 도의의 존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덕망이 있는 마음을 더욱 넓힐 수 있었다면 어찌 고대의 현군이 멀리 있었겠는가라고 평했다.[13]


4.4. 환관과 외척의 배척[편집]


부인이 정치에 관여하는 것은 혼란의 근본이 된다. 지금부터 모든 신하들은 태후에게 일을 상주하지 마라. 황후의 일족은 정치를 보좌하는 임무를 할 수 없고, 또 이유 없이 영토를 갖지 못하며 작위를 받을 수 없다. 이 조칙을 후세에 전하라. 만일 이 조칙을 위반하는 자가 있다면 천하가 함께 그 자를 주살할 것이다.

아울러 산기상시(散騎常侍)와 시랑(侍郞)을 각각 네 명씩 두고, 환관 중에서 벼슬을 하는 자는 각 부서의 령(令) 이상을 오르지 못하게 하였으며, 이런 명령을 황금으로 된 간책에 기록하게 하여 돌로 된 방에 보존케 하였다

정사 삼국지 문제기


조비는 한나라가 외척, 환관의 발흥으로 멸망한 것을 반면교사로 외척과 환관을 억눌렀다. 이는 제도상으로 후한의 폐단을 막으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게 지나친 나머지 자기 동생을 포함해 정권을 지켜줘야 할 혈족 및 종친들까지도 중앙 정치에서 배제시키는 한편 제후왕으로 임명해 지방으로 보내버린 뒤 어떠한 권한도 주지 않고 집중적으로 견제하는 거의 편집증적인 종친 견제를 했고, 결국 문벌귀족 사마씨가 정권을 잡아 조위의 명을 단축하게 되는 원인이 되지만 말이다. 더불어 사마씨가 조씨에게 황위를 찬탈하려 할 때 조비의 법령을 무시하고 유교의 '효'를 앞세워 조위의 '태후'에게 명령을 내리게 해 황제들을 폐위시킨 것도 역사의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을 듯 하다. 게다가 조상만해도 환관과 결탁하는 모습이 보이기 때문에 위나라의 환관 억제책이 실제로 효과를 보았다고 보기도 힘들다.[14]

다만 외척 배척과 혈족 배척은 조금 다른 케이스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외척 배척의 경우 조조도 했던 것이고 심지어 헌제의 외척을 상대로도 행하였지만 조조는 혈족 자체를 배척하지는 않고 오히려 중용하여 자기 기반의 안정화를 도모하였다. 조비의 외척 배척 또한 조위의 이러한 흐름하에서 이루어진 건 마찬가지이겠지만, 혈족 배척의 경우 조조와 반대인데, 이는 조비의 정통성이 취약한 편이라 조씨 세력의 지도자를 넘볼 수 있는 자들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5. 삼국지연의[편집]


오로 침공이 실패한 데다 오가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자 분노를 이기지 못하고 남방 정벌을 감행한다. 촉을 먼저 치자는 중신들의 의견마저 무시하고 그럼 배라도 더 만들자는 사마의의 말에 조선 시설을 풀가동하여 배를 늘리고 바로 삼로로 밀고 내려갔으나 결과는 위에 적힌 대로 와장창.

삼국지연의》는 조비의 찌질함과 원정 실패를 극대화시키는 등 조비를 까는 데 집중한 편이다. 아무래도 조비가 직접 후한을 멸망시키고 제위를 빼앗은 것과 여러 군주로서의 실책들까지 겸해 디스한 모양이다. 가장 대규모였던 조비의 첫 원정은 육손어복포에서 호되게 당한 뒤 미리 위의 침공을 경계해 바로 물리쳤으며,[15] 2, 3차 원정은 용주를 끌고 장료를 대동하였으나 서성의 가짜 군세에 속아 크게 깨지고 서황의 분투로 도망했으며, 그 과정에서 장료마저 정봉의 활에 맞아 후유증으로 죽어버린 것으로 묘사된다.


6. 기타[편집]


의서 외대비요에 조비의 어의가 조비의 탈모가 심해져 치료를 시작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외대비요에는 그가 처방받은 탈모약의 재료와 정량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남아있다.[16]

문재가 뛰어나 아버지인 조조, 아우인 조식과 함께 삼조(三曹)라 일컬어졌다. 대표작으로 운문으론 연가행(燕歌行)을 포함한 가 40수. 건안칠자 등도 조비가 선정한 것이다. 문학을 애호하여 저술을 의무로 삼았으며 그 자신이 저술하여 지은 작품이 100여 편에 달했다고 한다. 진수도 붓을 대면 문장이 되었다고 평가했으니 대단한 문장가였다.

저서로 열이전(列異傳) 3권과 문집 23권도 있었다 한다. 그 중 전론(典論)은 동양 사상 최초의 논문(論文)이라고 평해지며, 육조(六朝) 시대에 성행한 문학론의 선구가 된 책으로 원래 5권이었으나 현재는 모두 소실되어 논문 1편만이 전한다.

(나는) 어려서부터 시와 논(論)을 읊었고, 자라서는 오경(五經), 사부(四部)를 모두 겪었으며, 《사기》, 《한서》, 제자백가의 말을 두루 아니 본 것이 없었다. - 삼국지 위지 문제기 평왈 배송지주#


보기처럼 자아도취가 매우 심했다. 조비는 나름대로 공들 들인 글이라고 자신이 쓴 전론을 시와 함께 손권에게 전하고 또 편지 한통을 장소에게 썼다. 근데 이 기록은 위서 문제기 기록인데, 문제는 보낸 기록은 있는데 받은 기록은 오나라 기록에 없다. 그외 손권에게 코끼리나 보물 등을 받기도 했고, 향부자라는 약재를 손권에게 불로장수 하라고 보낸 적이 있는데 위나라 사신이 약재 이름을 까먹어서 향기가 나고 참새머리를 닮았다고 임기응변으로 작두향이라고 소개했고 향부자의 다른 이름이 작두향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조씨집안의 문학인 기질이 조롱받는 이야기가 꽤 많이 들리고 특히 자뻑이 넘쳐나는 조비가 많이 놀림감이 되지만, 그 중에서도 조비는 나름대로 진정으로 문(文) 그 자체를 사랑한 문학 성애자로서 재밌는 부분이 있는데, 특히 공융에 대한 태도가 그렇다. 어쨌든 조조의 정적이고, 조조를 조롱하기 위해서라지만 결국 자기도 싸잡아 조롱한 바 있는 인물인데 뒷끝 쩌는 조조 시절 금기어였던 그 이름을 당당히 건안칠자의 첫머리로 세우고 산산히 흩어진 그의 글을 포상금까지 내걸며 모으려 한 것은 참으로 미담이다.

여기서 그 공융에 대한 평가가 재밌는데 일단 문체는 기품있고 현묘한 것이 옛 위대한 문인들인 반고/양웅에 비견할 만 하다고 추켜세우면서도 '그러나 논리 전개는 썩 좋지 못하고', '조롱하는 태도가 지나치다'라고 지적하고 넘어간다. 공융이란 사람을 전반적으로 조명했을 때 평가 자체는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는 느낌이지만 바로 그의 조롱 대상이 되었던 인물로서 혹시 뭔가 꿍한 감정이 남아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추정도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싫으면 싫다고 당당하게 까고 그 뒷끝을 감당할 일 없었던 철부지 조비로서는, 힘 없는 자의 무기로서의 조롱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던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여하튼 이렇게 글 좋아하는 문성애자, 문제(文帝) 조비이지만 정작 제일 꺼렸던 동생 조식이 시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글쟁이로 남았다는 것도 재밌는 부분이다. 사실 전론을 비롯해 그의 문장은 아버지와 동생에 가려져서 그렇지 삼조의 일원인 만큼 그렇게 나쁜 것도 아니다. 실제로 남북조시대 유협이 쓴 문학비평서 문심조룡에서 조비와 조식의 문학을 높이 평가하면서 기존의 설명들이 조비는 폄하하고 조식은 치켜 세운다며 조비의 경우 지위의 존귀함 때문에 그 재능을 깎아내리고 조식의 경우 그가 처한 곤궁한 입장 때문에 명성이 올랐다고 평했다.

기록에 의하면 알까기와 비슷한 놀이인 탄기(彈碁)를 아주 잘했다고 한다.

탄기는 위대 궐내에서 화장품 상자를 사용한 놀이에서 시작되었다. 문제(조비)는 특별히 이 놀이를 잘 했는데 수건 모서리로 바둑알을 튕기면 맞추지 못하는 게 없었다. (후략)


태평어람에 기록된 조비의 조서를 보면 조비는 포도를 매우 좋아했음을 알 수 있다. 조비는 포도를 찬양하면서 달콤하고 말랑거리고 상큼하며 맛은 최고에 즙이 많으며 걱정을 없애고 지루함을 풀어 주며 술로 빚으면 취하기도 좋고 깨기도 쉽다고 길게 늘어놓았다. 전반적으로 단 것을 좋아했던듯 한데 예문유취와 태평어람에 그런 조비의 어록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런 기록을 보면 쓸데없을 정도로 음식 시식평에 열을 올렸는데 신하들에게 조(詔)하기도 했다.

오왕이 위 문제에게 귤을 바치니, 문제는 신하들에게 조(詔) 하기를

남방에 귤이라는 과일이 있으나, 이가 갈라질 만큼 시고 단 것은 아주 가끔씩 밖에 없다.


위 문제 왈:

남쪽 나라의 용안, 여지(리치)가 어찌 서쪽 나라의 포도, 석청에 비하겠느냐? 시기만 할 뿐 중국(중원)의 대추만도 못하니, 안읍(대추 명산지)의 대추에는 비할 바도 아니다.


위 문제 왈:

진정군(眞定郡)의 배는 주먹 같이 크고 꿀과 같이 달콤하며 눈과 같이 아삭하니, 근심을 잊게 하고 갈증을 없애 준다.


위 문제가 신하들에게 조하기를

신성 태수 맹달이 말하기를 촉의 가축은 맛이 진하지 않아 촉 사람들은 요리에 엿/꿀 등을 더해 맛을 낸다고 한다.


맹달 건도 생각해 보면 황당한 게 어쨌든 적국에서 전향해 온 사람이니 온갖 유용한 정보가 많을 터인데, 정작 황제인 조비의 관심을 사로잡은 건 요리 얘기. 건조하게 써놓고 있지만 결국 '뭣? 촉 땅에선 무려 고기 요리도 단맛을 낸다고? 야 이거 완전 대박 아니냐? 우리도 한번 그렇게 해먹어 볼까?'하고 신하들한테 떠벌리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덕분에 그저 매운 요리라는 인상만 뚜렷한 사천 요리[17]인데, '마'를 담당하는 화자오는 원산지가 다름 아닌 촉 지방이니 이 시대에도 향신료로 요긴하게 썼겠지만 '라' 부분을 맡는 고추는 미대륙에서 건너온 식물이라, 이때는 우리가 아는 사천 요리식 매운맛을 낼 수 없었다.]가, 1800년전 촉에서는 요리에 주로 달콤한 재료를 쓴다는 사실을 이로써 알 수 있다. 사실 꿀이나 엿으로 요리를 한다는 거 자체가 은 서민들이 얻기 쉬운 감미료라 그렇다 쳐도 은 많은 곡물을 사용하여 엿기름을 고아 만드는 것[18]이기에 그만큼 시간과 품삯도 많이 들고 옛날엔 고급 식재료였다. 그런 재료로 음식을 해 먹는다는 것 자체가 그만큼 촉이 부유하다는 해석을 할 수도 있다.

아버지 때부터 활동했던 원로 중신 종요와의 특이한 일화가 있는데, 70대를 넘긴 종요가 정실 손씨를 내치고 48살이나 어린 첩 장창포를 새아내로 삼으려고 하자 무선황후가 조비에게 이런 상황을 막아야 한다고 권유해 조비도 종요에게 손씨와 다시 재결합하고 명을 내리나 종요가 자살시도를 하면서까지 못하겠다는 뜻을 내비치자 결국 포기했다고 한다.

고금주에 따르면 조비가 황제위에 올랐을때 다음과 같은 일화들이 전한다.

위나라 문제 때의 궁인들 중에서 매우 총애받은 자들로, 막경수, 설야래, 전상의(田尚衣), 단교소(段巧笑) 네 명이 있는데, 밤낮으로 문제의 곁에 있었다. 막경수는 선빈(蟬鬢)을 만들었는데 멀리서 보면 매미(날개)와 같았기에 선빈(蟬鬢)이라 하였다. 단교소는 처음으로 비단을 명주 신발에 입히고 자줏빛 분을 만들어 얼굴에 발랐으며, 전상의는 춤과 노래에 능했고, 설야래는 의상을 만드는 걸 잘했으니, 일세의 으뜸(冠絕)이었다.

고금주 『잡주』


위나라 문제는 궁인들로 하여금 백화계(百花髻)와 부용귀운계(芙蓉歸雲髻)를 하게 했다.[19]

중화고금주


(대모자大帽子는) 본래 초야의 늙은이들이 쓰던 것이다. 위나라 문제 때에 이르러 백관에게 조서를 내려 입동에 귀천에 따지지 않고 통용해서 쓰게하니, 이것을 온모(溫帽)라 하였다.

중화고금주


잠방이(군褌)는 삼대(三代)에는 서술된 바가 보이지 않는다. 주나라 문왕이 만든 잠방이는 길이가 무릎까지였는데, 이를 폐의(弊衣)라고 했도 미천한 사람은 입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기에 양의(良衣)라고도 했으며 대개는 양인(良人)의 옷이었다. 위나라 문제 때에 이르러 궁인들에게 비교당(緋交襠)을 하사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잠방이다.

중화고금주


훗날 위나라의 실권을 찬탈하고 건국의 기반을 다진 사마의보다도 8살 이상 적다. 사마의가 오랫동안 산 편이긴 하지만[20] 죽은 나이로 따져도 조비의 사망 당시 나이는 사마의 사망 당시 나이의 절반에 불과했다.

아버지 조조와 마찬가지로 조비를 까는 야사들은 당대 혹은 가까운 후기인 육조시대에 이미 범람했다.


7. 미디어 믹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비/기타 창작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둘러보기[편집]


위서(魏書)

[ 본기(本紀)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8b><width=50%> 1권 「무제기(武帝紀)」 ||||<width=50%> 2권 「문제기(文帝紀)」 ||
||||<rowbgcolor=#fff,#191919> 조조 ,조등 왕준, |||| 조비 ||
|||| 3권 「명제기(明帝紀)」 |||| 4권 「삼소제기(三少帝紀)」 ||
||||<rowbgcolor=#fff,#191919> 조예 ,학소 진랑 맹타, |||| 조방 ,장특, · 조모 · 조환 ||
||<-4><width=1000>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열전(列傳) ]
#181818,#e5e5e5 
||<-3><tablewidth=100%><tablebgcolor=#00008b> {{{-1 {{{#ffffff 5권}}}}}} {{{-2 {{{#ffffff 「후비전(后妃傳)」}}}}}} ||
||<-3><rowbgcolor=#fff,#191919><width=1000> [[무선황후|{{{#black,#e5e5e5 무선황후}}}]] · [[문소황후|{{{#black,#e5e5e5 문소황후}}}]] · [[문덕황후 곽씨|{{{#black,#e5e5e5 문덕황후}}}]] · [[명도황후|{{{#black,#e5e5e5 명도황후}}}]] · [[명원황후|{{{#black,#e5e5e5 명원황후}}}]] ||
||<width=33%> {{{-1 {{{#ffffff 6권}}}}}} {{{-2 {{{#ffffff 「동이원유전(董二袁劉傳)」}}}}}} ||<width=33%> {{{-1 {{{#ffffff 7권}}}}}} {{{-2 {{{#ffffff 「여포장홍전(呂布臧洪傳)」}}}}}} ||<width=33%> {{{-1 {{{#ffffff 8권}}}}}} {{{-2 {{{#ffffff 「이공손도사장전(二公孫陶四張傳)」}}}}}} ||
||<rowbgcolor=#fff,#191919> [[동탁|{{{#black,#e5e5e5 동탁}}}]] ,,,[[이각|{{{#black,#e5e5e5 이각}}}]] [[곽사|{{{#black,#e5e5e5 곽사}}}]] [[마등|{{{#black,#e5e5e5 마등}}}]] [[한수(삼국지)|{{{#black,#e5e5e5 한수}}}]],,,[br] [[원소(삼국지)|{{{#black,#e5e5e5 원소}}}]] ,,,[[저수#s-2|{{{#black,#e5e5e5 저수}}}]] [[전풍|{{{#black,#e5e5e5 전풍}}}]] [[원담|{{{#black,#e5e5e5 원담}}}]] [[원희|{{{#black,#e5e5e5 원희}}}]] [[원상|{{{#black,#e5e5e5 원상}}}]],,, · [[원술|{{{#black,#e5e5e5 원술}}}]][br] [[유표|{{{#black,#e5e5e5 유표}}}]] ,,,[[유종(삼국지)|{{{#black,#e5e5e5 유종}}}]] [[부손|{{{#black,#e5e5e5 부손}}}]] [[괴월|{{{#black,#e5e5e5 괴월}}}]] [[한숭|{{{#black,#e5e5e5 한숭}}}]] [[채모|{{{#black,#e5e5e5 채모}}}]],,, || [[여포|{{{#black,#e5e5e5 여포}}}]] ,,,[[장막(삼국지)|{{{#black,#e5e5e5 장막}}}]] [[진궁|{{{#black,#e5e5e5 진궁}}}]] [[진등|{{{#black,#e5e5e5 진등}}}]],,, · [[장홍(삼국지)#s-1|{{{#black,#e5e5e5 장홍}}}]] || [[공손찬|{{{#black,#e5e5e5 공손찬}}}]] ,,,[[유우(삼국지)|{{{#black,#e5e5e5 유우}}}]],,, · [[도겸(삼국지)|{{{#black,#e5e5e5 도겸}}}]] · [[장양|{{{#black,#e5e5e5 장양}}}]][br] [[공손도|{{{#black,#e5e5e5 공손도}}}]] ,,,[[공손연|{{{#black,#e5e5e5 공손연}}}]],,,[br] [[장연|{{{#black,#e5e5e5 장연}}}]] · [[장수(삼국지)|{{{#black,#e5e5e5 장수}}}]] · [[장로(삼국지)|{{{#black,#e5e5e5 장로}}}]] ||
||<-2> {{{-1 {{{#ffffff 9권}}}}}} {{{-2 {{{#ffffff 「제하후조전(諸夏侯曹傳)」}}}}}} || {{{-1 {{{#ffffff 10권}}}}}} {{{-2 {{{#ffffff 「순욱순유가후전(荀彧荀攸賈詡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하후돈|{{{#black,#e5e5e5 하후돈}}}]] ,,,[[하후무|{{{#black,#e5e5e5 하후무}}}]] [[한호#s-2|{{{#black,#e5e5e5 한호}}}]] [[사환(삼국지)|{{{#black,#e5e5e5 사환}}}]],,, · [[하후연|{{{#black,#e5e5e5 하후연}}}]] ,,,[[하후패|{{{#black,#e5e5e5 하후패}}}]],,, · [[조인|{{{#black,#e5e5e5 조인}}}]] ,,,[[조순(후한)|{{{#black,#e5e5e5 조순}}}]],,, · [[조홍|{{{#black,#e5e5e5 조홍}}}]] · [[조휴|{{{#black,#e5e5e5 조휴}}}]] ,,,[[조조(둔기교위)|{{{#black,#e5e5e5 조조(肇)}}}]],,, [br] [[조진#s-1|{{{#black,#e5e5e5 조진}}}]] ,,,[[조상(삼국지)|{{{#black,#e5e5e5 조상}}}]] [[이승(조위)|{{{#black,#e5e5e5 이승}}}]] [[환범|{{{#black,#e5e5e5 환범}}}]] [[하안|{{{#black,#e5e5e5 하안}}}]],,, · [[하후상|{{{#black,#e5e5e5 하후상}}}]] ,,,[[하후현|{{{#black,#e5e5e5 하후현}}}]] [[이풍(조위)|{{{#black,#e5e5e5 이풍}}}]] [[허윤|{{{#black,#e5e5e5 허윤}}}]],,, || [[순욱|{{{#black,#e5e5e5 순욱}}}]] ,,,[[순의|{{{#black,#e5e5e5 순의}}}]] [[예형|{{{#black,#e5e5e5 예형}}}]],,, · [[순유|{{{#black,#e5e5e5 순유}}}]] · [[가후|{{{#black,#e5e5e5 가후}}}]] ||
|| {{{-1 {{{#ffffff 11권}}}}}} {{{-2 {{{#ffffff 「원장양국전왕병관전(袁張凉國田王邴管傳)」}}}}}} || {{{-1 {{{#ffffff 12권}}}}}} {{{-2 {{{#ffffff 「최모서하형포사마전(崔毛徐何邢鮑司馬傳)」}}}}}} || {{{-1 {{{#ffffff 13권}}}}}} {{{-2 {{{#ffffff 「종요화흠왕랑전(鍾繇華歆王朗傳)」}}}}}} ||
||<rowbgcolor=#fff,#191919>[[원환|{{{#black,#e5e5e5 원환}}}]]  · [[장범|{{{#black,#e5e5e5 장범}}}]] ,,,[[장승(조위)|{{{#black,#e5e5e5 장승}}}]],,, · [[양무#s-1|{{{#black,#e5e5e5 양무}}}]] · [[국연|{{{#black,#e5e5e5 국연}}}]] [br] [[전주(삼국지)|{{{#black,#e5e5e5 전주}}}]] · [[왕수(삼국지)|{{{#black,#e5e5e5 왕수}}}]] · [[병원(삼국지)|{{{#black,#e5e5e5 병원}}}]] · [[관녕|{{{#black,#e5e5e5 관녕}}}]] ,,,[[왕렬#s-2|{{{#black,#e5e5e5 왕렬}}}]] [[장천(삼국시대)|{{{#black,#e5e5e5 장천}}}]] [[호소#s-2|{{{#black,#e5e5e5 호소}}}]],,,|| [[최염|{{{#black,#e5e5e5 최염}}}]] ,,,[[공융|{{{#black,#e5e5e5 공융}}}]] [[허유|{{{#black,#e5e5e5 허유}}}]] [[누규|{{{#black,#e5e5e5 누규}}}]],,, · [[모개|{{{#black,#e5e5e5 모개}}}]] · [[서혁|{{{#black,#e5e5e5 서혁}}}]] [br] [[하기(삼국지)|{{{#black,#e5e5e5 하기}}}]] · [[형옹|{{{#black,#e5e5e5 형옹}}}]] · [[포훈|{{{#black,#e5e5e5 포훈}}}]] · [[사마지|{{{#black,#e5e5e5 사마지}}}]] || [[종요|{{{#black,#e5e5e5 종요}}}]] ,,,[[종육|{{{#black,#e5e5e5 종육}}}]],,, · [[화흠|{{{#black,#e5e5e5 화흠}}}]] · [[왕랑|{{{#black,#e5e5e5 왕랑}}}]] ,,,[[왕숙|{{{#black,#e5e5e5 왕숙}}}]],,, ||
|| {{{-1 {{{#ffffff 14권}}}}}} {{{-2 {{{#ffffff 「정곽동류장류전(程郭董劉蔣劉傳)」}}}}}} || {{{-1 {{{#ffffff 15권}}}}}} {{{-2 {{{#ffffff 「유사마량장온가전(劉司馬梁張溫賈傳)」}}}}}} || {{{-1 {{{#ffffff 16권}}}}}} {{{-2 {{{#ffffff 「임소두정창전(任蘇杜鄭倉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정욱|{{{#black,#e5e5e5 정욱}}}]] ,,,[[정효|{{{#black,#e5e5e5 정효}}}]],,, · [[곽가|{{{#black,#e5e5e5 곽가}}}]] · [[동소|{{{#black,#e5e5e5 동소}}}]] [br] [[유엽|{{{#black,#e5e5e5 유엽}}}]] ,,,[[유도(삼국지)#s-1|{{{#black,#e5e5e5 유도}}}]],,, · [[장제(조위 태위)|{{{#black,#e5e5e5 장제}}}]] · [[유방(삼국지)|{{{#black,#e5e5e5 유방}}}]] ,,,[[손자(삼국지)|{{{#black,#e5e5e5 손자}}}]],,, || [[유복#s-2|{{{#black,#e5e5e5 유복}}}]] ,,,[[유정(삼국지)|{{{#black,#e5e5e5 유정}}}]],,, · [[사마랑|{{{#black,#e5e5e5 사마랑}}}]] · [[양습|{{{#black,#e5e5e5 양습}}}]] ,,,[[왕사(삼국지)#s-1|{{{#black,#e5e5e5 왕사}}}]],,, [br] [[장기(삼국지)|{{{#black,#e5e5e5 장기}}}]] ,,,[[유초|{{{#black,#e5e5e5 유초}}}]] [[장집|{{{#black,#e5e5e5 장집}}}]],,, · [[온회|{{{#black,#e5e5e5 온회}}}]] ,,,[[맹건|{{{#black,#e5e5e5 맹건}}}]],,, · [[가규|{{{#black,#e5e5e5 가규}}}]] ,,,[[가충|{{{#black,#e5e5e5 가충}}}]],,, || [[임준|{{{#black,#e5e5e5 임준}}}]] · [[소칙|{{{#black,#e5e5e5 소칙}}}]] · [[두기(삼국지)|{{{#black,#e5e5e5 두기(畿)}}}]] ,,,[[두서#s-2|{{{#black,#e5e5e5 두서}}}]] [[악상(조위)|{{{#black,#e5e5e5 악상}}}]],,, [br] [[정혼(삼국지)|{{{#black,#e5e5e5 정혼}}}]] ,,,[[정태|{{{#black,#e5e5e5 정태}}}]],,, · [[창자(삼국지)|{{{#black,#e5e5e5 창자}}}]] ,,,[[안비|{{{#black,#e5e5e5 안비}}}]] [[영호소|{{{#black,#e5e5e5 영호소}}}]],,, ||
|| {{{-1 {{{#ffffff 17권}}}}}} {{{-2 {{{#ffffff 「장악우장서전(張樂于張徐傳)」}}}}}} ||<-2> {{{-1 {{{#ffffff 18권}}}}}} {{{-2 {{{#ffffff 「이이장문여허전이방염전(二李藏文呂許典二龐閻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장료|{{{#black,#e5e5e5 장료}}}]] · [[악진|{{{#black,#e5e5e5 악진}}}]] · [[우금|{{{#black,#e5e5e5 우금}}}]] · [[장합|{{{#black,#e5e5e5 장합}}}]] · [[서황|{{{#black,#e5e5e5 서황}}}]] ,,,[[주령|{{{#black,#e5e5e5 주령}}}]],,, ||<-2> [[이전(삼국지)|{{{#black,#e5e5e5 이전}}}]] · [[이통|{{{#black,#e5e5e5 이통}}}]] · [[장패|{{{#black,#e5e5e5 장패}}}]] ,,,[[손관|{{{#black,#e5e5e5 손관}}}]],,, · [[문빙|{{{#black,#e5e5e5 문빙}}}]] · [[여건#s-2|{{{#black,#e5e5e5 여건}}}]] ,,,[[왕상(서진)|{{{#black,#e5e5e5 왕상}}}]],,, [br] [[허저|{{{#black,#e5e5e5 허저}}}]] · [[전위(삼국지)|{{{#black,#e5e5e5 전위}}}]] · [[방덕|{{{#black,#e5e5e5 방덕}}}]] ·[[방육|{{{#black,#e5e5e5 방육}}}]] ,,,[[방아친|{{{#black,#e5e5e5 조아}}}]],,, · [[염온|{{{#black,#e5e5e5 염온}}}]] ||
|| {{{-1 {{{#ffffff 19권}}}}}} {{{-2 {{{#ffffff 「임성진소왕전(任城陳蕭王傳)」}}}}}} ||<-2> {{{-1 {{{#ffffff 20권}}}}}} {{{-2 {{{#ffffff 「무문세왕공전(武文世王公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조창|{{{#black,#e5e5e5 조창}}}]] · [[조식(삼국지)|{{{#black,#e5e5e5 조식}}}]] ,,,[[양수(삼국지)|{{{#black,#e5e5e5 양수}}}]] [[정의(삼국지)|{{{#black,#e5e5e5 정의}}}]] [[정이|{{{#black,#e5e5e5 정이}}}]],,, · [[조웅|{{{#black,#e5e5e5 조웅}}}]] ||<-2> [[조앙|{{{#black,#e5e5e5 조앙}}}]] · [[조삭|{{{#black,#e5e5e5 조삭}}}]] · [[조충|{{{#black,#e5e5e5 조충}}}]] ·[[조거|{{{#black,#e5e5e5 조거}}}]] · [[조우(삼국지)|{{{#black,#e5e5e5 조우}}}]] ·[[조림(삼국지)#s-1|{{{#black,#e5e5e5 조림(林)}}}]] · [[조곤|{{{#black,#e5e5e5 조곤}}}]] · [[조현#s-1|{{{#black,#e5e5e5 조현}}}]] ·[[조간|{{{#black,#e5e5e5 조간}}}]] ·[[조표(조위)|{{{#black,#e5e5e5 조표}}}]] ·[[조정(삼국지)|{{{#black,#e5e5e5 조정}}}]] ·[[조림#s-2|{{{#black,#e5e5e5 조림(霖)}}}]] ||
|| {{{-1 {{{#ffffff 21권}}}}}} {{{-2 {{{#ffffff 「왕위이유부전(王衛二劉傳)」}}}}}} || {{{-1 {{{#ffffff 22권}}}}}} {{{-2 {{{#ffffff 「환이진서위노전(桓二陳徐衛盧傳)」}}}}}} || {{{-1 {{{#ffffff 23권}}}}}} {{{-2 {{{#ffffff 「화상양두조배전(和常楊杜趙裴傳)」}}}}}} ||
||<rowbgcolor=#fff,#191919> [[왕찬|{{{#black,#e5e5e5 왕찬}}}]] ,,,[[진림|{{{#black,#e5e5e5 진림}}}]] [[완우|{{{#black,#e5e5e5 완우}}}]] [[유정(건안칠자)|{{{#black,#e5e5e5 유정}}}]],,, · [[위기(조위)|{{{#black,#e5e5e5 위기}}}]] · [[유이(삼국지)|{{{#black,#e5e5e5 유이}}}]] · [[유소(조위)|{{{#black,#e5e5e5 유소}}}]] · [[부하(삼국지)|{{{#black,#e5e5e5 부하}}}]] || [[환계|{{{#black,#e5e5e5 환계}}}]] · [[진군|{{{#black,#e5e5e5 진군}}}]] ,,,[[진태|{{{#black,#e5e5e5 진태}}}]],,, · [[진교#s-2|{{{#black,#e5e5e5 진교}}}]] · [[서선|{{{#black,#e5e5e5 서선}}}]] · [[위진|{{{#black,#e5e5e5 위진}}}]] · [[노육|{{{#black,#e5e5e5 노육}}}]] || [[화흡|{{{#black,#e5e5e5 화흡}}}]] · [[상림#s-2|{{{#black,#e5e5e5 상림}}}]] ,,,[[시묘|{{{#black,#e5e5e5 시묘}}}]],,, · [[양준|{{{#black,#e5e5e5 양준}}}]] ·[[두습|{{{#black,#e5e5e5 두습}}}]] · [[조엄|{{{#black,#e5e5e5 조엄}}}]] · [[배잠|{{{#black,#e5e5e5 배잠}}}]] ,,,[[배수(삼국지)|{{{#black,#e5e5e5 배수}}}]],,, ||
|| {{{-1 {{{#ffffff 24권}}}}}} {{{-2 {{{#ffffff 「한최고손왕전(韓崔高孫王傳)」}}}}}} || {{{-1 {{{#ffffff 25권}}}}}} {{{-2 {{{#ffffff 「신비양부고당륭전(辛毗楊阜高堂隆傳)」}}}}}} || {{{-1 {{{#ffffff 26권}}}}}} {{{-2 {{{#ffffff 「만전견곽전(滿田牽郭傳)」}}}}}} ||
||<rowbgcolor=#fff,#191919> [[한기(조위)|{{{#black,#e5e5e5 한기}}}]] · [[최림(삼국지)|{{{#black,#e5e5e5 최림}}}]] ·[[고유(삼국지)|{{{#black,#e5e5e5 고유}}}]] · [[손례|{{{#black,#e5e5e5 손례}}}]] · [[왕관(삼국지)|{{{#black,#e5e5e5 왕관}}}]] || [[신비(삼국지)|{{{#black,#e5e5e5 신비}}}]] ,,,[[신헌영|{{{#black,#e5e5e5 신헌영}}}]],,, · [[양부(삼국지)|{{{#black,#e5e5e5 양부}}}]] ,,,[[왕이(삼국지)|{{{#black,#e5e5e5 왕이}}}]],,, · [[고당륭|{{{#black,#e5e5e5 고당륭}}}]] ,,,[[잔잠|{{{#black,#e5e5e5 잔잠}}}]],,, || [[만총|{{{#black,#e5e5e5 만총}}}]] · [[전예|{{{#black,#e5e5e5 전예}}}]] · [[견초|{{{#black,#e5e5e5 견초}}}]] · [[곽회|{{{#black,#e5e5e5 곽회}}}]] ||
|| {{{-1 {{{#ffffff 27권}}}}}} {{{-2 {{{#ffffff 「서호이왕전(徐胡二王傳)」}}}}}} |||| {{{-1 {{{#ffffff 28권}}}}}} {{{-2 {{{#ffffff 「왕관구제갈등종전(王毌丘諸葛鄧鍾傳)」}}}}}} ||
||<rowbgcolor=#fff,#191919> [[서막#s-2|{{{#black,#e5e5e5 서막}}}]] · [[호질#s-1|{{{#black,#e5e5e5 호질}}}]] ,,,[[호위(서진)|{{{#black,#e5e5e5 호위}}}]],,, · [[왕창(삼국지)|{{{#black,#e5e5e5 왕창}}}]] · [[왕기(삼국지)|{{{#black,#e5e5e5 왕기}}}]] |||| [[왕릉(삼국지)|{{{#black,#e5e5e5 왕릉}}}]] ,,,[[선고#s-2|{{{#black,#e5e5e5 선고}}}]] [[영호우|{{{#black,#e5e5e5 영호우}}}]],,, · [[관구검|{{{#black,#e5e5e5 관구검}}}]] ,,,[[문흠|{{{#black,#e5e5e5 문흠}}}]],,, · [[제갈탄|{{{#black,#e5e5e5 제갈탄}}}]] ,,,[[당자#s-2|{{{#black,#e5e5e5 당자}}}]],,, · [[등애|{{{#black,#e5e5e5 등애}}}]] ,,,[[주태(조위)|{{{#black,#e5e5e5 주태}}}]],,, · [[종회|{{{#black,#e5e5e5 종회}}}]] ,,,[[장창포|{{{#black,#e5e5e5 장창포}}}]] [[왕필(조위)|{{{#black,#e5e5e5 왕필}}}]],,, ||
||<-3> {{{-1 {{{#ffffff 29권}}}}}} {{{-2 {{{#ffffff 「방기전(方技傳)」}}}}}} ||
||<-3><bgcolor=#fff,#191919> [[화타|{{{#black,#e5e5e5 화타}}}]] · [[두기(조위)|{{{#black,#e5e5e5 두기(夔)}}}]] ,,,[[마균|{{{#black,#e5e5e5 마균}}}]],,, · [[주건평|{{{#black,#e5e5e5 주건평}}}]] · [[주선(삼국지)#s-1|{{{#black,#e5e5e5 주선}}}]] · [[관로|{{{#black,#e5e5e5 관로}}}]] ||
||<-3> {{{-1 {{{#ffffff 30권}}}}}} {{{-2 {{{#ffffff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
||<-3><bgcolor=#fff,#191919> [[오환족|{{{#black,#e5e5e5 오환}}}]] · [[선비(민족)|{{{#black,#e5e5e5 선비}}}]] ,,,[[가비능|{{{#black,#e5e5e5 가비능}}}]],,, · [[부여|{{{#black,#e5e5e5 부여}}}]] ·[[고구려|{{{#black,#e5e5e5 고구려}}}]] · [[왜국|{{{#black,#e5e5e5 왜}}}]] ·[[읍루|{{{#black,#e5e5e5 읍루}}}]] · [[예맥|{{{#black,#e5e5e5 예맥}}}]] · [[옥저|{{{#black,#e5e5e5 동옥저}}}]] ·[[마한|{{{#black,#e5e5e5 마한}}}]] · [[진한|{{{#black,#e5e5e5 진한}}}]] · [[변한|{{{#black,#e5e5e5 변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bgcolor=#fff> {{{-2 {{{#000 관련 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E5B6;"
[[틀:촉서|{{{#008000 촉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E5B6;"
[[틀:오서|{{{#8b0000 오서}}}]]}}} ||}}}
{{{#!wiki style="margin: -27px -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8b><tablebgcolor=#00008b> {{{#!wiki style="background: #ece5b6 ; border-radius: 4px; width: 200px; padding: 3px"
[[:분류:둘러보기 틀/중국의 역사/사서|{{{#000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위서 ]
#ece5b6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8b><width=33%> {{{-1 {{{#ffffff 1·2·3권}}}}}} {{{-2 {{{#ffffff  「무제기(武帝紀)」}}}}}} ||<-2><width=33%> {{{-1 {{{#ffffff 4·5·6·7·8권}}}}}} {{{-2 {{{#ffffff  「문제기(文帝紀)」}}}}}} ||<width=33%> {{{-1 {{{#ffffff 9·10권}}}}}} {{{-2 {{{#ffffff  「명제기(明帝紀)」}}}}}}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조조|{{{#black,#e5e5e5 조조}}}]] ||<-2> [[조비|{{{#black,#e5e5e5 조비}}}]] || [[조예|{{{#black,#e5e5e5 조예}}}]] ||
||<-2> {{{-1 {{{#ffffff 9권}}}}}} {{{-2 {{{#ffffff  「폐제소제기(廢帝少帝紀)」}}}}}} ||<-2> {{{-1 {{{#ffffff 10권}}}}}} {{{-2 {{{#ffffff  「원제기·후비전(元帝紀·后妃傳)」}}}}}} ||
||<-2><rowbgcolor=#fff,#191919> [[조방|{{{#black,#e5e5e5 조방}}}]]  · [[조모(삼국지)|{{{#black,#e5e5e5 조모}}}]] ||<-2> [[조환|{{{#black,#e5e5e5 조환}}}]] · [[무선황후|{{{#black,#e5e5e5 무선황후}}}]] · [[문소황후|{{{#black,#e5e5e5 문소황후}}}]] · [[문덕황후 곽씨|{{{#black,#e5e5e5 문덕황후}}}]] · [[명원황후|{{{#black,#e5e5e5 명원황후}}}]] ||
||<-4><bgcolor=#ddd,#212121> ||
|| {{{-1 {{{#ffffff 11·12·13·14·15·16·17권}}}}}} {{{-2 {{{#ffffff  「조식전(曹植傳)」}}}}}} ||<-2> {{{-1 {{{#ffffff 20권}}}}}} {{{-2 {{{#ffffff  「조전(曹傳)」}}}}}} || {{{-1 {{{#ffffff 21권}}}}}} {{{-2 {{{#ffffff  「하후전(夏侯傳)」}}}}}} ||
||<rowbgcolor=#fff,#191919> [[조식(삼국지)|{{{#black,#e5e5e5 조식}}}]] ||<-2> [[조곤|{{{#black,#e5e5e5 조곤}}}]] · [[조홍#s-1|{{{#black,#e5e5e5 조홍}}}]] · [[조경(삼국지)|{{{#black,#e5e5e5 조경}}}]] · [[조상(삼국지)|{{{#black,#e5e5e5 조상}}}]] · [[조희#s-3|{{{#black,#e5e5e5 조희}}}]] · [[조언#s-2|{{{#black,#e5e5e5 조언}}}]] || [[하후돈|{{{#black,#e5e5e5 하후돈}}}]] · [[하후혜|{{{#black,#e5e5e5 하후혜}}}]] · [[하후현|{{{#black,#e5e5e5 하후현}}}]] · [[하후헌|{{{#black,#e5e5e5 하후헌}}}]] ||
||<-4><bgcolor=#ddd,#212121> ||
||<-2> {{{-1 {{{#ffffff 22권}}}}}} {{{-2 {{{#ffffff  「화왕전(華王傳)」}}}}}} ||<-2> {{{-1 {{{#ffffff 23권}}}}}} {{{-2 {{{#ffffff  「왕숙전(王肅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화흠|{{{#black,#e5e5e5 화흠}}}]] · [[왕랑#s-4|{{{#black,#e5e5e5 왕랑}}}]] ||<-2> [[왕숙|{{{#black,#e5e5e5 왕숙}}}]] ||
|| {{{-1 {{{#ffffff 24권}}}}}} {{{-2 {{{#ffffff  「가병관환종전(賈邴管桓鍾傳)」}}}}}} ||<-2> {{{-1 {{{#ffffff 25권}}}}}} {{{-2 {{{#ffffff  「종왕동조전(鍾王董趙傳)」}}}}}} || {{{-1 {{{#ffffff 26권}}}}}} {{{-2 {{{#ffffff  「한단진전손동한사마전(邯鄲陳田孫董韓司馬傳)」}}}}}} ||
||<rowbgcolor=#fff,#191919> [[가후|{{{#black,#e5e5e5 가후}}}]] · [[병원(삼국지)|{{{#black,#e5e5e5 병원}}}]] · [[관녕#s-1|{{{#black,#e5e5e5 관녕}}}]] · [[환계|{{{#black,#e5e5e5 환계}}}]] · [[종요|{{{#black,#e5e5e5 종요}}}]] · [[종육|{{{#black,#e5e5e5 종육}}}]] ||<-2> [[종회|{{{#black,#e5e5e5 종회}}}]] · [[종옹|{{{#black,#e5e5e5 종옹}}}]] · [[왕릉(삼국지)|{{{#black,#e5e5e5 왕릉}}}]] · [[왕광#s-2|{{{#black,#e5e5e5 왕광}}}]] · [[동소|{{{#black,#e5e5e5 동소}}}]] · [[조엄|{{{#black,#e5e5e5 조엄}}}]] || [[한단순|{{{#black,#e5e5e5 한단순}}}]] · [[진군#s-2|{{{#black,#e5e5e5 진군}}}]] · [[전예|{{{#black,#e5e5e5 전예}}}]] · [[손염|{{{#black,#e5e5e5 손염}}}]] · [[동우(삼국지)|{{{#black,#e5e5e5 동우}}}]] · [[한기#s-3|{{{#black,#e5e5e5 한기}}}]] · [[사마지|{{{#black,#e5e5e5 사마지}}}]] ||
|| {{{-1 {{{#ffffff 27권}}}}}} {{{-2 {{{#ffffff  「유만곽하양신고손전(劉滿郭何楊辛高孫傳)」}}}}}} ||<-2> {{{-1 {{{#ffffff 28권}}}}}} {{{-2 {{{#ffffff  「위기전(衛覬傳)」}}}}}} || {{{-1 {{{#ffffff 29권}}}}}} {{{-2 {{{#ffffff  「포전우설유소동최배진전(任田于薛劉蘇董崔裴棧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 [[유엽|{{{#black,#e5e5e5 유엽}}}]] · [[만총|{{{#black,#e5e5e5 만총}}}]] · [[곽회|{{{#black,#e5e5e5 곽회}}}]] · [[하기(삼국지)|{{{#black,#e5e5e5 하기}}}]] · [[양부(삼국지)|{{{#black,#e5e5e5 양부}}}]] · [[신비(삼국지)|{{{#black,#e5e5e5 신비}}}]] · [[고유#s-2|{{{#black,#e5e5e5 고유}}}]] · [[손례|{{{#black,#e5e5e5 손례}}}]] ||<-2> [[위기(조위)|{{{#black,#e5e5e5 위기}}}]] || [[포훈|{{{#black,#e5e5e5 포훈}}}]] · [[전경(조위)|{{{#999,#666 전경}}}]] · [[우달숙|{{{#999,#666 우달숙}}}]] · [[설하|{{{#black,#e5e5e5 설하}}}]] · [[유약|{{{#999,#666 유약}}}]] · [[소림|{{{#black,#e5e5e5 소림}}}]] · [[동파(삼국지)|{{{#999,#666 동파}}}]] · [[최림(삼국지)|{{{#black,#e5e5e5 최림}}}]] · [[배잠#s-1|{{{#black,#e5e5e5 배잠}}}]] · [[잔잠|{{{#black,#e5e5e5 잔잠}}}]] ||
||<-2> {{{-1 {{{#ffffff 30권}}}}}} {{{-2 {{{#ffffff  「응오변전(應吳卞傳)」}}}}}} ||<-2> {{{-1 {{{#ffffff 31권}}}}}} {{{-2 {{{#ffffff  「고당륭전(高堂隆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응거|{{{#black,#e5e5e5 응거}}}]] · [[응원(삼국지)|{{{#999,#666 응원}}}]] · [[오질|{{{#black,#e5e5e5 오질}}}]] · [[변란|{{{#black,#e5e5e5 변란}}}]] ||<-2> [[고당륭|{{{#black,#e5e5e5 고당륭}}}]] ||
||<-4><bgcolor=#ddd,#212121> ||
||<-3> {{{-1 {{{#ffffff 32권}}}}}} {{{-2 {{{#ffffff  「유손위전(劉孫韋傳)」}}}}}} ||<-2> {{{-1 {{{#ffffff 33권}}}}}} {{{-2 {{{#ffffff  「장제전(蔣濟傳)」}}}}}} ||
||<height=50><rowbgcolor=#fff,#191919><-3> [[유소#s-2|{{{#black,#e5e5e5 유소}}}]] · [[유방(삼국지)|{{{#black,#e5e5e5 유방}}}]] · [[손자(삼국지)#s-1|{{{#black,#e5e5e5 손자}}}]] · [[위탄#s-2|{{{#black,#e5e5e5 위탄}}}]] || [[장제(조위 태위)|{{{#black,#e5e5e5 장제}}}]] ||
||<-4><bgcolor=#ddd,#212121> ||
|| {{{-1 {{{#ffffff 34권}}}}}} {{{-2 {{{#ffffff  「유이전(劉廙傳)」}}}}}} ||<-2> {{{-1 {{{#ffffff 35권}}}}}} {{{-2 {{{#ffffff  「부노임악진전(傅盧任樂陳傳)」}}}}}} || {{{-1 {{{#ffffff 36권}}}}}} {{{-2 {{{#ffffff  「위이허서손왕유학전(和常楊杜趙裴傳)」}}}}}} ||
||<rowbgcolor=#fff,#191919> [[유이(삼국지)|{{{#black,#e5e5e5 유이}}}]] ||<-2> [[부손|{{{#black,#e5e5e5 부손}}}]] · [[부하(삼국지)|{{{#black,#e5e5e5 부하}}}]] · [[노육|{{{#black,#e5e5e5 노육}}}]] · [[임하|{{{#black,#e5e5e5 임하}}}]] · [[악상#s-2|{{{#black,#e5e5e5 악상}}}]] · [[진교#s-2|{{{#black,#e5e5e5 진교}}}]] || [[위진|{{{#black,#e5e5e5 위진}}}]] · [[이복(조위)|{{{#999,#666 이복}}}]] · [[허지|{{{#black,#e5e5e5 허지}}}]] · [[서악|{{{#black,#e5e5e5 서악}}}]] · [[손흠(위나라)|{{{#999,#666 손흠}}}]] · [[왕걸(삼국지)|{{{#999,#666 왕걸}}}]] · [[유보(삼국지)|{{{#black,#e5e5e5 유보}}}]] · [[왕관#s-3|{{{#black,#e5e5e5 왕관}}}]] · [[왕창#s-2|{{{#black,#e5e5e5 왕창}}}]] · [[왕담|{{{#black,#e5e5e5 왕담}}}]] · [[학소|{{{#black,#e5e5e5 학소}}}]] ||
|| {{{-1 {{{#ffffff 37권}}}}}} {{{-2 {{{#ffffff  「환범전(桓範傳)」}}}}}} ||<-2> {{{-1 {{{#ffffff 38권}}}}}} {{{-2 {{{#ffffff  「무설순강왕전(繆薛荀江王傳)」}}}}}} || {{{-1 {{{#ffffff 39권}}}}}} {{{-2 {{{#ffffff  「장맹이전필전(張孟李程畢何傳)」}}}}}} ||
||<rowbgcolor=#fff,#191919> [[환범|{{{#black,#e5e5e5 환범}}}]] ||<-2> [[무습|{{{#black,#e5e5e5 무습}}}]] · [[설정(삼국지)|{{{#999,#666 설정}}}]] · [[순굉|{{{#999,#666 순굉}}}]] · [[강위|{{{#999,#666 강위}}}]] · [[왕기(삼국지)#s-1|{{{#black,#e5e5e5 왕기}}}]] · [[무상|{{{#black,#e5e5e5 무상}}}]] || [[장취|{{{#999,#666 장취}}}]] · [[장기(삼국지)|{{{#black,#e5e5e5 장기}}}]] · [[맹강|{{{#black,#e5e5e5 맹강}}}]] · [[이은(삼국지)|{{{#999,#666 이은}}}]] · [[정효|{{{#black,#e5e5e5 정효}}}]] · [[필궤|{{{#black,#e5e5e5 필궤}}}]] · [[하안|{{{#black,#e5e5e5 하안}}}]] ||
||<-2> {{{-1 {{{#ffffff 40권}}}}}} {{{-2 {{{#ffffff  「정소동전(鄭小同傳)」}}}}}} ||<-2> {{{-1 {{{#ffffff 41·42권}}}}}} {{{-2 {{{#ffffff  「두문설양은정장전(杜文薛楊隱丁杜張杜傳)」}}}}}} ||
||<-2><rowbgcolor=#fff,#191919> [[정소동|{{{#999,#666 정소동}}}]] · [[장읍|{{{#black,#e5e5e5 장읍}}}]] · [[손해#s-3|{{{#black,#e5e5e5 손해}}}]] · [[제갈탄|{{{#black,#e5e5e5 제갈탄}}}]] · [[관구검|{{{#black,#e5e5e5 관구검}}}]] · [[진정|{{{#999,#666 진정}}}]] · [[설제#s-1|{{{#black,#e5e5e5 설제}}}]] · [[조이(삼국지)|{{{#999,#666 조이}}}]] · [[좌연녕|{{{#999,#666 좌연녕}}}]] · [[화흡|{{{#black,#e5e5e5 화흡}}}]] · [[조자#s-1|{{{#black,#e5e5e5 조자}}}]] · [[정희#s-2|{{{#black,#e5e5e5 정희}}}]] · [[장무(위나라)|{{{#999,#666 장무}}}]] ||<-2> [[두지|{{{#black,#e5e5e5 두지}}}]] · [[문흠|{{{#black,#e5e5e5 문흠}}}]] · [[설서|{{{#999,#666 설서}}}]] · [[양기(삼국지)#s-2|{{{#black,#e5e5e5 양기}}}]] · [[은번|{{{#black,#e5e5e5 은번}}}]] · [[정밀#s-2|{{{#black,#e5e5e5 정밀}}}]] · [[두보(삼국지)|{{{#black,#e5e5e5 두보}}}]] · [[장부#s-1|{{{#black,#e5e5e5 장부}}}]] · [[두서#s-2|{{{#black,#e5e5e5 두서}}}]]  ||
||<-4><bgcolor=#ddd,#212121> ||
||<-2> {{{-1 {{{#ffffff  43권}}}}}} {{{-2 {{{#ffffff  「이강전(李康傳)」}}}}}} ||<-2> {{{-1 {{{#ffffff  44·45·46권}}}}}} {{{-2 {{{#ffffff  「조공요전(趙孔曜傳)」}}}}}} ||
||<-2><bgcolor=#fff,#191919> [[이강|{{{#black,#e5e5e5 이강}}}]] · [[동심(삼국지)|{{{#999,#666 동심}}}]] · [[어환|{{{#black,#e5e5e5 어환}}}]] · [[은포|{{{#999,#666 은포}}}]] · [[황관|{{{#999,#666 황관}}}]] · [[우송|{{{#black,#e5e5e5 우송}}}]] · [[주탄|{{{#999,#666 주탄}}}]] · [[유조#s-6|{{{#black,#e5e5e5 유조}}}]] · [[주유(삼국지)|{{{#999,#666 주유}}}]] · [[견의|{{{#999,#666 견의}}}]] · [[방연(위나라)|{{{#999,#666 방연}}}]] · [[이승#s-2|{{{#black,#e5e5e5 이승}}}]] ||<-2><bgcolor=#fff,#191919> [[조공요|{{{#999,#666 조공요}}}]] · [[도구(삼국지)|{{{#999,#666 도구}}}]] · [[공안|{{{#999,#666 공안}}}]] · [[등애|{{{#black,#e5e5e5 등애}}}]] · [[왕필#s-2|{{{#black,#e5e5e5 왕필}}}]] · [[무신(삼국지)|{{{#999,#666 무신}}}]] · [[완무|{{{#999,#666 완무}}}]] · [[완적|{{{#black,#e5e5e5 완적}}}]] ||
||<-4><bgcolor=#ddd,#212121> ||
||<-2> {{{-1 {{{#ffffff 47·48·49·50·51·52권}}}}}} {{{-2 {{{#ffffff  「혜강전(嵇康傳)」}}}}}} ||<-2> {{{-1 {{{#ffffff 53권}}}}}} {{{-2 {{{#ffffff  「복의전(伏義傳)」}}}}}} ||
||<-2><bgcolor=#fff,#191919> [[혜강|{{{#black,#e5e5e5 혜강}}}]] ||<-2><bgcolor=#fff,#191919> [[복의|{{{#999,#666 복의}}}]] · [[혜숙량|{{{#999,#666 혜숙량}}}]] · [[여안|{{{#999,#666 여안}}}]] · [[주황(삼국지)|{{{#999,#666 주황}}}]] · [[왕준(후한)|{{{#black,#e5e5e5 왕준}}}]] · [[양원봉|{{{#999,#666 양원봉}}}]] · [[곽익(위나라)|{{{#999,#666 곽익}}}]] · [[유휘(삼국지)|{{{#black,#e5e5e5 유휘}}}]] · [[가대|{{{#999,#666 가대}}}]] ||
||<-2> {{{-1 {{{#ffffff 54권}}}}}} {{{-2 {{{#ffffff  「공손연전(公孫淵傳)」}}}}}} ||<-2> {{{-1 {{{#ffffff 55·56권}}}}}} {{{-2 {{{#ffffff  「궐명전(闕名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공손연|{{{#black,#e5e5e5 공손연}}}]] · [[곽흔|{{{#black,#e5e5e5 곽흔}}}]] · [[유포|{{{#999,#666 유포}}}]] · [[고유처|{{{#999,#666 고유처}}}]] ||<-2> [[궐명|{{{#999,#666 궐명}}}]] ||
||<-4><bgcolor=#ddd,#212121> ||
}}}
[ 촉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008000> 57권 「선주·후주기(先主後主紀)」 ||
||<height=50><bgcolor=#fff,#191919> 유비 · 유선 ||
||<width=1000><bgcolor=#ddd,#212121> ||
|| 60권 「허정등전(許靖等傳)」 ||
||<height=50><bgcolor=#fff,#191919> 허정 · 장비 · 마초 · 조운 · 법정 · 내민 · 유표 · 유파 ||
|| 61권 「진밀등전(秦宓等傳)」 ||
||<height=50><bgcolor=#fff,#191919> 진밀 · 마량 · 마속 · 진진 · 맹달 · 팽양 · 정기 · 이엄 · 이막 · 유염 · 상랑 · 장예 ||
|| 62권 「양의등전(楊儀等傳)」 ||
||<height=50><bgcolor=#fff,#191919> 양의 · 장완 · 장빈 · 비시 · 여개 · 비의 · 장억 · 강유 · 포원 · 양희 · 옹개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오서 ]

||<-4><tablewidth=100%><tablebgcolor=#8b0000> 63·64권 「오본기(吳本紀)」 ||
||<-4><height=50><bgcolor=#fff,#191919> 손책 · 손권 · 손량 · 손휴 · 손호 ||
||<-4><width=1000><bgcolor=#ddd,#212121> ||
||<-4> 65권 「손등등전(孫登等傳)」 ||
||<-4><height=50><bgcolor=#fff,#191919> 손등 · 손교 · 손침 · 장소 · 장승(張承) · 제갈근 · 제갈각 ||
||<-4> 66권 「황개등전(黃蓋等傳)」 ||
||<-4><height=50><bgcolor=#fff,#191919> 황개 · 보즐 · 감택 · 설종 · 장온 · 글염 · 사승 · 주방 ||
||<-2><width=50%> 67권 「낙통등전(駱統等傳)」 ||<-2><width=50%> 68권 「우번등전(虞翻等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낙통 · 전종 · 반준 · 고담 · 호종 · 시의 ||<-2> 우번 · 주치 · 주연 · 주적 · 오찬 · 육적 · 육손 ||
||<-2> 69권 「육모등전(陸瑁等傳)」 ||<-2> 70권 「육경등전(陸景等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육모 · 육개 · 육항 ||<-2> 육경 · 주거 ||
||<-2> 71권 「복야존등전(僕射存等傳)」 || 72권 「왕번등전(王蕃等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복야존 · 양도 · 은례 · 요신 · 주소 · 위소 · 갈현 ||<-2> 왕번 · 하소 · 장유 ||
||<-4> 73권 「장순등전(張純等傳)」 ||
||<-4><height=50><bgcolor=#fff,#191919> 장순 · 주이 · 장엄 · 맹종 · 이형 · 장승(張勝) · · 섭우 · 장균 · 서정 · 사자 · 기즐 ||
||<-2> 74권 「화핵등전(華覈等傳)」 ||<-2> 75권 「양천등전(楊泉等傳)」 ||
||<-2><height=50><rowbgcolor=#fff,#191919> 화핵 · 황상 · 소주 · 만진 · 오언 · 손흠 · 민홍 ||<-2> 양천 · 엄은 · 손중기 · 지겸 · 강승회 · 갈현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1:49:26에 나무위키 조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선양 자체의 선례는 예전에도 있었다. 전국시대 연나라의 자지와 신나라를 건국한 왕망이 그 예이다. 하지만 이들은 후손한테 물려주지 못하고 자신이 왕, 황제가 된 것이 끝으로 이들이 죽고 다시 원래 왕조가 복구되었다.[2] 실제로 선양을 받고 통일을 완수하여 수백년을 존속한 중국 주요 왕조들의 초대 혹은 2세 황제들과 비교한다면야 조비의 스펙이 절대적으로 초라해 보인다.[3] 조비, 조창, 조식, 조웅이 모두 변씨 소생이다.[4] 삼국(드라마)대군사 사마의에서는 이런 정설을 무시하고 조비를 '이공자'라고 칭한다. 즉, 조비를 차남으로 본 것이다.[5] 조절, 조헌, 조화[6] 장녀 조헌, 차녀 조절, 삼녀 조화[7] 대군사 사마의에서는 이 설을 따라 조비가 헌제의 딸들을 보고 "내 누이가 산양공의 부인이니 이 아이들은 내게는 조카가 아닌가?"라며 마뜩찮아 하자 조진이 "어차피 공주의 소생도 아니잖습니까?"라고 대답한다.[8] 물론 그 아버지 조조도 자기 비위에 거슬리거나 쓸모없어지면 구실거리를 만든 후 토사구팽 해버렸다는 비판점이 있지만, 적어도 조조는 조비처럼 별 같잖은 개인적인 이유로 아무나 토사구팽을 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조조는 장남 조앙을 죽인 가후와 장수도 살려주고 부하로 삼았다.) 조비의 집권기는 조조보다 훨씬 짧은데도 사례가 더 많다.[9] 몰론 위가 천하통일을 못한 것은 서주대학살로 민심을 잃어버리고 적벽 대전에 패한 조조의 지분이 크긴 하지만 조비가 결정타를 준 것은 변함없는 사실이다.[10] 조조의 적벽대전한중공방전, 유비의 이릉대전, 손권의 이궁지쟁 등, 그 외 군웅할거 시기 전체로 따지면 원소의 관도대전과 후계자 선정 실패 등이 있을수 있겠다.[11] 하지만 당시 시대상 이보다 나은 인사제도가 없었다. 자세한것은 항목 참조[12] 다만, 삼국전투기에서도 구품관인법과 황족 배제를 시킨 것은 위나라 멸망의 원인이라며 깠다.[13] 쉽게 말해 '훌륭한 황제가 되실 소질은 충분하셨는데 그걸 살리지 못하셨네요.'라고 돌려까는 거다.[14] 효과를 보았다고 보기 힘들다는 말은 좀 지나치다. 최소한 촉처럼 환관이 정면에 나서서 전횡을 부리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15] 육손은 조비의 간사함은 조조 못지 않다고 촉군 추격을 포기하고 위에 대비하는 이유를 설명한다.[16] 40살에 죽은 이유가 이 합성 화학 약품의 독성 때문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17] 사천 요리 매운맛의 양대 축이 [[마라#s-5]|마와 라][18] 조청 1kg을 얻으려면 쌀 2kg에 엿기름 500g을 때려부어 6시간 동안 삭히고, 그걸 또 한나절 꼬박 졸여야한다. 보다시피 쌀과 장작이 엄청 들어가기 때문에 수수조청 2kg 정도이면 가격이 10만 원은 가볍게 넘어간다. 고대에는 꿀이 오히려 흔했던 건 자연환경이 지금보다 오염이 덜해서 그만큼 벌들의 서식지도 많았기에 가능한 일이다.[19] 선빈이니, 백화계니 하는건 머리 모양이다.[20] 오래 산 편이긴 하지만 90대 중반에 사망한 동생 사마부같은 사람도 있고 위나라 중신중에 조조-조비-조예 3대에 걸쳐 활약한 사람이 워낙 많아서 특출나게 오래 산 케이스는 아니다. 하지만 서기 2~3세기 무렵에 70대까지 살았으면 굉장히 오래 산 축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