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타오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감독쩡신이

Maizijian
코치저우타이제

byg97
분석신민성

Cluo
로스터
파일:TOP_icon_NIP.png
TOP
파일:중국 국기.svg [[덩즈지안|덩즈지안

shanji
]]
파일:JGL_icon_NIP.png
JGL
파일:중국 국기.svg [[마오안|마오안

Aki
]]
파일:MID_icon_NIP.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의진|송의진

Rookie
]]
파일:BOT_icon_NIP.png
BOT
파일:중국 국기.svg [[잉치선|잉치선

Photic
]]
파일:SPT_icon_NIP.png
SPT
파일:중국 국기.svg [[왕쉬줘|왕쉬줘

Zhuo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경섭|윤경섭

Zero
]]
LPL 참가팀 로스터



상타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파일:LPL_2020_white1.png 1000킬 달성 선수 일람
[ 펼치기 · 접기 ]
이름 / ID당시 소속팀현 소속 팀포지션달성일자
[[젠쯔하오|젠쯔하오

Uzi
]]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파일:ADC_icon_100.png
ADC
2015.04.17
위자쥔

Cool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은퇴파일:MID_icon_100.png
MID
2015.07.03
거얀

Kid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은퇴파일:ADC_icon_100.png
ADC
2015.07.17
주지아웬

NaMei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RNG.png은퇴파일:ADC_icon_100.png
ADC
2016.04.09
[[류즈하오|류즈하오

Zz1tai
]]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은퇴파일:TOP_icon_100.png
TOP
2016.06.05
[[밍카이|밍카이

Clearlove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은퇴파일:JGL_icon_100.png
JGL
2016.07.17
[[김혁규|김혁규

Deft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ADC_icon_100.png
ADC
2016.08.14
[[웨이전|웨이전

GODV
]]
파일:external/2bfdfe55bcc5a0fb795764fad05bb44e05e05ee62a798ccfcda9bb158bc78e8e.png은퇴파일:MID_icon_100.png
MID
2017.03.18
[[구승빈|구승빈

imp
]]
파일:external/2bfdfe55bcc5a0fb795764fad05bb44e05e05ee62a798ccfcda9bb158bc78e8e.png은퇴파일:ADC_icon_100.png
ADC
2017.04.01
[[송의진|송의진

Rookie
]]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17.04.13
[[한진(프로게이머)|한진

Smlz
]]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N/A파일:ADC_icon_100.png
ADC
2017.07.20
[[진성준(프로게이머)|진성준

Mystic
]]
파일:Team_WE.png은퇴파일:ADC_icon_100.png
ADC
2017.07.22
[[리위안하오|리위안하오

Xiaohu
]]
파일:RNG 로고 2017.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17.08.20
[[쑤한웨이|쑤한웨이

xiye
]]
파일:Team_WE.pngN/A파일:MID_icon_100.png
MID
2017.08.25
[[이예찬|이예찬

Scout
]]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19.01.18
[[김태상|김태상

Doinb
]]
파일:FPX_LoL_new_logo.pngN/A파일:MID_icon_100.png
MID
2019.02.17
[[리쉬안쥔|리쉬안쥔

Flandre
]]
파일:SNAKE_ESPORTS_LOGO.pngN/A파일:TOP_icon_100.png
TOP
2019.03.22
[[셰톈위|셰톈위

icon
]]
파일:273px-Oh_My_God_allmode.pngN/A파일:MID_icon_100.png
MID
2019.03.24
[[셰진산|셰진산

Jinjiao
]]
파일:Bilibili_Gaming.png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19.06.24
[[린웨이샹|린웨이샹

Lwx
]]
파일:FPX_LoL_new_logo.png파일:FPX 로고 2021.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19.07.24
[[이동욱(프로게이머)|이동욱

LokeN
]]
파일:JD_Gaming.png파일:Sengoku_Gaming_2023_Logo.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0.07.06
[[위원보|위원보

JackeyLove
]]
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0.07.11
[[후셴자오|후셴자오

iBoy
]]
파일:Rare_Atomlogo_square.png파일:Anyones_Legendlogo_square.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0.08.07
[[줘딩|줘딩

knight
]]
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20.08.08
[[쩡치|쩡치

Yagao
]]
파일:JD_Gaming.png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21.02.26
[[레꽝주이|레꽝주이

SofM
]]
파일:Suninglogo_square.pngN/A파일:JGL_icon_100.png
JGL
2021.06.11
[[천웨이|천웨이

GALA
]]
파일:RNG 로고 2017.svg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2.01.23
[[훙하오쉬안|훙하오쉬안

Karsa
]]
파일:Victory_Five.pn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2.02.21
[[강승록|강승록

TheShy
]]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2.02.26
[[자오자하오|자오자하오

Elk
]]
파일:Ultra_Primelogo.png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2.03.11
[[상타오|상타오

Angel
]]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NIP_심볼_NeonYellow.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22.06.10
[[탕환펑|탕환펑

huanfeng
]]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2.06.21
[[가오톈량|가오톈량

Tian
]]
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2.07.02
[[서진혁|서진혁

Kanavi
]]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2.07.18
[[왕광위|왕광위

Light
]]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2.08.17
[[바이자하오|바이자하오

369
]]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3.02.02
[[천천|천천

Breathe
]]
파일:RNG 로고 2017.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3.02.12
[[왕제(프로게이머)|왕제

Hope
]]
파일:Team_WE.png파일:ADC_icon_100.png
BOT
2023.02.28
[[천쩌빈|천쩌빈

Bin
]]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3.06.01
[[가오전닝|가오전닝

Ning
]]
파일:Ultra_Primelogo.pn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3.06.12
[[옌양웨이|옌양웨이

Wei
]]
파일:RNG 로고 2017.svg파일:JGL_icon_100.png
JGL
2023.06.13
[[주쥔란|주쥔란

FoFo
]]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MID_icon_100.png
MID
2023.06.21
[[다이즈춘|다이즈춘

Able
]]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ADC_icon_100.png
BOT
2023.07.22
[[후자러|후자러

Ale
]]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TOP_icon_100.png
TOP
2023.07.22
,,

ID
: 현 LPL 소속

ID
: 현 LCK 소속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d1b30; padding: 1.5px 6px;"
ID : 현 LJL 소속
☆ : 1500킬 달성 선수
★ : 2000킬 달성 선수,,



파일:LPL_2020_white1.png 펜타킬 달성 선수
[ 펼치기 · 접기 ]
2013 시즌youmeng 다이웬지 1호 · San 궈쥔량 2호 · PDD 류머우 3호 · F1sh 유루이 4호
2014 시즌Styz 큐진리앙 5호 · AmazingJ 쉐크와이호 6호 · Ruo 텡양티안차 7호 · U 쩡룽 8호 · inSec 최인석 9호 · WeiXiao 가오쉐청 10호 · Ninja 노건우 11호 · Uzi 젠쯔하오 12호
2015 시즌Assassin 저우이샹 13호 · Tale 자오샤오유 14호 · kRYST4L 양판 15호 · hu1 레이후이궈 16호 · Kid 거얀 17호 · Deft 김혁규 18호 · TnT 유루이 19호 · Hetong 왕빈 20호 · Cool 위자쥔 21호 · GODV 웨이전 22호 · Uzi 젠쯔하오 23호 · SmLz 한진 24호
2016 시즌Deft 김혁규 25호 · Uzi 젠쯔하오 26호 · Endless 쑤하오 27호 · NaMei 주지아웬 28호 · kRYST4L 양판 29호 · Condi 샹런제 30호 · V 바오보 31호 · Easyhoon 이지훈 32호
2017 시즌West 천롱 33호 · Barrett 수퀴우빈 34호 · Mystic 진성준 35호 · xiye 쑤한웨이 36호
2018 시즌Lwx 린웨이샹 37호 · Guoguo 쩡쥔리 38호 · Xiaohu 리위안하오 39호 · xiye 쑤한웨이 40호 · Uzi 젠쯔하오 41·42호☆ · Zz1tai 류즈하오 43호 · Smlz 한진 44호 · Angel 상타오 45호
2019 시즌ZWuji 메이홍후이 46호 · xiye 쑤한웨이 47호 · Jay 천보 48호 · Flandre 리쉬안쥔 49호
2020 시즌LokeN 이동욱 50호 · huanfeng 탕환펑 51호 · Doinb 김태상 52·59호☆ · Hope 왕제 53호 · Photic 잉치선 54호 · Rookie 송의진 55호 · Yuuki 후하오밍 56호 · Cryin 위안청웨이 57호 · Jiumeng 자오자하오 58호 · Betty 루위훙 60호 · Smlz 한진 61호 · FoFo 주쥔란 62호
2021 시즌Lwx 린웨이샹 63호 · Cryin 위안청웨이 64호 · Angel 상타오 65호 · iBoy 후셴자오 66호·74호☆ · Viper 박도현 67호·69호☆ · Light 왕광위 68호 · Puff 딩왕 70호·73호☆ · Doinb 김태상 71호·75호☆ · GALA 천웨이 72호 · Weiwei 웨이보한 76호 · SamD 이재훈 77호 · Jiejie 자오리제 78호
2022 시즌Elk 자오자하오 79호 · Hope 왕제 80호·84호 ☆ · Photic 잉치선 81호·82호·87호 ★ · 369 바이자하오 83호 · Lwx 린웨이샹 85호 · GALA 천웨이 86호·88호 ☆ · JackeyLove 위원보 89호·90호
2023 시즌Ruler 박재혁 91호·106호 ☆ · Qing 후지아주 92호·93호 ☆ · Doggo 지우즈좐 94호 · Light 왕광위 95호·97호 ☆ · GALA 천웨이 96호·102호☆ · Ahn 안산예 98호 · Ale 후자러 99호 · zhiqiuyi 가오즈쉬안 100호 · Elk 자오자하오 101호·105호 ☆ · LP 리페이 103호 · Scout 이예찬 104호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파일:NIP_Angel_2023_Split_2.png
Ninjas in Pyjamas
Angel
상타오 (向涛[1] | Xiang Tao)[2]
출생2000년 9월 16일 (23세)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

ID길가다가까까사달라고조르는이도윤 #
포지션미드[3]
소속TyLoo
(2017.12 ~ 2018.06.29)
Weibo Gaming FAW Audi[4]
(2018.07.09 ~ 2022.12.15)

Royal Never Give Up
(2023.01.11 ~ 2023.04.18)
Ninjas in Pyjamas
(2023.05.25 ~ )
파일:후야 아이콘.pn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
2. 플레이 스타일
3. 수상 경력
4. 선수 경력
4.1. Suning
4.1.1. 2020 시즌
4.1.2. 2021 시즌
4.1.3. 2022 시즌
4.1.4. 2023 시즌
5. 여담



1. 개요[편집]


중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PLNinjas in Pyjamas 소속 미드 라이너.


2. 플레이 스타일[편집]



챔피언 편차와 기복이 큰 편이지만 기본 메카닉은 꽤 뛰어난 미드라이너이다. 잘 뚫릴 것 같으면서도 도망을 잘가는 야가오 부류보단 잘 막는데 상대를 잘 뚫지 못하는 크라인과 비슷하다. 안정적인 성장을 통한 캐리력이 좋은 편이지만, 확실한 각이 아니면 사리는 성향이 있기에 오히려 성향만 보면 크라인보다는 RA 시절 포포의 미세한 하위호환 또는 상호호환에 가깝다.

자신있는 챔피언은 카사딘. 시예의 카사딘이 생각날 정도로 잘 쓰며, 이 외에도 아칼리 또한 잘 다룬다. 다만 원거리 AP 챔피언들의 숙련도는 들쭉날쭉하다. 놀라운 이변을 일으킨 2020 월즈를 전후해서 메이지 숙련도는 꽤 개선되었는데, 현재로서는 오히려 AD나 기동성 높은 챔프 숙련도가 더 애매하다고 평가된다. 카사딘과 아칼리를 잘하면 암살자를 잘할 것이라는 발상은 좀 일차원적인 게, 둘 다 라인전은 초식이고 비정상적으로 생존력이 좋은 한타형 암살자기 때문이다. 때문에 몸이 앞으로 쏠리고 외줄타기로 스노우볼링을 굴리면서 붙어 싸우는 챔프들과는 메커니즘의 차이가 크다.

변수 창출력이 출중한 미드가 아니라는 것도 약점. 이 점 때문에 항상 평가가 박한데, 그나마 다른 포지션에서 변수를 창출해주면 1~1.5인분을 보장하는 수준까지 성장했다는 건 위안거리다. 특히 2021 서머에는 비슷한 유형으로 뭉뚱그려 프레임이 잡힌 크라인이 부정하기 어려운 부진에 빠지면서, 역으로 개인만 보면 엔젤이 크라인의 미세한 상위호환이 아니냐는 고평가도 있었다. 실제로 엔젤은 크라인과 달리 조이와 아칼리, 이렐리아 등 핑퐁에 능한 챔피언을 잘 다루고, 메이지를 잡을 때도 크라인보다 확실히 체급도 높기에 크라인보다 위라고 보는 게 맞다. 정상급 미드라이너들을 상대로도 체급에서 안밀리지만 가끔 중 ~ 중상위권 정도의 지표로 저평가 당하는데, 이는 엔젤이 갱 압박을 많이 받는 편이고 소프엠이 라이너들 커버를 거의 안해주는 것이 맞물린다. 더구나 엔젤이 21시즌 부터 팀적으로 받쳐주는 픽을 많이하는 것을 고려해볼때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의견이 꽤 있다.

22 스프링은 본인의 커리어 하이를 보내고 있다. 유일한 약점인 변수 창출을 빈보다 더 다방면에서 대신해줄 더샤이가 영입되고 AP 메이지 메타가 도래하면서, 압도적인 라인전과 한타 딜링 및 탄탄한 팀플레이를 뽐내며 LPL을 평정하는 중. 챔프폭도 늘어났고 확실히 전 보다는 더 자신감 있는 플레이가 늘었다.사실 변수 창출이 부족하다는 이미지도 소프엠과 온의 역할이 한정적이었기에 다소 억울한 부분이 있었다. 결국 시즌 후반 소프엠 폼이 수직 하락하면서 엔젤의 평가까지 동반으로 하락하게 되었다.

요약하면 타고난 재능의 범위가 넓진 않았지만, 확실한 메카닉을 바탕으로 그 위에 노력으로 많은 성과를 쌓아올린 대기만성형 미드라이너.


3. 수상 경력[편집]


우승 기록
2018 LDL Spring 우승
리그 출범TyLooSinoDragon Gaming
NEST 2021 우승
Vici GamingSuningEdward Gaming Hycan
준우승 기록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G2 EsportsSuningDWG KIA


4. 선수 경력[편집]



4.1. Suning[편집]


fenfen이 2017 서머의 그 기량을 다시 보여주며 팀을 말아먹기 시작하자 그리고 나이트가 배를 째자급하게 데려온 미드라이너. 2부리그 LDL 우승팀인 Tyloo 출신인데 비시즌 대회에서 스프링 포스트시즌 진출팀인 Snake를 잡아내 우승팀보다도 더 화제가 되었다.스네이크가 서머에 자멸한게 함정

메이플이 스프링 시즌 중반에 워낙 못하면서 몇 번 교체투입이 되었는데, 크게 차별화가 되지는 못했는지 메이플이 플레이스타일을 정립한 시즌 후반에는 다시 밀려났다.

2019 서머 시즌에는 랑싱이 RNG로 이적하고 비우비우가 애매해서 탑으로 나오고 있다.[5]


4.1.1. 2020 시즌[편집]


대 RNG전, 르블랑을 골라 극도의 소심한 플레이를 보였다. 상대 갈리오가 로밍 다닐 동안 오직 파밍만 하고 온갖 스킬을 상대 마오카이, 갈리오한테만 쳐부었다. 팀이 0:11패할 동안 0데스를 하는 극도의 사리기는 덤.

하지만 다음 세트 신드라로 팀의 캐리를 도맡아서 해버렸다! 주사위가 6이 나온모양. 기세를 몰아 마지막 세트까지 신드라로 불리한 상황에서 캐리를 해서 역전승의 주역이 되었다. 자신의 주력챔프로는 경기 플레이 스타일 자체가 달라진다.

스프링 시즌에는 주력픽 카사딘을 제외하면 그냥 저냥 평범한 활약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지 못했지만

서머 때는 빈의 포텐이 터지고 소프엠도 부활을 하면서 본인 또한 스텝업한 모습을 보여주며 리그 3위 달성에 기여했다.

엔젤이 빈 중심으로 풀어가는 팀 사정 상 갱 압박이나 다이브 압박을 많이 받는 편이지만 좋은 갱회피 능력이 돋보이고 있다.

특히 플레이오프에서는 신드라를 잡으면 나이트를 제외한 모든 미드를 파괴할 정도의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4.1.1.1.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편집]

월즈에서는 그룹 스테이지 1경기 G2전 쓰로잉을 제외하면 좋은 폼을 보여주었다. 특히 4강전 4경기에서는 아칼리로 POG를 차지하며 우승후보인 TES를 침몰시켰다. 다만 결승에서는 쇼메이커를 상대로 대체로 밀리는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3세트에서는 바론 한타에서 전세를 역전시키고도 점점 경기가 비벼지더니 두번째 바론 한타 전에 궁이 빠지는 등 아쉬운 플레이를 보였다. 결국 팀은 1:3으로 지면서 아쉽게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엔젤도 월즈 전까지는 가자미형 미드라이너라는 조롱과 함께 저평가를 받았지만, 월즈에서 라인전보단 팀파이트 위주의 플레이로 좋은 성적을 냈다. 대부분의 강팀은 에이스급 미드라이너를 두고 정글러가 이를 보좌하는 형태지만, 쑤닝은 정글러인 에이스 SofM을 엔젤이 받쳐주는 플레이로 월즈 결승까지 진출했으며, 이 과정에서 엔젤이 소프엠을 보좌하는 플레이는 매우 훌륭했다. 그룹 스테이지에서부터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한 엔젤이 세체미 경쟁을 할 정도로 폼이 올라온 모습은 미드라이너의 역할이 바뀐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4.1.2. 2021 시즌[편집]


TES와의 개막전 빈과 후안펑의 캐리가 돋보였지만 엔젤 본인도 나이트에 밀리지 않으며 한타때 좋은 활약으로 팀의 2:0 완승을 이끌어냈다. 이 후 팀이 연패에 빠지고 엔젤도 큰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지만 기존에 존재감이 엄청났던 빈, 소프엠의 부진에 비해서는 후안펑과 함께 팀에서 가장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WE를 상대로 2,3세트 연속 팀을 캐리하며 지난 시즌에 비해 확실히 성장했다는 것을 증명했다.

Summer Split 개막전 IG 상대로 실망스런 모습을 보여주었다. 1,2세트 계속 노림 당했고 이에 100프로 당하였다.

하지만 빈과 소프엠이 여전히 정신을 못차린 가운데 후안펑과 함께 팀의 유일 상수로서 활약중이다. 엔젤 본인이 탑 클래스 미드 라이너들에 비해 어딘가 부족한 면이 있지만 후안펑과 함께 매 경기 1인분 이상 소화하며 분전중이다.

4.1.3. 2022 시즌[편집]


여전히 미숙한 어린 서폿과 기복이 매우 심한 정글을 데리고 더샤이,후안펑과 함께 팀을 이끄는 중이다.

안정감만이 대두되던 이전 시즌과 달리 과감한 스킬 활용을 통한 캐리력마저 늘었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 EDG전에서는 각성한 스카웃에게 조금 밀렸지만 그래도 이지훈에게 코치받은 아지르와 아리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승리하였다.

3라운드 JDG전도 딱 1인분 정도만 채운 야가오를 상대로도 미드차이를 내줬으며 자신을 포함한 팀원 전원이 상대들에게 조금씩 다 밀리면서 고통받다 5세트에 결국 탈락했다[6]

서머 시즌에는 스프링때보다 폼이 떨어졌지만 소프엠과 온 덕분에 많은 저점을 보여주어도 다 가려졌었지만 JDG전에서 저 둘도 가리지 못할 정도의 트롤을 선보였다

플레이오프 LNG전에서 1,2세트 상대 미드 도인비에게 유리한 픽을 들고도 영향력이 밀려서 무기력하게 패배했고 3,4세트에서는 각성하며 몸을 비트는 활약을 하며 홀로 분전했지만 그래도 팀의 1:3 패배를 막지 못했다.

시즌 전체를 봤을때 스프링에선 정규시즌 서드 미드인 스카웃보다 높은 폼을 보여줬다고도 할 수 있지만 스프링 후반부부터 시작된 폼 하락 때문인지 서머에는 도인비에게도 밀려 버리면서 LPL 서머시즌 전체 팀 중 6~7위 팀 수준의 미드로 전락하고 말았다.

4.1.4. 2023 시즌[편집]


시즌이 개막하고 나서야 팀에 합류했고 스크림도 제대로 합류하지 못하며 시즌 중반까지 탕위안과 돌림판을 당하고 있다.

탕위안 출전 외압 스캔들 이후 주전으로 고정되었지만, 정규시즌 종료까지 별다른 좋은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플레이오프에서도 두 시리즈 모두 크게 부진하면서 RNG 탈락의 원흉이 되었다.

4월 18일, 웨이보를 통해 RNG와 계약을 종료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반 년만에 팀을 떠나게 되었으며 5월 25일, NIP로 이적하였다.

서머 OMG전 3세트, 아리로 쿼드라킬을 달성하는 등 눈물의 통나무롤을 선보였으나 팀은 지는 1년 전과 흡사한 패턴으로 고통받았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만난 RNG를 제도로 복수하며 2라운드 진출을 이끌었다.

5. 여담[편집]


  • 제닉스 스톰의 미드라이너였던 김경원 선수도 Angel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했었다.

  • 웨이보에는 1년에 10번 이하로 글을 작성할 정도로 자주 올리는 편은 아니지만 1년 중 월즈 시기에는 꼭 장문의 월즈 감상문을 써올린다. 웨이보 계정을 처음 만들고 제일 처음으로 올린 글 역시 2018년 월즈 조별 리그에 대한 감상문 및 고찰이었을 정도.

  • 부모님이 두 분 다 군인이셨다고 한다. #

  • 쑤닝 웨이보가 월즈 진출 확정 후 엔젤의 식당에서 밥을 먹기로 했다면서 식당 사진을 올렸는데 그 식당이 여러 곳에서 체인점을 낸 전국적인 규모의 레스토랑이었다. 이후 엔젤의 아버지가 胡桃里의 창립자이자 공동 이사 중 한 명이며, 그 중에서도 본점을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금수저가 확정되는 분위기이다. #

  • 쑤닝을 잘 모르는 사람이 외모만 보고 엔젤을 베트남 사람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비주얼과 매치가 안되는 닉네임으로 인해 한국에서 데빌이 낫지 않겠냐며 놀림거리가 되곤 한다. 일부는 PowerOfEvil을 이 선수가 써야한다는 드립을 치기도 한다. 해설진도 이를 이용해 엔젤이 캐리하거나 죽을 경우 천사 드립을 자주 친다.

  • 쑤닝의 서포터였던 소드아트는 떠나기 전에 웨이보 멤버들 모두에게 경기력에 대한 당부하는 글을 남기고 떠났는데, 유일하게 엔젤에게는 "넌 걱정이 가장 덜 된다. 너는 팀이 의지할 만한 선수가 될 것이다"라고 글을 남기며 엔젤에 대한 상당한 신뢰를 보인 바 있다. 실제로 탕환펑이 여자 문제로 홍역을 치르고 있을 당시에도 엔젤은 개인 방송에서 "언젠가는 인생에서 겪게 되었을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멘트를 남기며 성숙한 멘탈의 소유자임을 드러냈다.


  • 동료들에게 자주 책을 권한다고 한다. 동료인 빈의 말에 따르면 엔젤이 자주 심리학 책을 읽는 것을 즐기는데 본인에게도 읽으라고 권해주었고 그 덕택에 멘탈 관리를 할 수 있었다고. 신인 서포터인 ON 역시 엔젤이 책을 추천해주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 아예 독서를 즐기는 것을 넘어 심리학이나 철학 쪽에도 나름 조예가 있는 듯 한데, 빈이 개인 방송을 진행하던 도중 롤 메세지를 통해 영상 링크 주소를 보낸 게 포착됐는데 그 영상의 제목이 《분쟁의 시대 : 20세기 서양 사상 문화의 흐름》이었다. 이지훈처럼 프로게이머는 교양이 부족하다는 편견을 부정하는 사례 중 하나. 이후 본인의 언급에 따르면 요즘 취미가 대학 강의 영상을 찾아보는 거라고 한다.



  • 상기된 이유들로 인해 무척 침착하고 어른스러운 성정인 듯 보이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소드아트에게 엄청난 걱정을 남긴 빈 SofM 환펑 빌런트리오와 비교했을 때 이야기고 일상생활 측면에서는 꽤나 깐깐하고 고지식한 성격이라 같이 지내기엔 귀찮은 부분이 많다는 모양이다. 오죽하면 팀 내에서 같은 방을 쓰고 싶어하는 사람이 없었다고(...).[7] 이후 소드아트가 팀으로 다시 돌아오면서 엔젤과 같은 방을 썼다가, 코를 너무 곤다는 이후로 단 하룻밤만에 쫓겨나는 사태도 있었다. 이후의 룸메이트는 더샤이가 될 예정이라는 듯.

  • 성격상 일상생활에 괴담만 있는 것은 아니고, 본연의 맛을 중시해서 자극적인 하이디라오를 좋아하는 빈과는 훠궈집 취향이 절대로 맞지 않았다던가 하는 제법 하찮은(...) 일화도 있다.

  • 20월즈에서 다른 팀원들에 비해 덜 주목받았다는 이유로 한국에선 이른바 엔젤류 미드(...)[8]라는 드립이 돌았던 적이 있다. 그러나 21시즌 기복있는 어린 탑, 틈만나면 던져대는 미친 팀원들 사이에서 고통받는 원딜과 함께 원장롤을 수행했고, 22시즌 더샤이가 팀에 새로 들어오고 본인에게 큰 영향을 준 이지훈이 코치로 합류하며 비약적인 폼 상승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결국에는 엔젤류 미드라는 단어의 뜻을 완전히 바꿔버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0:09:17에 나무위키 상타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식 독음 상도. 상총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지만 向은 성씨로 읽을 때는 상으로 읽어야 한다. 당장 옆의 발음도 xiang이다[2] 前 Angelo[3] 탑으로도 잠시 활동했었다.[4] 팀명 변경: SuningWeibo Gaming, 2021년 11월 22일 → Weibo Gaming FAW Audi, 2022년 6월 7일[5] 다만 포지션만 탑이지 실상은 메이플이랑 탑, 미드를 번갈아 가면서 나오고 있다.[6] 소프엠은 1세트 녹턴으로 아무것도 안하며 한 세트를 그냥 내줬고, 그나마 나머지 세트들을 분전하며 살려냈는데, 이 저점이 떠버렸고 환펑은 그냥 5세트 내내 관전롤을 선보이며 바텀을 징동에 갖다 바쳤다.[7] 그나마 V5로 간 웨이웨이가 무던한 성격이라 신인 시절엔 같이 지냈는데, 웨이웨이의 후임이 베트남의 괴인으로 유명한 SofM이다 보니... 서브인 뷰와 같이 방을 쓴다 카더라.[8] 무난히 1인분만 하고 묻어가는 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