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장기집권 (r1판)

편집일시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독재자


1. 개요
2. 집권이 종료된 독재자
2.1. 50년 이상
2.2. 40 ~ 49년
2.3. 35 ~ 39년
2.4. 30 ~ 34년
2.5. 25 ~ 29년
2.6. 20 ~ 24년
2.7. 15 ~ 19년
2.8. 10 ~ 14년
3. 집권 중인 독재자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독재자들 중에는 어지간한 보다도 오랫동안 국가를 지배한 사람들이 많다. 독재 문서 참조. 물론 그 와중에도 폴 포트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등처럼 짧고 굵게 독재하다가 끝난 사람들도 있지만, 독재자들이 장기집권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 예시 난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둔다.
    • 1900년 이후에 집권한 지도자를 추가할 것. 독재자의 정의에는 올리버 크롬웰, 최충헌 등 1900년 이전에도 포함되는 인물이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
    • 군주가 아닌 사람들을 추가할 것.
    • 독재자인지의 여부에 관해 논란이 있는 샤를 드 골, 후안 페론 등은 제외한다.

  • 10년 이상을 기본으로 하되 프랑수아 미테랑[1]이나, 앙겔라 메르켈[2], 마가렛 대처, 헬무트 콜, 타게 엘란데르, 피에르 트뤼도, 예란 페르손[3], 프랭클린 D. 루스벨트[4], 베냐민 네타냐후와 같이 합법적으로 집권하였으며[5], 헌법으로 보장된 권력분립에 의해 의회나 사법부 및 기타 기관의 견제를 받아 온 지도자는 추가하지 않는다.


  • 재임 기간이 긴 순서대로 서술되어있다.

  • 독재자/목록에서 가져온 등재 기준으로 다음의 경우는 제외한다.

독재자와 장기집권 지도자와는 구별이 필요하며 민주적/합법적 절차에 따른 장기집권은 등재하지 말 것.
군주제 국가의 군주폭군 문서에 등재할 것.


2. 집권이 종료된 독재자[편집]



2.1. 50년 이상[편집]


50년
이름국가나이출생사망집권기간집권시작집권종료종료사유
피델 카스트로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90세1926.08.13.2016.11.25.52년 61일1959.02.16.2011.04.19.사임, 은퇴


2.2. 40 ~ 49년[편집]


[[파일:1px 투명.svg
width=920&height=1]] |

40 ~ 49년
이름국가나이출생사망집권기간집권시작집권종료종료사유
장제스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87세1887.10.31.1975.04.05.46년 188일[6]1928.10.10.1975.04.05.사망
김일성[7]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82세1912.04.15.1994.07.08.45년 302일1948.09.09.1994.07.08.사망
무아마르 카다피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69세1942.06.07.2011.10.20.41년 356일1969.09.01.2011.08.23.내전피살[8]
오마르 봉고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73세1935.12.30.2009.06.08.41년 199일1967.12.02.2009.06.08.사망
엔베르 호자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
알바니아 인민공화국
76세1908.10.16.1985.04.11.40년 171일1944.10.22.1985.04.11.사망


2.3. 35 ~ 39년[편집]


[[파일:1px 투명.svg
width=920&height=1]] |

35 ~ 39년
이름국가나이출생사망집권기간집권시작집권종료종료사유
모하메드 압델아지즈[9][10]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69세1946.08.17.2016.05.31.39년 276일1976.08.30.2016.05.31.사망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82세1892.12.04.1975.11.20.39년 51일1936.10.01.1975.11.20.사망
훈 센[11]파일:캄보디아 국기.svg71세1952.08.05.(현재)38년 220일[12][13]1985.01.14.2023.08.22.사임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파일:앙골라 국기.svg79세1942.08.28.2022.07.08.38년 10일1979.09.10.2017.09.20.임기 종료, 은퇴
냐싱베 에야데마파일:토고 국기.svg69세1935.12.26.2005.02.05.37년 307일1967.04.14.2005.02.05.사망
로버트 무가베파일:짐바브웨 국기.svg95세1924.02.21.2019.09.06.37년 213일[14]1980.04.18.2017.11.21.쿠데타 후 하야
요시프 브로즈 티토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87세1892.05.07.1980.05.04.36년 157일1943.11.29.1980.05.04.사망
안토니우 살라자르파일:포르투갈 국기.svg81세1889.04.28.1970.07.27.36년 91일1932.07.05.1968.09.25.의식불명을 틈탄 실각[15]
토도르 지프코프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86세1911.09.07.1998.08.05.35년 260일1954.03.04.1989.11.10.사임


2.4. 30 ~ 34년[편집]


[[파일:1px 투명.svg
width=920&height=1]] |

30 ~ 34년
이름국가나이출생사망집권기간집권시작집권종료종료사유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파일:파라과이 국기.svg94세1912.11.03.2006.08.16.34년 181일1954.08.15.1989.02.03.쿠데타
알리 압둘라 살레[16]파일:예멘 국기.svg75세1942.03.21.2017.12.04.33년 224일1978.07.18.2012.02.27.시민혁명
펠릭스 우푸에부아니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88세1905.10.18.1993.12.07.33년 130일1960.08.07.1993.12.07.사망
욤자깅 체뎅발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svg74세1916.09.17.1991.04.20.32년 219일1952.01.26.1984.08.24.실각
다우다 자와라파일:감비아 국기.svg95세1924.05.16.2019.08.27.32년 40일1962.06.12.1994.07.22.쿠데타
카다르 야노시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77세1912.05.26.1989.07.06.31년 214일1956.10.25.1988.05.27.실각
하비브 부르기바파일:튀니지 국기.svg96세1903.08.03.2000.04.06.31년 210일1956.04.11.1987.11.07.궁정 쿠데타
모부투 세세 세코파일:자이르 국기.svg66세1930.10.14.1997.09.07.31년 181일1965.11.24.1997.05.16.내전 패배
리콴유파일:싱가포르 국기.svg91세1923.09.16.2015.03.23.31년 176일1959.06.05.1990.11.28.사임[17]
헤이스팅스 반다[18]파일:말라위 국기.svg98세1899.02.15.1997.11.25.31년 120일1963.02.01.1994.05.24.선거
수하르토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87세1921.06.08.2008.01.27.31년 78일1967.03.12.1998.05.21.시민혁명
이오시프 스탈린[19]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74세1878.12.18.1953.03.05.30년 344일1922.04.03.1953.03.05.사망
라파엘 트루히요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69세1891.10.24.1961.05.30.30년 295일1930.08.16.1961.05.30.암살
이드리스 데비 이트노파일:차드 국기.svg68세1952.06.18.2021.04.20.30년 138일1990.12.02.2021.04.20.전사
아브두 디우프파일:세네갈 국기.svg88세1935.09.07.(현재)30년 35일1970.02.26.2000.04.01.선거[20]
마우문 압둘 가윰파일:몰디브 국기.svg86세1937.12.29.(현재)30년1978.11.11.2008.11.11.선거


2.5. 25 ~ 29년[편집]


[[파일:1px 투명.svg
width=920&height=1]] |

25 ~ 29년
이름국가나이출생사망집권기간집권시작집권종료종료사유
오마르 알 바시르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80세1944.01.01.(현재)29년 285일1989.06.30.2019.04.11.시민혁명→쿠데타
하페즈 알 아사드파일:시리아 국기.svg69세1930.10.06.2000.06.10.29년 209일1970.11.21.2000.06.10.사망
호스니 무바라크파일:이집트 국기.svg91세1928.05.04.2020.02.25.29년 127일1981.10.14.2011.02.11.시민혁명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83세1940.07.06.(현재)28년 357일1990.04.24.2019.03.20.사임[21], 시민혁명[22]
블레즈 콩파오레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73세1951.02.03.(현재)27년 16일1987.10.15.2014.10.31.시민혁명
케네스 카운다파일:잠비아 국기.svg97세1924.04.28.2021.06.1727년 9일1964.10.24.1991.11.02.선거
마오쩌둥파일:중국 국기.svg82세1893.12.26.1976.09.09.26년 360일1949.09.21.1976.09.09.사망
프랑스알베르 르네파일:세이셸 국기.svg83세1935.11.16.2019.02.27.26년 322일1977.06.05.2004.04.16.사임
네 윈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92세1911.05.24.2002.12.05.26년 207일1962.03.02.1988.09.18.시민혁명→궁정 쿠데타
이슬람 카리모프[23]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78세1938.01.30.2016.09.02.26년 169일1990.03.24.2016.09.02.사망
아메드 세쿠 투레파일:기니 국기.svg62세1922.01.09.1984.03.26.25년 182일1958.10.02.1984.03.26.사망


2.6. 20 ~ 24년[편집]


[[파일:1px 투명.svg
width=920&height=1]] |

20 ~ 24년
이름국가나이출생사망집권기간집권시작집권종료종료사유
24년 이상~25년 미만
니콜라에 차우셰스쿠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71세1918.01.26.1989.12.25.24년 281일1965.03.22.1989.12.22.시민혁명 → 총살
대니얼 아랍 모이파일:케냐 국기.svg95세1924.09.02.2020.02.04.24년 136일1978.08.22.2002.12.30.사임, 은퇴
호찌민파일:베트남 국기.svg79세1890.05.19.1969.09.02.24년1945.09.02.1969.09.02.사망
23년 이상~24년 미만
사담 후세인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png69세1937.04.28.2006.12.30.23년 273일1979.07.16.2003.04.09.미국의 침공으로 실각
→ 교수형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파일:튀니지 국기.svg83세1936.09.03.2019.09.19.23년 74일1987.11.07.2011.01.14.시민혁명
22년 이상~23년 미만
줄리어스 니에레레파일:탄자니아 국기.svg77세1922.04.13.1999.10.04.22년 332일1962.12.09.1985.11.05.사임, 은퇴[24]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파일:카메룬 국기.svg65세1924.08.24.1989.11.30.22년 186일1960.01.01.1982.11.06.[25]건강악화로 인한 승계
야히아 자메파일:감비아 국기.svg58세1965.06.25.(현재)22년 183일1994.07.22.2017.01.21.선거 → 군사개입(ECOWAS)
무사 트라오레파일:말리 국기.svg87세1936.09.25.(현재)22년 132일1968.11.19.1991.03.26.쿠데타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98세1925.07.10.(현재)22년 108일1981.07.16.2003.10.31.사임[26]
21년 이상~22년 미만
핫산 굴레드 압티돈파일:지부티 국기.svg90세1916.10.15.2006.11.21.21년 315일1977.06.27.1999.05.08.임기종료, 은퇴
수카르노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69세1901.06.06.1970.07.21.21년 214일1945.08.15.1967.03.12.실각
시아드 바레파일:소말리아 국기.svg75세1919.10.06.1995.01.02.21년 102일1969.10.21.1991.01.26.내전으로 인한 축출
멜레스 제나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57세1955.05.09.2012.08.20.21년 90일1991.05.28.2012.08.20.사망
20년 이상~21년 미만
발터 울브리히트파일:동독 국기.svg80세1893.06.30.1973.08.01.20년 287일1950.07.25.1971.05.03.사임[27]
쥐베날 하뱌리마나파일:르완다 국기.svg57세1937.03.08.1994.04.0620년 275일1973.07.05.1994.04.06.암살
베니토 무솔리니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61세1883.07.29.1945.04.28.20년 272일1922.10.31.1943.07.25.전쟁 패배로 축출[28]
마위야 울드 시디아흐마드 알타야파일:모리타니 국기.svg82세1941.11.28.(현재)20년 239일1984.12.12.2005.08.03.쿠데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72세1917.09.11.1989.09.28.20년 52일1965.12.30.1986.02.15.시민혁명


2.7. 15 ~ 19년[편집]


[[파일:1px 투명.svg
width=920&height=1]] |

15 ~ 19년
이름국가나이출생사망집권기간집권시작집권종료종료사유
19년 이상~20년 미만
탄 슈웨파일:미얀마 국기.svg91세1933.02.02.(현재)19년 341일1992.04.23.2011.03.30.건강 악화로 은퇴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파일:알제리 국기.svg84세1937.03.02.2021.09.1719년 340일1999.04.27.2019.04.02.사임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파일:니카라과 국기.svg60세1896.02.01.1956.09.29.19년 276일1937.01.01.1956.09.29.암살
포브스 버넘파일:가이아나 국기.svg62세1923.02.20.1985.08.06.19년 138일1966.05.26.1985.10.06.사망
18년 이상~19년 미만
에리히 호네커파일:동독 국기.svg81세1912.08.25.1994.05.29.18년 173일1971.05.03.1989.10.18.실각
박정희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61세1917.11.14.1979.10.26.18년 115일[29]1961.07.03.1979.10.26.암살
레오니트 브레즈네프파일:소련 국기.svg75세1906.12.19.1982.11.10.18년 27일1964.10.14.1982.11.10.사망
조제프 카빌라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48세1971.06.04.(현재)18년 11일[30]2001.01.17.2019.01.24.임기종료
17년 이상~18년 미만
풀헨시오 바티스타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72세1901.01.16.1973.08.06.17년 345일[31]
(11년 47일)
(6년 298일)

1933.08.25.
1952.03.10.

1944.10.10.
1959.01.01.

선거
혁명(내전)
디디에 라치라카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84세1936.11.04.2021.03.28.17년 285일[32]1975.06.15.1993.03.27.시민혁명 → 선거
모크타르 울드 다다파일:모리타니 국기.svg78세1924.12.15.2003.10.14.17년 228일1960.11.28.1978.07.10.쿠데타
김정일[33]파일:북한 국기.svg70세1941.02.16.2011.12.17.17년 162일1994.07.08.2011.12.17.사망
16년 이상~17년 미만
아우구스토 피노체트파일:칠레 국기.svg91세1915.11.15.2006.12.10.16년 185일1973.09.11.1990.03.11.선거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파일: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 국기.svg87세1937.05.21.(현재)16년 184일1974.11.22.1991.05.21.내전 패배로 축출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66세1940.02.19.2006.12.21.16년 53일1990.11.02.2006.12.21.사망
후안 비센테 고메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78세1857.07.24.1935.12.17.16년 287일
(5년 122일)
(6년 342일)
(4년 188일)

1908.12.19.
1922.06.24.
1931.06.13.

1914.04.19.
1929.05.30.
1935.12.17.

사임
임기 종료
사망
15년 이상~16년 미만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파일:온두라스 국기(1866-1898).svg93세1876.03.05.1969.12.13.15년 338일1933.02.01.1949.01.01.선거
허를러깅 처이발상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svg56세1895.02.08.1952.01.26.15년 333일1936.03.02.1952.01.26.사망
가파르 니메이리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79세1930.01.01.2009.05.30.15년 320일1969.05.25.1985.04.06.쿠데타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66세1957.06.29.(현재)15년 39일2007.02.14.2022.03.25.퇴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파일:튀르키예 국기.svg57세1881.05.19.1938.11.10.15년 13일1923.10.29.1938.11.10.사망


2.8. 10 ~ 14년[편집]


[[파일:1px 투명.svg
width=920&height=1]] |

10 ~ 14년
이름국가나이출생사망집권기간집권시작집권종료종료사유
14년 이상~15년 미만
제툴리우 바르가스[34]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72세1882.04.19.1954.08.24.14년 364일1930.11.03.1945.10.29.쿠데타
장쩌민[35]파일:중국 국기.svg96세1926.08.17.2022.11.3014년 319일1989.11.09.2004.09.19.사임
덩샤오핑파일:중국 국기.svg92세1904.08.22.1997.02.19.14년 319일1978.03.08.1989.11.09.은퇴
장 클로드 뒤발리에파일:아이티 국기.svg63세1951.07.03.2014.10.04.14년 295일1971.04.22.1986.02.07.시민혁명
프랑수아 톰발바예(은가르타 톰발바예)파일:차드 국기.svg56세1918.06.05.1975.04.13.14년 246일1960.08.11.1975.04.13.쿠데타, 암살
아스카르 아카예프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79세1944.11.10.(현재)14년 152일1990.10.27.2005.03.24.시민혁명
안타나스 스메토나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69세1874.08.10.1944.01.09.14년 77일1926.12.19.1940.06.15.소련 침공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77세1905.02.06.1982.09.10.14년 60일1956.10.21.1970.12.20.사임, 시민혁명
우고 차베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58세1954.07.28.2013.03.05.14년 31일1999.02.02.2013.03.05.사망
13년 이상~14년 미만
알리 봉고 온딤바파일:가봉 국기.svg65세1959.02.05.(현재)13년 318일2009.10.16.2023.08.30.쿠데타
장 베델 보카사[36]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75세1921.02.22.1996.11.02.13년 265일1966.01.01.1979.09.20.쿠데타
우아리 부메디엔파일:알제리 국기.svg46세1932.08.23.1978.12.27.13년 194일1965.06.19.1978.12.27.사망
프랑수아 뒤발리에파일:아이티 국기.svg64세1907.04.14.1971.04.21.13년 184일1957.10.22.1971.04.21.사망
호르헤 우비코파일:과테말라 국기.svg67세1878.11.10.1946.06.14.13년 144일1931.02.14.1944.07.04.시민혁명→ 망명
12년 이상~13년 미만
오마르 토리호스파일:파나마 국기.svg52세1929.02.13.1981.07.31.12년 296일1968.10.11.1981.07.31.사망
아돌프 히틀러파일:나치 독일 국기.svg56세1889.04.20.1945.04.30.12년 93일1933.01.30.1945.04.30.전쟁 패배, 자살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파일:니카라과 국기.svg55세1925.12.05.1980.09.17.12년 77일1967.05.01.1979.07.17.혁명, 망명
앙드레디외도네 콜링바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73세1936.08.12.2010.02.07.12년 33일1981.09.01.1993.10.01.선거
11년 이상~12년 미만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83세1882.10.20.1966.05.15.11년 340일
(2년 268일)
(9년 72일)

1931.12.04.
1935.03.01.

1934.08.28.
1944.05.09.

대행 종료
시민혁명→망명
이승만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90세1875.05.01.1965.07.19.11년 257일1948.08.15.1960.04.26.시민혁명→망명
아우구스토 베르나르디노 레귀아파일:페루 국기.svg68세1863.02.19.1932.02.07.11년 55일1919.07.04.1930.08.25.쿠데타
니키타 흐루쇼프파일:소련 국기.svg77세1894.04.15.1971.09.11.11년 32일1953.09.14.1964.10.14.실각
그레구아르 카이반다파일:르완다 국기.svg52세1924.05.01.1976.12.15.11년 4일1962.07.01.1973.07.05.쿠데타
아흐마드 하산 알바크르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png68세1914.07.01.1982.10.04.11년 1일1968.07.17.1979.07.16.사임
10년 이상~11년 미만
안와르 사다트파일:이집트 국기.svg62세1918.12.25.1981.10.06.10년 359일1970.10.15.1981.10.06.암살
장바티스트 바가자파일:부룬디 국기.svg69세1946.08.29.2016.05.04.10년 299일1976.11.10.1987.09.03.쿠데타
프란시스코 마시아스 응게마파일:적도 기니 국기.svg55세1924.01.01.1979.09.29.10년 295일1968.10.12.1979.08.03.쿠데타→처형
레오니드 쿠치마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85세1938.08.09.(현재)10년 191일1994.07.19.2005.01.23.선거→시민혁명
새뮤얼 케니언 도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39세1951.05.06.1990.09.09.10년 152일1980.04.12.1990.09.09.내전 중 암살
헤이다르 알리예프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80세1923.05.10.2003.12.12.10년 130일1993.06.23.2003.10.31.사망[37]
알베르토 후지모리파일:페루 국기.svg85세1938.07.28.(현재)10년 120일1990.07.28.2000.11.22.축출, 망명
로랑 그바그보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79세1945.05.31.(현재)10년 107일2000.12.26.2011.04.11.선거→내전→축출
오스왈도 로페즈 아레야노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88세1921.06.30.2010.05.16.10년 23일
(7년 249일)
(2년 139일)

1963.10.03.
1972.12.04.

1971.06.07.
1975.04.22.

선거
쿠데타


3. 집권 중인 독재자[편집]


현재도 집권중인 장기집권 독재자
이름국가집권기간집권시작연령출생
40년 이상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38]파일:적도 기니 국기.svg44년1979.08.03.81세1942.06.05.
폴 비야[39]파일:카메룬 국기.svg41년[40]1982.11.06.91세1933.02.13.
30년 이상 ~ 40년 미만
드니 사수 응게소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40년1979.02.08.[41]80세1943.11.23.
요웨리 무세베니파일:우간다 국기.svg38년1986.01.26.79세1944.09.15.
알리 하메네이[42]파일:이란 국기.svg34년[43]1989.06.0485세1939.04.19.
에모말리 라흐몬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31년1992.11.20.71세1952.10.05.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31년1993.05.24.78세1946.02.02.
20년 이상 ~ 30년 미만
알렉산드르 루카셴코파일:벨라루스 국기.svg29년1994.07.20.69세1954.08.30.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파일:지부티 국기.svg25년1999.05.08.77세1946.11.27.
블라디미르 푸틴파일:러시아 국기.svg24년[44]1999.12.31.71세1952.10.07.
폴 카가메파일:르완다 국기.svg24년2000.04.22.66세1957.10.23.
바샤르 알아사드파일:시리아 국기.svg23년2000.07.1758세1965.09.11.
다니엘 오르테가파일:니카라과 국기.svg22년1985.01.10.[45]78세1945.11.11.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파일:튀르키예 국기.svg21년2003.03.14.70세1954.02.26.
10년 이상 ~ 20년 미만
일함 알리예프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20년2003.10.31.62세1961.12.24.
셰이크 하시나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20년1996.06.23[46]76세1947.09.28.
리셴룽파일:싱가포르 국기.svg19년2004.08.12.72세1952.02.10.
마흐무드 압바스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19년2005.01.15.88세1935.11.15.
포르 냐싱베파일:토고 국기.svg19년2005.05.04.57세1966.06.06.
오르반 빅토르파일:헝가리 국기.svg17년[47]1998.07.06.[48]61세1963.05.31.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파일:남수단 국기.svg12년2011.07.09.72세1951.09.13.
김정은파일:북한 국기.svg12년2011.12.17.40세1984.01.08.
시진핑파일:중국 국기.svg11년[49]2012.11.15.70세1953.06.15.
니콜라스 마두로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11년2013.03.05.61세1962.11.23.


4. 관련 문서[편집]





  • 체키[50]
[1] 당시 프랑스 헌법상 대통령 임기는 7년이었고, 1회 연임이 가능했기 때문에 14년이나 집권할 수 있었다.[2] 선거에서 계속 이기진 못했지만 연정을 통해서 다른 정파의 의견도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3] 이들은 의원내각제의 특성상 계속해서 선거에 이겼기 때문에 장기 집권이 가능했다.[4]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이 3선을 지내지 않은 것이 관례화 되어 후임자들 또한 모두 단임 혹은 재선만을 하는 암묵적인 규칙이 있었으나, 당시 미국 헌법에 명문화 되어있지는 않았다. 루스벨트는 대공황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역사적 위기 상황 속에서 종래의 관습을 깨고 4연임을 하였다. 미국 헌법에 3회 이상 중임을 제한하는 수정 제22조가 신설된 것은 루스벨트 사후인 1951년의 일이다.[5] 히틀러도 국민들의 지지로 합법적으로() 당선되었지만 수권법 통과, 언론탄압, 전쟁범죄, 장기집권 등을 했기 때문에 당연히 독재자다.[6] 대륙 국민정부 시절 + 국부천대 이후 시절 합계[7] 김일성의 독재기간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1948년 9월 9일은 북한의 공화국창건일로 이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을 선포하고 내각 수상에 취임한 것은 맞지만, 소련민정청에 의해서 북조선임시인민위원장에 취임한 것은 1946년 2월 16일로 이때부터 계산하면 기간이 48년 4개월 22일로 늘어날 수 있다.(다만 장제스는 48년 5개월 26일간 집권했기에 이렇게 계산해도 장제스에게 겨우 1개월 4일 차이로 밀린다.) 실제로 이 1946년에 김일성 개인을 찬양하는 김일성 장군의 노래가 발표됐다. 하지만 소군정 시기에는 사실상 그냥 소련의 지시를 수행하는 바지사장이었고, 공화국 선포 뒤에도 한국전쟁 이후시기까지는 의외로 조선로동당내의 여러 파벌들의 견제에 시달렸다. 김일성이 반대파들을 대거 숙청하고 본격적인 독재권력을 움겨쥔 건 1956년 8월 종파 사건부터이며, 지금 우리가 아는 신적인 위치가 된건 당의 유일적 령도체계확립의 10대 원칙를 확립한 1970년대 이후이다. 끝을 잡기도 애매한게 70년대 말부터 실권이 김정일에게 점점 넘어가면서 90년대에는 국가원수로서 외교적 권력만이 거의 전부였다. 김일성 암살설 참고.[8] 다만 카다피가 사망했던 시기는 2011년 10월이다.[9] 서사하라가 미승인국이고 국토 대부분을 모로코가 점령하고 있는 연유로 실제 서사하라 국토의 극히 일부에 대해서만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압델아지즈 대통령 본인도 알제리 틴두프에 거주하고 있었다.[10] 다만 이쪽은 독립운동가에 가깝다.[11] 명목상 입헌군주국인 캄보디아 왕국에서 총리로서 독재자로 집권했다. 공화국이 민주주의를 보장해주지 않는 것처럼 입헌군주제가 민주주의를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과거의 사례로는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일본제국, 루마니아의 이온 안토네스쿠가 있으며 현재는 군부 독재가 이어지는 태국이 있다.[12] 현역 아시아의 독재자들 중 가장 오래 집권했다. 다만 카메룬의 폴 비야와 비슷하게 총리직에 처음 오를 당시에는 캄푸치아 인민혁명당 주석 헹 삼린보다 권력이 약해서 2인자에 불과했고, 훈 센이 확실하게 독재자라 부를만한 권력을 확보한 건 헹 삼린이 퇴진한 1991년 이후부터다. 물론 이를 고려해도 현역 아시아의 독재자 중에서는 알리 하메네이에 이어 2번째로 오래 집권한 거다.[13] 2023년 7월 26일, 동년 8월 22일에 총리직을 사임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정권은 아들 훈 마넷한테 이양했다.[14] 총리(1980~1987), 대통령(1987~2017) 재임기간 합계. 총리 시절에는 카난 바나나바지사장삼아 전횡을 일삼았다.[15] 이후 의식을 되찾았으나 모든 권력을 상실한 상태였고, 측근들은 그가 진실을 아는 것을 막기 위해 연극을 했다.[16] 북예멘 시기 포함.[17] 사임 후부터 2011년까지 선임장관, 고문장관의 이름으로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여 근 52년간 독재했다고 보기도 한다.[18] 참고로 퇴임 당시 나이가 무려 96세였는데, 이게 얼마나 대단한 기록이냐면 엘리자베스 2세 사망한 나이가 반다가 퇴임한 나이와 동갑이었다. 심지어 반다는 그 나이에 다시 대선에 나오는 노익장(?)을 과시했으나, 재선에는 실패했다.[19] 이 사람도 조금 애매한 케이스다. 서기장직을 이만큼 해온 것은 맞지만 1924년까지는 블라디미르 레닌이 살아 있었고, 사실상 권력의 정점에 서는 것은 1929년, 확실하게 적이 없어진 것은 1930년대, 특히 대숙청 이후인 후반기쯤이기 때문. 이렇게 따지면 25년 이하로 줄어든다.[20] 1980년까지는 총리였다.[21] 그러나 퇴임 후에도 사실상 권력의 실세라는 평을 받고 있다[22] 그러다가 결국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로 인해 모든 공직에서 물러났다.[23] 소련 우즈베크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재임 기간 포함시 1989년 6월 23일부터 24년.[24] 통합 이전의 탕가니카 대통령 포함. 대통령 이전에 약 9개월간 탕가니카 총리도 재임했다. [25] 이 기록은 최고지도자 기준이고 대통령 집권으로 따지면 1961.10.01부터 시작이다.[26]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에서 승리하여 갱신되나...싶었지만 하지만 나이가 90이 넘은 초로인지라 오래는 못 해먹을 처지였고, 설상가상으로 2기 집권기의 무능함으로 인기가 떨어졌다. 참고로 자신이 직접 정권을 교체해 버렸다(...) 1기 집권기 때는 리콴유와 비슷한 유형의 개발독재자라는 평이지만 2기 집권기 때는 야당과 손을 잡아서인지 이보다는 많이 유해졌다는 평이기는하다.[27] 고령과 건강상의 이유로 공산당 제1서기장에서 1971년 5월 사임했으며, 사임 후에도 국가원수격인 국가평의회 의장직은 1973년 사망할 때까지 유지했다.[28] 살로 공화국까지 치면 1945년 4월 25일까지로 22년 177일.[29] 집권기간을 대통령 재임기간으로 한정하면 15년 312일.쿠데타를 일으키기전 군부의 실권을 잡은 건 1960년이고 사실상 본격적으로 권력을 장악한 건 알다시피 1961년이다.[30] 2001년 1월 17일 전임 대통령이던 아버지가 경호원에게 총격당해 권한대행을 맡았고 결국 1월 18일에 아버지가 사망하자 사후 8일 후 1월 26일에 정식적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31] 초기 집권기간을 대통령 재임기간으로 한정하면 10년 298일.[32] 이후 선거로 1997-2001년 재집권한 바 있다.[33] 집권을 시작한 1994년 7월 8일은 김일성의 사망일이지만, 집권 이전인 김일성 말년에도 고령의 김일성 대신 김정일이 길게는 몇십년간 사실상 실권을 거의 행사했다. 군권은 1991년 12월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직을 김일성으로부터 물려받으며 장악했다. 사실상 이때부터가 실질적 집권인 셈.[34] 1945년 쿠데타로 물러난 후 1951년~1954년 재집권한 바 있으나, 이는 헌법에 의한 선거로 집권했던 것이므로 독재 성격에는 논란이 있으나 일단 제외. 1954년에 대통령 재직 중 자살.[35] 집권을 종료한 2004년 9월 19일은 군통수권을 가진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에서 퇴임한 날이다. 국가주석과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2002년 가을에 후진타오에게 넘겨줬지만, 중군위 주석 자리는 2004년까지도 움켜쥐고 있었다.[36] 1976~1979년까지는 중앙아프리카 제국황제.[37] 사망하면서 아들 일함 앨리예프가 자리를 물려받았으며, 2013년 선거에서도 부정선거의 힘으로 87% 득표율로 당선됨으로써 이 리스트에 올라가게 되었다.[38] 현역 최장기 집권 독재자다.[39] 현역 최고령 독재자다.[40] 총리로서의 집권 기간을 포함할 경우 48년이지만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초대 대통령이 1982년까지는 집권을 하고 있었기에 대통령으로서의 재임 기간만 따지면 1982년 11월 6일부터 41년.[41] 1992년 8월 31일 선거에서 패배하면서 물러났으나, 내전을 일으켜서 1997년 10월 25일 다시 집권하였다.[42] 이란의 최고 종교 지도자(라흐바르)라는 이맘의 이름을 달고 있으나 실제로는 최고지도자 밑으로 3권분립이 되어있다는걸 감안해보면 이란의 최고 통치자는 이 사람이다.[43] 이란의 대통령은 실권이 전혀없는 정부수반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란 대통령으로서의 재임 기간도 포함하면 1981년 10월 13일부터 42년.[44]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가 대통령으로 있었지만 3선 연임만 안된다는 당시 러시아 헌법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평가가 지배적이고 저 기간에도 실권은 총리였던 푸틴이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2012년에 푸틴은 다시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2018년 대선에서 또 당선되어 집권하였다. 그러므로 총 24년 동안 러시아를 통치한 것이 된다.[45] 1990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낙선했고, 2006년 대통령 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었다.[46] 2001년 총선에서 패배해 물러났다가 2009년 1월 6일에 재집권에 성공했다.[47]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총리를 했다가 다시 2010년부터 집권하고 있다. [48] 2010년 5월 29일부터 2기로 집권하고 있으며, 이때부터 독재자의 길을 걷고 있다.[49] 2022년 10월 22일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 폐막에서 시진핑의 3연임이 확정되었다. 이로써 시진핑은 후진타오 시대까지 유지되었던 2연임 초과 금지 원칙을 깨고 사실상 영구집권의 길을 걷게 되었으며 스스로의 위상을 공식적으로 마오쩌둥, 덩샤오핑과 동일한 반열에 올렸다.[50] 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