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mm초대형방사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2022년 12월에 제식명칭이 공개된 궤도형 600mm 방사포를 다룹니다. 트럭형 초대형 방사포에 대한 내용은 KN-25 문서
KN-25번 문단을
KN-25#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북한이 생산한 미사일 및 어뢰 종류
[ 펼치기 · 접기 ]
단거리
KN-02/화성-11(160km, 220km) · KN-09/KN-16(180km, 200km) · 화성-11나(450km) · 조종방사포/KN-25(250km, 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화성-5·6(340km, 700km) · KN-23(600km, 8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1,300km) · 극초음속 2형(2,000km)
중거리
화성-8(극초음속, 3,200km)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광명성 3호(2012년 4월, 12월) · 광명성 4호(2016)
SLBM
KN-23 개량 SLBM(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2,500km) · 북극성-4 · 북극성-5
지대공
KN-06 (S-300, HQ-9 기반), KN-07 (S-400, HQ-9 기반)
함대함
KN-01 (실크웜 기반) · 금성 3호 (KH-35 기반)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 (지대함 버젼)
어뢰
CHT-02D · PT-97W
미분류
불새-2/3 (9M111 Fagot 기반), 신형 대전차 미사일, KN-12/KN-13
파일:2019 국방백서 북한 미사일.png








600㎜초대형방사포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다연장로켓의 한 종류


파일:600mm초대형방사포증정식.jpg

600㎜초대형방사포 증정식
북한 명칭
600㎜초대형방사포
영문명
600㎜ Super-large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국방백서 표기
19-2 SRBM, 19-3 SRBM
→초대형 방사포[1]
KN 코드
미상[2]
최대사거리
400km
1. 개요
2. 혼선
3. 경과
3.1. 2019년 7월 31일, 1차 시험 사격
3.2. 2019년 8월 2일, 2차 시험 사격
3.3. 2020년 3월 29일, 3차 시험 사격
3.4. 2020년 당시의 평가
3.5. 2022년 11월 5일, 4차 시험 사격
3.6. 600㎜초대형방사포 증정식
4. 특징



1. 개요[편집]


북한이 개발한 신형 방사포 중 하나. 북한의 의도적인 기만 전술로 명칭과 제원 파악에 혼란이 있었다. 2022년 12월에 제식 명칭이 공개되었다. 문화어 표기상 하나의 의미 단위라는 견지에서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다. 또한 소문자 두 개를 쓴 'mm'이 아니라 '㎜'을 공식 표기로 채택하고 있으며 고유 명사로 이 무기를 부르지 않는 모양인지 겹화살괄호(인용표)도 치지 않는다.[3]


2. 혼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신형 방사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본 개체와 KN-25을 두고 벌어진 여러 혼선이다.


3. 경과[편집]



3.1. 2019년 7월 31일, 1차 시험 사격[편집]



파일:신형 방사포-1.jpg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 1차 시험 사격 장면
19-2 SRBM 시험 발사

파일: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1차 시험 사격 당시 김정은.png

시험 사격을 기다리는 김정은

2019년 7월 31일 새벽 강원도 원산시 갈마반도 일대에서 미상 발사체 수발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미사일이 30km 저고도로 비행해서 약 250㎞를 비행했다고 발표했으며, 25일 미사일 도발에 이용한 KN-23과 유사한 탄도 미사일로 추정했다. 합참을 이를 '19-2 SRBM'로 명명했다. 하지만 다음 날 조중TV에서 대구경 조종방사포 시험 '사격'이라며 공개한 것은 방사포에 가까운 무기였다. 탄착지점은 알섬. #조중TV full 영상을 볼 수 있는 국내 보도 한편 발사장소가 원산시 갈마반도라는 보도도 있다. # 갈마반도와 호도반도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국이라 위치상으로는 인근이다.


파일: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1차 시험 사격 TEL 사진 보정.jpg

보정 전 원본 사진
가우시안 흐림 효과 보정 후

파일:KN-19의 모습.png

KN-19 TEL
포토샵을 통해 모자이크된 이미지에 흐림 효과를 적용하면, KN-19와 유사한 형태의 궤도형 TEL 형상이 나타난다. 북한이 정말 저 TEL을 이용했는데, 조악한 프로토타입이었기에 공개를 꺼린 것인지 아니면 다른 TEL을 사용해 발사해놓고 거짓 발표를 한 것인지는 알 도리가 없다. 다만 일반 언론에 공개되지 않았을 한미측 정보자산(위성사진 등)이 있었다면 합참의 판단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발사 장면 당시 모니터를 확대해 보면 발사 위치가 원산시 부근임을 확인할 수 있다.

3.2. 2019년 8월 2일, 2차 시험 사격[편집]


그리고 8월 2일 새벽 5시경 함경남도 금야군[4] 일대에서 미상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했는데, 북한이 쏜 발사체를 두고 한미 군 당국은 신속하게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라고 발표했다. 합참은 이를 '19-3 SRBM'으로 명명했다. 바로 직전의 7월 31자 발사와도 구분한 것.

그런데 북한은 8월 3일 신형 방사포라며 사진을 전격 공개했다. 사진에 모자이크 처리를 한 것이 특징이다.


파일: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2 - 2019-08-03.jpg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 1차 시험 발사
19-3 SRBM 시험 발사

그런데 이에 대해 '19-3 SRBM'은 사진상으로만 공개한 이 대구경 조종 방사포를 위한 코드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북한 무기도 헷갈리는데 합참도 정보를 감추고 있는 것.

우리 군이 이 발사체들을 탄도 미사일이라고 보았던 이유는 풀-업(pull-up)기동과 발사체의 최고 속도가 마하 6.9 이었기때문인데 막상 공개된 사진에서는 방사포가 등장해 합참이 완전 잘못 판단한 것이 아니냐는 언론의 비판도 있었다.# 하지만 우리 당국은 7월 31일과 8월 2일의 발사가 SRBM 발사라는 평가를 굽히지 않고 있다. 당시 발사한 게 아니며 사진은 기만 전술이라는 것이 요지이다. # 그래서 그런지 KN-25와 다르게 KN 코드가 부여되지 않고 있다.


3.3. 2020년 3월 29일, 3차 시험 사격[편집]



파일: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3차 시험 사격.jpg

'초대형 방사포' 시험 발사
대구경 조종방사포 1차 시험 발사

2020년 3월 29일 6시 10분 경, 원산 부근에서 또다시 시험 발사에 나섰다. 그런데 3월 30일 로동신문에서 이 무기를 '초대형 방사포'라고 호칭했다. 초대형 방사포는 2X2 트럭형 TEL에서 발사하던 KN-25를 지칭하던 표현이었기 때문에 혼란이 발생했다. 이후 선전용 사진첩에서도 KN-25의 시험발사들과 묶어서 표시해 두었다. #

합참은 분석 결과 2019년 7월 31일과 2019년 8월 2일의 발사 궤적과 2020년 3월 29일 발사 궤적이 달랐다고 주장했다. 즉, 합참의 입장에서 6연장 형태의 이 무기는 2020년 3월 29일 첫 발사가 된 것이다. # 또한 이 무기와 KN-25도 달랐다고 주장했다.

독일인 마커스 실러는 이 사진이 조작이라고 주장했으며, KN-25의 TEL만 다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 로켓 전문 기고 활동을 하는 미국의 제프리 루이스도 사진이 수상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 잘 보면 방사포탄의 구경과, TEL의 구경 크기가 원근법상 다소 이상하다. 하지만 무장장비전시회-2023 오프닝 영상에서 이미지가 아닌 다른 각도의 발사 영상을 공개하므로써 조작설은 힘을 잃게 되었다.


3.4. 2020년 당시의 평가[편집]


날짜
합참 주장
북한 주장
2019.7.31
19-2 SRBM 발사
대구경 조종 방사포 1차 시험 발사
2019.8.2
19-3 SRBM 발사
대구경 조종 방사포 2차 시험 발사
2020.3.29
대구경 조종 방사포 1차 시험 발사
이는 KN-25와는 다른 무기
초대형 방사포 시험 발사

  • 합참 평가: 7.31≠8.2≠3.29
  • 북한 발표: 7.31=8.2=3.29=KN-25


3.5. 2022년 11월 5일, 4차 시험 사격[편집]



파일:2022년 11월 4일 북한 미사일 도발.jpg

'초대형 방사포탄' 시험 발사(아래)
3차 시험 사격이 있은 후 1년 반 정도 지나서야 4차 시험 사격을 했다. 그 사이의 초대형 방사포 사격은 모두 타트라 트럭 TEL에서 진행했다. 그리고선 '초대형방사포탄'을 쐈다고 표현했다.


3.6. 600㎜초대형방사포 증정식[편집]




증정식 영상
2022년 12월 31일, 당중앙에 '증정'을 한다고 증정식을 열었다. 증정의 사전적 의미처럼 김정은에게 바친다는 뜻이다.


4. 특징[편집]


신형 방사포의 특징은 2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방사포임에도 불구하고 풀-업(pull-up) 기동을 한다는 것이다.
풀-업 기동은 상승-하강-재상승-최종하강의 비행 패턴을 보이는 것인데 북한판 이스칸다르로도 불리는 KN-23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하지만 이런 방사포중국에서 이미 개발되었는데, 사천항공우주산업공사 SCAIC(The Sichuan Aerospace Industry Corporation)의 A-300이라는 방사포로 비행방식은 이스칸다르 미사일과 똑같고 속도는 미사일보다 좀 느리다. 북한이 A-300 기술을 카피해서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를 개발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구경은 북한 당국이 시험 발사 때에는 사진에 모자이크를 해서 정확한 발사관 형상을 알 수 없어 추정이 제한 되었다. 최대한 추정하기로는 300mm KN-09 방사포와 대구경조종방사포의 사진을 같은 비율로 비교해봤을때 대구경조종방사포가 확연히 두껍고 길어 보여서 400mm로 추정하였다. 이후 2020년 10월 10일 열병식에서 공개된 바로는 구경은 그대로 400mm로 추정하는 의견과 KN-25와 같은 600mm라 추정하는 의견으로 양분되어 있었다. 하지만 발사관만큼은 6개로 관측된다. 이후 600mm로 밝혀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05:50:34에 나무위키 600mm초대형방사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KN-25와 구분하지 않았다.[2] 언론에서는 이 무기도 KN-25로 호칭하는 편이다.[3] 주체107년식 155mm 자행형곡사포처럼 미사일이 아닌 포병 무기에는 고유명칭을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4] 이전 발사 지점과 같은 지점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