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군 극초음속 미사일 2형

최근 편집일시 :

북한이 생산한 미사일 및 어뢰 종류
[ 펼치기 · 접기 ]
단거리
KN-02/화성-11(160km, 220km) · KN-09/KN-16(180km, 200km) · 화성-11나(450km) · 조종방사포/KN-25(250km, 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화성-5·6(340km, 700km) · KN-23(600km, 8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1,300km) · 극초음속 2형(2,000km)
중거리
화성-8(극초음속, 3,200km)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광명성 3호(2012년 4월, 12월) · 광명성 4호(2016)
SLBM
KN-23 개량 SLBM(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2,500km) · 북극성-4 · 북극성-5
지대공
KN-06 (S-300, HQ-9 기반), KN-07 (S-400, HQ-9 기반)
함대함
KN-01 (실크웜 기반) · 금성 3호 (KH-35 기반)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 (지대함 버젼)
어뢰
CHT-02D · PT-97W
미분류
불새-2/3 (9M111 Fagot 기반), 신형 대전차 미사일, KN-12/KN-13
파일:2019 국방백서 북한 미사일.png





1. 개요[편집]


2022년 1월 5일 북한이 시험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로써 화성-8에 이은 두번째 극초음속 탄도 미사일 모델이면서 본 문서의 표제어는 가칭으로,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원이 제안한 것이다.


2. 시험발사[편집]



2.1. 1차 시험 발사 공개[편집]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관영매체에서 국방과학원이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하였다고 보도하면서 이날 시험발사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하지 않았으며 북한은 지난해 9월 28일 자강도 용림군 도양리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인 화성-8형을 처음 발사하였다.
북한 매체에 따르면 미사일은 발사 후 극초음속 활공체가 분리되면서 초기 발사 방위각으로부터 목표 방위각에로 120km를 측면 기동하면서 700km 떨어진 표적을 정확히 명중하였다.
2021년 9월에는 화성-8형의 속도는 마하 3 정도였으며 또 사거리가 200여km로써 2차 발사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의 속도를 높이고 사거리를 증가시킨 것으로 북한 매체의 사진을 1차 발사 때와 비교한 결과 활공체의 날개폭과 길이가 기존 2.9 대 1에서 3.1 대 1 정도로 더 길쭉해진 모습이다.중앙일보 기사


2.2. 2차 시험 발사 공개[편집]


1월 11일 발사 뒤에는 최대속도 마하 10, 고도 60km, 비행거리 700km 이상이라고 밝혔으며 후자에서 700km 이상은 700km만 발사되었다는 뜻이 아니라 700km까지만 탐지할 수가 있었다는 의미였다.
장영근 교수는 3차 발사 상승단계에서 탐지한 최대속도 마하 10과 비행거리 1,000km를 고려할 때에 3차 발사에서는 부스터 추진제를 충분히 탑재해서 출력과 가속력을 극대화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풀업 기동을 통해서 40km 안팎까지 다시 상승했다고 추정하게 되었다.
선회기동을 하기에 해군 이지스함에서 더 멀어져 탐지가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었다고 설명하면서 이 미사일이 한국 국방부 주장처럼 기동형 전방체 또는 기동탄두 재진입체라고 번역되는 MaRV에 가까운지 아니면 북한 주장처럼 HGV에 가까운지 논란이 있었던 점에 대해 후자에 가깝다고 추정하였다.
마하 5를 초과하는 극초음속 무기로 인정받으려면 단순히 탄도미사일 상승단계에서 마하 5를 넘는 정도로는 안되면서 그 정도 속도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에서도 흔히 나오기 때문에 극초음속 무기가 가진 진짜 의미는 지속적으로 극초음속을 유지하면서 여러 번 변칙기동을 하는 데에 있다.
MaRV는 탄착 때까지 극초음속을 유지할 필요까지는 없지만 대신 표적을 향해 낙하하는 종말단계에서 탄두 자체가 기동하게 되면서 일정 부분동안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능력으로 존재하면서 하지만 둘이 워낙 비슷한 탓에 전문가들도 정확한 구분이나 정의가 없다고 설명하기는 하고 있다.
장영근 교수는 상승단계에서 부스터와 HGV 분리 전에 마하 10과 그리고 정점고도를 지나 활공비행 초입 단계에서 마하 9 정도 속도를 보유하였다면 변칙기동을 통해서 활공속도와 사거리를 어느 정도 희생하더라도 종말단계 활공비행 동안에는 극초음속에 가까운 속도를 유지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하게 되었다.
한국군이 발표한 바와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HGV가 아니고 MaRV를 장비한 통상적인 탄도미사일이고 국내 미사일방어체계로 충분히 요격이 가능하다면 전 구간에서 상세한 비행궤적특성과 데이터를 탐지, 추적, 식별해 공개해야만이 발표를 신뢰가 가능하다면서 실질적으로 요격하려면 이러한 비행궤적예측을 실시간에 준하는 수준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덧붙이고 있다.노컷뉴스 기사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연합뉴스에 송부한 북한 극초음속 활공비행체 시험발사분석 제목의 자료에서 북한이 원뿔 형상을 가진 비행체로 극초음속 활공비행체의 형상 설계를 시험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이다고 밝혔다.
앞서 1월 7일에 한국군은 북한이 5일 발사한 미사일의 원뿔형 모양(형상)과 속도 등을 근거로 극초음속 미사일이 아닌 기동형 재진입체를 탑재한 일반적 탄도미사일 범주라고 언급하게 되었다.
이에 장영근 교수는 한국군은 원뿔 형상의 활공비행체의 경우 하단의 날개만으로는 양항비가 작기 때문에 활공이 불가능하다고 하지만 시뮬레이션 결과 최대 2.0 정도의 양항비를 생성하기 때문에 충분히 활공은 가능하다고 언급하였다.
특히 미국 육군이 개발 중인 LRHW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도 90도 간격으로 4개의 꼬리날개를 가진 원뿔 형상이라고 밝히며 장영근 교수는 국방부가 과장되었다고 발표한 북한의 측면기동 120km 주장에 대해서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주장하게 되었다.연합뉴스 기사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이 1월 11일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참관하면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에서 연속 성공하였다고 언급하고 있다.
통신은 발사하는 미사일에서 분리한 극초음속 활공비행탄두는 거리 600km계선에서부터 활공재도약하며 초기발사방위각으로부터 목표점 방위각에로 240km 강한선회기동을 수행해 1,000km 수역의 설정표적을 명중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발사한 후에 600km 지점에서 약 7m 길이의 활공비행체가 분리해 활강하면서 240km 가량을 선회기동하면서 선회기동은 요격미사일을 회피하는 활강기동을 의미하고 있다.
이어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시험발사를 최종시험발사'라고 표현하고 시험발사는 개발된 극초음속무기체계의 전반적인 기술적 특성들을 최종적으로 확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면서 극초음속활공비행탄두의 뛰어난 기동능력이 더욱 뚜렷이 확증하였다고 보도하고 있다.연합뉴스 기사


3. 평가[편집]



3.1. 기술적 진전 추정 평가[편집]


현재 극초음속 미사일 2형의 속도가 비슷한 사례는 Haj Qasem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과 비슷한 최대 속도와 타격 속도를 자랑하고 있으며 Haj Qasem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최대 속도가 마하 12이며 타격 속도는 마하 5로써 거의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2형과 비슷한 최대 속도를 자랑하며 공동기술협력이 의심될만한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만큼 산업용 로봇 제조 기술이나 반도체 제조 기술 등 상당부분을 협력하거나 PESA 레이더와 AESA 레이더도 이미 개발이 완료되거나 개발하는 중으로 예상이 가능하면서 상당히 경계해야 한다.
특히 Haj Qasem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고체연료를 활용한 탄도 미사일이면서 북한에 기술이전할 가능성도 얼마든지 농후하고 다만 극초음속 미사일 2형에서 액체로켓엔진을 사용한 것을 생각하면서 차후에 고체로켓부스터로 변경할 가능성 역시 존재하고 있다.출처


4. 결론[편집]


결론적으로 극초음속 미사일이 아니니 뭐니를 따져도 어쨌든 회피기동을 한다는거 자체가 한국형 미사일 방어 체계에 엄청난 압박을 주는게 사실이면서 특히 현재 대한민국 국군이 보유한 대공 무기로는 요격이 제한적이다.
아니, 탄도탄을 완벽하게 요격할 수가 있는 시스템은 지구상에도 존재하지 않으며 이지스시스템은 물론 미국의 MD 시스템 역시 마찬가지이면서 전시 고속 탄도미사일을 회피할 수가 있는 방법은 THAAD, M-SAM, SM-3 또는 L-SAM을 이용해서 요격하거나 TEL을 미리 파괴하는 것 뿐이다.
참고로 마하 10의 속도일 경우에 단 1분 안에 서울이 타격 당하게 되면서 또한 최남단인 부산과 제주도도 각각 2분 내에 타격할 수가 있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1]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2:57:30에 나무위키 조선인민군 극초음속 미사일 2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북한과 이란이 공동개발을 하면서 북한은 극초음속 미사일 2형을 이란은 Haj Qasem을 개발하였다면 이스라엘은 이란한테 우리나라는 북한한테 쩔쩔매면서 상당한 부담감을 작용하는 것으로 상당부분 경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