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hange Is Gonna Come

덤프버전 :

Sam Cooke의 싱글
"That's Where It's At"
(1964)
Shake /
A Change Is Gonna Come
(1964)
"It's Got the Whole World Shakin' "
(1965)

A Change Is Gonna Come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그래미 명예의 전당 헌액작
파일:Grammy.svg
'''

[ 펼치기 · 접기 ]
작품명@작품명@
종류@종류@
아티스트@아티스트@
헌액 연도2000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000,#fff 12위
2010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000,#fff 2010년 12위 2021년 3위
}}}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등재 노래
[ 펼치기 · 접기 ]
2002년 등재
엔리코 카루소, 오페라 <팔리아치> 중 "Vesti la giubba" (1907)
오리지널 딕시랜드 재즈 밴드, "Tiger Rag" (1918)
베시 스미스, "Down Hearted Blues" (1923)
조지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1924)
케이트 스미스, "God Bless America" (1938년 11월 11일)
빌리 홀리데이, "Strange Fruit" (1939)
빙 크로스비, "White Christmas" (1942)
우디 거스리, "This Land is Your Land" (1944)
찰리 파커, 마일스 데이비스, 디지 길레스피 등, "Ko Ko" (1945)
레스 폴, 메리 포드, "How High the Moon" (1951)
레이 찰스, "What'd I Say" (1959)
아레사 프랭클린, "Respect" (1967)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The Message" (1982)
2003년 등재
레드 벨리, "Goodnight, Irene" (1933)
척 베리, "Roll Over Beethoven" (1956)
오티스 레딩, "I've Been Loving You Too Long (To Stop Now)" (1965)
2004년 등재
마 레이니, "See See Rider Blues" (1924)
프레드 아스테어, 아델 아스테어, 조지 거슈윈, "Fasinating Rhythm" (1926)
지미 로저스, "Blue Yodel No.1 (T for Texas)" (1927)
글렌 밀러 오케스트라, "In the Mood" (1939)
디지 길레스피 빅 밴드, 차노 포소, "Manteca" (1947)
행크 윌리엄스, "Lovesick Blues" (1949)
머디 워터스, "I'm Your Hoochie Coochie Man" (1954)
2005년 등재
노라 베이스, "Over There" (1917)
카운트 베이시, "One O'Clock Jump" (1937)
냇 킹 콜, "Straighten Up and Fly Right" (1943)
패츠 도미노, "Blueberry Hill" (1956)
버디 홀리 앤 더 크리켓츠, "That'll Be the Day" (1957)
제리 리 루이스, "Whole Lotta Shakin' Goin' On" (1957)
마사 앤 더 반델라스, "Dancing in the Street" (1964)
에드윈 호킨스 싱어즈, "Oh Happy Day" (1967)
질스콧 헤론,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1970)
2006년 등재
칼 퍼킨스, "Blue Suede Shoes" (1955)
로네츠, "Be My Baby” (1963)
샘 쿡, "A Change Is Gonna Come” (1964)
롤링 스톤즈, "(I Can't Get No) Satisfaction” (1965)
2007년 등재
로사 폰셀, 오페라 <노르마>(빈첸조 벨리니) 중 "Casta Diva" (1928년 12월 31일, 1929년 1월 30일)
아트 테이텀, "Sweet Lorraine" (1940)
로이 오비슨, "Oh, Pretty Woman" (1964)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The Tracks of My Tears" (1965)
2008년 등재
앤드루스 시스터즈, "Bei Mir Bist Du Schoen" (1938)
존 리 후커, "Boogie Chillen'" (1948)
에타 제임스, "At Last" (1961)
조지 존스, "He Stopped Loving Her Today" (1980)
2009년 등재
클리프 에드워즈, "When You Wish Upon a Star" (1940)
리틀 리처드, "Tutti Frutti" (1955)
하울링 울프, "Smokestack Lightning" (1956)
맥스 매튜스 등, "Daisy Bell (Bicycle Built for Two)” (1961)
로레타 린, "Coal Miner's Daughter" (1970)
R.E.M., "Radio Free Europe" (1981)
투팍 샤커, "Dear Mama" (1995)
2010년대 등재 노래
[ 펼치기 · 접기 ]
2010년 등재
에드워드 미커, "Take Me Out to the Ball Game" (1908)
Sons of the Pioneers, "Tumbling Tumbleweeds" (1934)
태미 와이넷, "Stand By Your Man" (1968)
알 그린, "Let's Stay Together" (1971)
2011년 등재
보 디들리, "Bo Diddley" (1955)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Green Onions" (1962)
돌리 파튼, "Coat of Many Colors" (1971)
도나 서머, "I Feel Love" (1977)
슈거힐 갱, "Rapper's Delight" (1979)
2012년 등재
지미 데이비스, "You Are My Sunshine" (1940)
밴 클라이번,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1958년 4월 11일)
처비 체커, "The Twist" (1960)
2013년 등재
조지 W. 존슨, "The Laughing Song" (1896년경)
빙 크로스비/루디 밸리, "Brother, Can You Spare a Dime?" (1932)
엘모어 제임스, "Dust My Broom" (1951)
에벌리 브라더스, "Cathy's Clown" (1960)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Fortunate Son" (1969)
제프 버클리, "Hallelujah" (1994)
2014년 등재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 "That Black Snake Moan"/"Matchbox Blues" (1928)
제리 멀리건 콰르텟, 쳇 베이커, "My Funny Valentine" (1954)
벤 E. 킹, "Stand by Me" (1961)
라이처스 브라더스, "You've Lost That Lovin' Feelin'" (1964)
2015년 등재
블라인드 윌리 맥텔, "Statesboro Blues" (1928)
줄리 런던, "Cry Me A River" (1955)
루이 암스트롱/바비 다린, "Mack The Knife" (1956/1959)
슈프림즈, "Where Did Our Love Go" (1964)
임프레션스, "People Get Ready" (1965)
빌리 조엘, "Piano Man" (1973)
글로리아 게이너, "I Will Survive" (1978)
2016년 등재
주디 갈란드, "Over the Rainbow" (1939)
빅 마마 손튼, "Hound Dog" (1952)
윌슨 피켓, "In the Midnight Hour" (1965)
멀 해거드, "Mama Tried" (1968)
주디 콜린스, "Amazing Grace" (1970)
돈 맥클린, "American Pie" (1971)
시스터 슬레지, "We Are Family" (1979)
2017년 등재
잉크 스파츠, "If I Didn't Care" (1939)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 "(We're Gonna) Rock Around The Clock" (1954)
토니 베넷,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 (1962)
템테이션스, "My Girl" (1964)
케니 로저스, "The Gambler" (1978)
Chic, "Le Freak" (1978)
케니 로긴스, "Footloose" (1984)
글로리아 에스테판 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Rhythm Is Gonna Get You" (1987)
2018년 등재
캡 캘러웨이, "Minnie the Moocher" (1931)
리치 발렌스, "La Bamba" (1958)
니나 시몬, "Mississippi Goddam" (1964)
닐 다이아몬드, "Sweet Caroline" (1969)
2019년 등재
글렌 캠벨, "Wichita Lineman" (1968)
빌리지 피플, "YMCA" (1978)
휘트니 휴스턴, "I Will Always Love You" (1992)
2020년대 등재 노래
[ 펼치기 · 접기 ]


A Change Is Gonna Come
발매1964년 12월 22일
A-사이드Shake
녹음 기간1964년 1월 30일
녹음실미국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 RCA
장르소울, R&B
길이3:11
작사/작곡샘 쿡
프로듀서휴고 & 루이지
레이블RCA 빅터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파일:Shake.jpg

1. 개요
2. 상세
3. 가사
4. 차트 성적



1. 개요[편집]


뮤직 비디오

1964년 발표된 샘 쿡의 싱글.


2. 상세[편집]


Ain't That Good News 앨범에 수록되었다. 대중 음악 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중 하나로 꼽히는 노래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 2010년에는 12위, 그리고 2021년에는 3위에 랭크되었다.

말콤 X(1992), 톡투미(2007) 등 미국 흑인 민권 운동 시대를 그리는 영화들에 사운드트랙으로 선정된 적도 많은 명곡.

아레사 프랭클린이 커버한 버전도 있다.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당시 조지 플로이드를 추모하는 댓글이 달렸으며, 드라마 '마이애미에서의 하룻밤'에서 배우 레슬리 오덤 주니어가 불러 한동안 이에 관해 댓글이 달렸다.


3. 가사[편집]



A Change Is Gonna Come

I was born by the river in a little tent
난 강가의 작은 천막에서 태어났죠
Oh, and just like the river I've been running ever since
오, 그 뒤로 난 그저 강물처럼 흐르는 대로 살아왔죠
It's been a long, a long time coming
오랜, 정말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But I know a change gon' come, oh yes it will
변화는 올 거예요, 오 그래요, 그럴 겁니다
It's been too hard living, but I'm afraid to die
사는 게 너무 힘들지만 죽기는 무서워요
'Cause I don't know what's up there beyond the sky
저 하늘 너머에 뭐가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죠
It's been a long, a long time coming
오랜, 정말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But I know a change gon' come, oh yes it will
변화는 올 거예요, 오 그래요, 그럴 겁니다
I go to the movie and I go down town
난 영화를 보러 시내에 갔어요
Somebody keep telling me don't hang around
누군가가 계속 내게 돌아다니지 말라고 하네요
It's been a long, a long time coming
오랜, 정말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But I know a change gon' come, oh yes it will
변화는 올 거예요, 오 그래요, 그럴 겁니다
Then I go to my brother
그리고 난 내 형제(백인)에게 가서
And I say, "Brother, help me please."
말했죠, "형제여, 날 도와줘요."
But he winds up knockin' me
하지만 그는 날 때리곤
Back down on my knees
무릎 꿇게 만들죠
There been times that I thought I couldn't last for long
내가 오래 버티지 못할 거라 생각했던 적도 있었죠
But now I think I'm able to carry on
하지만 이젠 계속 살아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It's been a long, a long time coming
오랜, 정말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But I know a change gon' come, oh yes it will
변화는 올 거예요, 오 그래요, 그럴 겁니다


4. 차트 성적[편집]


빌보드 R&B 차트에서 9위, 빌보드 핫 100에서 31위를 기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16:44:29에 나무위키 A Change Is Gonna Com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