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르니티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연옥(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ㄱ]

가디언가스타가제트강귀개구리갤럭시거대전함검투수게이트 가디언고고고고블린고블린라이더고스트릭고요우고티스공아단군관그레이돌그림자 여섯 무사극성금지된기괴기교기믹 퍼핏기아기아기차기황

[ㄴ]
[ㄷ]

다이너미스트다이놀피어대행자더스튼데먼스미스데몬데블리철데스완구데스티니 히어로데스피아도도도도레미코드드라이트론드래곤메이드드래그니티드래그마디아벨스타디지털 버그

[ㄹ]

라뷰린스라의 익신룡라이트로드레드 데몬레조네이터레프티레스령사령수령신로이드로즈 드래곤룡검사룡성루닉리브로맨서리추어

[ㅁ]

마계극단마굉신마그넷 워리어마기스토스마나둠마도서마돌체마리스보라스마린세스마술사마스크드 히어로마요괴마장전사마제스펙터마탄환매지션 걸매직비스트머메일머시너즈머티리어크톨메가리스메르피메멘토메타파이즈메탈포제명세계모케모케몽마경묘지기무사신무한기동문라이트문장수뮤트리아미계역미래황미캉코

[ㅂ]

바렐바렛바르모니카바르바로스바바리안바운서바이론방계방해꾼밸리언츠뱀파이어버스터 블레이더버제스토마베다베놈베어루크티벤데드벨즈보옥수볼캐닉봄화정봉인된 엑조디아분보그불꽃성기사붉은 눈블랙 매지션비서스=스타프로스트비스테드비전 히어로비틀트루퍼빙결계빙의장착빛의 황금궤

[ㅅ]

사이바넷사이버사이버 드래곤사이버 엔젤사이버 다크사이퍼사일런트 매지션사일런트 스워드맨삼라상검새크리파이스샐러맨그레이트생아발론샤크섀도르서브테러섬도희성각성기사성유물성잔세리온즈세븐스세이비어세이크리드세피라센츄리온소환수수호룡수호신관순성숲의 성령숲의 성수스네이크아이스마일스케어클로스크랩스타더스트스프라이트스프리건즈시계신시라누이시무르그심해십이수싱크론쌍천썬더 드래곤

[ㅇ]

아로마아르카나 포스아마조네스아머드 엑시즈아모르파지아쿠아액트리스아티팩트악마양안개 골짜기알버스의 낙윤암드 드래곤암흑 기사 가이아암흑계앤틱 기어어메이즈먼트언체인드얼루어 퀸얼터가이스트엄브럴에볼에스프릿에일리언에지임프엑소시스터엔디미온엘드리치엘리멘트세이버엘리멘틀 히어로여섯 무사염성염왕오노마토오드아이즈오르페골오파츠왈큐레요선수용기사 가이아용사운마물워크라이위치크래프트유벨유익환상수 키메라유토피아육화이그나이트이블 히어로이빌트윈인벨즈인잭터인조인간인페르노이드인페르니티일렉

[ㅈ]

재빠른잭나이츠저주받은 하인전뇌계전지맨전황점술공주점쟁이 마녀정크제너레이드제넥스제알제왕젬나이트주바바주안죽도쥬락지박지박신진룡

[ㅊ]
[ㅋ]
[ㅌ]
[ㅍ]

파괴수파라디온파샤스파이어월패왕권룡패왕룡 즈아크팬텀 나이츠퍼니멀퍼핏페어리테일펭귄포츈 레이디포탄포톤푸른 눈퓨어리프랭키즈프레데터 플랜츠프린세스 코롱플런드롤플레임벨피안

[ㅎ]

해피해황헤이즈비스트현세와 명계의 역전호루스호루스의 흑염룡홀리 라이트닝홀리나이츠화석화이트 아우라화합야수환마환상수환상수기환주환접의 자객환황룡후완다리즈히로익히어로히스이

[A~Z, 특수문자]

(이그니스터A(어드밴스드 보옥수ABCA·O·J[ruby(BF,ruby=블랙 페더)][ruby(BK,ruby=버닝나쿠라)][ruby(B·F,ruby=비 포스)][ruby(C,ruby=체인)][ruby(D,ruby=디포머)][ruby(DD,ruby=디디)][ruby(Em,ruby=엔터메이지)][ruby(EM,ruby=엔터메이트)][ruby(F.A.,ruby=포뮬러 애슬리트)]G골렘[ruby(GP,ruby=골드 프라이드)][ruby(Kozmo,ruby=코즈모)][ruby(LL,ruby=리리컬 루스키니아)]No.[ruby(P.U.N.K.,ruby=펑크)]PSY(싸이프레임[ruby(RR,ruby=레이드 랩터즈)][ruby(RUM,ruby=랭크 업 매직)][ruby(R-ACE,ruby=레스큐 에이스)]SD(슈퍼 디펜스 로보[ruby(Sin,ruby=신)][ruby(SPYRAL,ruby=스파이랄)][ruby(SR,ruby=스피드로이드)][ruby(S-Force,ruby=시큐리티 포스)][ruby(TG,ruby=테크지너스)][ruby(U.A.,ruby=울트라 애슬리트)][ruby(VS,ruby=뱅키시 소울)]VWXYZ[ruby(WW,ruby=윈드 위치)]X-세이버[ruby(ZW,ruby=제알 웨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키류 쿄스케
덱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관련 카드군
인페르니티 · 연옥 · 지박신
에이스최종 몬스터
애니메이션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코믹스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
애니메이션
지박신 Ccapac Apu

코믹스
-


인페르니티
한국어판 명칭인페르니티
일본어판 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
영어판 명칭Infernity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악마족 다수[1]
[ 접기 ]
효과
싱크로

1. 개요
2. 특징
2.1. OCG
2.1.1. 활용
2.1.2. 역사
2.2. 유희왕 듀얼링크스
3. 효과 몬스터 (튜너)
3.1. 레벨 1
3.1.1. 인페르니티 리벤저
3.2. 레벨 2
3.2.1. 인페르니티 비틀
3.2.2. 인페르니티 세이지
3.3. 레벨 3
3.3.1. 인페르니티 와일드캣
4. 효과 몬스터 (非 튜너)
4.1. 레벨 1
4.1.1. 인페르니티 미라지
4.1.2. 인페르니티 리로더
4.1.3. 인페르니티 폰
4.2. 레벨 2
4.2.1. 인페르니티 드워프
4.3. 레벨 3
4.3.1.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4.3.2. 인페르니티 비스트
4.3.3. 인페르니티 나이트
4.3.4. 인페르니티 컨저러
4.3.5. 인페르니티 퀸
4.4. 레벨 4
4.4.1. 인페르니티 데몬
4.4.2. 인페르니티 가디언
4.4.3. 인페르니티 비숍
4.5. 레벨 6
4.5.1.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
4.5.2. 인페르니티 아처
4.6. 레벨 7
4.6.1. 인페르니티 제너럴
5. 싱크로 몬스터
5.1. 레벨 6
5.1.1. 인페르니티 헬 데몬
5.2. 레벨 8
5.2.1.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6. 마법 카드
6.2. 인페르니티 파라노이아
6.3. 되돌아온 사신
7. 함정 카드
7.1. 인페르니티 포스
7.2. 인페르니티 리플렉터
7.3. 인페르니티 브레이크
7.4. 인페르니티 인페르노
7.5. 인페르니티 베리어
7.6. 인페르니티 서프레션
8. 서포트 마법 카드
8.1. ZERO-MAX
8.2. 허무한 파동
8.3. 연옥의 계약
9. 서포트 함정 카드
9.1. 연옥의 가마
11. 참고 카드
11.1. 덱 공통
11.2. 싱크로 관련
11.3. 엑시즈 관련
11.4. 펜듈럼 관련
11.5. 링크 관련
11.6. 주의해야 할 카드


1. 개요[편집]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유희왕 5D's에서 키류 쿄스케가 사용한 것으로 첫 등장했다. 애니메이션의 멋진 연출과 사용자의 높은 인기, TCG 카드게임을 통틀어서도 상당히 특이하면서도 강력하여 확장성이 높은 효과 컨셉 등으로 인해 유희왕 시리즈의 인기 카드군 하면 반드시 언급되는 카드군 중 하나이기도 하다.


2. 특징[편집]


어원은 '지옥'(inferno)[2] + '무한'(Infinity)인 듯하다.

디자인 모티브에는 초기 카드들에는 지옥을 연상시키는 해골, 악마의 뿔 등이 자주 나타나며, 암청색 몸체와 붉은 불꽃이 특징. 이후 크래시 타운편에 등장한 카드들은 서부개척시대를 연상시키는 황야의 무법자나 총기 등을 컨셉으로 하고 있다. 코믹스판에서는 서양 기사 같은 디자인을 하고 있고 일부 카드의 이름에는 체스 데몬마냥 체스말이 들어갔다.

이렇게 몬스터들 간 디자인의 통일성은 거의 없는 수준인데, 이는 작중 사용자인 키류 쿄스케의 성격이나 컨셉이 변화할 때마다 인페르니티의 디자인까지도 이를 반영하여 크게 변화했기 때문이다. 다크 시그너편과 유희왕 5D's 크래시 타운편, 게다가 코믹스에서까지 인페르니티 카드를 사용했으며 각각의 시기에 맞추어 디자인 컨셉이 3가지로 분화되어 있다.

반면 효과상 컨셉은 확연하게 통일되어 있어서, 이 카드군에 소속된 카드는 대부분 "효과를 발동/적용하기 위해서는 패가 0장이 되어야 한다"는 특징을 공유한다. 유희왕 시리즈는 물론 트레이딩 카드 게임 전체에서도 이런 컨셉을 가지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3] 대부분의 TCG에서 스스로 패를 줄인다는 건 자충수나 다름없기 때문에 극도로 드문 컨셉이라 할 수 있다.[4]

참고로 인페르니티 이전에 패가 0장일 때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가 없었던 것은 아닌데, 유명한 원턴킬 파츠 매지컬 익스플로전 등 패가 없을 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카드가 사이버 혁명에서 나왔기 때문. 그러나 매지컬 익스플로전을 제외한 카드 전부가 성능이 나빠서 사장되었다. 인페르니티는 저 조건을 어떻게든 실용성 있게 조정해서 내놓은 카드군인 듯.

듀얼 각본 담당인 히코쿠보 마사히로의 인터뷰에 따르면, 히코쿠보 자신이 구상한 테마라고 한다. 원작을 바탕으로 변형시킨 컨셉이 아닌 스스로의 독창적인 컨셉이라며 자신 있어 하는 듯.

2.1. OCG[편집]



2.1.1. 활용[편집]


덱의 특성상 초반에 주어지는 패를 최대한 활용해 묘지 자원을 확충하며, 패를 다 쓴 이후에는 미리 세트한 마법 / 함정이나 묘지 자원,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들로 전개를 이어야 한다.

이렇듯 듀얼의 흐름이 '패를 마구 쓰는' 전반부와 '적은 패로 최대한의 효과를 내는' 후반부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인페르니티가 패 0장을 추구한다고 해서 패 코스트를 요구하는 카드의 비중을 너무 높이게 되면 패가 없는 상황에 이런 카드를 뽑아 그대로 패배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즉 과한 핸드 데스는 인페르니티에게 이득이 아니라 맹독인 셈. 다만 인페르니티 카드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적당량의 핸드 데스는 필수적이므로 '플레이어가 조절할 수 있는' 적절한 핸드 데스가 카드군의 생명이다.[5]

따라서 패 코스트 카드의 비중을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어떤 카드를 넣을지도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물론 최상의 카드라면 위에서 말한 전반부와 후반부 모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카드. 이런 점에서 인페르니티 건은 1턴에 1번 패의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 있고 패가 없으면 묘지로 보내 묘지의 인페르니티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는 강력한 카드지만, 그 성능 때문에 제한에 올랐다.

몬스터 선택 또한 중요한데 패를 0장으로 만들지 못하면 죄다 바보가 되는 몬스터들 투성이라 자칫 잘못하면 패 말림을 유도할 수 있는 몬스터는 가급적 넣지 않으며, 넣더라도 전개에 보탬이 되는 카드를 넣는 것이 보통이다. 이런 카드들로는 주로 서치나 덤핑, 패 버리기, 묘지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가 우선시되며 이를 제외한 카드들은 어지간해서는 넣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부 다 어둠 속성이고 묘지의 몬스터 수를 조절하는 것이 쉬웠지만 다크 암드 드래곤이 초창기 용병으로 채용되지 않았던 이유.

카드군 특성상 패가 없어야 하는 대신 묘지의 몬스터를 자유자재로 불러낼 수 있고, 불러낸 몬스터들이 대부분 쓰고 나면 제외되거나 '1턴에 1번밖에 효과를 사용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붙은 것도 아닌지라, 잘 맞물리면 쉽게 무한 루프가 발견되는 덱이기도 하다.

가장 먼저 유행한 것은, 듀얼 터미널 13의 발매 당시를 기점으로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허공해룡 리바이엘, 다이가스타 에메랄을 이용해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무한히 불러내는 무한 루프였다. 과정이 매우 복잡하지만 조건은 그리 어렵지 않고 무엇보다 위력이 굉장히 치명적이었던게 문제. 이는 무한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는 이름으로 굉장히 악명높은 콤보로 불렸지만,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가 금지되어 막혔고 이후 에라타되면서 루프 요소가 사라지고 말았다.

이후 엑시즈 메타가 찾아오면서 어김없이 벨즈 우로보로스를 이용한 무한 루프가 발견되었다. 다만 한번에 패 / 필드 / 묘지를 전부 터는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와는 다르게 필드→패, 패→묘지, 묘지→제외라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루프 이상으로 시간이 많이 드는 것이 치명적 단점. 핸드 데스에만 치중한다면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와 다를 바 없다.

이외에도 자잘하게 다양한 무한 루프가 등장했으며, '무한'까지는 아니어도 특정 카드, 특히 인페르니티 데몬을 울궈먹으면서 패 1장으로 엄청난 전개를 보여주는 잠재능력이 인페르니티 카드군에겐 있다. 이 무한 루프가 악명을 떨친 뒤 일본에서는 키류의 의지를 이어받아 싱크로 솔리테어를 통한 무한 루프를 광적으로 추구하는 듀얼리스트들을 만족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2.1.2. 역사[편집]



초기 발매 당시만 하더라도 카드 수가 처참하게 부족했고, 데몬과 네크로맨서를 제외한 전원이 어드밴티지가 시원찮았기 때문에 성능이 시궁창스러운 카드군으로 평가되었다. 5D's 애니메이션 87화에서 등장한 엑스트라가 말한 "패 0장으로 상대를 쓰러트린다니, 미친 짓이라고요"라는 대사가 OCG 환경에서도 그대로 통했다.

허나 카드가 더 발매되자 인페르니티 데몬의 효과 발동 조건에 "1턴에 1번" 제약이 없다는 점이 재조명받아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패가 0장이라는 것이 전혀 믿기지 않을 만큼 어마어마한 전개력을 보여주며, 다수의 싱크로 소환을 폭발적으로 해낼 수 있는 상당한 고화력의 승률 덱으로 거듭나는 데 성공했다. 다만 너무나 막강했기 때문에 이런 전개의 핵심 카드 중 하나인 인페르니티 건이 제한된 후 위세가 크게 꺾였다.

처음에 주로 사용된 소환법은 싱크로 소환. 레벨 1인 튜너와 비튜너, 레벨 2 튜너, 레벨 3 몬스터, 레벨 4 몬스터 등 몬스터의 레벨이 매우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주로 채택되는 몬스터들이 다 이에 해당되었던 만큼, 인페르니티는 말마따나 레벨 2부터 12까지 골라 뽑는 덱이라 불릴 정도로 다양한 형태의 전개가 가능했다. 물론 최우선으로 선택되는 싱크로 몬스터는 쉽게 뽑을 수 있으면서도 상당히 강력한 효과를 지닌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같은 카드들이었지만 원한다면 다른 싱크로 몬스터도 충분히 뽑아볼만 했다는 소리. 실제로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노리는 '슈팅 퀘이사 인페르니티'같은 덱들도 우승덱에 간간히 보이기도 했었다.

초창기에는 덱 가격이 너무 비쌌다. 엑스트라 덱은 그렇다 치더라도 메인 덱에 꼭 필요한 인페르니티 데몬헬웨이 패트롤이 하나같이 너무 구하기 힘들었기 때문. 이후 인페르니티 데몬은 더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최저 레어도인 슈퍼 레어로 발매되었고 헬웨이 패트롤도 스트럭처 덱에서 노멀로 재록되었다.

건 제한 이후에도 간간히 명맥을 이어가던 인페르니티는 7기~8기에서 싱크로 몬스터들이 차례차례 금제에 이름을 올리고, 새로이 등장한 엑시즈 소환이 대세가 되자 빠르게 주력 소환을 바꾼다. 덱을 짤 때 튜너를 전부 빼고 그 자리를 효과 좋은 다른 마법 / 함정들로 채워서 덱의 순환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인페르니티의 주력 소환법은 급속히 엑시즈 소환이 되었다. 아무래도 인페르니티의 특성상 고레벨 몬스터는 투입하기 어렵고 자체적인 레벨 조정 기능 역시 전무하기 때문에 주로 랭크 3, 4 엑시즈 몬스터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 싱크로에 비하면 다소 화력이 약해지긴 했으나 이 무렵 싱크로 인페르니티 덱이 아예 사장된 것은 아니었으며, 인페르니티 건이 제한 카드가 되어 인페르니티 미라지나 인페르니티 제너럴을 고려해야 되는 등 사용이 까다롭기는 하나 아예 못 써먹을 정도의 덱은 아니었다.

싱크로 인페르니티와 엑시즈 인페르니티의 차이점은, 전개의 결과물이 달랐다. 싱크로는 소환한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조합하여 다수의 싱크로 몬스터를 전개하고 높은 타점과 안정적인 카운터 능력으로 필드를 굳히는 타입에 가까웠다. 반면 엑시즈 인페르니티는 빠른 전개 및 트릭키 요소를 이용하여 적은 패 소모로 꾸준히 엑시즈 몬스터를 뽑아냄으로써 지속적으로 이득을 취하는 형태의 덱.

9기가 시작된 2014년 중반에는 히어로 인페르니티란 괴변종이 출현해, 마스크드 히어로까지 동원하는 컨트롤 성향의 덱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 인페르니티 히어로의 존재와는 별개로, 2014년 세계대회의 특수 금제에선 사실상 최대의 수혜를 보았고[6], 결국 인페르니티가 2014년 세계 대회 우승을 거머쥐는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대회 직후 TCG에서는 인페르니티 데몬 제한, 라바르바르 체인 금지로 인페르니티가 아예 나락으로 떨어져버린 것이 아이러니. 2016년 4월에는 OCG에서도 라바르바르 체인이 금지되며 기존의 인페르니티의 명맥을 잇던 엑시즈 인페르니티는 종말을 고했다.

이후 2016년 5월 인페르니티 우승덱이 등장했는데, 역시 랭크 4 엑시즈 소환을 버리고 싱크로 소환으로 회귀했다. 패말림이 심하다는 단점이 존재하나 특히 전개력을 올리기 위해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와 그 디아볼릭 가이를 서치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히어로 얼라이브까지 넣은 것이 주목할 점. 일부 유저들이 펜듈럼 몬스터를 조금 채용해 사용하기도 했다. 보통 패왕권룡 다크브룸패왕문 제로 정도.

신 마스터 룰이 도입되면서 레벨을 따지지 않는 링크 소환이 주목받았으나, 이미 마스터 룰 3 후반부에 자리잡은 패 트랩 메타는 인페르니티를 완전히 몰락시켰다. 인페르니티는 핸드리스 콤보 컨셉 때문에 패 트랩 채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며[7] 환경에서 채용되는 패 트랩 대부분이 인페르니티의 천적이기 때문. 증식의 G의 효과가 발동되면 상대의 드로우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레 전개를 멈춰야 하고,[8] 유령토끼 또한 인페르니티 건을 바로 파괴할 수 있기 때문에 뼈아프며, 모든 전개의 시작인 인페르니티 데몬의 서치를 막아버리는 하루 우라라는 말할 것도 없다. 속공 마법은 세트한 턴에 발동할 수 없기 때문에 패 트랩을 막기위한 무덤의 지명자조차도 인페르니티는 채용이 불가능하다.

이후 아마조네스의 명사수를 이용한 원턴 킬 번덱으로 방향을 선회해서 가끔 대회에서 입상하기도 했지만, 링크 인페르니티의 핵심 카드였던 파이어월 드래곤과 아마조네스의 명사수 전부 금지되었다. 2018년 초반에는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사용하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패 트랩까지 넣어 굴리는 구성도 존재했지만, 상대의 패 트랩을 견제할 외신 아자토트마저 2020년부로 금지.

결국 현재의 인페르니티는 패 트랩을 쓰는 것도 견제하는 것도 불가능하고 패가 무조건 0장이여야만 전개가 가능하다는 심각한 안정성 문제로 현환경에서는 그저 종이뭉치 취급이다. 패 트랩이 유희왕 플레이의 기본이 된 만큼 무한포영과 비슷하게 자신의 턴엔 패에서 처리가 가능한 패 트랩이나 지속 마법 등으로 패가 0장이어도 패 트랩을 견제할 수 있는 카드가 절실한 상황.

2022년 유희왕 마스터 듀얼이 출시됨에 따라 DM-GX-5D's로 이어지는 애니메이션 세대 중 새로 유입된 유저들이 인페르니티를 기억하는 경우가 많아 언급이 종종 된다. 주로 패 트랩 메타를 성토하면서 이러한 패 트랩 카드를 전혀 채용하지 못해 메타에 뒤쳐진 뒷방 카드군 정도로 언급되나 여섯무사처럼 턴제한이 없는 기믹을 이용해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조합하여 패를 터는 구축도 존재한다.

결국 2023년 1월 금제에서 인페르니티 건이 준제한으로 완화되었다.

2.2. 유희왕 듀얼링크스[편집]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2019년 5월 23일부터 진행되는 지박신 Ccapac Apu 이벤트가 시작되면서 다크 시그너 키류 쿄스케와 함께 등장했다. 키류 쿄스케 NPC는 30레벨이든 40레벨이든 압도적인 물량 공세를 보여주는데, 일단 인페르니티 건을 3장이나 채용하고 있는데다 인페르니티 미라지, 인페르니티 데몬,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3종 세트를 기본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심지어 AI가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인페르니티 미라지 루프까지 돌린다! 비록 최종단계의 타점이 3000을 넘지는 않아 난이도는 그리 어렵지는 않다만 전 턴까지만 해도 비어있던 필드가 한순간에 몬스터로 꽉 채워지는걸 보자면 역시 인페르니티라는 말이 절로 나오게 되는 수준. 필드가 불리하면 인페르니티 리벤저까지 동원해 수비벽으로 뻐기니 효과 파괴나 관통 어태커를 들고 가는게 속편하다.

다만 고생해서 파밍해도 인페르니티 덱을 짤 수는 없는 상황이었다. 인페르니티 미라지, 인페르니티 비숍, 인페르니티 비틀, 인페르니티 인페르노 등 실용적인 카드는 거진 나왔지만 문제는 인페르니티의 주축이자 심장인 인페르니티 건, 인페르니티 데몬은 둘 중 어느 하나도 풀리지 않았고 전개를 책임지는 필수 카드 네크로맨서는 레벨업 보상으로 한장밖에 풀리지 않았다. 인페르니티 특유의 콤보는 커녕 기본적인 초동조차 잡지 못하는 상황. 게다가 듀링의 특징인 3칸 필드로 인해 좋은 전개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잘 쓰기 힘들다는 모습도 있다.

이후 키류 쿄스케 전용 스킬, "몽환의 패"로 인페르니티 건과 인페르니티 데몬을 사용할 수 있게 됐지만 조건이 너무 까다로워서[9] 여전히 인페르니티 덱을 쓰기 어려운 상황.

그러나 이후, 2020년 7월 크래시 타운 이벤트에서 일반 키류 캐릭터와 함께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과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가 보상으로 주어지고, 8월 출시된 메인 상자 INFERNITY DESTRUCTION에서 인페르니티 건과 인페르니티 데몬 등 주요 인페르니티 카드가 출시되었다.

2020년 10월 중순, 크래시 타운 2차 이벤트에서 인페르니티를 지원하는 키류 쿄스케의 스킬과 함께 '인페르니티 리플렉터'가 풀렸다.

일단 인페르니티 덱은 2종류로 나뉘게 된다. 첫번째 건, '인페르니티 인페르노' 스킬을 이용해[10] 2턴에 데몬과 비틀을 떨구고 미라지나 건을 이용한 6축 싱크로 전개로 빠르게 게임을 끝내는 형태로 운용되고 있다. 전개의 중간 다리로는 패를 채울 수 있는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와 제거 능력을 가진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코랄 드래곤, 전개 결과물로는 4000 이상의 타점을 확보할 수 있는 A BF-신립의 오니마르B·F 항마궁의 하마를 채용한다.

중간에 전개가 끊기면 속수무책이고 왕가의 골짜기-네크로밸리를 필두로 한 묘지 견제에 취약하기 때문에 티어권에 들지는 못했지만, 상대가 1턴 대비를 제대로 못 하면 순식간에 게임을 끝내버릴 수 있는 강력함 덕분에 평가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2번째는 "카드를 넘길 뿐인 망령" 스킬을 이용해서 한 턴에 작정하고 턴킬을 내는 방식. 인페르니티 데몬을 3장 모두 투입한 후, 무의 연옥도 모두 넣어서 최대한 드로우를 해낸 후 코랄 드래곤 등 제거 능력을 가진 싱크로 몬스터로 상대 필드를 싹 털어버린 후에 킬을 내는 것. 제일 큰 단점은 말 그대로 모든 걸 한 턴에 쏟아붓기 때문에 턴킬을 실패하면 뒤가 없어진다.

어떤 형태든 인페르니티 건이 3장 모두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비 티어권에 머무르고 있다. 트리슈라 등 파격적인 성능의 싱크로 몬스터가 없고, 몬스터 존이 3칸 뿐이라 건을 여러 장 사용해도 몬스터 대량 전개가 어렵기 때문.

그 후 STARS OF SYNCHRO에서 추가적인 지원을 받았고, 같은 타이밍에 드디어 트리슈라도 등장하는 등 덱이 강화되어 그럭저럭 다시 쓸만한 레벨로 올라왔다. 지원이 나온 시점에서 인페르니티 인페르노는 타이밍이 느려 주류에서 이미 밀려난 상태이며, 카드를 넘길 뿐인 망령이 확실한 주류가 되었다.

성능적으론 세이지 자체가 비틀에 비해 훨씬 유연한 카드라 초동 가능성이 훨씬 올라갔고, 6축 엑시즈라는 추가적인 가능성이 생긴 이후라 엑사비틀에 라이노세버스를 얹고 레드 와이반을 꺼내는 등 선공 견제도 상당히 강력해졌다. 심하면 선공에 몬스터 존에 라이노세버스, 레드 와이반을 깔아두고 마법/함정 존에 베리어, 브레이크, 서프레션을 까는 이론상 5견제가 가능할 정도.

지원 후의 덱 레시피는 크게 비틀을 세이지로 대체 후 세이지의 투입을 늘려 몬스터를 데몬3 세이지3만 넣고 기존과 비슷하게 가는 형태와, 거기에 추가적으로 네크로맨서와 미라지를 넣고, 그걸 활용하기 위한 다운비트를 넣는 형태로 갈리는 추세. 전자는 기존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세이지와 건만 잡힌다해도 세이지가 데몬을 덤핑하는 등 기존보다 유연하게 전개를 이어나갈 수 있고, 후자는 세이지에 다운비트를 먹인 후 미라지를 꺼내 전개를 시작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선 네크로맨서와 데몬/세이지 중 하나를 꺼내고 네크로맨서의 효과로 나머지 하나를 꺼내 4+3+2로 트리슈라를 꺼낼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몬스터 비중이 불어나서 처리할 수단을 갖추지 못하면 전개를 시작조차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 난점.

공통적인 단점으로는 선공을 잡아 집을 짓는 것이 아니면 현재 주류인 스킬로 초동을 잡은 후 범용을 가득 넣어서 견제하는 덱들의 견제를 뚫기 어렵다는 것과, 여전히 묘지견제에 약한 건 변함이 없다는 것이 있다. 특히 로즈 드래곤과 히어로, 갤럭시의 강세에 유저들이 DD크로우를 고려하게 되어, 자랑이던 선공 전개가 끊길 가능성이 올라갔다는 것이 치명적이다.

이후 11월 KC컵에서는 100위 안에 든 인페르니티 플레이어가 나왔다. 덱 레시피를 기존 싱크로/엑시즈축에서 벗어나 싱크로/링크 축으로 덱을 구성하였으며, 캣과 트랜스턴을 넣어 안정성을 올리고 네크로맨서를 넣어 트리슈라를 활용할 수 있게 하면서도 퍼즈로미노의 효과로 코랄 드래곤의 레벨을 조정, 스타더스트 워리어를 결과물에 넣은 구성을 취했다. 그 외에도 와일드 캣의 레벨 조절 효과와 퍼즈로미노의 레벨 조절 효과를 적절히 사용하면 전개 루트의 가능성도 여러가지 있는, 망령 인페의 새로운 최적화로 평가받아 듀얼 링크스 메타에 올라오는 레시피에서도 이 구성이 정석으로 굳어지는 중.

결국 2월 KC컵 이후인 2월 27일, 인페르니티 건이 제한에 오르게 되었다. 전개의 주축인 인페르니티 건이 제한에 오르자 인페르니티 덱의 파워가 급격히 떨어졌으며, 같이 제한인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또한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상대의 패를 1장 제외하는 플레이가 불가능 해졌다.

2023년 4월 1일 45번째 미니 상자인 PULSE OF THE QUASARS가 발매되며 슈팅 라이저 드래곤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를 사용한 상대 턴 3 제외 전술이 발견되었다.

3. 효과 몬스터 (튜너)[편집]



3.1. 레벨 1[편집]



3.1.1. 인페르니티 리벤저[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09_1.jpg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282_1.jpg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리벤저,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リベンジャー,
영어판명칭=Infernity Avenger,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인페르니티 리벤저" 이외의 자신의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의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의 레벨은 상대 몬스터에게 파괴된 자신의 몬스터와 같은 레벨이 된다.)]

묘지에서 스스로 살아날 수는 있지만 이러면 레벨 조정 효과 때문에 오히려 레벨을 맞추기 힘들다. 다만 자체 소생 효과가 몬스터 1장만 파괴돼도 이 카드 여러 마리가 특수 소환되기에 이점을 이용해 엑시즈 소환이나 링크 소환에 쓰는 것이 좋다.

자체 소생 효과에 연연하지 않은 채 쓰는 게 좋을 것 같으면 쓰고 아니면 단순한 레벨 1 튜너로 사용하는 쪽이 편하다. 주로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 인페르니티 데몬과 함께 레벨 8 싱크로 소재가 되거나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와 튜닝하여 암즈 에이드를 소환하거나 인페르니티 데몬과 같이 헬 트윈 컵 이나 TG 하이퍼 라이브러리언 등의 레벨 5 싱크로 몬스터의 소재로 쓰인다.

원작에선 키류vs 유세이 3차전에서 등장.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정크 워리어에게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11]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레벨 6이 된 후, 다음 턴 소환된 인페르니티 드워프와 함께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15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15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15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3.2. 레벨 2[편집]



3.2.1. 인페르니티 비틀[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0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비틀,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ビートル,
영어판명칭=Infernity Beetle,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1200, 수비력=0, 종족=곤충족,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이 카드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자신의 덱에서 "인페르니티 비틀"을 2장까지 특수 소환한다.)]

어둠 속성 / 곤충족 튜너이기 때문에 다른 곤충족 덱에서는 대저의 아라크네를 더욱 더 쉽게 싱크로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주 용도는 이 카드 +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 인페르니티 데몬으로 레벨 9 싱크로 소환을 하거나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와 튜닝하여 신해룡 기실노돈, 혹은 인페르니티 데몬과 튜닝해서 레벨 6 싱크로를 하는 것. 이 카드 자체의 효과와 인페르니티 특유의 소생력을 잘만 사용하면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을 어렵지 않게 뽑아낼 수도 있다.또 낮은 레벨에 비해 의외로 공격력이 높아서 일단 효과로 증식한 후에 정크 워리어의 공격력을 왕창 높일 수도 있다.

원작에서는 튜너 몬스터가 아닌 그냥 효과 몬스터로 나온다. 키류가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데미지 게이트의 효과로 부활시키나 효과도 못 쓰고 스피드 워리어에게 나가떨어진다. 그 후 로튼과의 듀얼에서 자신의 효과를 사용하여 2장을 필드에 불러낸 다음 한꺼번에 싱크로 소환의 소재로 사용했다.

원작에서 효과 텍스트를 읽어줄 때 덱뿐만 아니라, 패, 묘지에서도 특수 소환시키는 효과라고 언급하여 묘하게 밈이 되기도 했다. 인페르니티 비틀의 효과는 패가 0장이어야 발동할 수 있으니 '패'에서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는 효과는 왜 붙어 있냐는 것. 이 때문에 상대 패에서도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개드립도 나왔다. 물론 OCG에서는 정상적으로 '덱'으로 축소되어 나왔다. 묘지가 빠진게 아쉽지만 그대로 나왔다면 말도 안되는 무한 루프로 인해 진작 규제를 받았을 것이다.

공격명은 비틀 슛(Beetle Shoot).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14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14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14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3.2.2. 인페르니티 세이지[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セイ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인페르니티 세이지,
일어판 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セイジ,
영어판 명칭=Infernity Sage,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400, 수비력=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전부 버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인페르니티"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이 효과는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유희왕 5D's 코믹스에서는 키류 쿄스케이자요이 아키와의 듀얼에서 사용. 소환 후 인페르니티 스피어베어러, 인페르니티 실드베어러와 함께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①의 효과는 핸드리스 콤보를 사용하는 테마인 인페르니티 덱에 특화된 효과다. 인페르니티의 단점이 손에 잡힌 몬스터를 처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는 것인데, 그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해 준다. 인페르니티 외에도 '어둠 속성'과 '악마족'으로 종족이 겹치면서 패를 효과로써 전부 버리기 때문에 효과 발동이 매우 쉬운 암흑계에서 써먹기 좋다. 암흑계와 세트로 쓰이는 미계역도 궁합이 상수인건 매한가지.

속성이 다를 뿐 레벨 2의 튜너인 것까지 마굉신 레이븐의 사용법과 정확히 일치한다.

②의 효과는 패가 0장인 상태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덱의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덤핑 효과. 패가 없는 대신 묘지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인페르니티 덱에서 전천후 효과. 특히 제너럴을 묘지로 보낼 수단이 늘었고, 기타 몬스터를 묻고 콤보 시동을 거는데도 특화되어 있다.

같이 OCG화된 다른 인페몹들은 애매하거나 어중간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이 카드는 두가지 전부 우수한 효과로 무장하였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PREMIUM PACK 202121PP-JP011일본세계 최초 수록

3.3. 레벨 3[편집]



3.3.1. 인페르니티 와일드캣[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ワイルドキャッ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와일드캣,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ワイルドキャット,
영어판명칭=Infernity Wildcat,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400, 수비력=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패의 다른 "인페르니티"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자신 묘지의 "인페르니티"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1개 올리거나 또는 내린다.)]

팬텀 레이지에서 등장한 새로운 인페르티니 튜너. 비틀이 레벨 2 곤충족, 리벤저가 레벨 1 악마족이라면 이쪽은 레벨 3 악마족 튜너로 등장하였다. 생김새는 비스트처럼 야수족처럼 보이나 악마족으로 설정되어 있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다른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룰 소환 효과.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보내기에 핸드리스 콤보를 위한 발판으로 삼아 건과 네크로맨서, 미라지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패가 0장일 경우 묘지의 인페르니티를 제외하고 자신의 레벨을 조정하는 효과. 싱크로 소환 시의 세세한 조정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엑시즈 소환으로의 연계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싱크로 주축 덱과 엑시즈 주축 덱 모두를 고려한 효과.

대부분 인페르니티 카드들과 다르게 양쪽 효과 다 카드명 턴제가 달려있으니 주의.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PHANTOM RAGEPHRA-JP017일본세계 최초수록


4. 효과 몬스터 (非 튜너)[편집]



4.1. 레벨 1[편집]



4.1.1. 인페르니티 미라지[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0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미라지,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ミラージュ,
영어판명칭=Infernity Mirage,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는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은 할 수 없다.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인페르니티"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2장을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를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인페르니티 건처럼 한번에 2장을 소생시키는 강력한 효과. 밸런스 조절을 위해 묘지에서 이 카드는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 다크 버스트, 악몽 재발, 원 포 원 등의 효과에 대응하고 덱에서 리크루트가 가능하다. 다만 '2장까지'가 아니라 반드시 '2장'을 특수 소환하므로, 안 그래도 몬스터가 적은 인페르니티 덱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인페르니티 건이 제한을 먹은 뒤 인페르니티는 이 카드를 주축으로 돌아간다.

유희왕 5D's 86화에서 키류 쿄스케크래시 타운의 도전자와의 듀얼 중 첫 턴부터 소환해 다음 상대 턴에 풀 버스트로 패를 0장으로 만들고 인페르니티 데몬과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를 소생시켰다. 여기선 스펠 스피드 2의 유발 즉시 효과라 상대 턴에도 쓸 수 있었다. 로튼과의 듀얼에서는 인페르니티 데몬의 효과로 서치해 일반 소환 후에 인페르니티 비틀과 인페르니티 비스트를 소환했다.

국내 더빙판에선 OCG와는 달리 미라주로 번역되어 더빙됐으며, 91화에선 편집 실수로 인해 인페르니티 제로로 나오기도 했다. 듀얼링크스에선 번역 실수로 인한 탓인지 소환 시에는 미라지로, 공격 시에는 미라주로 더빙됐다.

일러스트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애니메이션에선 미라지라는 이름답게 반투명에 흐릿한 형태였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12노멀한국한국 최초 수록
SUMMER FESTIVAL 2010 특전 카드EV10-KR007시크릿 레어한국절판
THE SHINING DARKNESSTSHD-JP012노멀일본세계 최초 수록
DUELIST EDITION Volume 4DE04-JP125노멀일본
The Shining DarknessTSHD-EN012슈퍼 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4.1.2. 인페르니티 리로더[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07_1.jpg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290_1.jpg
내수판해외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리로더,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リローダー,
영어판명칭=Infernity Randomizer,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900, 수비력=0, 종족=전사족,
효과외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1턴에 1번\,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이 효과로 드로우한 카드를 서로 확인하고\, 몬스터 카드였을 경우\, 그 몬스터의 레벨 × 2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마법/함정 카드였을 경우\, 자신은 500 포인트 데미지를 받는다.)]

몬스터 카드를 뽑으면 좋을 듯 하지만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하면 핸드리스 콤보가 깨져버린다. 인페르니티 데몬을 드로우해도 데미지 효과 처리 때문에 특수 소환할 타이밍을 놓친다. 인페르니티 건을 미리 깔아둔 것이 아니라면 그냥 데미지를 감수하고 마법 / 함정 카드를 뽑는 것이 상책.

마법&함정 카드의 비중이 높은 덱에서 채용하거나, 아예 이 카드 위주로 덱을 구성할 수도 있다. 바로 리로더퍼미션 덱으로, 드로우한 견제 카드로 버티면서 인페르니티 전개의 필수 파츠인 인페르니티 데몬, 네크로맨서, 리벤저등의 몬스터가 묘지에 쌓이면 전개로 반격하는 덱. 종족과 레벨 덕에 증원은 물론 트루스 리인포스까지 받는다.

반대로 극 전개 인페르니티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주로 리벤저와 함께 포뮬러 싱크론의 소재가 되어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소환하는 발판이 되었다. 때문에 엑시즈 / 링크 몬스터의 퍼미션으로도 충분해진 현 시점에서는 전개용으로는 채용되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키류 쿄스케후도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스피드 워리어에게 박살났다가 인페르니티 리플렉터의 효과로 부활해 효과로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를 드로우해 유세이에게 1200 데미지를 주었다. 키류가 사용할 때는 덱의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효과였는데 실제 텍스트는 드로우였다. 이 카드를 두고 유세이는 키류답지 않은 카드라고 평했다.

거기다 로튼과의 듀얼에서는 뜬금없이 튜너가 되어 분명 튜너인 인페르니티 비틀을 소재로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했다. 더블 튜닝 거기다가 공격력이 어째선지 700. 이러면 이름만 같지 전혀 다른 카드 아니야? 더 웃긴건 이때 카드 모습을 보면 [전사족/효과]. 튜너라는 말이 쓰여있지 않다. 그냥 사기친거다.

정발판에서는 총기 탄압으로 총이 장난감이 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13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13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13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4.1.3. 인페르니티 폰[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ポ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폰,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ポーン,
영어판명칭=Infernity Pawn,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자신 드로우 페이즈에 일반 드로우를 실행하는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효과2=●덱에서 "인페르니티" 카드 1장을 고르고 덱 맨 위에 놓는다.,
효과3=●덱에서 "연옥"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 원작 효과 ]
파일:InfernityPawn-JP-Manga-5D.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폰,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ポーン,
영어판명칭=Infernity Pawn,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이고 묘지에 이 카드가 있을 때 자신은 드로우할 수 없다.)]


유희왕 5D's 코믹스에서 키류 쿄스케잭 아틀라스와의 듀얼에서 사용. 연옥의 계약의 효과로 인페르니티 비숍, 인페르니티 퀸, 연옥의 제로 게이트와 함께 묘지로 보내졌다. 이후 효과로 '무패필살 영식(핸드리스 콤보 제로'을 유지해주었지만, 결국 속공 마법 천지명동의 효과를 받은 염마룡 레드 데몬의 효과로 제외되었다.

코믹스에서 이 카드는 본인에게 디메리트를 가하는 대 한기에 버금가는 아무런 쓸모없는 효과를 갖고 있었는데, 키류가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 당시엔 이미 핸드리스 콤보를 완성했기 때문에 드로우를 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패를 0장을 유지하는데 유용하게 써먹었다.

패 0장이 중요한 인페르니티라지만, 원작대로 나와버리면 훌륭한 자폭 카드가 되기에 유용한 효과를 들고 OCG화되었다.

①의 효과는 드로우 페이즈에 일반 드로우하는 대신 덱의 인페르니티 카드를 덱 맨 위에 놓냐, 덱의 연옥 마함을 세트하느냐를 선택하는 효과. 연옥 마법 / 함정을 세트하는 효과는 드로우를 하지 않는다는 점 자체는 동일하나, 결과적으로 드로우한 결과면서도 패에는 넣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나름대로 원작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인페르니티 카드를 덱 맨 위에 두는 효과는 드로우 시 특수소환 되는 데몬과의 연계를 노린 듯 하며 실제로도 데몬을 올려놓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연옥 마법 / 함정을 선택하는 경우 원작 사용자가 같은 무의 연옥과 연옥의 계약은 발동 조건이 패가 3장 이상일 때라, 깔아 봤자 사용할 수가 없으나 연옥의 가마는 세트해놓으면 다음 턴 파괴 내성을 부여해주는 식으로라도 쓸 수 있어 나쁘진 않다. 물론 가마의 효과 상 다음 턴 드로우를 하는 순간 터져버리기에 사실상 1회용이다. 그 외엔 인페르니티 데몬을 묻을 수 있는 연옥의 재천이나 연옥의 함정 속으로 등을 세트할 수 있긴 하다. 나머지 카드들은 사실 상 인페르노이드 전용이라 같이 쓰는 의미가 없다.

무엇보다 최대의 장점은 바로 하루 우라라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프리미엄 팩 vol. 16PP16-KR011한국한국 최초 수록
PREMIUM PACK 202121PP-JP011일본세계 최초 수록

4.2. 레벨 2[편집]



4.2.1. 인페르니티 드워프[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ドワーフ.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드워프,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ドワーフ,
영어판명칭=Infernity Dwarf,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800, 수비력=500, 종족=전사족,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이 카드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조건만 갖추면 자신의 모든 몬스터에게 관통 효과를 부여한다. 하지만 능력치가 너무 낮아서 유지하기가 곤란하고 인페르니티에선 썩 도움이 되진 않기에 채용되진 않는 편.

우수한 서포트 카드가 많은 어둠 속성, 전사족인 점을 이용해 낮은 공격력으로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의 코스트, 리미트 리버스로 소생, 증원으로 서치, 트루스 리인포스, 전사의 생환, 다크 버스트로 회수가 가능하며 연합군으로 패가 적어지기 쉬운 전사족의 전력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레벨도 낮아 정크 싱크론, 엔젤 리프트의 소생 효과도 사용 가능. 종말의 기사, 불사 무사, 다크 그레퍼와 같이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원작에서는 키류 쿄스케후도 유세이와의 1차, 2차전과 로튼과의 듀얼에서 모두 사용한다. 유세이와의 듀얼에서는 2번 다 등장하자마자 다크 싱크로 소환의 소재로서 고통스럽게 사라져 묘지에서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에게 관통 효과를 부여했다.

생김새는 그냥 피부색이 어두운 친근한 아저씨가 도끼를 들고 있는 정도일 뿐인데 다크 싱크로 시의 얼굴이 무척이나 괴로워 보여서 상당히 씁쓸하다. 니코동 같은 데 보면 이 카드 나올때마다 "아저씨!" 등의 코멘트가 달린다.

로튼과의 듀얼에서는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된 후 인페르니티 브레이크의 효과로 제외되었다.

원작과 OCG카드의 일러스트가 다르다.[12] 이런 일 자체는 일러스트가 썰렁한 원작의 모습을 OCG로 어레인지하면서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다.

신기하게도 드워프를 모티브로 한 카드 중에 최초로 드워프의 이름을 들고 나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 프로모WC09-KR002울트라 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遊☆戯☆王 5D's STARDUST ACCELERATOR 프로모WC09-JP002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Yu-Gi-Oh! 5D's Stardust Accelerator 프로모WC09-EN002울트라 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Gold Series 3GLD3-EN028노멀미국

4.3. 레벨 3[편집]



4.3.1.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40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ネクロマンサー,
영어판명칭=Infernity Necromancer,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효과1=이 카드는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수비 표시가 된다.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1턴에 1번\,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이외의 "인페르니티"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인페르니티의 핵심 전력 중 하나. 인페르니티가 무지 약했던 시절에는 유일한 희망이기도 했다.

1번째 효과는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와 비슷한 효과. 공격력이 0인 이 카드에게 있어서는 매우 적절한 효과다. 2000의 수비력이면 어지간한 하급 몬스터의 공격은 막아낸다.

2번째 효과가 진가. 자기 자신은 살릴 수 없지만 인페르니티 데몬을 되살려 서치 효과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인페르니티 데몬, 이 카드가 있는 상황에서 인페르니티 비틀이나 인페르니티 리벤저를 되살리면 바로 레벨 8 / 9 싱크로 소환으로 돌입할 수 있다. 여차할 때는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도 되살릴 수 있다.

원작에서는 키류 쿄스케후도 유세이와이 2차전에서 수비 표시로 소환하지만 맥스 워리어에게 파괴된다. 나중에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에게 소생능력을 부여한다. 최종적으로 인페르니티 포스로 소생되어 지박신 코카파크 아프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된다.

원작 효과는 레벨 4 이하의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소생시킨다였는데 OCG화되면서 레벨 제한이 없어졌다. 덕분에 상급 몬스터는 물론이고 소생 제한을 통과한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까지 마구마구 소생시킬 수 있게 되어서 상황에 따라 입맛대로 골라 잡수는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광속의 스타더스트SOVR-KR008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STARDUST OVERDRIVESOVR-JP008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DUEL TERMINAL 「トリシューラの鼓動」DT08-JP002듀얼 터미널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Stardust OverdriveSOVR-EN008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Duel Terminal 4DT04-EN052듀얼 터미널
노멀 패러렐 레어
미국

4.3.2. 인페르니티 비스트[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45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비스트,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ビースト,
영어판명칭=Infernity Beast,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600, 수비력=1200, 종족=야수족,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이 카드가 공격할 경우\, 상대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마법/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레벨 3 치고는 괜찮은 능력을 지녔지만 패 0장의 대가라기엔 효과가 미묘한 편이다. 게다가 인페르니티에 많은 악마족도 아니다.

효과보다는 어둠 속성 야수족 3레벨이란 스텟으로 좀 더 사용된다. 레스큐 캣으로 소환할 수 있어 빙결의 피츠제럴드의 싱크로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원작에서는 키류가 유세이와의 라이딩 듀얼에서 사용. 공격을 한 번 하고 릴리스되었다.[13] 2차전에서는 패 코스트로 사용되었다. 묘지에서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에게 효과를 부여했다.

공격명은 헬 하울링(Hell Howling).[14]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태고의 예언ANPR-KR012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ANCIENT PROPHECYANPR-JP012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Ancient ProphecyANPR-EN012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4.3.3. 인페르니티 나이트[편집]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InfernityKnight-VJMP-JP-UR.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나이트,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ナイト,
영어판명칭=Infernity Knight,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400, 수비력=400, 종족=악마족,
효과1=필드 위에 존재하는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패를 2장 버리는 것으로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필드에서 파괴됐을 때 패 2장으로 부활할 수 있지만 능력치가 구려서 패를 버린 만큼의 도움은 안 되고 효과 자체가 능동적이지 못해 영 좋지 않다. 용도는 빨리 패를 버려 핸드리스 상태를 만드는 것이겠지만 그런 면에서도 이 카드보다 더 좋은 카드가 많다.[15] 차라리 암흑계 덱에 사용하는게 더 좋은 효율을 낸다.

인페르니티 몬스터 중 유일하게 패 0장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원작에서는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인페르니티 아처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Vol.8PP08-KR006슈퍼 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제11 / 12회 V 점프 정기구독 특전 카드VJMP-JP058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Photon ShockwavePHSW-EN099슈퍼 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4.3.4. 인페르니티 컨저러[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コンジュラ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컨저러,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コンジュラー,
영어판명칭=Infernity Conjurer,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200, 수비력=9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가 0장인 한\,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800 내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팬텀 레이지에서 새롭게 추가된 레벨 3 인페르니티.

①의 효과는 패가 0장일 경우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800 내리는 지속 효과. 허나 인페르니티는 곧바로 엑스트라 덱 소환으로 연결하기에 사실상 덤.

핵심은 ②의 효과로 패가 0장일 경우 노 코스트로 소생하는 기동 효과. 덕분에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와 인페르니티 미라지, 인페르니티 건의 부담을 크게 줄여주면서 추가 소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종족이 야수족인 인페르니티 비스트와 달리 악마족이며, 잘 채용이 되지 않는 인페르니티 나이트와 동일한 레벨 3이기 때문에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장점. 다만 소생 효과 사용 후 벗어날 시 제외되기에 엑시즈 소환 소재로 하지 않으면 재활용은 어렵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PHANTOM RAGEPHRA-JP016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4.3.5. 인페르니티 퀸[편집]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4년)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퀸 (미발매\,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クイーン,
영어판명칭=Infernity Queen,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300, 수비력=9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자신의 묘지에서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자신의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그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 원작 효과]
파일:INFERNITYQUEEN.jpg
한글판 명칭인페르니티 퀸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クイーン
영어판 명칭Infernity Queen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3어둠?300900
자신의 패가 0장이고, 이 카드가 묘지에 있을 경우,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은 상대를 직접 공격할 수 있다.


코믹스판에 등장한 카드. 코믹스의 텍스트는 막연하게 묘지에 있으면 필드위의 몬스터로 직접 공격 할 수 있는 사기카드인데, 만약 OCG에 나온다면 묘지에서 제외하고 사용하도록 바뀔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인페르니티 덱이 아닌 다른 덱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신 필드 위의 "인페르니티" 몬스터로 바뀔 가능성도 있다.

4.4. 레벨 4[편집]



4.4.1. 인페르니티 데몬[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079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인페르니티 데몬,
일어판 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デーモン,
영어판 명칭=Infernity Archfiend,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800, 수비력=1200,
효과1=①: 패가 0장일 경우에 이 카드를 드로우했을 때\, 이 카드를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인페르니티"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효과는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공허에서 갑자기 나타난 연옥의 악마.
불꽃에 휩싸인 거대한 손바닥으로 무한한 고통을 가져다준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플레이버 텍스트

[ 원작 효과 ]
파일:InfernityArchfiend-JP-Anime-5D.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데몬,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デーモン,
영어판명칭=Infernity Archfiend,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때\, 이 카드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드로우 페이즈시에 이 카드를 드로우했을 경우\, 이 턴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덱에서 "인페르니티"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유희왕 5D's 다크 시그너 편부터 다크 시그너가 된 키류 쿄스케가 사용한 인페르니티 카드 중 하나. 어태커보다는 주로 싱크로 소재로 사용된다.

공격명은 '헬 프레셔(ヘル・プレッシャー / Hell Pressure)'. 하늘에서 마법진이 그려지더니 중심에서 거대한 손이 튀어나와서 짓누르는 연출이 하급 몬스터답지 않게 박력이 넘친다.연출만 보면 무슨 공격력 3000 이상 몬스터가 공격하는것만 같다

원작에서는 서치 효과가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될 때에만 발동했기 때문에 효과가 발동된 건 1번 뿐이다. 그외에는 거의 일반 소환 후의 릴리스나 패 코스트로 버려지는 신세. 묘지로 가서도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으로 베낄 수 없어서 혼자 잉여처럼 남는다.

로튼과의 듀얼에서 드디어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서치 효과를 사용했다. 이 때의 발언에 따르면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고 한다.

인페르니티알파이자 오메가라 불릴 만큼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데몬이 없는 인페르니티 덱은 인페르니티 덱이 아닌 한낱 종이뭉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페르니티 덱의 키 카드다. 어태커 역할도 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전개에서는 이 악마가 구심점 역을 도맡는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발동하는 유발 효과. 데미지 스탭에 발동할 수 있으며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는 없고 타이밍을 놓칠 수 있으므로 만약 갑부 고블린 등 드로우 후에 다른 처리가 있을 경우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카드 파괴, 리로드, 요술망치 등의 효과로 이 카드를 드로우했다면 패를 버리거나 덱에 넣은 시점에서 패가 0장인 것으로 간주되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을 공개하는 것이 코스트이므로 정정 당당 등의 효과로 패를 공개하고 있는 상태라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패 유발 효과이므로, 여러 장의 인페르니티 데몬이 발동 조건을 만족해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것은 1장 뿐이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발동하는 유발 효과. 마찬가지로 데미지 스탭에 발동할 수 있으며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는 없고 타이밍을 놓칠 수 있다. 효과 발동시 뿐만 아니라 효과 처리시에도 패가 0장이어야 하므로 효과 발동에 체인한 다른 카드의 효과에 의해 패가 1장 이상이 되면 효과는 불발된다. 즉 인페르니티 데몬 2장을 특수 소환하면 효과는 2장 다 발동할 수 있으나 나중에 발동한 데몬의 서치 효과가 먼저 처리되면 인페르니티 카드가 패에 1장 있기 때문에 나머지 1장의 효과는 처리되지 않는다.

공격력도, 종족도 더할 나위 없이 좋으며 효과도 뛰어나다. 손에 잡혔을 때 특수소환할 수 있는 효과도 강하지만, 두 번째 효과가 핵심이다. 말 그대로 특수 소환에만 성공하면 덱에서 인페르니티 카드를 1장 패로 견인해 올 수 있다. 직접 드로우해서 특수 소환하는 경우보단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나 미라지, 헬 웨이 패트롤 같은 부차적인 수단으로 특수 소환되어 효과를 발동하는 경우가 많다. 막강한 서치효과임에도 1턴에 한번이란 제약이 없다. 그렇기에 여러번 소환해 어드밴티지를 다량 확보해야 하는 것이 인페르니티 덱의 핵심 운영. 가져올 수 있는 것은 몬스터에 한정되지 않고 마법이건 함정이건 다 오케이. 옛날에는 기껏해야 인페르니티 포스 같은 카드 말곤 가져올 게 없었으나 인페르니티 서포트 카드가 늘어나면서 압도적인 위력을 얻었다. 이 중에서도 인페르니티 건과의 콤보는 가히 사기적.

계속해서 특수 소환해야 제 성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든 이 카드를 특수 소환시키고 필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플레이를 반복하는 것이 인페르니티 덱의 핵심. 소환법이 늘어날 때마다 필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방법은 계속해서 변화해왔으며 싱크로, 엑시즈, 링크 모두 쉽게 데몬을 묘지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소환법을 활용하는 것이 인페르니티의 주된 전략이다. 레벨이 4며 인페르니티는 묘지 활용이 중요한 덱인 만큼 과거 라바르바르 체인과의 궁합은 최고였으며 현재는 바운스와 지속적으로 패 소환을 하게 해주는 파이어월 드래곤 덕분에 전개가 어렵지 않다. 베리어 3장을 죄다 서치해서 필드에 까는 것은 물론 M.X-세이버 인보커-아마조네스의 명사수를 통해 선공 원턴킬을 할 수도 있다.

싱크로 캔슬과도 궁합이 좋은 편이다.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의 파괴 효과,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의 제외효과 등을 사용한 후 싱크로 캔슬을 써서 데몬의 서치 효과를 발동하고, 아마 함께 싱크로했을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의 효과를 쓴 후 다시 싱크로하면 저 둘의 효과를 다시 쓰면서 미친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다.

데몬 카드군 소속이므로 그쪽 관련 서포트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이 카드를 쉽게 서치할 수 있는 트릭 데몬은 자주 사용되고, 트릭 데몬으로 서치할 수 있으며 자체적인 성능도 괜찮고 펜듈럼 스케일도 확보할 수 있는 익센트릭 데몬도 같이 채용된다. 과거에는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이나 데몬의 포효도 쓰이기도 했다. 반면 데몬덱에서는 따로노는 효과로 인해 사용되지 않는다.

게임 동봉 이후 오랜기간 재록되지 않은 카드였던 만큼, 한때는 구하기가 정말 어려웠다. 그나마 일본에서는 듀얼 터미널에서 복각되었지만 이마저도 국내에 발매되지 않는 제품이었기에 온전히 한글판 카드로만 인페르니티 덱을 구축하기는 힘든 일이었다. 그러다 2009~10년쯤 매장 대회를 통해 추첨 및 우승 상품으로 유희왕 닌텐도 게임인 2009 엑셀러레이터를 상품으로 주게 되며 유희왕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새 제품을 약 5000원 돈으로 구매 할 수 있던 시절이 있었다. 이 때가 아마 제일 싸게 구할 수 있는 시점으로 보이며, 추가로 구하기 힘든 싱크로 몬스터인 다크 엔드 드래곤도 같이 얻을 수 있었다. 이후 더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해당 팩 최저 레어도인 슈퍼 레어로 재록되며 입수 난이도가 크게 떨어지며 가격 또한 안정화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遊☆戯☆王 5D's STARDUST ACCELERATORWC09-JP001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 수록
DUEL TERMINAL 「破滅の邪龍ウロボロス!!」DT14-JP010듀얼 터미널
레어 패러렐 레어
일본
THE RARITY COLLECTIONTRC1-JP017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컬렉터즈 레어
일본
Yu-Gi-Oh! 5D's Stardust AcceleratorWC09-EN001울트라 레어미국미국 최초 수록
Gold Series 3GLD3-EN027골드 울트라 레어미국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WC09-KR001울트라 레어한국한국 최초 수록
WINTER FESTIVAL 2011 특전 카드EV11-KR012시크릿 레어한국절판
더 레어리티 컬렉션TRC1-KR017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4.4.2. 인페르니티 가디언[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ガーディア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가디언,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ガーディアン,
영어판명칭=Infernity Guardian,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200, 수비력=1700,
효과외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는 전투 및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

제약이 있긴 하지만 하급 몬스터 전체를 통틀어서 최강의 파괴내성을 지닌 몬스터. 불리할 때 킬러 토마토로 특수 소환하면 강력한 벽이 되어주고 수비력도 낮은 건 아니어서 관통에도 어느 정도 강하다.

튼튼하긴 하지만 바운스, 제외 등에는 무력해서 과신하기는 어렵다. 상대에 의해 패가 늘어나거나 자신이 드로우했을 때 날아오는 프리 체인 카드가 가장 큰 약점.

방어용 카드 자체가 큰 의미가 없는 환경인 데다가 전개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므로 실전성은 없는 카드다.

유희왕 5D's 다크 시그너 편에서는 키류 쿄스케후도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사용. 뎁스 애뮤릿의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져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에게 파괴 내성을 부여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遊☆戯☆王 5D's STARDUST ACCELERATOR 프로모WC09-JP003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Yu-Gi-Oh! 5D's Stardust Accelerator 프로모WC09-EN003울트라 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Gold Series 3GLD3-EN028노멀미국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 프로모WC09-KR003울트라 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4.4.3. 인페르니티 비숍[편집]



파일:V 점프 로고.pn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5년)
||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ビショップ.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비숍,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ビショップ,
영어판명칭=Infernity Patriarch,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다.,
효과1=①: 패가 이 카드 1장뿐일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8=②: 자신의 패가 0장으로 있는 한\, 자신 필드의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코믹스에서 등장하고 V점프 동봉으로 발매된 인페르니티.

1번 효과는 싱크로 소환보다는 엑시즈 소환에 주력하는 엑시즈 인페르니티 덱의 성향에 잘 어울린다. 그동안 데몬과 용병만으로 랭크 4 엑시즈 소환을 해야했던 엑시즈 인페르니티에게는 가뭄에 단비와도 같은 몬스터. 순수 싱크로 인페르니티, 혹은 싱크로 엑시즈 병용형에서도 못 쓸 정도는 아니지만 튜너가 투입되는 싱크로 소환 덱 특성상 비숍과 튜너 비율 조정을 잘 해야 할 것이다. 링크 소재로도 사용 가능하니 그쪽도 노려볼 수 있다.

2번 효과는 묘지에서 발동하는 인페르니티 전용 1회용 파괴 내성인데, 사실 싱크로 형식이든 엑시즈 형식이든 솔리테어 빌드를 끝마친 상황에서는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이외의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필드에 있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에이스를 지키는 목적으로 쓰는 것은 힘들다. 대신 인페르니티 브레이크나 인페르니티 베리어처럼 솔리테어 루프 도중 상대의 함정 기습을 방어하는 용도로는 쓸 수 있다.


4.5. 레벨 6[편집]



4.5.1.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デストロイヤ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デストロイヤー,
영어판명칭=Infernity Destroyer,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300, 수비력=10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에게 1600 데미지를 준다. 이 효과는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인페르니티의 상급 몬스터.

패가 0장인 상태에서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하면 1600 대미지를 준다. 효과 대미지는 높은 편이지만 상급 몬스터라는 문제점 때문에 패말림을 유발하기 쉽다.

원작에서는 키류 쿄스케후도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사용. 파워 배턴의 효과로 덱에서 바로 묘지로 보내 묘지에서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으로 몬스터를 파괴한 후에 유세이가 락스톤 워리어로 전투 데미지를 씹어버리자 이걸로 추가 데미지를 주었다.

이 카드의 효과로 데미지를 입고 유세이가 지르는 비명소리가 압박적이어서 유세이의 "키류, 넌 이런 녀석이 아니었어!"라는 대사와 함께 매드 무비에서 자주 쓰이곤 한다. 원작에서의 번 수치는 800이었으나 OCG에 맞춰 상향된 것으로 보인다.

크래시 타운의 도전자와의 듀얼에서는 인페르니티 미라지의 효과로 부활하여 상대 듀얼리스트를 관짝으로 보내버렸다. 여기서는 OCG 효과로 변해 1600 데미지를 준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Vol.8PP08-KR005울트라 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
공략집 동봉
WC09-JPB01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98시크릿 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4.5.2. 인페르니티 아처[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323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아처,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アーチャー,
영어판명칭=Infernity Archer,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1000, 종족=악마족,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이 카드는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다.)]

대접은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와 비슷하다. 헬웨이 패트롤로 특수 소환 가능하다는 점을 살려야 어느 정도 쓸 수 있을 것이다. 효과도 레벨 6으로써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과 연계하면 직접 공격으로 3000 데미지를 줄 수 있는 몬스터가 되어 쓸만하다.

공격명은 인페르니티 크로스보우(Infernity Crossbow).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WINTER FESTIVAL 2011 참가상 카드EV11-KR011슈퍼 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점프 페스타 2011 특전 카드 팩VF11-JP001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절판
점프 페스타 2012 한정 프로모션 팩 A
점프 페스타 2012 한정 프로모션 팩 B
JF12-JPA06
JF12-JPB06
노멀 패러렐 레어일본
우주의 섬광CBLZ-EN094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4.6. 레벨 7[편집]



4.6.1. 인페르니티 제너럴[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ジェネラ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제너럴,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ジェネラル,
영어판명칭=Infernity General,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700, 수비력=15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레벨 3 이하의 "인페르니티"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인페르니티 건과 유사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효과로 나온 몬스터는 효과가 무효화되고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해야 하기에 인페르니티 건에 비해선 약한 효과다. 레벨도 미묘한 7이라 자칫하다간 패말림이 될 수도 있다.

주로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2장을 살려 랭크 3 엑시즈 소환하거나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와 인페르니티 비틀, 인페르니티 리벤저를 살려 레벨 5 이하 싱크로 소환을 하는 데 쓰인다.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의 효과로 갑툭튀하여 높은 공격력을 뽐낼 수도 있다.

그리고 PSY프레임로드 Ω을 사용하면 무한으로 우려먹을 수 있다.

BF-대패의 바유처럼 이차원에서의 매장으로 쉽게 우려먹을 수 있고 블랙 로즈 드래곤 등의 필드 클린 카드를 사용하고 나서 효과를 발동해 직접 공격을 할 수 있다.

인페르니티 세이지가 발매되면서 활약할 여지가 생겼다.

공격명은 인페르니티 블레이드(Infernity Blade).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Vol.8PP08-KR003슈퍼 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유희왕 5D's 코믹스 3권 프로모 카드YF03-JP001울트라 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유희왕 5D's 코믹스 3권 프로모 카드YF03-EN001울트라 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5. 싱크로 몬스터[편집]



5.1. 레벨 6[편집]



5.1.1. 인페르니티 헬 데몬[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ヘル・デーモ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헬 데몬,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ヘル・デーモン,
영어판명칭=Infernity Doom Archfiend,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200, 수비력=1600, 종족=악마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추가로 그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패가 0장으로 있는 한\,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의 전투로 상대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배가 된다.,
효과3=③: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한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까지 몬스터에게 공격할 수 있다.)]

"제로에서 나온 연옥의 악마여, 이 세상의 허무를 먹어치워라! 싱크로 소환! 인페르니티 헬 데몬!"

(ゼロより出でし煉獄の悪魔よ、この世の虚無を喰らい尽くせ!! シンクロ召喚! インフェルニティ・ヘル・デーモン!)


팬텀 레이지의 신규 지원으로 나온 인페르니티의 새로운 싱크로 몬스터이자 인페르니티 데몬의 싱크로 버전. 주변에 헬 프래셔를 사용할때의 마법진들이 나타나있는데 강화되면서 한번에 여러번 사용할 수 있게 된 모양.

소재 제약이 없고, 모든 효과가 어느 정도 범용성이 있어서 범용 싱크로 몬스터로도 사용할 수 있다. 패가 0장이 아니라도 효과 무효는 가능하고,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같은 대형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에게 더블 어택을 부여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패가 0장인 상태에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할 경우, 이미 효과를 무효로 만들어놓았기 때문에 그 몬스터의 파괴 내성을 무시하고 터트릴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지정 내성이나 아예 효과 면역인 몬스터를 제외하고는 죄다 터트릴 수 있는 셈.

사실상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과의 연계를 상정한 카드로, 이 카드를 소재로 원헌드레드를 꺼낸 뒤 이 카드를 제외하면 몬스터 2회 공격+2배의 데미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작 인페르니티에서는 크게 쓸모가 없는 것이 흠이다. 선공 날빌이 승리 플랜인 인페르니티에게 후공에서나 이득을 보는 효과들은 어울리지 않기 때문. 엑스트라 덱이 빡빡해서 더욱 채용 가치가 낮을 수밖에 없다. 인페르니티보단 다른 덱에서 엑스트라 덱 여유가 있을 때 넣는 6싱 정도로 활용된다.

전투 데미지가 2배가 되는 효과는 원작에서 키류가 사용한 함정 카드 악귀유린의 효과를 반영한 것이다. 공격명은 ''인페르니티 헬 프레셔(インフェルニティ・ヘル・プレッシャー).''

OCG 오리지널 카드임에도 소환 영창과 공격명이 있는 이유는 키류의 성우 오노 유우키가 이 카드를 공개하는 방송에 출연해 즉석에서 만들어버렸기 때문이다. 애드리브라서 다른 게스트들도 당황했다.[16]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PHANTOM RAGEPHRA-JP037일본세계 최초수록


5.2. 레벨 8[편집]



5.2.1.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3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デス・ドラゴン,
영어판명칭=Infernity Doom Drag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400, 종족=드래곤족,
소재=어둠 속성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자신의 패가 0장인 경우\,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파괴한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원작 효과 ]
파일:attachment/1290312044_InfernityDeathDragon.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デス・ドラゴン,
영어판명칭=Infernity Doom Drag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400, 종족=드래곤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1턴에 1번\,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그 공격력의 절반 수치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이 효과를 사용한 턴에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죽은 자와 산 자, 제로에서 교차할 때, 영겁의 우리에서 마룡은 뛰쳐 나온다. 싱크로 소환! 나와라,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死者と生者, ゼロにて交わりし時, 永劫の檻より魔の竜は放たれる! シンクロ召喚! いでよ!インフェルニティ・デス・ドラゴン!)

원작 소환시 대사


"죽은 자와 산 자, 제로에서 교차할 때, 영겁의 우리에서 마룡은 뛰쳐 나온다. 싱크로 소환! 이것이... 사신의 진정한 공포! 나와라,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死者と生者, ゼロにて交わりし時, 永劫の檻より魔の竜は放たれる! シンクロ召喚! これが... 死神の真の恐怖! いでよ!インフェルニティ・デス・ドラゴン!)

태그 포스 5, 6 싱크로 소환시 대사


"산 자와 죽은 자, 제로에서 교차할 때, 영겁의 우리에서 마룡은 해방된다! 싱크로 소환! 나와라!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 듀얼링크스에서 싱크로 소환 대사

크래시 타운 에피소드 88화에서 키류 쿄스케후도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처음 선보인 몬스터. 다크 시그너 시절에는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이나 지박신 Ccapac Apu 등을 사용했으나, 지박신에게서 해방되어 그런 위험한 것들을 쓸 이유가 없어진 키류가 가지고 나온 새로운 에이스 몬스터이다.

OCG에서는 빛나는 어둠에서 등장하였다. 텍스트에 차이가 있으나 실질적으로 어둠 속성 튜너 제한 이외에는 내용은 차이가 없다. 팬들이 부르는 명칭은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을 이은 만족룡 2호기.

원작에서 활약을 못 해서 그렇지 실제로 보면 능력치도 우수하고 효과도 우수한 카드이다. 동기(?)들이 쓰던 용 중에서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과 같은 공격력 3000. 소환 조건도 원작보다는 빡세졌지만 그리 어렵진 않아서 어둠 속성 튜너만 있으면 되고 범용성 높은 어둠 속성 튜너가 넘쳐나는지라 소환 자체는 여러 덱에서 가능할 정도다. 하지만 효과 발동 조건이 저 모양이라 결국은 인페르니티가 아니면 제대로 쓸 수 없다. 인페르니티는 어차피 어둠 속성 카드군이니 이렇게 되면 소환 조건은 전혀 신경쓸 필요가 없게 된다.

다만 인페르니티 덱에서 소환이 편하고 효과도 잘 어울리는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이 미라지나 네크로맨서 등 각종 인페르니티들의 효과를 베낄 수 있어 유용하다. 이것까지는 그렇다쳐도 완전히 같은 조건으로 나오는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의 효과가 좀더 안정성이 높아 강한 몬스터를 처치해야 할 상황이라거나 피니시를 내야 할 상황이 아니면 그쪽에 먼저 손이 가기 쉽고, 파괴효과는 광역파괴를 지니고 소재 제약도 없는 염마룡 레드 데몬 때문에 밀린다.

과거에는 그저 인페르니티라서 1장 정도 넣었지만 선공에 목숨 거는 인페르니티의 현주소엔 전혀 쓸 이유가 없는 카드이다. 선공에서는 아무런 쓸모 없는 효과에 후공에서도 단순히 몬스터 1장 파괴하겠다고 넣기에는 무리가 있는 카드이다. 강력한 에이스들을 줄줄이 소환하는 현 인페르니티 전개에서 이 카드의 자리는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에게 완전히 밀려고, 인페르니티 배리어의 발동 조건이라는 차별화는 전개를 다 마친 후 인페르니티 데몬을 공격 표시로 놔두면 되는 일이다. 인페르니티 건,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되돌아온 사신등 인페르니티 서포트를 받는 고타점 몬스터라는 점은 분명 장점이지만 저 카드들로 하급 몬스터를 뽑아서 전개하는 것이 더 좋은 게 현실이다보니 인페르니티 서포트를 받을 수 있는 인페르니티의 유일한 최상급 몬스터라는 이유 등으로 정말 애정으로 넣는 경우가 아닌 이상 현재의 인페르니티 덱에서는 넣지 않는 게 대다수이다.

참고로 잘 알아둬야 할 것이 이 카드의 번 효과는 몬스터 파괴와 동시에 처리되는 효과이고, 파괴된 몬스터의 묘지에서의 원래 공격력이 아닌 파괴될 당시 필드 위에서의 공격력이 반영된다. 즉 상대 몬스터가 강화되어 있는 상태라면 데미지를 더 많이 줄 수 있지만, 그 대신 뒷면 표시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는 공격력을 알 수 없어 번 데미지는 주지 못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이 애용 중이다. 스킬 "악마의 공명"의 조건을 만족하고 크림즌 레조네이터의 제약에 안 걸리는 어둠 속성 드래곤족 8레벨 싱크로 중 다크엔드 드래곤과 함께 제거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파일:/pmf/200912/11/27/f0018927_4b211b465d818.jpg
원작 88화에서 첫 등장했을 때는 나오자마자 효과로 정크 워리어를 골로 보내버리지만, 그 다음 턴 세컨드 부스터의 효과로 공격력이 4000까지 올라간 스타더스트 드래곤에게 맞아죽는다.

92화에서도 등장해서 로튼의 롱 배럴 오우거를 효과로 파괴하려고 했으나, 메탈 코트에 의해 실패. 다음 턴에 롱 배럴 오우거에게 저격당해 폭살당한다. 하지만 그것이 방아쇠가 되어 키류에게 승리를 가져다준다.

보다시피 제대로 활약한 거라고는 정크 워리어를 박살낸 것 정도로 에이스 몬스터 치고는 활약상이 그리 좋지 않다. 스포일러로 먼저 이름이 공개되었을 때는 인기 카드인 원 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의 뒤를 이을 키류의 에이스 카드로서 기대를 받았으나, 정작 마땅한 활약도 하지 못했을 뿐더러 비주얼도 멋있기는커녕 카우보이를 어설프게 따라한게 난해하기만 해서 미묘한 입지로 남았다.

공격명은 데스 파이어 블래스트(Death Fire Blast). 붉은 화염을 발사하는데 공격시 4개의 눈이 까딱거리는게 섬찟하다. 어째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 이 카드로 공격을 해 보면 데스 파이어 블래스트의 연출이 화염인지 뭔지도 알 수 없는 뭔가 시커먼 것을 꾸역꾸역 토해내는 것으로 상당히 왜곡되어 있다.

효과명은 인페르니티 데스 브레스(Infernity Death Breath). 입에서 보랏빛 화염을 쏜다.

영어판에서는 '데스'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못하는 규제 때문에 이름이 인페르니티 둠 드래곤이 되었다. 또한 머리에 달려 있는 장식 속에 들어있는 것이 사실 가 돌출되어 있는 것인데, 꽤 그로테스크한 모습이지만 카드 일러스트만 보고는 알 수 없어서인지 이쪽에 대해서는 별다른 규제가 되지 않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42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42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일본일본 최초수록
DUELIST EDITION Volume 4DE04-JP145레어일본
The Shining DarknessTSHD-EN042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미국미국 최초수록

6. 마법 카드[편집]



6.1. 인페르니티 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페르니티 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페르니티 덱의 핵.

6.2. 인페르니티 파라노이아[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パラノイ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파라노이아,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パラノイア,
영어판명칭=Infernity Paranoia,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르고\, 레벨이 같은 "인페르니티" 몬스터 1장을 자신의 덱 / 묘지에서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인페르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팬텀 레이지에서 추가된 마법 카드.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그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인페르니티 1장을 덱/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덱에서 리쿠르트하는 효과는 강력하지만 그 대가로 효과가 무효화되기 때문에 데몬과 네크로맨서의 연계는 불가능한 것이 단점.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고 인페르니티 1장을 샐비지하는 효과. 묘지 소생이 불가능한 미라지를 다시 재활용하거나 같이 공개된 와일드캣의 특수 소환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이 불가능하다.

일러스트는 데몬을 복사한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이 데몬의 헬 프레셔를 시전하는 모습.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PHANTOM RAGEPHRA-JP060일본세계 최초수록


6.3. 되돌아온 사신[편집]


파일:舞い戻った死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되돌아온 사신,
일어판명칭=<ruby>舞<rp>(</rp><rt>ま</rt><rp>)</rp></ruby>い<ruby>戻<rp>(</rp><rt>もど</rt><rp>)</rp>った</ruby><ruby>死神<rp>(</rp><rt>しにがみ</rt><rp>)</rp></ruby>,
영어판명칭=This Creepy Little Punk,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인페르니티" 카드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묘지의 몬스터 및 제외되어 있는 자신 몬스터 중에서\, "인페르니티"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상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 또는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히스토리 아카이브 컬렉션에 수록된 카드. 룰 상 인페르니티 카드로 취급하기에 인페르니티 데몬으로 서치 가능하다.

①의 효과는 패 / 묘지 / 제외 존에서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매수를 보면 2장까지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인페르니티 건의 약체화 버전이지만, 이쪽은 묘지는 물론, 제외 존 / 패에 있는 몬스터도 소환할 수 있다. 그러니까 말림패가 된 인페르니티를 전개해서 핸드리스 콤보를 보조할 수 있고, 제외 존에서 인페르니티 미라지를 건져와 효과를 또 사용할 수 있다는 뜻. 인페르니티 건이 제한 카드고 이걸 회수할 수단도 거의 없으니 상당히 유용한 효과다. 패/묘지/제외 전부 대응하고 패가 0장일 필요도 없는데다 인페르니티 카드 취급이라 ZERO-MAX의 거의 완벽한 상위 호환이다. 효과면에서 보면 ZERO-MAX의 리메이크라 볼 수도 있겠다.[17]

②의 효과는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상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나거나 전투로 파괴되면 묘지의 이 카드를 다시 세트하는 효과. 보통 이런 종류의 효과로 세트 시에는 필드에서 벗어나면 제외되는 디메리트가 붙기 마련인데 사신이라는 모티브 때문인지 제외 디메리트가 없다. 즉 제외되지만 않는다면 매 턴 우려먹는 것이 가능.

5D's 애니메이션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보기만 해도 웃음이 나오는 카드지만, 일러스트의 웃음벨 요소와는 정반대로 성능은 굉장히 뛰어난 편이다. 인페르니티는 특성 상 써먹을 수 있는 패 교환 카드도 매우 한정적이고, 기존에 인페르니티가 쓸 수 있는 패 교환 카드들 중 가장 효율이 좋은 어둠의 유혹은 제외가 디메리트라 묘지 자원으로 전개를 충당하는 인페르니티가 써먹기 난해했는데, 이 카드 덕분에 어둠의 유혹을 다수 채용해도 문제가 없어졌고, 몬스터가 패에 여럿 잡히면 사고가 나는 인페르니티 특성 상 이 카드가 패에서 썩게 될 잉여 몬스터를 처리해줄 수 있기 때문. 여러모로 인페르니티의 기존 문제점을 정확하게 보완시켜주는 카드가 나온 셈이다. 특히나 이후 광/암을 대놓고 저격하는 비스테드의 발매 이후에도 어둠 속성 기반 덱인 인페르니티는 이 카드 하나만으로 비스테드 보완을 완벽하게 할 수 있게 되면서 의문의 재평가를 받고 있다.

일러스트는 다름 아닌 유희왕 5D's크래시 타운 편에서 키류 쿄스케가 하모니카를 불며 등장하는 장면(초반에 한 번, 로튼이 지배하기 시작한 이후에 또 한 번 나왔다)에서 따온 것. 카드명은 키류 본인이 로튼과 리벤지 매치를 치루면서 '지옥의 밑바닥에서 다시 돌아왔다', '난 다시 사신으로 돌아왔다'라고 발언한 것[18][19]에서 따왔다. 시청자 뿐만 아니라 녹음하던 성우까지 빵 터졌을 정도로 크래시 타운 편의 임팩트 있는 네타 중 하나이기도 하다.[20]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HISTORY ARCHIVE COLLECTIONHC01-JP021일본세계 최초 수록


7. 함정 카드[편집]



7.1. 인페르니티 포스[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16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포스,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フォース,
영어판명칭=Infernity Force,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인페르니티"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공격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인페르니티' 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는 강력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까다로운 발동 조건을 가지고 있다. 어떻게 됐든 자신에 패가 0을 넘거나 묘지에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없어 발동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발동이 막히면 그대로 궁지에 몰린다. 결과적으로 차원 유폐 같은 카드가 범용성면에서는 더 좋다.

원작에서는 키류가 유세이와의 2차전에서 사용. 인페르니티 데몬을 공격하던 맥스 워리어를 파괴하고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를 되살린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광속의 스타더스트SOVR-KR073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STARDUST OVERDRIVESOVR-JP073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Stardust OverdriveSOVR-EN073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7.2. 인페르니티 리플렉터[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68_1.jpg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302_1.jpg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리플렉터,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リフレクター,
영어판명칭=Infernity Reflector,
효과1=①: 자신의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어 자신 묘지로 보내졌을 때\, 패를 전부 버리고\, 그 파괴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핸드리스가 전제인 인페르니티 덱의 카드 주제에 패가 1장이라도 있어야 발동할 수 있다는 시점에서 완전히 넌센스. 같은 값이면 어떤 몬스터든 대응되는 생명의 줄 쪽이 차라리 낫다. 거기다가 자기 몬스터를 상대 몬스터에게서 보호할 생각이라면 차라리 썬더 브레이크화목의 사자 쪽이 더 사용하기 편하다.

원작에서는 키류가 유세이와의 듀얼에서 패를 다 버리고 인페르니티 리로더의 파괴를 무효로 하는 데 사용했다. 여기서는 파괴당한 몬스터를 다시 소생시키는 효과였는데 공식 홈페이지에 실린 텍스트는 파괴 무효화였다.

애니메이션 크래시 타운 편에서는 키류가 유세이와 듀얼할 때 사용했다. 여담으로 등장 연출로 바람이 분다. 하지만 바람 부는 연출은 카드 효과와 전혀 상관이 없어서 매우 뜬금없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68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68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68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7.3. 인페르니티 브레이크[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69_1.jpg파일:external/images.wikia.com/InfernityBreakTSHD-EN-C-1E.png
내수판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브레이크,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ブレイク,
영어판명칭=Infernity Break,
효과1=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자신 묘지의 "인페르니티" 카드 1장과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묘지의 카드를 제외하고\, 그 상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한다.)]

썬더 브레이크의 인페르니티 버전. 파괴할 카드를 필드에서 대상으로 지정하고 발동하여, 효과 처리로서 묘지의 인페르니티 카드를 1장 고르고 제외하여 대상의 카드를 파괴한다. 제외할 인페르니티 카드로서 마법 / 함정 카드도 얼마든지 제외할 수 있다.

원작에서는 키류가 유세이와의 3차전에서 묘지의 인페르니티 드워프를 제외해 유세이의 파워 프레임을 박살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69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69노멀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69노멀미국미국 최초수록


7.4. 인페르니티 인페르노[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7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인페르노,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インフェルノ,
영어판명칭=Infernity Inferno,
효과1=①: 자신의 패를 2장까지 버린다. 그 후\, 이 효과로 버린 매수만큼만 덱에서 "인페르니티"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인페르니티판 어리석은 매장. 패를 줄여서 재빨리 핸드리스 콤보를 완성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묘지에 인페르니티를 쌓아서 소생을 노리기도 쉬워진다. 마법 / 함정 카드도 묘지로 보낼 수 있지만 이 경우는 덱에서 잉여가 된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게 아니라면 대부분 실수로 덱에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없는 걸 모르고 써서 마법 / 함정 카드를 대신 묘지로 보낼 때 일어난다.

하지만 함정 카드라서 세트하고 1턴 기다려서 써야하고 인페르니티만 보낼 수 있는 조건 때문에 전체적으로 어리석은 매장에 비하면 사용이 쉽지가 않은 느낌. 패도 없는데 이걸 뽑으면 실로 난감해지므로 채용할 숫자는 신중하게 생각해서 결정하는게 좋다.

패를 버리는 건 코스트가 아닌 효과라서 암흑계를 버려 효과를 발동할 수도 있다.

원작에서는 안나왔지만 듀얼 터미널에서 만족 선생께서 사용하신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71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71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71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7.5. 인페르니티 베리어[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10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베리어,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バリア,
영어판명칭=Infernity Barrier,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인페르니티 건을 서치하고 난 인페르니티 데몬이 가장 먼저 서치하는 카드 후보 1순위. 경이적인 카운터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발동하려면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공격 표시로 있어야 하는 것이 난점으로 꼽힌다. 주로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을 꺼내두고 쓰게 될 카드. 패가 없어야하는게 특징이라 패트랩을 채용할 수 없는 인페르니티에겐 정말 신중히 사용해야 할 카드다.

인페르니티의 전성기때는 이 카드를 한번에 3장씩 깔기도 하였다.

일러스트는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이 방어막으로 공격을 막는 모습.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엑스트라 팩 4EXP4-KR010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4AE06-KR012슈퍼 레어한국
EXTRA PACK 4EXP4-JP010노멀일본일본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89시크릿 레어미국세계 최초수록


7.6. 인페르니티 서프레션[편집]


파일:インフェルニティ・サプレッショ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인페르니티 서프레션,
일어판명칭=インフェルニティ・サプレッション,
영어판명칭=Infernity Supress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이 카드는 세트한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인페르니티" 몬스터가 존재하고\,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그 후\, 그 몬스터의 레벨 × 1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줄 수 있다.)]

하루 우라라, 이펙트 뵐러 등 범용성 패 트랩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게 해주는 함정 카드지만, 인페르니티의 특성에 맞춰, 패가 0장일 경우 세트한 턴에도 바로 발동할 수가 있다. 헨드리스 콤보의 특성 상 패 트랩 및 지명자 속공 마법[21] 등을 사용할 수 없어 패 트랩을 막을 수 있도록 내준 지원이다.

일러스트는 상대가 발동한 몬스터 효과에 리로더가 효과를 발동하여 반격하는 모습. 마침 리로더의 효과도 몬스터의 레벨과 관련이 있기에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판은 리로더의 총기 부위가 에너지 건으로 검열당했는데, 일러스트에서 나오는 총알이 레이저처럼 생겨서 위화감이 낮은 편.

다만 막상 사용해보면 인페르니티 데몬의 서치 효과를 사용할 때마다 패가 1장이 돼서 패 트랩을 제대로 막을 수 없다는 게 흠.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PHANTOM RAGEPHRA-JP075일본세계 최초수록


8. 서포트 마법 카드[편집]



8.1. ZERO-MAX[편집]


파일:attachment/ZERO-MAX/ZERO-MAX.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ZERO-MAX,
일어판명칭=<ruby>ZERO<rp>(</rp><rt>ゼロ</rt><rp>)</rp></ruby>-<ruby>MAX<rp>(</rp><rt>マックス</rt><rp>)</rp></ruby>,
영어판명칭=ZERO-MAX,
효과외1=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자신 묘지의 "인페르니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보다 낮은 공격력을 가지는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 그 카드들을 전부 파괴한다.)]
상당히 강력한 소생 / 파괴 효과를 겸비한 인페르니티의 소생 카드. 잘하면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을 살려내고 공격력 3000 이하의 몬스터를 모두 끔살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많이 무섭다.

하지만 효과의 특성상 소생한 몬스터보다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는 손을 댈 수 없고 배틀 페이즈도 실행할 수 없어서 디메리트가 많기도 하고 대체로 우세일 때보다는 열세일 때에만 유용해서 인페르니티 미라지와 인페르니티 건,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에 밀려 잘 쓰이지는 않는다.

여기에 사면초가로 이 카드는 패에서 즉시 발동할 수 없다. 이 카드 자체가 이미 패 1장인데 텍스트에 따르면 패 0장이 발동 조건이기 때문에 이 카드를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 후에 발동해야 한다. 그래서 이 카드가 패에 있는데 상대 필드에 다크 시무르그가 있을 경우에는 발동 자체가 불가능하다. 패에 계속 썩으면서 덱의 핸드리스 콤보 자체가 파괴되는 비상사태가 일어나니 요주의.

그리고 이 카드의 단점을 모조리 해결한 되돌아온 사신으로 이 카드는 완벽하게 묻히게 되었다.

2번째로 한국 / 일본 / 미국판 이름이 모두 같은 카드다. 1번째는 7이고 3번째는 TG 지원 마법 / 함정 카드. 다른 카드는 이름이 영어로 되어 있더라도 대소문자가 다르거나 아예 다른 이름으로 변경되었다.Z-ONE은?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빛나는 어둠TSHD-KR047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JP047레어일본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47슈퍼 레어미국미국 최초수록

8.2. 허무한 파동[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10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허무한 파동,
일어판명칭=虚無の波動,
영어판명칭=Wave-Motion Inferno,
효과1=①: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자신 필드의 "인페르니티"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400 올린다.,
효과2=②: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자율적으로 패를 전부 버릴 수 있지만 인페르니티는 이 카드를 쓰지 않더라도 손쉽게 패를 줄일 수 있어 굳이 덱에 넣을 필요는 없다.

버프 효과는 패 0장일 때 인페르니티에게만 적용되는 주제에 상승폭은 고작 400이기에 강화 카드로서의 성능도 매우 낮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엑스트라 팩 4EXP4-KR009노멀한국한국 최초수록
EXTRA PACK 4EXP4-JP009노멀일본일본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TSHD-EN088시크릿 레어미국세계 최초수록


8.3. 연옥의 계약[편집]


파일:煉獄の契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연옥의 계약,
일어판명칭=煉獄の契約,
영어판명칭=Contract With the Void,
효과1=①: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가 3장 이상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전부 버린다. 그 후\, 자신 묘지에서 "인페르니티" 몬스터 또는 드래곤족 / 어둠 속성 / 레벨 8의 싱크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원작 효과 ]
파일:CONTRACTWITHTHEVOID.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연옥의 계약,
일어판명칭=煉獄の契約,
영어판명칭=Contract With the Void,
효과1=자신의 패가 3장 이상 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전부 버리고\, 버려진 카드 중에서 인페르니티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5D's(코믹스)에서 키류 쿄스케가 사용한 카드. 이 카드로 연옥의 영문을 포함한 5장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인페르니티 제네럴을 특수 소환했다.

효과 자체는 소생 가능 풀이 굉장히 넓어 우수하지만 발동 조건이 치명적이다. 단순히 패를 전부 버린다는 효과 뿐이라면 쓰지 못하고 썩는 패를 버려주는 용도로 유용하겠지만 "이 카드 이외의 패가 3장 이상"일 때만 발동 가능하므로 사실상 패 4장을 요구하는 것이다.

인페르니티의 전략은 기본적으로 선공에 패를 전부 써서 강력한 집을 짓는 데에 특화되어 있다. 그런데 선공에 이 카드가 잡히면 패 4장을 이 카드에 그대로 사용해야 하므로 패 5장 중 단 한 장만 사용할 수 있다. 패에 처리 곤란한 몬스터들만 가득 있는 상황이라면 이 카드가 구제의 길이 될 수도 있지만, 인페르니티를 묘지로 보낼 수단조차 없는 패라면 말림패가 늘어날 뿐이다. 또한 인페르니티 베리어, 인페르니티 건 등 강력한 카드를 패에 쥐고 있어도 "인페르니티를 묘지로 보내기 위한 1장" 말고는 전부 써서는 안 되는 카드이므로 그대로 버려야 한다. 어쩌다 후공을 받아도 여유 패가 1장 늘어날 뿐이며, 후공 자체가 인페르니티에게 심하게 불리해서 큰 의미가 없다. 패를 0장으로 유지해야 효과 발동이 가능한 인페르니티는 매턴 가능한 한 패를 줄여야 하므로 당연히 듀얼 중후반에 뽑으면 쓸 수 없는 말림패가 된다.

패를 버리면서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양쪽을 소화 가능한 카드는 이 카드밖에 없어 고유의 장점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활약 가능한 조건이 너무 까다로워 사용할 이유가 없고, 사용하더라도 하이리스크 로우리턴인 카드.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PREMIUM PACKパック 202121PR-JP012일본세계 최초 수록

9. 서포트 함정 카드[편집]



9.1. 연옥의 가마[편집]


파일:煉獄の釜.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연옥의 가마,
일어판명칭=<ruby>煉獄<rp>(</rp><rt>れんごく</rt><rp>)</rp></ruby>の<ruby>釜<rp>(</rp><rt>かま</rt><rp>)</rp></ruby>,
영어판명칭=Void Cauldron,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인페르니티" 몬스터 또는 드래곤족 / 어둠 속성 / 레벨 8의 싱크로 몬스터가 상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 묘지의 "인페르니티" 카드 1장을 제외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패가 0장이 아닐 경우\, 이 카드는 묘지로 보내진다.)]
[ 원작 효과 ]
파일:VoidCauldron-JP-Manga-5D.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연옥의 가마,
일어판명칭=<ruby>煉獄<rp>(</rp><rt>れんごく</rt><rp>)</rp></ruby>の<ruby>釜<rp>(</rp><rt>かま</rt><rp>)</rp></ruby>,
영어판명칭=Void Cauldron,
효과1=자신의 패가 0장일 때\, 효과에 의한 파괴를 무효로 할 수 있다.)]


유희왕 5D's 코믹스에서 키류 쿄스케이자요이 아키와의 듀얼에서 사용. 린천사 퀸 오브 로즈의 파괴 효과로부터 인페르티니 아처를 보호하고, 그 후 듀얼 종료시까지 연옥의 방패와 함께 아키의 공세에 제약을 걸었다.

인페르니티 몬스터 및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 등의 싱크로 몬스터를 보호하는 효과 자체는 그럭저럭 유용하지만 효과 파괴에만 대응하는 점이 단점. 효과 파괴 이외의 제거가 난무하는 현 환경에서는 반쪽짜리 내성인데, 카드군에 구애되지 않고 각종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사용하는 인페르니티 특성상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등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몬스터의 사용률도 높아 지키고 싶은 몬스터를 지키기도 어렵다.

무엇보다 드로우 한 번만 해도 묘지로 보내지는 ② 효과가 치명적이다. 사실상 한 턴짜리 방어 카드인 셈. 인페르니티 폰은 이 카드를 필드에 세트해줄 수 있으며 드로우를 막는 효과도 있으므로 함께 사용하기는 좋지만, 이 카드며 폰이며 제대로 된 성능이 아닌 것은 마찬가지라 코믹스판 키류의 팬 덱을 굴리는 게 아니라면 굳이 채용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 괴상한 디메리트가 워낙 인상적이라 무슨 생각으로 만든 건지 알 수 없는 카드를 이야기할 때 자주 언급된다.#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 국가기타 사항
PREMIUM PACK 202121PP-JP013일본세계 최초 수록

10. OCG화되지 않은 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페르니티/OCG화되지 않은 카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참고 카드[편집]



11.1. 덱 공통[편집]


묘지 자원을 쓰는 덱인 만큼 덤핑 카드가 필요하다. 특히 묘지에 있어야 밥값을 하는 헬웨이 패트롤이나 효과로 묘지로 보내지면 인페르니티 데몬을 서치하는 트릭 데몬을 묘지로 보낼 수 있기에 더더욱. 대부분 사용되는건 어리석은 매장이나 아래에서 후술할 다크 그레퍼가 사용된다.

죽은 자의 소생 같은 소생 계열 카드로 묘지에 있는 인페르니티를 소생시켜서 추가 전개를 할 수 있기에 중요하다.

인페르니티의 효과 발동 조건이 패가 0장일 경우에~ 이기에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묘지에서 스스로를 제외하고 패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인페르니티 최고의 용병.

오직 인페르니티 데몬 1장을 서치하기 위해서만 채용한다. 구성상 불합리해 보이지만 인페르니티 데몬은 덱의 시작과 끝이므로 트릭 데몬까지도 동원해서 서치해야 한다.

패의 몬스터를 빠르게 비우는 동시에 헬웨이 패트롤과 트릭 데몬의 매장이 가능하며, 레벨 4 전사족이기에 증원으로도 서치가 되며 랭크 4 엑시즈 소재로서도 사용 가능한 탁월한 용병.

패에서 마법 카드를 코스트로 레벨 4 다크 그레퍼인페르니티 데몬을 불러올 수 있기에 나쁘진 않다.

패에 몬스터를 코스트로 덱에서 인페르니티 리벤저나 인페르니티 미라지를 불러올 수 있다. 초반때 패를 비우면서 전개에 보탬이 되는 몬스터를 불러올 수 있기에 인페르니티 리벤저나 인페르니티 미라지를 채용한다면 생각해볼만 하다.

종말의 기사, 다크 그레퍼, 포톤 스래셔 등 전사족 카드가 은근 들어가는 테마기 때문에 채용한다.

보통은 다크 그레퍼의 상위 호환이지만 덱의 기믹 특성상 상호 호환. 효과 코스트로 쓸 패가 없을 때 소환과 동시에 덱에서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전개 중, 상대가 증식의 G를 사용했을 경우 상대를 카운터 치는 용도로 쓰는 카드. 상대 패가 덱 매수랑 근접할때 발동해서 덱 파괴를 노릴때 쓴다. 아님 패 사고가 났을 때 패를 갈아버리는 용도로 쓸 수도 있다.

선 턴에 어떻게든 싱크로/엑시즈/링크 소재를 마련하기 위해 쓴다. 바리키테리움의 디메리트는 선공에 사용한다면 없는 것과 같으므로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쓰이는 경우가 있다.


덤핑하고 쓸 수 있는 용병 튜너. 용의 계곡, 용의 영묘 등 덤핑할 수단은 많다.

필드의 인페르니티 데몬을 대상으로 발동하면 덱에서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를 불러올 수 있는 카드로 쓰인다.

다운비트와 반대로, 3레벨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인페르니티 데몬으로 바꿀 수 있게 해준다.

지명자류 마법카드의 채용이 힘들고, 패트랩에 취약하다는 약점을 어느정도 보완해준다. 주로 하루 우라라무한포영, 원시생명체 니비루 등을 선언해주면 좋다.

어둠 속성 덱이라면 필수적으로 쓰이는 드로우 카드. 다만 인페르니티와 그렇게 맞지 않는 카드지만 전개에 필요한 카드를 모으기 위해서 쓰는 경우가 있다. 특히 되돌아온 사신으로 제외 존으로 간 몬스터도 소환할 수 있으면서 더더욱.

본래는 인페르니티와 무관한 인페르노이드 서포트지만, 패를 1장 버리고(핸드리스) 덱에서 악마족(인페르니티, 트릭 데몬, 헬웨이 패트롤)을 덤핑하는 효과로 인페르니티도 간접적으로 지원한다. 폰으로 서치가 가능.


11.2. 싱크로 관련[편집]


염마룡 레드 데몬, 스크랩 드래곤 등 강력한 효과의 싱크로 몬스터는 대부분 레벨 8이며, 인페르니티에서도 레벨 8은 쉽게 소환 가능한 레벨이기에[22] 싱크로 주축이면 대부분 레벨 8을 쓰게 된다.

만족룡 3호. 이름에 인페르니티가 붙지 않아서 인페르니티 카드군은 아니지만 효과 발동 조건이 패가 0장일 때로 한정되는 게 완벽히 같기에 이 카드의 본래 용도는 싱크로 주축의 인페르니티 덱에서 쓰라고 만든 카드나 다름없고, 문서를 참조하면 알겠지만 원래는 인페르니티 카드군에 속할 예정이었다. 다만 중간에 듀얼 드래곤 컨셉을 따르는 과정에서 이름이 변경된 것. OCG에서 실제로 싱크로 인페르니티 덱에는 필수적으로 채용되는 몬스터다.
만족룡 1호. 역시 이름에 인페르니티가 붙지 않고 직접적인 연관점은 옅지만 원작에서 키류 쿄스케가 인페르니티 몬스터의 효과를 빌리는 모습을 자주 보여줬으며 위의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과 마찬가지로 OCG에서도 실제로 싱크로 인페르니티 덱에는 필수적으로 채용되는 몬스터다. 다만 어둠 속성 튜너 + 튜너 이외의 악마족 몬스터라는 괴악한 소재 조건 때문에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보다 소환하기 까다롭다는 점이 걸려 점차 인페르니티 덱에서 채용하지 않기 시작했으나 이후 인페르니티 헬 데몬의 추가 이후 인페르니티 덱에 다시 채용되기도 한다.

만족룡 4호. 카드 자체는 인페르니티와 거의 관련이 없지만 이 카드와 인페르니티가 결합하여 발생했던 대참사는 해당 문서와 다이가스타 에메랄 문서 참조. 이 영향인지는 몰리도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덱이 인페르니티일 정도.


11.3. 엑시즈 관련[편집]


랭크 4 중에는 강력한 효과의 몬스터가 많으며 인페르니티의 시작과 끝인 인페르니티 데몬, 전개를 도와주는 다크 그레퍼나 서몬 프리스트 같은 몬스터의 레벨이 4이기에 사실상 엑시즈 인페르니티의 주축이다.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의 효과로 쓰고 제외된 인페르니티 미라지를 특수 소환시켜서 전개에 도움을 준다. 이렇게 될 경우 미라지의 효과를 최소 3번이나 쓰는 셈. 다만 랭크 3이라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를 2장 이용해야 하는게 단점이었지만, 레벨 3 몬스터인 컨저러와 와일드캣의 등장으로 소환이 더 쉬워졌다.

명사수 번 인페르니티에서 LP가 애매하게 남으면 피니시하는 용도로 쓴다. 파이어월 드래곤 무제한 시절 간맨만을 무한으로 돌려쓰는 가가가 간맨 번도 있었으나 파이어월 드래곤 제제 이후 사장.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나 레벨 6 싱크로 몬스터를 주축으로 소환하면 사용할 몬스터로 금지된 라바르바르 체인의 상위 호환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소재 제한 없는 랭크 4 고성능 용병. 패 순환, 유사 리미터 해제 효과도 있지만 다른 건 안보고 묘지의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주로 사용한다.


11.4. 펜듈럼 관련[편집]


일반적으로 쓰이는 펜듈럼 몬스터로 패왕권룡 다크브룸은 패왕문 제로와 함께 패 1장 스케일 세팅 후 펜듈럼 소환을 실행하거나, 용의 영묘로 묘지로 보내 자체 부활 후 엑시즈 / 링크 소재로 쓰인다. 인페르니티에게 적합한 용병들. 결국 패왕권룡 다크브룸이 제한갔다.

패왕권룡 다크브룸 서치용으로 쓴다.

전개력을 좀더 올리고 싶은 일부 유저들이 사용하기도 한다.

몬스터, 마법 / 함정 견제 능력이 뛰어나고 트릭 데몬의 효과로 서치가 되기에 써볼만한 카드. 고 스케일인것도 메리트.

펜듈럼 판 포톤 스래셔라고 생각하면 된다.


11.5. 링크 관련[편집]



연속 전개가 주축인 인페르니티의 전개력으로 소환 소재를 충당해서 좋다. 다만 전개 조건상 패가 없어서 트로이메어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는게 흠.

자신 필드에 링크 마커를 3개씩 뚫어주면서 유용한 효과를 겸비한 고성능 용병. 3소재 효과를 주로 쓰게 되며, 4소재 효과도 필요한 카드를 잡을 기회를 주니 상당히 좋은 효과.

어둠 속성 덱이라면 잘 쓸 수 있는 용병. 하단 링크 2개에 효과로 덱에서 포그 블레이드 같은 강력한 퍼미션 카드나 셰이드 브리간딘 같은 전개용 카드를 몹 덤핑과 함깨 세트가 가능하다. 다만 링크 소재로 못 쓰기에 융합 및 특수 소환이 아닌 이상, 필드에서 처리하기 힘들다.

11.6. 주의해야 할 카드[편집]


몬스터 카드
다른 덱들도 한번 걸리면 아프게 작용하는 것이 패 트랩이지만 인페르니티는 한방한방이 타격이 매우 크다. 유령토끼는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나 인페르니티 건, 또는 용병으로 채용한 패왕권룡 다크브룸을 파괴하고, 제외 계열 패 트랩도 소생시키려고 했던 데몬 등을 제외하기에 아프게 작용한다. 하루 우라라이펙트 뵐러같은 무효계는 말할 것도 없다.

마법 / 함정 카드

자신의 몬스터를 패로 되돌아가면 패를 비우기 전까진 전개할 수 없게 만든다.

이쪽은 조건이 되면 패에서 발동 가능한 함정 카드 이기에 주의해야 한다.

[1] 비틀은 곤충족, 드워프와 리로더는 전사족, 비스트는 야수족, 데스 드래곤은 드래곤족이다.[2] 인페르노란 단어에는 지옥이나 겁화 등의 여러 뜻이 있지만, 인페르니티 관련 카드에선 유독 연옥이란 단어가 자주 나오는 걸로 봐선 연옥 쪽이 더 가깝다고 봐야한다.[3] 그나마 암흑계, 미계역, 마굉신 등이 패 버리기를 컨셉으로 삼았지만 어디까지나 효과로 패를 버리는 행동을 통해서 몬스터들의 효과를 발동시켜 어드밴티지를 늘리는 것이라, 패가 0장인 상태를 조건으로 하는 인페르니티와는 근본적인 컨셉이 다르다.[4] 비슷한 컨셉으로는 매직 더 개더링의 헬벤트 정도가 있고, 최근 섀도우버스에서도 턴 시작시 내 패에 카드가 0장일 때 덱에서 효과가 발동하는 카드가 있다.[5] 인페르니티 인페르노 같은, 다른 카드군에서는 정말 효율이 마이너스를 달리는 카드들이 왜 있는지 생각해보자.[6] 인페르니티를 견제하기 위해 필요한 견제 카드(특히 강제 탈출 장치)들은 죄다 TCG에서 제재, 전개에 날개를 달아주는 소울 차지는 일본, 북미 전부 발매된 카드인데다가 무제한, 당시 OCG에서 경쟁자 테마였던 섀도르, 홀리 라이트닝, 테라나이트같은 테마는 TCG 미발매 상태. 여러 가지 의미로 상당히 유리했던 대회다.[7] 그나마 함정 카드라 세트할 수 있고 패에서 바로 발동가능한 무한포영이 사용되는편이다. 증식의 G는 자신의 턴에도 쉽게 버릴 수 있지만 정작 효과가 인페르니티와 전혀 맞지 않는 드로우 효과다.[8] 단 역으로 엄청난 전개력을 동원해 상대가 덱을 다 뽑게 만들어 덱사시키는 것도 드물지만 가능하다. 물론 덱을 다 전부 뽑게 한다는 건 당연히 덱에 넣은 패 트랩이 모두 패에 들어온다는 의미이므로 중간에 방해를 받아도 이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루 우라라처럼 1턴에 1번 제한이 있는 패 트랩을 이미 쓰게 한 뒤에도 전개할 여지가 남아있다든가. 혹은 상대가 엑조디아 덱이라서 패배하거나.[9] 자신의 LP가 상대보다 2000 이상 낮아야 하며, 그 후 패의 카드를 3장까지 덱으로 되돌리고 되돌린 매수에 따라 각기 다른 효과를 적용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인페르니티 데몬은 패 1장을 되돌리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지만 "자신의 패가 0장인 상태에서 드로우했을 경우" 발동하는 효과를 살리기 위해 덱 맨 위에 놓아지기에 바로 사용할 수 없는 건 물론이고, 상대에게 대응할 시간을 준다. 거기에 발동 조건 상 LP가 상당히 불리한 상태일 테니 다음 턴이 올 때까지 버티기 매우 힘들다. 인페르니티 건은 패 3장을 되돌려야 한다. 왜 사용하기 힘든지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0] 자신의 2턴에만 사용 가능. 패를 2장까지 버리고, 덱에서 인페르니티 카드를 그 수만큼 묘지로 보낸다.[11] 이때 정크 워리어의 공격력은 자신 효과+부스트 워리어의 효과로 600 올라가 있었다.[12] 유세이vs키류 1차전과 유세이&키류 vs 로튼 전에서 뭔가 모습이 다른 일러스트를 썼고 유세이vs키류 2차전에서는 실제 카드 모습의 일러스트가 나왔다. 일관성이 없다.[13] 이 때 스피드 워리어를 파괴했는데 후도 유세이의 LP가 1000 깎였다. 레벨 3짜리가 공격력이 1900이라도 된다는 건가... 다음 화에서 700 깎인 걸로 수정되었다.[14] 틴당글 하운드의 효과명과 동일하다.[15] 하지만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NPC인 키류 쿄스케를 상대할때는 오히려 소환 안하기를 비는 카드이다. 이 게임의 카드 풀이 OCG보다 적은 것도 있지만 인페르니티 건을 3장씩이나 사용하기 때문에 특소각이 잘 나온다.[16] 오노 유우키는 이전에도 즉석으로 트리슈라의 소환 영창을 만들고, 결국 그 대사가 듀얼링크스 데이터에 투입되어 공식 영창으로 만들어버린 전적이 있다. 듀얼링크스 키류 기념 홍보 라이브 방송에서도 본인이 가장 마음에 드는 대사로 꼽을 정도.[17] 인페르니티 몬스터를 특소시키는 마법 카드지만 정작 카드 이름에는 인페르니티가 안들어간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18] TCG판 이름은 같은 에피소드에서 로튼이 인페르니티 제로의 효과를 사용한 키류를 "creepy little punk(기분 나쁜 자식)"라고 발언한 것에서 따 왔는데, 키류 역시 그 말을 듣고는 "이 '기분 나쁜 자식'께서 네놈을 박살내 주겠다"라며 대꾸했다.[19] 한편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사신이 저승사자로 번역됐는데, 실제 카드명에는 반영이 되지 않았다. 당시 死神(しにがみ)의 4음절에 대응하는 단어로 '저승사자'가 채택된 탓인지 듀얼링크스에서는 해당 어휘가 전부 사신으로 직역되었지만.[20] OCG 발매도 작정하고 이 밈을 밀어줬는데, 굳이 카드 이름을 저렇게 할 이유가 없고 그냥 '인페르니티 XXX'라고 해도 무방한 것을 카드 이름 자체를 '되돌아온 사신'으로 해놓고 룰 상 인페르니티 취급을 한다고 효과를 넣어놨다.[21] 함정 카드와 비슷하게도 속공 마법은 다른 마법 카드들과 달리, 자신의 턴에 세트해도 바로 발동할 수 없다. 특히 패를 비워야하는 인페르니티의 특성상 쓰기 힘든 편.[22] 예로 인페르니티 리벤저(1)+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3)+인페르니티 데몬(4). 이 셋을 묘지에 보내고 인페르니티 건이나 인페르니티 미라지만 있으면 바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추가 어드밴티지는 덤. 아님 그런 번잡한 짓 할 필요 없이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6) + 인패르니티 비틀(2)로 1턴만에 소환도 가능. 다만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가 상급 몬스터라서 패말림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 때문인지 대부분의 인페르니티 유저들은 전자의 방법을 주로 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허무한 파동, version=11,
title2=인페르니티 미라지,version2=23,
title3=인페르니티 리로더,version3=32,
title4=인페르니티 폰,version4=27,
title5=인페르니티 세이지,version5=20,
title6=인페르니티 드워프, version6=26,
title7=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version7=30,
title8=인페르니티 가디언, version8=22,
title9=인페르니티 데몬, version9=112,
title10=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version10=23,
title11=ZERO-MAX,version11=37,
title12=되돌아온 사신,version12=53,
title13=연옥의 계약,version13=5,
title14=연옥의 가마,version14=14,
title15=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version15=7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0:51:28에 나무위키 인페르니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