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십진수

[ 펼치기 · 접기 ]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분()
(10-1)
()
(10-2)
()/()
(10-3)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섬#jakeun_su()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10구골)
구골플렉시안
(10구골플렉스)




숫자 한자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廿(이십)
(삼십)
(사십)
()


-
-

1(이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생각 념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ネン


일본어 훈독


おも-う



-


표준 중국어


ni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念은 '생각 념'이라는 한자로, '생각', '기억하다' 등의 뜻한다.

, 생각이라는 뜻의 티베트어 ཉམ(nyam)이 기원이 같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생각, 스물

념, 입

중국어
표준어
niàn
광동어
nim6
객가어
ngiam
민동어
niêng
민남어
liām
오어
nyie(T3), nyi(T3)

일본어
음독
ネン
훈독
おも-う

베트남어
niệm

유니코드에는 U+5FF5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ㄋㄧㄢ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INP(人戈弓心)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이제 금)과 음을 나타내는 (마음 심)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강희자전에는 378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이체자로는 唸(U+5538)과 廿이 있다. 여담이지만 廿은 본래 '스물 입'이라는 한자로, 말 그대로 20을 뜻하는 한자이다. 따라서 念이 廿의 갖은자로 쓰이기도 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생각할 고)
  • (생각할 려)
  • (생각할 륜)
  • (생각할 사)
  • (생각 상)
  • (생각할 억)
  • (생각할 유)
  • (생각할 임)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이불 금)
  • 𢻶[⿱今攴](빠를 변, 속할 편)
  • (산뽕나무 염, 마실 음)
  • (그늘 음)[1]
  • 𣲎[⿱今水]/𩚜[⿱今食](마실 음)
  • (탐낼 탐)
  • (머금을 함)
  • 𠇀[⿱今又]
  • 𠉞[⿱今尼]
  • 𪝶[⿱今⿰⿱米又⿱又匕]
  • 𥁌[⿱今皿]
  • 𮊀[⿱今罒]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빨리가는모양 겸)
  • 𥍵[⿰矛念](자랑할 긍)[2]
  • (돌이름 녈)
  • 𥮘[⿱𥫗念](대밧줄 념)
  • (메기 념)
  • 𦁤(밧줄 념)
  • 𤽿[⿰白念](배만드는나무 념)
  • /(비틀 념)
  • (사뿐사뿐걸을 념)
  • (수리할 념)
  • (언덕위에서만날 념)
  • 𩐭[⿰音念](그칠 녑)
  • (막을 녑)
  • 𩋏[⿰革念](발 녑)
  • (비녀 녑)
  • (사랑할 녑/념)
  • 𪌿[⿰麥念](익힌음식 녑)
  • (고할 심)
  • (흐릴 심)
  • 𨡎[⿰酉念]/𨡣[⿱念酉](술맛쓸 염)
  • (나무이름 임, 풀이름 녈)
  • (대추맛들 임)
  • (맛좋을 임)
  • /(익을 임/념)
  • (익힌음식 임, 떡 녑)
  • 𣣈[⿰念欠](신음할 전/점)
  • (신음할 점)
  • (제방 점, 더할 녑)
  • (시험 험)[3]
  • 𡹓[⿰山念](기)
  • (념)
  • 𱍟[⿰与念]
  • 𪞤[⿰冫念]
  • 𭃮[⿰刀念]
  • 𢈸[⿰女念]
  • 𫱁[⿸广念]
  • 𪪆[⿰平念]
  • 𪫶[⿰念⿱⺈丨]
  • 𪯺[⿰方念]
  • 𪺥[⿰片念]
  • 𤚋[⿰牛念]
  • 𫾿[⿰念攴]
  • 𭝌[⿰夫念]
  • 𱠑[⿰手念]
  • 𱢌[⿰日念]
  • 𮞤[⿺辶念]
  • 𭝯[⿰念本]
  • 𢞘[⿱百念]
  • 𪳋[⿰朽念]
  • 𰘬[⿰果念]
  • 𱟔[⿰重念]
  • 𤦬
  • 𬑛[⿰目念]
  • 𧛋[⿰衤念]
  • 𥺴[⿰米念]
  • 𫫞[⿰舌念]
  • 𬠖[⿰虫念]
  • 𱻻[⿰耳念]
  • 𩭮[⿱髟念]
  • 𪑡[⿰黑念]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6:46:2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늘 음)의 고자[2] (자랑할 긍)의 동자[3] (시험 험)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