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자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속자의 반대 개념에 대한 내용은 본자 문서
본자번 문단을
본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한한대사전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
2. 예시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속자()란 한자에서, 정식적인 글자가 아닌, 비정식적인 글자를 말한다. 옛날 국서에는 정자를 쓰면 개인 일기장 같은 곳에는 속자를 썼다. 현대 한글로 비유하자면, 빠르게 속기할 때 ㄹ을 z 모양으로, ㅃ를 ㅂ두개로 쓰지 않고 한번에 쓰는 것 등을 생각하면 쉬울 것이다. 일본신자체중국간체자에서는 정체자가 아닌 속자를 정식 글자로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한자문화권에서는 오히려 정체자보다 속자가 더 잘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를테면 /(바위 암), /(풍성할 풍), /(언덕 부), /(봉우리 봉), /(밀가루 면)이 있다. 한국 또한 巖이 정체자이지만 속자인 岩이 더 자주 쓰인다. 참고로 약자는 속자의 일부분으로 속자 중에서 정자의 획수를 넘지 않는 한자만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간체자약자와 다른 점을 꼽자면 거의 이 둘은 글자 자체를 바꾼 것이지만 속자는 어느 정도 본자의 형태를 유지한다.

와자(/)라고 되어 있는 한자도 있는데 이쪽은 잘못 전해져서 생긴 한자를 이른다.

2. 예시[편집]


巖 ↔ 岩
擊 ↔ 㐿
鄕 ↔ 鄊
學 ↔ 斈
本 ↔ 夲
兪 ↔ 俞
靑 ↔ 青
高 ↔ 髙
冰 ↔ 氷
僞 ↔ 偽

부수(속자 기준)
일반자 ↔ 속자
(한 일) 부
萬 ↔ 万
與 ↔ 与
兩 ↔ 両
竝 ↔ 並
丿(삐침 별) 부
乘 ↔ 乗

(새 을) 부
亂 ↔ 乱

(갈고리 궐) 부
爭 ↔ 争

(두 이) 부
亞 ↔ 亜

(돼지해머리) 부
亭 ↔ 𠅘

(사람 인) 부
令(파일:이체자/令-02.png) ↔ 파일:이체자/令-01.png
會 ↔ 会
來 ↔ 来

(사람인변) 부
佛 ↔ 仏
仞 ↔ 仭
假 ↔ 仮
傳 ↔ 伝
體 ↔ 体
價 ↔ 価
侮 ↔
兪 ↔ 俞
倏 ↔ 倐
僞 ↔ 偽
僭 ↔ 僣
儹 ↔ 儧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5:36:10에 나무위키 속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