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1. 1자 한자어
1.1. 묘(), 무덤
1.2. 묘(渺), 작은 수의 단위
2. 한자
3. 인명
3.1. 묘(MYO), 대한민국의 DJ
3.2. 묘씨(苗), 한국/중국의 희귀 성씨


1. 1자 한자어[편집]



1.1. 묘(), 무덤[편집]


오늘날 무덤을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한자어이다. 묘가 있는 을 '묘지'(墓地)라고 한다. 묘를 만들 곳을 '묫자리'라고 하며 묘를 만드는 행위를 두고 '묘를 쓰다'라고 표현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요근래 화장매장을 넘어서면서[1] 오늘날에는 묘를 쓰는 일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1.2. 묘(渺), 작은 수의 단위[편집]


십진수

[ 펼치기 · 접기 ]
큰 수
작은 수
(/)
(100)
(/)
(101)
(//)
(102)
(//)
(103)
/분()
(10-1)
()
(10-2)
()/()
(10-3)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섬#jakeun_su()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나유타
(1060)
불가사의
(1064)
무량대수
(1068)
...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10구골)
구골플렉시안
(10구골플렉스)




작은 수
(埃)
1/10 배

묘(渺)
1/10 배

(漠)
0.00000000001 = 10-11

, [math(\frac{1}{100,000,000,000})]

작은 수를 나타내는 단위.

2. 한자[편집]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11~106위]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 중 '묘'로 읽는 글자는 다음 5자이다.

  • (토끼 묘)
  • (묘할 묘): 오묘하다, 기묘하다, 신묘하다 등의 용례가 있다. 나머지 글자들이 다 명사적으로, 그것도 의미가 꽤 한정되다 보니 일상에서 보는 '묘'는 이 妙일 때가 많다. '운영의 묘를 찾아야 한다'처럼 '○○의 묘' 식으로도 쓰인다.
  • (무덤 묘)
  • (모 묘): 대표 용례는 묘목(苗木)이다.
  • (사당 묘): 신이나 죽은 사람의 영혼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시설. 종묘(宗廟), 문묘(文廟) 등이 있다. 무덤을 의미하는 '묘(墓)'와 헷갈리지 말자. 쉽게 말해 육신을 묻은 곳은 墓, 영혼을 모신 곳은 廟다. 동아시아 군주의 칭호 중 하나인 묘호의 '묘' 또한 이 묘자를 쓴다.

시간의 단위로 쓰이는 秒()는 본음이 '묘'이나 속음으로 '초'라고 읽는다.

교육용 한자 외 글자 중 유명한 것으로는 (고양이 묘)가 있다. 한자어는 별로 없지만 일상에 흔한 동물이다 보니 '애완묘', '반려묘' 식으로 자주 듣게 된다. 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애완동물이다 보니 개 관련해서 ''()이 쓰이는 것을 '묘'로 바꾼 것이 간간히 보인다. '견주' ↔ '묘주' 등.


3. 인명[편집]



3.1. 묘(MYO), 대한민국의 DJ[편집]


본명은 김효진. 현재 하우스밍과 모티에서 고정 디제이로 일하는 중이다.

카카오TV의 유행 리액션중 트월킹의 주제곡인 호루라기송의 작곡가로 유명하다, 해당 곡 Horurock은 유튜브 조회수 1백만을 찍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3.2. 묘씨(苗), 한국/중국의 희귀 성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묘(성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卯), 로보토미 코퍼레이션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의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묘(Project Moon 세계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8:30:3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0년 9월 통계에서 한국의 화장 비율은 90% 가량에 이르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