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일(수중드론)

최근 편집일시 :


북한이 생산한 미사일 및 어뢰 종류
[ 펼치기 · 접기 ]
단거리
KN-02/화성-11(160km, 220km) · KN-09/KN-16(180km, 200km) · 화성-11나(450km) · 조종방사포/KN-25(250km, 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화성-5·6(340km, 700km) · KN-23(600km, 800km)
준중거리
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1,300km) · 극초음속 2형(2,000km)
중거리
화성-8(극초음속, 3,200km)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대륙간
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
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광명성 3호(2012년 4월, 12월) · 광명성 4호(2016)
SLBM
KN-23 개량 SLBM(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2,500km) · 북극성-4 · 북극성-5
지대공
KN-06 (S-300, HQ-9 기반), KN-07 (S-400, HQ-9 기반)
함대함
KN-01 (실크웜 기반) · 금성 3호 (KH-35 기반)
지대함
KN-18(대함 탄도탄) · KN-19 (지대함 버젼)
어뢰
CHT-02D · PT-97W
미분류
불새-2/3 (9M111 Fagot 기반), 신형 대전차 미사일, KN-12/KN-13
파일:2019 국방백서 북한 미사일.png




《핵무인수중공격정 〈해일〉》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자칭 핵탑재 수중드론


해일-1을 보며 웃고 있는 일자 미상의 김정은

1. 개요
2. 상세
2.1. 해일 수중드론 제원
3. 해일-1
3.1. 1차 시험발사
3.2. 2차 시험발사
4. 해일-2
4.1. 1차 시험발사
5. 평가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23년 3월 24일 북한이 공개한 무기로 북한 주장으로는 핵무기를 탑재한 어뢰 혹은 수중드론으로 알려져 있으며 순항미사일 화살-1형/2형처럼 해일-1형과 해일-2형이 존재하고 있다. 러시아의 포세이돈을 모티브로 개발하고 있는 것이 유력시되고 있다.


2. 상세[편집]




2023년 3월 24일 공표 전까지 외부에 전혀 알려지지 않으며, 개발 정황이 포착하거나 개발 가능성을 거론하는 문헌을 찾아보기도 난감하였다. 김정은은 일찍이 전략무기 5대 과업이라고 하면서 정찰 위성, 고체연료 ICBM과 같은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다섯개 중에 하나가 '핵잠수함 및 수중발사핵전략무기'였다. 북한에서 SLBM을 수중탄도탄이라 하였으므로 서방 및 대한민국에서는 이 '핵잠수함 및 수중발사핵전략무기' 부분을 원자력 추진 잠수함 과 그곳에서 발사되는 SLBM(SLICBM)로 이해하고 있었다.[1] 그런데 추후 북한의 발표 내용에 따르면 이 5대 과업의 '수중발사핵전략무기'는 본 무기를 지칭하는 것이었다.

이후 북한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2012년부터 개발에 착수하면서 이후 자위-2021에서 비공개 보고가 되었으며,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제식명칭이 해일로 확정되었다고 한다.[2] 조선중앙통신 보도문에 따르면 방사능 해일을 발생하리라고 예상하며 작명 의의를 언급하고 있다.

김정은은 이 무기에 대해 무려 29회의 현지지도를 단행하였다고 한다.


파일:해일-1로 지칭한 보도문.png

《해일-1》형으로 지칭한 보도문
2차 시험발사 직후, 이번에는 '《해일-1》형' 이라고 표기하였다. 해일 시리즈를 계속 만들 심산인듯. 북한 미사일 제식 명칭 중 '-1'과 관련하여서는 북극성(미사일)에 대해 동체의 '북극성-1' 표기를 '북극성'으로 바꾸고 '《북극성》'으로 표기한 사례가 있다.

2023년 3월 28일, 조선중앙통신이 김정은이 실전배치하고 있는 전술핵탄두《화산-31》를 시찰하는 모습을 공개하는데 이 탄두를 탑재하는 8종의 무기에 해일이 포함하게 되었다.


2.1. 해일 수중드론 제원[편집]


해일-1 수중드론
길이
6.75 m[3]
지름
0.8 m
탄두
500 kg
탄두 종류
전술핵탄두
추진 방식
디젤엔진, 알칼리형 연료전지방식
최대속도
21노트
잠항심도
100 ~ 200 m
사거리
600 ~ 1,000 km
개발년도
2013 ~ 2023년
해일-2 수중드론
길이
9.6 m[4]
지름
1.0 m
탄두
500 kg
탄두 종류
전술핵탄두
추진 방식
디젤엔진, 알칼리형 연료전지방식
최대속도
21노트
잠항심도
100 ~ 200 m
사거리
1,500 ~ 2,000 km
개발년도
2013 ~ 2023년



3. 해일-1[편집]



3.1. 1차 시험발사[편집]



파일:잠항하는 해일의 모습.png

잠항하는 해일-1의 모습


해당 무기의 시험을 다룬 조선중앙TV의 보도

2023년 3월 21일에 함경남도 리원군에서 발사하면서 59시간 12분의 잠항 끝에 홍원만 수역에서 기폭시켰다고 한다. 잠항심도는 80 ~ 150m였다고 한다.[5]


3.2. 2차 시험발사[편집]



파일:해일 2차 시험 발사.png

해일-1 2차 시험 발사
며칠 뒤 2차 시험 발사를 단행하면서 이번에는 붉은색 도색이 도장한 기체로 알려져 있다.


4. 해일-2[편집]


해일-1형을 공개한지 1개월도 지나지 않으며 《해일-2》형 시험발사를 공개하면서 해일-1형이 시제기라면 해일-2는 실전배치형으로 타당하다.

4.1. 1차 시험발사[편집]



파일:해일-2의 모습.jpg

해일-2의 1차 시험 발사. 검은색 도색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해일-2를 2023년 4월 4일 함경남도 금야군 가진항에서 시험발사를 하면서 71시간 6분간 1,000km 코스를 잠항하면서 4월 7일 오후 함경남도 단천시 룡대항 앞의 모의표적에서 훈련탄두를 명중하는데 성공하였다고 언급하였다.#


5. 평가[편집]


  • 단조로운 수준이지만 추후 고성능 배터리로의 업그레이드, 표적 식별 능력을 탑재하면 더욱 위협적인 무기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발표에 과장과 조작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 사실 이런 평가는 북한의 신무기가 공개될때마다 나타나는 우리 군의 태도라 이상할 것은 없다.
  • 랜드연구소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도 위 합참 발표를 긍정하면서 기존의 잠수정에 무인조종 기능 정도를 탑재한 것이라고 평가절하 했다. 수심이 얕은 황해가 아닌 동해에서 발사된 것이 황해였으면 바닥에 긁히는 등의 문제가 예상되어서라고 보았다. # 다만 북한의 무기 실험은 모두 동해방면에서 한다는 점[6]을 고려하면 타당한 비판인지 의심스럽다.
  • 신승기 한국국방연구원 위원은 해일의 예상최대속도가 30~40km이기에 주요 수상함을 추적해 격추하는 것이 어렵다며, 사전에 해군기지나 항만 인근에 보내 착저시킨 뒤 적절한 시점에 기폭시키는 '자항 기뢰' 용도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북한 잠수함들은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한미연합군 대잠전력에 큰 피해만 입을테지만 해일1,2는 유사시 기습에 활용될 수 있고 탐지 추적될 가능성도 적기 때문에 북한이 원하는 군사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 38노스에서는 합참, 브루스 베넷과 마찬가지로 평가절하했다. 지금까지 공개된 내용만으로는 성능과 진위도 확실히 알 수 없다는 것이 이유. #
  • 주성하 기자는 미국도 가지지 못한 기술을 북한이 제대로 가질 수 있는지는 의심스럽다며 마찬가지로 평가절하했다.다만 미국이 핵수중드론을 개발하지 못하는게 아니라 필요성이 없어서 개발하지 않는 것뿐이라서 타당한 비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6. 기타[편집]


  • 네이선 헌트가 발사 공표 직후 급조한 3D 렌더링이 있다. 상단 틀의 김정은 사진과 흐림 처리한 도면을 바탕으로 제작한 것이다.
  • 해일-1 1차, 해일-1 2차, 해일-2 1차 세 차례의 시험에서 모두 다른 도색을 선보이고 있다. 그만큼 개발 초기 단계로 보인다.
  • LIG넥스원이 개발한 항만감시체계SQR-230K 백룡 ULTASS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 ULTASS가 장거리 조기경보, 항만감시체계가 근거리 조기경보를 통해 해일을 요격하는 방향으로 운용될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 소련은 1955년에 5kt의 수율을 지닌 RDS-5 핵탄두를 장착한 T-5 핵어뢰를 실험했다. 10kt 내외의 화산31 전술핵탄두를 장착한 해일-1/2 어뢰 는 T-5보다는 위력이 강할 것으로 보인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핵 전력과 대한민국의 대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북한의 핵개발
북미 제네바 합의 | KEDO
     
자칭 전술핵 무기
장거리 발사체
북한판 KTSSM
화성-14 | 화성-15 | 화성-17 | 광명성 로켓
잠수함 발사 플랫폼
8.24 영웅함(북극성) | 신포 C급 잠수함(북극성-3, 북극성-4) | 원자력 잠수함(북극성-5, 2022년 공개 SLB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킬 체인 - 선제타격 무기체계
고정표적: 현무-II, 고위력 현무 | 이동표적: 현무-III, 해성-II, 천룡 | 북한 잠수함: 백상어, 홍상어 | 비물리적 공격: 정전탄, 전자기펄스탄
KAMD - 요격 무기체계
주한미군: THAAD | 종말단계 상층: L-SAM | 종말단계 하층: 천궁-II, 패트리어트 | 장사정포: LAMD | 개발중: 레이저무기
대량응징보복 - 2차타격 무기체계
핵억제: F-35,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 타격체계: 현무-II, 현무-III, 현무-IV, 지/함/공대지 고위력 현무, 극초음속 미사일
참수작전: 제13특임여단 (C-130, 특수작전용 CH-47)
기타 대응 전략/작전
대북제재 | 대재래전력 킬체인 | 원자력 잠수함 보유 | SM-3 도입 | 사드 추가 배치 | 핵우산
북한 유엔 축출 | 대한민국의 핵무장 | 전술핵 재배치 | 가상 시나리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5-15 02:13:51에 나무위키 해일(수중드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7:50:06에 나무위키 해일(수중드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러한 인식을 담은 기사로는 통일안보전략연구소의 기고문, #2등을 들 수 있다.[2] 문화어식 문장 부호를 적용하여《핵무인수중공격정 〈해일〉》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인용표를 참조할 것.[3] 추정[4] 추정[5] 대한민국 해군에서 운용하는 Mk.46 경어뢰의 잠항심도는 360m이고 범상어의 경우 최대 900m 이상의 수심에서도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요격은 회피하지 못할 것이므로 기습공격을 위주로 운용될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6] 서해쪽은 당연히 중국과 인접해 있으므로 조중관계때문에 무기실험을 하는게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