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팅 포켓몬/히스이지방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스타팅 포켓몬





1. 개요
2. 입수 방법
3. 특징
4. 기존작에 비해 높은 난이도
5. 목록
5.1. 나몰빼미-빼미스로우-모크나이퍼
5.2. 브케인-마그케인-블레이범
5.3. 수댕이-쌍검자비-대검귀
6. 여담
6.1. 번외: 3스타팅 플레이


1. 개요[편집]


과거의 신오지방, 히스이지방을 무대로 하는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에서는 나몰빼미, 브케인, 수댕이가 스타팅 포켓몬으로 선정되었다.

2. 입수 방법[편집]


게임 시작 후 얼마지나지 않아 라벤 박사가 3마리 중 한마리를 선택해 데려갈 수 있도록 하며, 1회차 엔딩 이후에는 선택하지 않은 2마리 마저도 플레이어에게 준다

3. 특징[편집]


나몰빼미는 섬올빼미(시마후쿠로), 브케인은 화산, 수댕이는 수달(해달)로, 아이누 신화에는 치카프카무이 또는 코톤코르카무이라는 올빼미의 신이 나오며, 아이누는 현재도 활동하고 있는 활화산인 마슈 산을 "카무이누푸리(신의 산)"라고 부르며 숭배했고, 수달을 조물주와 인간을 이어주는 전달자로 여겼으며, 황금 해달을 둘러싼 전쟁을 그리는 서사시가 내려오고 있다고 하는 등, 각 스타팅의 모티브는 아이누들이 믿거나 깊은 관계가 있는 사물 및 동물이다.

특기할 점이라면 이번 작에서 리전 폼을 받은 드레디어, 조로아크, 대쓰여너와 주력기 타입 및 역할이 비슷한데, 때문에 스타팅을 하나 골랐다면, 저 셋 중 하나, 혹은 둘을 골라 보좌용으로 쓰는 게 가능하다[1]

한편 각 스타팅들은 야생에서 시공의 뒤틀림이 발생했을 때 한정으로 등장하고, 4세대 스타팅 포켓몬인 모부기와 불꽃숭이, 팽도리는 일반 야생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포켓몬
(히스이의 모습)
모크나이퍼

(히스이의 모습)
대검귀

(히스이의 모습)
블레이범

(히스이의 모습)
모크나이퍼
타입1


불꽃

타입2
격투

고스트
격투

6세대 때와 마찬가지로 히스이 스타팅 세마리 역시 2차 타입까지 물고 물리는 절대 상성 관계이다. 히스이의 모습 모크나이퍼가 격투 타입으로 히스이의 모습 대검귀의 악 타입을 찌르고 히스이의 모습 대검귀가 악 타입으로 히스이의 모습 블레이범의 고스트 타입을 찌르며, 히스이의 모습 블레이범이 고스트 타입으로 히스이의 모습 모크나이퍼의 격투 타입을 씹는다. 6세대와 비교하면 풀타입과 물타입은 동일하고 불꽃 타입이 에스퍼에서 고스트 타입으로 변경한 것 뿐이다.

주인공 이외에 스타팅 포켓몬을 사용하는 인물도 없고, 1차 엔딩 이후 시작 때 고른 스타팅을 제외한 나머지 스타팅 포켓몬 들도 받을 수 있다.


4. 기존작에 비해 높은 난이도[편집]


특기할 점이라면 시스템의 대거 변경, 타입상의 불리함이 엄청나게 커져서 어떤 포켓몬을 선택하든 이전작의 스타팅 포켓몬들보다 운용 난이도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특히 배틀 시스템 중 경험치 시스템의 변화, 개체치 & 노력치의 사실상 삭제로 인해 기존에 보유한 포켓몬을 육성하기보다는 고레벨 포켓몬을 새로 잡는게 낫기 때문에 스타팅 포켓몬도 중간에 박스행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대신이라면 대신이지만 포켓몬이 모두 쓰러지더라도 게임오버가 되지 않고, 필드에서 기력의 조각을 획득하거나 빠른 이동으로 안전지대로 대피하여 회복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번작 스타팅 포켓몬들의 운용 관건은 초반을 어떻게 버티느냐 가 되시겠다.

5. 목록[편집]



5.1. 나몰빼미-빼미스로우-모크나이퍼[편집]



  • 스토리 난이도:
  • 형태: 물리 또는 쌍두
  • 보좌해줄 수 있는 서브 포켓몬: 윈디, 사마자르, 둥실라이드

비버니와 브이젤, 고라파덕 등 물 포켓몬에게 유리하긴 하지만 처음부터 등장하는 꼬링크도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이번작 초반에는 이상할 정도로 구르기를 쓰는 포켓몬이 많아서, 풀/비행이라는 미진화체의 끔찍한 방어 상성 탓에 시도때도 없이 튀어나오는 구르기에 의문사를 당하는 일이 잦다.

일단 최종진화가 된다면 느리긴 하지만 전용기 3연화살과 리프블레이드로 적들을 터트릴 수 있으며, 특수형으로도 에너지볼, 파동탄, 에어슬래시 등을 배우는 등 풀 자속기와 견제기는 준수하다.

다만 히스이 드레디어라는 경쟁자 때문에 불비달마에게 밀리는 염무왕 신세가 되기 쉽다. 하필이면 7세대에서 원종 모크나이퍼마저도 타타륜이라는 경쟁자때문에 네타거리가 된 적이 있다. 그나마 원종 모크나이퍼는 스토리 성능으로는 타타륜보다 나은 모습도 보였지만 히스이 모크나이퍼는 드레디어에게 스토리로도 밀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거기에 인파이트는 커녕 드레인펀치도 배우지 못하는 것 때문에 우두머리 해피너스 레이드에서도 타 격투 포켓몬에 비해 불리한 모습을 보인다. 같은 타입의 스타팅인 브리가론은 우드해머와 암해머를 위시한 자속기를 충실히 챙겼는데 말이다.

일단 모크나이퍼와 보완이 잘 되는 포켓몬은 윈디, 사마자르, 둥실라이드를 꼽을 수 있는데 둥실라이드는 리전폼 모크나이퍼의 약점인 비행을 10만볼트로, 얼음을 매지컬플레임으로, 독을 사이코키네시스로, 에스퍼를 섀도볼로 카운터 칠 수 있다. 모크나이퍼는 둥실라이드의 약점인 전기를 덜 아프게 맞아줄 수 있고, 바위를 리프블레이드나 삼연화살로 카운터가 가능하다.

기술 가르침으로 쓸만한 것은 섀도크루 정도가 되겠다.

5.2. 브케인-마그케인-블레이범[편집]



  • 스토리 난이도: 중상
  • 형태: 특수, 스피드
  • 보좌해줄 수 있는 서브 포켓몬: 해피너스, 대쓰여너, 드레디어, 토대부기, 엠페르트, 씨카이저, 루카리오 등

히스이 스타팅 중에서 그나마 수월한 편이지만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수월한 것이지 파이리와 뜨아거,냐오불을 제외하면 대부분 불타입 스타팅의 진행이 수월한 다른 시리즈와는 달리 난이도가 꽤 있는 편이다. 지역상으로도 불리한 지역이 두 군데[2]이며, 기술폭 또한 이상하리만큼 물리쪽으로는 다양한데 특수쪽은 반대로 기술폭이 좁으며,[3] 불-고스트 조합 또한 서로 상쇄되는 약점이 없어서 너도나도 쓰는 깨물어부수기에 짤릴만큼 약점 찔리기도 쉬운편. 다만 그만큼 찌르는 폭 또한 넓고, 특수공격도 119로[4] 스타팅들 중에서 가장 좋기 때문에 깡딜이나 견제폭이 부족한 타 스타팅에 비해서 진행이 그나마 낫고, 대체제 측면에서도 불꽃 타입의 숫자가 적어 블레이범의 경쟁자가 적다.[5] 어차피 타 스타팅도 깨물어부수기 못지 않은 견제기에 위협당하는건 마찬가지라서...[6]

선술했듯 특수 기술폭은 좁지만 물리 기술폭은 쓸만한 것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드레인펀치는 어지간해서는 꼭 가르치는 것이 좋다.

5.3. 수댕이-쌍검자비-대검귀[편집]




초반에 약점을 찔리기 일쑤인 다른 두 마리와는 달리 꼬링크 계열만 조심하면 흑요 들판 내내 안정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레벨이 낮을 때부터 아쿠아제트, 칼춤, 물의파동 등을 배워 화력 면에서도 우수하다.

최종진화형인 대검귀(히스이의 모습)는 물/악 타입이다. 물 타입악 타입이 서로 약점을 보완해주지 않아 약점이 5개로 많은 편이지만, 그만큼 내성도 겹치지 않아서 반감 이하로 받는 타입도 7개로 많다. 특히 의외로 자주 마주치게 될 에스퍼 타입, 고스트 타입에게 강력하기 때문에 스토리 내내 활약할 여지가 많다. 종족치는 공격, 방어, 속도 모두에 고루 배분되어 있지만 특수 방어가 65로 약한 편에 속한다. 기술은 전용기인 비검천중파를 필두로 아쿠아테일, 아이언테일, 제비반환, 바위깨기, 시저크로스, 독찌르기, 사이코커터 등의 물리 공격기와 하이드로펌프, 냉동빔 등의 특수 공격기를 배우는데, 기술폭이 넓지는 않다. 특히 전기 타입 상대로는 견제조차 불가능하니 전기 타입을 만난다면 레벨로 압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면 조용히 다른 포켓몬으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일단 물리 기술폭이 넓긴 하나 냉동빔의 성능이 워낙 좋아서 어지간해서는 물리 위주더라도 최소한 냉동빔은 채용하는 쌍두형으로 쓰게 된다.

은근히 격투 타입 포켓몬이나 격투 기술을 배우고 있는 야생 포켓몬들과 NPC들도 많은 편이라 상당한 주의를 요한다. 만나기만 하면 인파이트부터 갈기는 녀석들이 상당히 많아서 한방에 훅 간다. 다만 이건 타 스타팅들도 비슷한 처지로[7] 대검귀만의 문제는 아니다.

6. 여담[편집]



6.1. 번외: 3스타팅 플레이[편집]


히스이의 3스타팅을 초반부터 모으는 것은 시공의 뒤틀림이나 대량발생을 활용해도 불가능해 교환을 통해 저 방법을 통해 여분의 스타팅을 확보하거나 스타팅을 포기한 버전과 교환해야 한다.

일단 3스타팅 간 보완은 준수하고, 블레이범의 스토리 성능은 여전히 뛰어나며 대체제도 초반에는 구하기 힘들고,[8] 대검귀는 대체제가 많은 편이긴 해도 성능도 준수하지만, 모크나이퍼는 종족값은 준수하고 풀 기술도 적절히 배우지만 격투 타입 물리 지속기가 인파이트와 드레인펀치 없이 3연화살 뿐이고, 상위호환 격인 리전폼 드레디어의 존재로 묻히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
, 5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5;"
, 5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4:18:26에 나무위키 스타팅 포켓몬/히스이지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대쓰여너를 뺀 나머지 둘은 해당되는 스타팅 포켓몬과 달리 전형적인 고스핏 죽창몬들이기 때문에 주의.[2] 물타입이 많은 군청해안, 바위나 땅타입이 많은 천관산 기슭. 홍련습지 또한 땅타입의 하마돈 계열이나 진흙폭탄을 쓰는 독개굴 계열 등이 있고 흑요 들판의 왕인 사마자르도 벌레/바위타입이라 불꽃 공격이 상쇄되고 바위에 약점을 찔린다.[3] 이는 원종도 마찬가지로, 원종은 불꽃타입 기술을 제외하면 배울 수 있는 특수기가 잠재파워, 충전이 필요한 솔라빔, 명중률이 낮은 기합구슬, 견제폭이 좁은 신통력 정도밖에 없었다.[4] 메가진화를 제외한 불꽃 타입 스타팅 중 특수공격이 가장 높다.[5] 하지만 그 적은 대체제 중에서 서브 퀘스트를 통해 확정 포획이 가능한 불꽃숭이가 있어서 빛이 좀 바래지는 면도 있다.[6] 대검귀도 온갖 격투 기술에 큰 데미지를 입으며, 모크나이퍼는 한술 더 떠서 에스퍼에도 찔리고 비행에는 4배에 찔려서 비명횡사 하기 십상이다.[7] 블레이범도 흔하디 흔한 구르기나 물기, 깨물어부수기 등에 약점을 찔리며, 모크나이퍼도 최종진화 전에는 비행 타입이라 구르기에 고통받다가 최종진화시 에스퍼 기술에 찔리고 비행에도 이중약점이다.[8] 다만 확정으로 포획이 가능한 불꽃숭이가 서브 퀘스트로 나와서 빛이 좀 바래는 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