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충고등학교 야구부 (r4판)

편집일시 :

2021년 고교야구 주말리그 서울 B 전반기
[ 펼치기 · 접기 ]


2021년 고교야구 주말리그 서울 B 후반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3_r1_400.png
장충고등학교 야구부
(Jangchung High School)
창단1964년
소속 리그서울권
감독송민수
연고구단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우승 기록[1]4회
홈페이지장충고등학교 야구부



대회우승준우승4강
대통령배1회(2006)-1회(1989)
청룡기1회(2020)1회(1994)3회(2011, 18, 22)
황금사자기2회(2006, 07)2회(2010, 12)-
봉황대기-1회(2015)1회(2022)
이마트배-1회(2022)-


1. 연혁
2. 사건 사고
3. 출신선수[2]
4. 둘러보기



1. 연혁[편집]


파일:장충고_야구부_수정.jpg
1964년 창단하였지만, 2005년까지는 쓸 말이 거의 없는 팀이었다. 1980년대 프로야구에서 이름을 날린 유종겸, 양세종 같은 선수들이 이 팀 출신이라지만 정작 이들이 뛸 때는 4강 문턱에 간 적도 없었다. 아니, 지역 예선도 통과를 못해서 봉황대기에 나가 1회전 탈락하던 것이 일상이던 시절이 더 많았다. LG의 프랜차이즈 스타 격인 이종열, 이병규도 이 팀에서 뛰었지만 팀 전력이 약해서 고교 시절에 팀을 우승으로 이끌지는 못했다.


팀의 첫 전국대회 결승 진출은 1994년 청룡기 대회로 투수 유동훈과 타자 홍세완이 이끌던 팀이었다. 결승 전까지 3연속 완투승을 거둔 유동훈의 공로로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이들을 가로막은 벽은 역시나 우승에 한이 맺혀 있던 김선우가 이끌던 휘문고였다. 결국 결승에서 김선우에게 홈런을 맞고, 투수로서는 눌리는 끝에 첫 우승의 기회를 그렇게 날렸다. 그리고 그 뒤로는 또 다시 쭉 존재감이 없거나[3], 다크호스 정도의 위상이 되고 말았다.

반전이 생긴 것은 2003년 유영준 감독이 등장하면서부터였다. 전 직장인 이수중에서 가르치던 제자들을 영입하는데 성공하면서[4] 장충고의 전력은 몰라보게 급상승했는데, 그 제자들과 전학생들[5]을 잘 활용하여 마침내 2006년 대통령배-황금사자기 2관왕을 차지하면서 화려하게 비상하는데 성공했고, 2007년에도 황금사자기를 2연패하는데 성공하며 장충고 최고의 전성기[6]를 일궈냈다. 그 때 전성기를 만든 주인공이 이용찬, 이승우, 이두환, 백용환, 최원제, 김원태, 박민석, 전진호, 김경모 등이었다.

파일:external/dimg.donga.com/7018448.1.jpg
황금사자기 2연패의 주인공들[7]

이 때의 화려한 시기 이후에는 유영준 감독이 2011년 NC 다이노스 스카우트팀으로 이직했고[8], 전력의 부침도 생겼지만, 2010년과 2012년 두 차례 황금사자기 준우승, 2015년 봉황대기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최전성기만큼은 아니어도 건재를 과시했다.

2015년 봉황대기에서 사상 처음으로 봉황대기 결승을 밟았으나 경북고를 상대로 아쉽게 패배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기사

2018년 9월 10일 진행된 KBO리그 2019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재학생 4명과 졸업생(대학 진학) 2명을 합산해 6명의 KBO리그 선수를 배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야구부가 있는 전국 고등학교 중 2019년도 KBO리그 야구선수 최다배출 기록이며, 1라운드 선수 포함 5라운드 이내 상위지명자만 4명에 달한다. #

2020년 청룡기 32강 인창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 7회초까지 5:12로 밀리며 콜드게임패 직전까지 갔으나 7회말에 2점을 뽑으며 기사회생한데 이어 8회말에 대거 7득점을 뽑아내며 14:12로 승리하며 16강에 진출하였고 16강 장안고등학교전에서 7회초 1:2로 지고있다가 또 대거 4점을 뽑아내며 5:3으로 장안고를 꺾고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에서 순천효천고등학교를 10:1 7회 콜드게임승으로 이기며 2년 만에 청룡기 4강에 진출하였고 4강에서 세광고등학교를 상대로 1회에 4득점하여 5:4로 승리하며 창단 2번째로 청룡기 결승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디펜딩 챔피언 유신고등학교를 꺾고 올라 온 광주동성고다. 결승에서는 광주동성고를 9:7로 꺾으며 송민수 감독 부임 후 첫 우승과 함께 13년 만에 메이저 고교야구 우승 타이틀을 차지했다. 특히 청룡기는 창단 첫 우승이다. 봉황대기만 우승하면 4대 메이저 대회를 모두 우승하는 팀들의 하나로 이름을 올린다.협회장기 대회에서는 8강까지 갔으나 8강전 대전고와의 경기에서 연장 접전 끝에 7:8로 패하며 탈락했다.2020년 마지막 대회인 봉황대기에서 16강까지 갔으나 아쉽게도 인상고등학교한테 패하며 탈락했다.

송민수 감독은 유영준 감독 시절 투수코치, 유영준 감독이 NC 다이노스로 떠난 후 감독직을 이어받아 현재까지 감독으로 재임중이며 특히 투수의 혹사에 대해 반감이 심하고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인터뷰 그러나 후술할 일로 일해 이런 평가는 빛을 잃었다.

2022년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는 인상고, 강릉고, 배명고, 덕수고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하였고, 준결승에서는 안산공고를 꺾고 창단 첫 이마트배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충암고를 꺾고 올라온 북일고로 결정되었는데, 2회와 3회, 4회에 각각 1점씩 내며 3:0으로 앞서갔으나 4회 5실점, 5회 3실점하며 3:8로 역전패했다.

2022년 청룡기 32강전에서 경기상고를 7회 콜드 게임으로 꺾었는데 5회에 등판한 이진하가 무려 7타자 연속 삼진을 기록했다. 16강전에서는 덕수고와 맞붙었는데 경기 초반부터 덕수고의 에이스인 심준석을 3이닝도 못채우고 조기강판시켰고 그렇게 덕수고를 11:0 7회 콜드게임승으로 이기며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에서 대구상원고를 격파했으나 준결승에서 충암고한테 패하며 탈락했다.

2022년 대통령배에서는 8강에서 전주고한테 4:5로 패하면서 탈락했다.

2022년 봉황대기에서는 진영고,라온고,대구고를 꺾고 8강에 진출했고 8강에서 덕수고와 맞붙어서 11:12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8강전 접전의 후유증 때문인지 준결승에서 강릉고에 2:10으로 대패했다.

2. 사건 사고[편집]


장장충고 송민수 감독은 2020년 대학교 입시 비리 사건으로 경찰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2023년 2월 혐의없음으로 불송치 결정되었다.


3. 출신선수[9][편집]


출신 선수
이름포지션프로입단경력
이홍범외야수1982년 원년 멤버철도청-한국화장품-OB(1982~1986)
양세종외야수1982년 원년 멤버연세대-제일은행-OB(1982~1990)
이종열내야수1991년 고졸연고자유계약LG(1991~2009)
김현수포수1992년 연습생 입단해태(1992~1993)
이병규외야수1997년 1차지명단국대-LG(1997~2006)-주니치(2006~2009)-LG(2010~2016)
이정훈외야수1998년 2차 12라운드홍익대-현대(1998~2000)
유동훈투수1999년 2차 1라운드성균관대-해태/KIA(1999~2014)
홍세완내야수1996년 2차 11라운드성균관대-해태/KIA(2000~2010)
김성태투수2000년 2차 6라운드현대(2000~2007)-넥센(2008~2014)
이정식포수2004년 2차 2라운드경성대-삼성(2004~2016)
김요한투수2001년 2차 6라운드동국대-KIA(2005~2007)-NC(2012)
오현택투수2008년 육성선수 입단원광대-두산(2008~2017)-롯데(2018~2021)
유희관투수2009년 2차 6라운드중앙대-두산(2009~2021)
김동한내야수2011년 8라운드동국대-두산(2011~2016)-롯데(2016~2020)
김명성투수2011년 1차지명중앙대-롯데(2011~2012)-두산(2012~2016)
이두환내야수2007년 2차 2라운드두산(2007~2011)-KIA(2012)
이승우투수2007년 2차 3라운드LG(2007~2012)-삼성(2013~2015)
이용찬투수2007년 1차지명두산(2007~2020)-NC(2021~)
김경모외야수2008년 2차 2라운드삼성(2008~2015)
김상호내야수2012년 2차 7라운드고려대-롯데(2012~2020)
김종훈투수2012년 육성선수 입단인하대-KIA(2012~2018)
박민석투수2008년 2차 7라운드두산(2008~2014)-NC(2015~2017)
백용환포수2008년 2차 5라운드KIA(2008~2021)-한화(2021~2022)
최원제내야수2008년 2차 1라운드삼성(2008~2018)
강윤구투수2009년 1차 지명넥센(2009~2017)-NC(2017~2021)-롯데(2021~)
김준완외야수2013년 육성선수 입단고려대-NC(2013~2021)-키움(2022~)
이홍구포수2013년 2라운드단국대-KIA(2013~2017)-SK(2017~2020)-kt(2020~2021)
최선호외야수2014년 2차 7라운드동의대-삼성(2014~2021)
신민기외야수2015년 2차 9라운드단국대-LG(2015)
윤영삼투수2011년 2라운드삼성(2011)-NC(2012~2013)-넥센/키움(2014~2020)
서덕원투수2016년 2차 5라운드건국대-KIA(2016~2022)
채상현외야수2016년 2차 8라운드인하대-넥센(2016~2017)
최우석투수2012년 3라운드한화(2012, 2015)
황윤호내야수2012년 10라운드NC(2012~2017)-KIA(2018~2021)
송준석외야수2013년 4라운드삼성(2013~)
원혁재외야수2017년 2차 4라운드홍익대-한화(2017~2019)-천안 메티스(2020)-한화(2022~)
이재록외야수2017년 2차 7라운드연세대-SK/SSG(2017~2021)
조지훈투수2013년 1라운드한화(2013~2020)
김호재내야수2014년 육성선수 입단삼성(2014~)
박찬호내야수2014년 2차 5라운드KIA(2014~)
안도원투수2018년 신고선수홍익대 - 삼성(2018~2021)
이승민포수2018년 2차 6라운드동국대-두산(2018~2020)
구본혁내야수2019년 2차 6라운드동국대-LG(2019~)
박주현투수2015년 2차 3라운드넥센/키움(2015~)
송성문내야수2015년 2차 5라운드넥센/키움(2015~)
권광민투수2016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2022년 2차 5라운드
CHC(2016~2019)-스코어본 하이에나들(2021)-한화(2022~)
양찬열외야수2020년 2차 8라운드단국대-두산(2020~)
김대현내야수2021년 육성선수 입단홍익대-kt(2021~)
양기현투수2017년 2차 2라운드넥센/키움(2017~)
최종은내야수2021년 육성선수 입단중앙대-롯데(2021~)
경우진투수2022년 육성선수 입단제주관광대-단국대-롯데(2022)
성동현투수2018년 2차 1라운드LG(2018~)
최건투수2018년 2차 2라운드KT(2018~2020)-롯데(2021~)
최준우내야수2018년 2차 4라운드SK/SSG(2018~)
김연준투수2019년 2차 10라운드삼성(2019)-고양 위너스(2021)
김현수투수2019년 2차 3라운드롯데(2019)-KIA(2020~)
박민석내야수2019년 2차 5라운드kt(2019~)
송명기투수2019년 2차 1라운드NC(2019~)
이석제투수2023년 육성선수 입단고려대-한화(2023~)
강민수투수2020년 2차 8라운드KIA(2020)
김병휘내야수2020년 2차 4라운드키움(2020~)
박주홍외야수2020년 1차지명키움(2020~)
엄태호외야수2020년 2차 6라운드롯데(2020~)
최동희외야수2022년 2차 6라운드kt(2022~)
최유빈내야수2022년 2차 10라운드SSG(2022~)
신윤호투수2023년 4라운드삼성(2023~)
이민준내야수2023년 3라운드한화(2023~)
이진하투수2023년 2라운드롯데(2023~)
정준영외야수2023년 2라운드kt(2023~)



4. 둘러보기[편집]


}}} ||



}}} ||
[ 펼치기 · 접기 ]
구단 기본 정보1군키움 히어로즈 | 2021년 | 2022년 | 2023년
2군[파일:고양 히어로즈 엠블럼.svg 고양 히어로즈
구단 메인 스폰서키움증권 | 넥센타이어 | 우리담배
구단 전신[파일:우리 히어로즈 엠블럼.svg 우리 히어로즈 | [파일:서울 히어로즈 엠블럼.svg 서울 히어로즈 | [파일:넥센 히어로즈 엠블럼.svg 넥센 히어로즈
구단 역사 정보역사 | 구단 수난사 | 구단 보유 기록 | 역대 감독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트레이드 | 사건·사고 | 상대전적
역대 한국시리즈2014년 한국시리즈 | 2019년 한국시리즈 | 2022년 한국시리즈
구단 세부 정보선수단 | 등번호 | 팀 컬러 | 유니폼 | 팀 응원가(미사용) | 선수 응원가 | 응원단 (김정석, 유재환) | 턱돌이 | 동글이 | 엘키라시코 | 흥참동 | 엘넥한 | 싸융짱문오 | 키나쌩 · 키상바 클럽
지역 연고 학교경기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배명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성남고등학교 | 신일고등학교 | 장충고등학교 |
중앙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충암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제주고등학교
경기장 관련 정보1군고척 스카이돔 | 목동 야구장(이전) | 홈구장 이전 문제
2군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 | NH인재원 야구장 | 강진 베이스볼 파크
팬덤 관련 정보공식 유튜브(큠튜브) | 키움 히어로즈 갤러리 | 영웅신화 | 히어로즈 사랑 영원히 | 슈퍼 히어로즈 | 치어리더



}}} ||
[ 펼치기 · 접기 ]
기본 정보LG그룹 | LG스포츠 | MBC 청룡 | LG 트윈스 | LG 트윈스 2군
주요 인물구단주 구광모 | 대표이사 김인석 | 단장 차명석 | 감독 염경엽 | 주장 오지환
경기장1군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2군 LG 챔피언스 파크
이전 동대문야구장 · 구리 LG 챔피언스 파크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90 | 1994 | 2023
역사 정보구단 역사 | 트레이드 | 1990년 한국시리즈 | 1994년 한국시리즈 | 1997년 한국시리즈 | 1998년 한국시리즈 | 2002년 한국시리즈 | 2023년 한국시리즈 | 역대 감독 | 사건·사고 | 암흑기(453566, 6668587667)
주요 정보팀 특징 | 선수단 | 등번호 | 유니폼 | 팀 응원가 | 응원단장 | 엘튜브 | 치어리더 | 제휴카드
지역 연고경기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배명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성남고등학교 | 신일고등학교 | 장충고등학교 |
중앙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충암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제주고등학교
역대 시즌역대 시즌
현재 시즌LG 트윈스/2024년
영구 결번9 이병규 33 박용택 41 김용수
팬덤 정보LG 트윈스 갤러리 | I love Twins | 유광잠바
라이벌전잠실시리즈 | 엘꼴라시코 | 엘키라시코
기타방화신기 | 간채골 | 보루갈 | 빅5 | 사랑해요 LG | 엘롯기 | 엘넥한 | 엘롯한 | 헬로키티 | 탈쥐효과 | 추격쥐 | 쥐평 | 엘나쌩 · 엘상바 클럽 | 아워게임 : LG트윈스 | 이 팀은 솔직히 | 메가트윈스포 | 용택아 나는 무서운 진실을 깨닫고 말았다
파일:LG 트윈스 워드마크.svg
무적 LG! 끝까지 TWINS!



}}} ||
[ 펼치기 · 접기 ]
순서우승 구단우승 연도우승 횟수
1파일:경남고 야구부_배경제거.png경남고등학교1947년, 1948년, 1949년, 1955년
1967년, 1974년, 2022년
★★★★★★★
7회
2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9_r1_100.png인천고등학교1954년, 1989년★★
2회
3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kax4zrJR1sqk8veo1_250.png동산고등학교1957년, 1988년★★
2회
4-경기공업고등학교[*]1958년, 1962년★★
2회
5파일:경동고등학교 로고.png경동고등학교1959년, 1960년★★
2회
6파일:성동고 야구부.png성동고등학교(해단)1961년
1회
7파일:선린인터넷고.png선린인터넷고등학교1963년, 1966년, 1969년
1980년, 2015년
★★★★★
5회
8파일:성남고등학교 로고_배경제거.png성남고등학교1964년, 1970년★★
2회
9파일:중앙고 로고_배경제거.png중앙고등학교1965년
1회
10파일:경북고등학교 로고.jpg경북고등학교1968년, 1971년, 1979년, 1981년★★★★
4회
11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n8v2LQ4t1sqk8veo4_r1_250.png군산상일고등학교1972년, 1986년, 1999년★★★
3회
12파일:QiXxmjQ.jpg대구상원고등학교1973년, 1998년★★
2회
13파일:smPNVat.jpg개성고등학교1975년
1회
14파일:신일고 야구부.jpg신일고등학교1976년, 1978년, 1987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3년
★★★★★★★★
8회
15파일:D0GcVeV.jpg광주동성고등학교1977년
1회
16파일:MQL5Oe0.png세광고등학교1982년
1회
17파일:FzeX4gI.png광주제일고등학교1983년, 1984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8년
★★★★★★
6회
18파일:ImVr0SY.png전주고등학교1985년
1회
19파일:external/azine.kr/201103281617123257.jpg충암고등학교1990년, 2009년, 2011년★★★
3회
20파일:attachment/baemyunggo_logo.png배명고등학교1992년
1회
21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5_r1_540.png덕수고등학교1994년, 1995년, 2004년
2013년, 2016년, 2017년
★★★★★★
6회
22파일:경기고등학교 투명로고.png경기고등학교2000년
1회
23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7_r2_250.png휘문고등학교2001년
1회
24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n8v2LQ4t1sqk8veo1_400.png북일고등학교2002년, 2012년★★
2회
25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3_r1_400.png장충고등학교2006년, 2007년★★
2회
26파일:서울고등학교 로고 (Another).png서울고등학교2014년
1회
27파일:유신고등학교_로고.jpg유신고등학교2019년
1회
28파일:r542oyv.gif김해고등학교2020년
1회
29파일:his_img0277.jpg강릉고등학교2021년
1회
30파일:부산고등학교 야구부 로고.svg부산고등학교2023년
1회
[*] 학제 개편을 통해 고등교육기관으로 승격하며 해단. 現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
[ 펼치기 · 접기 ]
순서우승 구단우승 연도우승 횟수
1파일:smPNVat.jpg개성고등학교1946년, 1964년★★
2회
2파일:Ag2Mzmf.jpg경남고등학교1947년, 1948년, 1973년, 1976년
1990년, 1998년, 2006년, 2007년
2010년
★★★★★★★★★
9회
3파일:FzeX4gI.png광주제일고등학교1949년, 1988년, 1995년, 2002년★★★★
4회
4파일:QiXxmjQ.jpg대구상원고등학교[1]1950년, 1970년, 1977년
1999년, 2011년, 2015년
★★★★★★
6회
5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9_r1_100.png인천고등학교1953년, 1954년★★
2회
6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kax4zrJR1sqk8veo1_250.png동산고등학교1955년, 1956년, 1957년
1959년, 1966년, 2005년
★★★★★★
6회
7-경기공업고등학교[*]1958년
1회
8파일:경동고등학교 로고.png경동고등학교1960년
1회
9파일:성동고 야구부.png성동고등학교(해단)1961년
1회
10파일:부산고등학교 야구부 로고.svg부산고등학교1962년, 1978년, 1979년★★★
3회
11파일:IPlh5G8.jpg부산공업고등학교1963년
1회
12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1_100.png청원고등학교1965년, 1989년★★
2회
13파일:경북고등학교 로고.jpg경북고등학교1967년, 1968년, 1971년, 1974년
1975년, 1981년, 1993년, 2023년
★★★★★★★★
8회
14파일:선린인터넷고.png선린인터넷고등학교1969년, 1980년★★
2회
15파일:중앙고 로고_배경제거.png중앙고등학교1972년
1회
16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n8v2LQ4t1sqk8veo4_r1_250.png군산상일고등학교1982년, 1984년★★
2회
17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n8v2LQ4t1sqk8veo1_400.png북일고등학교1983년
1회
18파일:서울고등학교 로고 (Another).png서울고등학교1985년
1회
19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5_r1_540.png덕수고등학교1986년, 200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6년
★★★★★★
6회
20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n8v2LQ4t1sqk8veo2_r1_250.png대전고등학교1987년
1회
21파일:nEeEqjt.jpg부경고등학교1991년
1회
22파일:공주고교표.png공주고등학교1992년
1회
23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7_r2_250.png휘문고등학교1994년, 1996년★★
2회
24파일:신일고 야구부.jpg신일고등학교1997년, 1997년★★
2회
25파일:성남고등학교 로고_배경제거.png성남고등학교2000년, 2004년★★
2회
26파일:D0GcVeV.jpg광주동성고등학교2003년, 2018년★★
2회
27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6_r1_250.png대구고등학교2008년
1회
28파일:attachment/baemyunggo_logo.png배명고등학교2017년
1회
29파일:유신고등학교_로고.jpg유신고등학교2019년, 2022년★★
2회
30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3_r1_400.png장충고등학교2020년
1회
31파일:external/azine.kr/201103281617123257.jpg충암고등학교2021년
1회
[*] 학제 개편을 통해 고등교육기관으로 승격하며 해단. 現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8 01:42:02에 나무위키 장충고등학교 야구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4대 메이저 + 협회장기[2] 나무위키에 등재된 선수만. 졸업 연도 순.[3] 1997 ~ 2001년 진동한 감독 시절 당시 전국대회에서 1~2회전 탈락을 주로 경험하기 일쑤였다.[4] 중3 선수와 학부모들이 고등학교 투어를 다닐 때 ''감독님은 참 좋은 분인데 학교시설이 좋지 않다"라는 말을 하며 다른 고등학교로 진학한 사례도 있다고 술회한 바 있다.[5] 오현택과 유희관은 배재고에서 전학, 이승우는 청원고에서 전학, 최원제는 경기고에서 전학하였다.[6] '07년 황금사자기 대회 전에 참가한 무등기에서 우승하였다.[7] 김원태의 끝내기 안타 덕분에 유신고를 결승에서 제압할 수 있었다. 장충 최전성기의 주역 김원태는 경성대 진학을 거쳐 현재 부산공고 코치로 재직중이다. 그리고 이승훈, 김정현과 함께 클락필드, 창원, 부산 을 넘나들며 맹활약 중이다. 일명 장충의 별[8] 스카우트 팀장, 단장, 감독대행을 거쳐 2022년 현재는 고양 위너스 감독으로 재직하고 있다.[9] 나무위키에 등재된 선수만. 졸업 연도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