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21 (r3판)

편집일시 :



파일:서부721번_현대저상.png파일:721_4131.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2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21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가좌동(서부운수기점)종점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뚝도변전소)
종점
첫차04:20기점
첫차05:30
막차22:40막차23:55
평일배차8분주말배차토요일 9분 / 일,공휴일 11분
운수사명서부운수인가대수38대(예비 1대)[1]
노선서부운수기점 - 북가좌2동주민센터 - 북가좌삼호.DMC아이파크아파트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연남동 - 동교동삼거리 - 신촌로터리.현대백화점 - 이대역 - 아현역 - 충정로역 - 서울역사박물관.경희궁 - 광화문 - 종로1가~종로6가 - 동대문역 -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 동대문구청 - 답십리역사거리 - 장한평역 - 능동사거리.군자역 - 어린이대공원.세종대학교 - 건대입구역 - 뚝도변전소


2. 개요[편집]


서부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3.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34번 도시형버스(북가좌동 - 외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동대문 - 외대' 구간이 단축되고 대신 창신동에서 회차하는 걸로 변경되었다. 번호 또한 705번으로 바뀌었다.

  • 300번(강일동 - 서울역)이 폐선되면서 2005년 7월 16일에 건대입구역, 뚝도변전소까지 연장되었고, 권역에 맞춰 번호도 721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연장된 구간은 개편 전 구 59번의 '종로 - 건대입구역' 구간과 동일하다.[2]


4. 특징[편집]


  • 134번 시절만큼은 아니지만 주력 노선으로서 단거리, 장거리 수요를 모두 커버하는 노선으로서 현재도 맹활약하고 있다. 먼저 간선버스 가운데 북가좌동에서 신촌로터리(현대백화점신촌점)을 유일하게 이어주는 노선이며[3], 서울 시내에서 버스 수요가 많기로 유명한 '신촌역 - 아현역 - 종로1~6가' 구간을 270번, 271번, 273번과 함께 다니고 있다. 이후 천호대로에서 370번보다 체감상 좋은 배차간격과, 370번이 충정로역으로 단축된 이후 신촌 구간 수요까지의 부분적 흡수로 인해 수요가 더욱 많아졌다.

  • 한편 구 134번 구간 중 '동대문 - 경희대' 구간은 201번이 대체해주고 있다.[4] 273번이 어느 정도 대체해 준다는 말도 있지만 그 노선의 주력 구간은 '경희대 - 대학로', '신촌 - 대학로'니 성격이 많이 다르다.

  • 한때 건국대학교 방향은 '충정로 - 새문안로' 구간에서 '서대문역사거리.농협중앙회' 정류장을 260번, 273번과 함께 무정차 통과했다. 반대로 북가좌동 방향 운행은 '서대문역사거리.적십자병원', '미동초등학교'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했다. 현재는 새문안로와 종로에 버스중앙차로가 개통되면서 모든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 뚝도변전소에서 U턴한 다음, 광진구의회 앞이나 건대입구역 정류장(스타시티 앞)에서 잠시 쉬었다 간다.

  • 과거 2008년 이전에 운행하던 차량들은 스티커나 씰 등으로 꾸며놓은 경우가 많았으나, 이 차량들이 대차된 이후에는 이런 것이 사라졌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1월 말부터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SNS상으로 이 노선을 언급하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언론에서는 이 버스의 기종점을 분석하며 광진을 출마를 예견하기도. 그리고 실제로 2020년 2월 19일 21대 총선 광진구 을에 출마를 하게 되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2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25,806명-
2014년24,537명▽ 1,269
2015년23,486명▽ 1,051
2016년23,280명▽ 206
2017년22,728명▽ 552
2018년21,892명▽ 836
2019년21,983명△ 91
2020년17,091명▽ 4,892
2021년16,455명▽ 636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종로3가역, 종로5가역, 동대문역, 동묘앞역, 신설동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5]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신설동역[6], 용두역, 건대입구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서대문역[7], 광화문역[8], 종로3가역, 답십리역[9], 장한평역, 군자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 증산역[10]
  •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군자역, 어린이대공원역, 건대입구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가좌역
  •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1] 토요일 29대 / 공휴일 28대 운행[2] 구 59번의 나머지 구간인 연희동 - 광화문(종로1가)은 개편 당시부터 7018번이 담당 중이다. 사실상 59번의 북가좌동 - 종로 구간과 그 나머지 구간으로 이원화.[3] 지선버스 가운데 북가좌동과 신촌로터리를 바로 연결하는 버스로는 7613번, 그리고 거북골로를 반대로 지나는 7713번이 있다.[4] 201번이 경희대로 오기 전까지는 구 1215번이 제기역까지 대체해주었다.[5] 양방향 정차[6] 건대입구역 방향은 동대문우체국.서울풍물시장 하차, 북가좌동 방향은 신설동역.서울풍물시장 하차[7] 서대문역사거리 하차[8] 광화문 중앙차선 하차[9] 답십리역사거리 하차 후 도보[10] 차고지에서 도보 5분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