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60 (r2판)

편집일시 :



파일:360_4072.png
파일:IMG_9161(Seoul_360_2683).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6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60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복정역환승센터)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환승센터)
종점
첫차04:00기점
첫차05:32
막차22:50막차00:22
평일배차5~7분주말배차토요일 6~10분 / 공휴일 7~10분
운수사명한국brt인가대수53대(예비 2대)[1][2]
노선복정역환승센터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 석촌역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새내역 - 잠실종합운동장(종합운동장역)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사거리.논현역 - 고속터미널 - 동작역.국립현충원 -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 노량진역 - 대방역 - 신길역 - 여의도환승센터 → 파크원타워.LG트윈타워 → 여의나루역 → 더현대서울 → 여의도환승센터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한국brt에서 운행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7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 2005년 7월 10일에 영등포로터리 → 영등포역영등포시장 → 영등포로터리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영등포로터리 → 여의도역 → 앙카라공원 → 원효대교남단 → 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 → 여의서로 → 영등포로터리' 구간이 '영등포로터리 → 여의도환승센터 → 여의나루역 → 공작아파트 → 중소기업전시장 → 여의도환승센터 → 영등포로터리'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11월 20일을 기해 본래 4분이던 평일 최소 배차간격이 5분으로 늘어났다.[3]관련 공문

  • 2021년 2월 3일부터 송파공영차고지 앞 도로개량공사로 인해 기점이 복정역 환승센터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이 노선 외에는 테헤란로에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노선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출근시간대에는 그대로 콩나물시루가 연출된다. 역시 각 지하철 노선 사이를 연결하는 경로로 짜인 노선 탓인 듯하다. 하지만 해당 구간이 상시 정체 구간으로 소요시간이 상당하기 때문에 이 때는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소요시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삼성역 - 논현역 구간에서 상당한 시간 소요를 감수해야 한다. 그래도 일단 740번, 341번, 146번과 함께 테헤란로를 꿰는 노선이라는 게 의미가 있다.

  • 서울시 시내버스 중 53대로 가장 많은 차량이 인가되어 있는 노선 중 하나이다[4]. 덕분에 정체가 심할 경우 한 정거장 사이에 3대, 많을때는 한 정거장에 6대씩 있기도 하다!

  • 크리스마스 한정으로 차량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해 놓고 달리기도 했다.[5]

  • 신길동 안쪽과 통하는 6654번과 함께, 신길역과 (영등포역 권역이 아닌)여의도를 오가는 둘뿐인 버스다. 그 외 신길역 1번출구(1호선) 바로 앞 버스정류장에 서는 모든 버스는 '경방타임스퀘어 신세계백화점'(19112), '영등포역'(19006, 중앙차로), '영등포로터리'(19106) 셋 중에 하나로 가는데 모두 약간의 차이뿐 영등포역-영등포시장의 권역이다.

  • 362번과 함께 신반포로현충로여의도를 한 번에 잇는 둘뿐인 버스다. 흑석동 구간에서 여의도 갈 요량으로 탄다면 362번이 노들역, 노량진역과 신길역을 전부 통과하는 만큼 훨씬 낫다. 반대 방향도 마찬가지지만, 1호선 이용을 위해 갈아탈 생각이라면 대방역과 연계되는 362번이 낫다.

  • 한때 평일 출퇴근시간대 한정으로 급행버스인 8360번을 운행했다. 테헤란로로 가지 않고 강남구청과 압구정역을 거쳐 올림픽대로로 진입해 여의도까지 운행했으며 남성교통, 동성교통과 함께 공동배차로 운행했다. 2009년 12월 21일에 폐선되었다.

  • 운행 속도가 상당히 느린 편이다.[6] 대부분 차들이 가리지 않고 저속 운행을 하는 편이다.

  • 362번과 고속터미널 - 흑석동 구간과 삼성역 - 장지역 구간이 완벽히 겹친다. 그리고 이 두 노선의 회차지점은 같은 여의도지만, 정작 여의도에서는 만나지 않는다. 심지어 여의도에서 두 노선이 교차하는 곳도 없다. 이는 360번이 환승센터 및 여의나루역을 돌아서 회차하지만 362번은 352번 단축 이전 때와는 다르게 철저하게 의사당대로로만 다니기 때문이다.

  • 여의도공작아파트 또는 신길역 방향 여의도공원에서 기사분들 잠시 휴식을 취한다. 차고지 방향으로 갈 때 유의하자.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60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32,219명-
2014년30,869명▽ 1,350
2015년28,963명▽ 1,906
2016년28,350명▽ 613
2017년29,428명△ 1,078
2018년29,756명△ 328
2019년28,772명▽ 984
2020년22,349명▽ 6,423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60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회차
여의도공작아파트
19160
여의나루역
19139
현대백화점
19282
LG트윈타워
19284
여의도환승센터
19008 · 19007
여의도공원
19152
전경련회관
19161
신길역
19279
-
신길역1호선
19300
신길역
19225
신길새마을금고
19226
신길새마을금고
19227
대방역
19296
대방역
19254
현대아파트
20007
현대아파트.유한양행
20008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
20009
노량진수산시장.CTS기독교TV
20010
노량진역
20011
노량진역
20012
노들역
20013
노들역
20014
동작실버센터입구
20251
-
흑석동효사정앞
20123
흑석동효사정앞
20124 · 20660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20126
흑석역.명수대현대아파트
20127
비계
20129
비계
20130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
20132
흑석동한강현대아파트
20131
동작역.국립현충원
20133
동작역.국립현충원
20134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4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3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2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1
고속터미널
22020
고속터미널
22019
반포역
22018
반포역
22017
논현사거리.논현역4번출구
22190
논현사거리.논현역5번출구
22183
논현역
22013
논현역
22014
지하철2호선강남역
22011
지하철2호선.강남역
22012
강남역.역삼세무서
23287
강남역12번출구
23284
역삼역.포스코P&S타워
23288
역삼역
23283
한서병원
23305
아가방빌딩.하나은행
23280
한국자산신탁.르네상스호텔
23306
서울상록회관.한국기술센터
23277
선릉역
23295
선릉역
23288
포스코사거리
23260
포스코건너편
23217
한국무역센터.삼성역
23251
한국무역센터.삼성역
23201
강남경찰서.강남운전면허시험장
23473
강남경찰서면허시험장
23196
잠실종합운동장
24154
잠실종합운동장
24144
종합운동장사거리
24157
종합운동장사거리
24143
잠실새내역4번출구
24158
잠실엘스아파트앞
24142
잠실트리지움아파트앞
24145
잠실새내역.잠실2동주민센터
24141
-
잠실5단지
24139
잠실역.롯데월드
24146
잠실역.롯데월드
24138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4
석촌호수.한솔병원
24003
석촌역
24006
석촌역
24005
송파역
24008
송파역
24007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10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09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012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011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24014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24013
장지역.가든파이브
24016
장지역.가든파이브
24015
복정역 · 복정역환승센터3번승강장
24658 · 24503


5. 연계 철도역[편집]




[1] 토요일 37대 / 공휴일 34대 운행[2] 예비차 한대는 N13번, N37번과 같이 사용한다.[3] 단, 평일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4] 또 다른 노선은 143번.[5] 신성교통 계열 버스들이 대개 이런 경향이 있는데, 제일여객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한국brt도 이 영향을 받은 듯하다.[6] 올림픽로에서 차 없는데 최대 40km/h에 놓고 달리는 건 일상. 이건 KD보다 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