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선(정치인)

덤프버전 :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강원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종현
제2대
양성봉
제3대
최규옥
제4대
최헌길
제5대
김장흥
제6대
서정학
제7대
홍창섭
제8대
심상대
제9대
유기준
제10대
이창근
제11대
박영록
제12대
이규삼
제13대
이용
제14대
박경원
제15대
엄병길
제16대
정상천
제17대
최종완
제18대
정석모
제19대
박종성
제20대
김무연
제21대
김성배
제22대
박종문
제23대
김형배
제24대
김주호
제25대
김영진
제26대
이상룡
제27대
한석용
제28대
함종한
제29대
이상룡
제30대
안경진
제31대
최각규
제32-34대}}}김진선
제35대
이광재
제36-38대}}}최문순
제39대
김진태
파일:강원도 민선 8기 도정구호 글자만.svg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고건
서울시장
제2대
이명박
서울시장
제3대
김진선
강원지사
제4대
허남식
부산시장
제5대
박준영
전남지사
제6대
김관용
경북지사
제7대
박맹우
울산시장
권한대행
최문순
강원지사
제8대
이시종
충북지사
제9대
유정복
인천시장
제10대
최문순
강원지사
제11대
김관용
경북지사
권한대행
이시종
충북지사
제12대
박원순
서울시장
제13대
권영진
대구시장
제14·15대}}}송하진
전북지사
임시회장}}}홍준표
대구시장
제16대
이철우
경북지사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원도 강릉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최돈영
제2대
이기재
제3대
김남형
제4대
김순권
제5대
한동석
제6대
이상혁
제7대
김동석
제8대
김남형
제9대
김형기
제10대
이상혁
제11대
김영진
제12대
서명택
제13대
이창석
제14대
김정명
제15대
김명한
제16대
정연상
제17대
손주용
제18대
조성운
제19대
안명필
제20대
김광원
제21대
전영호
제22대
안재헌
제23대
김진선
제24대
최승호
제25대
이대근
제26대
권혁신
제27-29대}}}심기섭
제30-32대}}}최명희
제33대
김한근
제34대
김홍규
파일:강릉시 브랜드.svg



파일:부천시 CI_White.svg
경기도 부천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유석보
제2대
박제혁
제3대
한양수
제4대
박제혁
제5대
지헌정
제6대
이해재
제7대
이의근
제8대
임경호
제9대
정태수
제10대
허태열
제11대
전창선
제12대
이상용
제13대
조건호
제14대
김진선
제15대
이해선
제16-17대}}}원혜영
제18-19대}}}홍건표
제20-21대}}}김만수
제22대
장덕천
제23대
조용익
파일:부천_시정구호(민선8기_통합도시브랜드).png



파일:강원도 휘장.svg 강원도 부지사
최각규 도정
민선도정출범 20대
김진선
개편[1]
파일:강원도 휘장.svg 강원도 행정부지사
최각규 도정 김진선 도정
개편 초대
김진선
[2]
2대
임무룡

파일:영월군 CI.svg 강원도 영월군수
임명직임명직임명직
제36대
김의환
제37대
김진선
제38대
안구순

[1] 행정부지사 김진선
정무부지사 남동우
[2] 강원도지사 출마를 위해 사퇴

제32-34대 강원도지사
김진선
金振兟 | Kim Jin-Seon
파일:E1B0270D-21C3-48AD-95F2-0CBAE8735F05.jpg
출생1946년 12월 3일[1] (77세)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 송정리
(現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2]
본관강릉 김씨[3]
중선(重先)
가족아내 이분희[4], 슬하 1남 2녀
재임기간제32-34대 강원도지사
1998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링크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블로그
[ 펼치기 · 접기 ]
종교개신교불교
학력북평중학교 (졸업)
북평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행정학 / 학사)
병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소속 정당
[[무소속|
무소속
]]
경력제15회 행정고시 합격
강원도 영월군수(관선)
강원도 강릉시장(관선)
강원도청 기획관리실장
내무부 지방행정연수원 교수부장
경기도 부천시장(관선)
강원도 행정부지사
제32-34대 강원도지사
전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강원 FC 구단주
대통령비서실 지방행정특별보좌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율곡연구원 이사장
제18대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 위원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46년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 송정리[5]에서 아버지 김봉경(金鳳卿)과 어머니 영양 남씨 남좌영(南佐榮)의 딸 사이의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북평중학교, 북평고등학교(14회), 동국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관선 영월군수, 강릉시장, 부천시장 등을 역임하였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강원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원주시 출신의 자유민주연합 한호선 후보, 춘천시 출신의 무소속 이상룡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 후보로 강원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6월 30일자로 3선, 12년간의 도지사 활동을 마치고 퇴임하였으며, 이는 전국의 광역단체장 중 최장 기간 재임이다.[6]

이후로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에서 관계자에 따르면 문체부와 갈등 중에 김종 전 문체부 차관에 의해 일방적으로 잘려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JTBC 뉴스룸 단독보도에 따르면 당시 김종 전 문체부 차관과 갈등이 있었던 것이다.# 후에 구속된 우병우가 증언하길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로 김진선 당시 조직위원장을 사찰했다고 하는데, 당시 박근혜의 대통령 취임준비위원장도 맡았던 측근 인사인 김진선을 사찰한 이유에 대해서 최순실과 관련돼 있다는 매우 신빙성 높은 의혹이 제기됐다. 최순실이 평창 올림픽 관련된 이권에 개입하려 하자 김진선 위원장이 말도 안된다며 요구를 수용하지 않자 최순실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나쁜 사람' 운운하며 찍어낼 것을 종용했다는 의혹이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새누리당 공천 경선에서 현역 국회의원염동열에 밀렸다[7]. 이에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그러나 새누리당 염동열 후보에 근소한 차이로 밀려 낙선하였다.[8]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강원도지사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8,559 (39.37%)당선 (1위)초선
2002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468,987 (71.11%)재선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71,613 (70.56%)3선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강원 태백·영월·횡성·평창·정선
[[무소속|
무소속
]]
42,832 (39.49%)낙선 (2위)[9]


4. 둘러보기[편집]



>
대한민국 민선 3기>
광역자치단체장
[ 펼치기 · 접기 ]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
이명박허남식[1]조해녕안상수박광태
대전울산경기강원충북
염홍철박맹우손학규김진선이원종
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
심대평강현욱박준영[2]이의근김태호[3]
제주
김태환[4]
[1] 전임자 안상영 사망 (2004.2.4)[2] 전임자 박태영 사망 (2004.4.29)[3] 전임자 김혁규 사퇴 (2003.12.15)[4] 전임자 우근민 지사직 상실 (공직선거법 위반) (2004.4.27)


>
대한민국 민선 4기>
광역자치단체장
[ 펼치기 · 접기 ]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
오세훈허남식김범일안상수박광태
대전울산경기강원충북
박성효박맹우김문수김진선정우택
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
이인화[1]김완주박준영김관용김태호
제주
김태환
[1] 권한대행, 전임자 이완구 사퇴 (2009.12.3)

[1] 음력 1946년 11월 10일. 그러나 강릉 김씨 대동보에는 10월 8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2] 인근의 단봉동·용정동·이도동과 함께 강릉 김씨 집성촌이다. 전직 국회의원인 김진구·김진만 형제와 김준기 DB그룹 창업주·김택기 전 국회의원 형제도 이 마을 출신이다.[3] 대보공-평의공-회정공파. 37세 진(振) 항렬. 인터넷족보[4] 1953년생. 전주 이씨다.[5]동해시 송정동[6] 같은 3선이지만 이의근, 심대평의 경우 민선 1기의 임기가 3년이라서 11년이며, 박맹우도 임기 종료 3개월을 남기고 보궐 선거에 출마하여 12년에서 모자란다. 박원순, 최문순은 초선이 보궐 선거이다. 김관용경상북도지사가 이 기록을 두 번째로 달성했다. 이시종충청북도지사가 이 기록을 세 번째로, 그리고 민주당계로서는 최초로 달성하는 금자탑을 세웠다.[7] 공천에서 밀린 이유에 대해서는 전술한 박근혜 및 최순실과의 갈등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 물론 확인된 사안은 아니기 때문에 검증이 필요하다.[8] 태백, 정선, 횡성에서는 이겼지만 평창에서 염동열 몰표가 나와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9] 4번의 선거 중 첫 낙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진선 문서의 r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진선 문서의 r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1 21:13:19에 나무위키 김진선(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