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덤프버전 : (♥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太白市·橫城郡·寧越郡·平昌郡·旌善郡
Taebaek–Hoengseong–Yeongwol–Pyeongchang–Jeongseon
||
파일:국회선거구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svg
선거인 수216,350명 (2016)
상위 행정구역강원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태백시 전역
황지동, 황연동, 삼수동, 상장동, 장성동, 철암동, 구문소동, 문곡소도동

횡성군 전역
횡성읍, 우천면, 안흥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서원면, 강림면

영월군 전역
영월읍, 상동읍, 북면, 남면, 중동면, 주천면, 한반도면, 김삿갓면, 무릉도원면

평창군 전역
평창읍, 미탄면, 방림면, 대화면, 봉평면, 진부면, 대관령면
정선군 전역
정선읍, 고한읍, 사북읍, 신동읍, 남면, 화암면, 여량면, 북평면, 임계면
신설년도2016년
이전 선거구홍천군·횡성군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이후 선거구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국회의원
ta-hash-start=w-1a2d4440e811095c06073e6671536a68[[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염동열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강원도 태백시,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을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


2. 역사[편집]


17대 ~ 19대 총선20대 총선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홍천군·횡성군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본래 횡성군은 홍천군·횡성군 선거구에 속해 있었고, 나머지 4개 군이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이라는 하나의 선거구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획정에서 홍천군·횡성군 선거구가 인구 하한선에 미달하자, 홍천군·횡성군 선거구를 해체하여 홍천군은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선거구에, 횡성군은 기존의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에 합쳤다

이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구 삼척군 영역과 정선군을 붙여서 동해시·태백시·삼척시·정선군 선거구를 만들었고, 나머지와 홍천군을 붙여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선거구가 되었다.

3. 특징[편집]


  • 면적은 5112.3㎢로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선거구(5969.9㎢) 다음가는 매머드급 선거구다. 이 2개 선거구가 강원도 전체 면적의 65.7%를 차지한다.
  • 선거구 통합 이전인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는 보수세가 강한 강원도 치고는 의외로 민주당계 인사가 꽤 당선된 지역이다. 17대·18대 이광재2010년 재보선[1]에서 최종원이 민주당 간판으로 당선되었다.

4.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역대 태백시, 정선군, 영월군, 평창군, 횡성군의 국회의원
총선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15대박우병
ta-hash-start=w-1df8797177fc3b52be6784aacca7358c[[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태백시·정선군
김기수영월군·평창군
이응선홍천군·횡성군
16대김택기
ta-hash-start=w-8710ef761bbb29a6f9d12e4ef8e4379c[[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태백시·정선군
김용학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영월군·평창군
유재규
ta-hash-start=w-42895ec5cf4e1fda9f36bb868632ecfd[[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천군·횡성군
17대이광재
ta-hash-start=w-b56368e10e060224abbacddff7dc6c6a[[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조일현홍천군·횡성군
18대이광재
ta-hash-start=w-db90e948252c7d1753efe6fc9612dabe[[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4월 28일.
의원직 사퇴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최종원
ta-hash-start=w-5152b6ca192c7c14bc740c30954cadb9[[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29일
~ 2012년 5월 29일
황영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홍천군·횡성군
19대염동열
ta-hash-start=w-2ce9720c5c3e356872eeb038a5c417c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황영철홍천군·횡성군
20대염동열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4.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 일원[태백], 횡성군 일원[횡성], 영월군 일원[영월]
평창군 일원[평창], 정선군 일원[정선]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염동열(廉東烈)44,1911위

ta-hash-start=w-55ec8d9d8b7c0c29cec5a0edf1f853f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0.74%당선
2장승호(張升豪)21,430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75%낙선
5김진선(金振兟)42,8322위

무소속

39.49%낙선
선거인 수184,541투표율
59.76%
투표 수110,226
무효표 수1,773

총선 전 새누리당 염동열 의원과 김진선 전 강원지사의 공천 대결은 김 전 지사가 컷오프되면서 염 의원 승리로 끝이났지만 결과에 승복하지 못한 김 전 지사가 탈당하여 본선에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다. 결국 2강 구도 속에 현역 염동열 의원이 간신히 1.3%차로 신승을 가져가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7:43:26에 나무위키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광재 의원이 강원도지사 도전을 위해 의원직을 사퇴하자 치루어진 선거다.[태백] 황지동, 황연동, 삼수동, 상장동, 장성동, 철암동, 구문소동, 문곡소도동[횡성] 횡성읍, 우천면, 안흥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서원면, 강림면[영월] 영월읍, 상동읍, 북면, 남면, 중동면, 주천면, 한반도면, 김삿갓면, 무릉도원면[평창] 평창읍, 미탄면, 방림면, 대화면, 봉평면, 진부면, 대관령면[정선] 정선읍, 고한읍, 사북읍, 신동읍, 남면, 화암면, 여량면, 북평면, 임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