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M174

덤프버전 :

XM174
Launcher, Grenade, 40mm, Low-Velocity, Automatic, XM174


파일:xm174_promotional 0.jpg

XM174E2
종류
유탄발사기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펼치기 · 접기】
이력
역사
1969년~1970년대
개발
에어로젯 오드넌스 매뉴팩처링
개발년도
1964년~1967년
생산
에어로젯 오드넌스 매뉴팩처링
생산년도
1967년
생산수
10정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사용된 전쟁
베트남 전쟁
기종
파생형
XM174E1~3
제원
탄약
40×46mm
급탄
12발 드럼형 탄창
작동방식
반동작용식
총열길이
254mm
전장
712mm
중량
7.70kg(삼각대 포함)
7.25kg(삼각대 제외)
탄속
76m/s
발사속도
분당 350발
최대사거리
400m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출처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XM174는 에어로젯 사에서 개발된 미군의 시험 제식형 40mm 유탄발사기이다.


2. 역사[편집]



1971년 미합중국 공군 군사경찰의 XM174[1]

1964년 미합중국 육군에서는 보병 단위의 운용에 적합해진 40×46mm 탄약을 지속 발사시킬 수 있는 중화기로서의 유탄발사기 도입 사업이 진행되었는데, 여기에는 각종 로켓미사일 추진장치 개발로 유명한 에어로젯 사의 군사 부문에서 제출된 M1919A4 기반의 설계안이 다른 7개 회사들과의 경합에서 최종 선정되었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난 1967년에는 미합중국 육군의 스프링필드 조병창록 아일랜드 조병창의 협업과 감독 속에 여러번의 개량을 거쳐 XM174 시험 제식명이 부여됨과 동시에 납품 계약이 맺어졌으며,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았음에도 M60보다 가볍다는 장점 덕분에 개머리판 부착을 통한 휴대형 전환과 차량 탑재까지 고려되기도 했다.

베트남 전쟁이 끝나갈 무렵인 1969년에 이르러서야 고작 10정만이 베트남 현지로 보내져 미합중국 육군, 미합중국 해병대, 미합중국 공군 일부 부대에서 성능 시험에 쓰이기 시작했지만, 걸핏하면 고장을 일으키는 드럼형 탄창의 낮은 내구성 문제나 지원 화력용으로는 부족한 유효사거리 등의 혹평을 받은데다 얼마 지나지 않아 미합중국 해군 루이빌 병기창(NOSL)에서 내놓은 Mk.19로 관심이 옮겨지면서 정식 운용은 결국 물거품이 되었다.


파일:xm174e1_promotional 0.webp

XM174E1 선전 사진

그대신 1975년의 사이공 함락으로 그동안의 주적이었던 베트남 인민군에게 넘어가면서 1970년대까지 쓰인 것으로 보이며, 미국 본토에서도 곧바로 단종되지 않고 1976년까지 XM174E1에서 XM174E3까지의[2] 개량과 홍보가 계속 이어졌음에도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3. 특징[편집]



파일:xm174_drawing.jpg

XM174의 설계도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널리 쓰인 M1919A4가 바탕인 만큼 삼각대 결합은 물론, 지향 사격 자세로도[3] 사격이 가능하다. 반자동 발사 기능이 추가되긴 했지만 탄띠가 아닌 본체 왼쪽에 부착되는 12발 들이 드럼형 탄창의 재질이 빈약한 탓에 반동 또는 외부 충격으로 손상되기 쉬워 탄걸림 증상이 잦았고 안전장치 조정간은 멋대로 해제되기 일쑤여서 오발 사고의 위험성도 컸다.


4. 출처[편집]




5. 둘러보기[편집]


냉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1903A1, M1903A4, M1917, M70, M4, MA-1, M40, M40A1, M24 SWS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M21 SWS
자동소총
M1918A2, M2 Carbine, M1946, M14, M15, AR-10B, SPIW(Springfield SPIW, AAI SPIW), M16, Mk.I A, GAU-5, M16A1, AR-18, GUU-4/P, XM19, XM70, LMR, M231, M16A2, ACR, G11K2
기관단총
M1928A1, M1A1, M3, M3A1, M6, TRICAP
산탄총
M12, M11-48, M37, M870, M1100, M1200, M500, M520, M590, M6 ASW, H&K CAWS, AAI CAWS, S&W CAWS, Jackhammer, AA-12, MIWS
권총
리볼버
M10, M13, M1909, M1917, M1927, M15
자동권총
M1903, M1911A1, M9
기관권총
SCAM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HK23A1
다목적기관총
M1919A4, M1919A6, M37, M73, M60, M134, M240, XM214
중기관총
M1917A1, M2, M2HB, EX-17, M85, GAU-19
유탄발사기
M79, X-1, XM148,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T148E1, XM174
로켓발사기
M20, M72 LAW, M202 FLASH, Mk.153, RAW
미사일발사기
MGM-21, MGM-32, FIM-43, M47, BGM-71, FIM-92
무반동총
M18, M20, M28, M29, M67, M40, M136
화염방사기
M2, M9A1-7
박격포
M2, M19, M29, Mk.2, Mk.4, M224, M252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500, RC-50, M86, M88
반자동소총
G3/SG1, M82
자동소총
CAR-15, XM177E1, XM177E2, M653, M723, M733
기관단총
M76, MAC-10, MPL, MPK, UZI, M635, MP5A3, MP5SD3, MP5-N, MP5SD-N, HK54A1
권총
리볼버
M66, QSPR, M686, GS32-N
자동권총
HDM, Mk.1, Mk.2, Mk.22, PPK, P9S-N, P11, M45, P226
산탄총
Masterkey, M7180, M7188
기관총
Mk.23, EX-27, HK21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총류탄
M7
화학탄
M7A3, M14, M18, M25, M34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37, M039, M112, M118, M183
냉병기
총검
M6, M7, M9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7 15:30:10에 나무위키 XM17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상단에 M706 장갑차가 있다.[2] 자세한 변경 사항에 대해서는 불명이나, 미합중국 해병대자체 재고번호(LSN)는 남겨져 있다.[3] 명예 훈장 수훈자 존 바실론과달카날 전역에서 활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