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대륙


·
·
·
아시아
유럽(구라파)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국가
·
·
·
[1]
· ·

[2]
남한(한국)
북한(조선)
중국
중화민국(대만)[3]
일본

·


·
몽골(몽고)
미국
영국
캐나다(가나다)
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


프랑스(불란서)
독일
오스트리아(오지리)
이탈리아(이태리)
네덜란드(화란)
西

·


스페인(서반아)
포르투갈(포도아)
러시아(노서아·아라사)
인도
인도네시아(인니)
· ·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비율빈)
베트남(월남)
이집트(애급)

·


·
폴란드(파란)
아일랜드(애란)
덴마크(정말)
스웨덴(서전)
노르웨이(나위·낙위)




·
그리스(희랍)
핀란드(분란)
남아프리카공화국
벨기에(백이의)
헝가리(흉아리·홍아리)
西


西

스위스(서서)
튀르키예(토이기)
멕시코(묵서가)
브라질(파서)
아르헨티나(아근정)
사라진 나라

·



가야
고구려 · 고려
백제
신라
조선





로마 제국(대진)
소련
프로이센

류큐
지명

滿



아시아태평양
만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모스크바
베를린
로마
런던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고울 려, 나라 이름 리

부수
나머지 획수


鹿, 8획


총 획수


19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レイ


일본어 훈독


うるわ-しい, うら-ら, うら-らか






표준 중국어


lí, l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여담



1. 개요[편집]


麗는 '고울 려'라는 한자로, '곱다', '아름답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鹿(사슴 록)을 써서 뿔 부분을 강조한 사슴의 모습을 나타낸 글자이다. '아름답다'라는 뜻을 가질 때는 거성으로 읽고, '고려', '고구려'의 구성자로 쓰일 때는 평성으로 읽는다.

세종대왕은 1443년 한글을 창제하고 2년 뒤인 1445년 그 한글로 된 첫 책 ‘용비어천가’를 완성한다. 조선왕조의 창업을 기린 용비어천가 제6장에 ‘麗運이 衰ㅎ、거든’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고려의 운이 다 쇠퇴하였음으로’라는 뜻의 이 표현에 한문주석이 달려 있다. ‘麗音离高麗也.’ ‘麗는 리(离)로 발음하고 高麗를 말한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고려’로 읽지 말고 ‘고리’로 읽으라는 소리다.

연암 박지원은 1780년 청나라 사행단을 따라 다녀온 뒤 쓴 ‘열하일기’에서 ‘고린내가 난다’는 우리말 표현이 중국인이 고려를 비하하려고 쓰기 시작한 ‘高麗臭’라는 한자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우리는 악취가 난다는 뜻의 형용사 ‘고리다’ 역시 고리라는 나라 이름에서 유래했을 개연성을 엿보게 된다. 어쩌면 ‘고리타분하다’는 말도 조선시대 들어 고려시대를 비하해 쓰던 표현이 굳어진 것일 수 있다.(고리적, 고리타분하다, 고린내)

때문에 한자 자전들을 보면 나라 이름 리라는 훈음이 제시되어 있다.

한국 내 기록들만이 아니라, 당나라, 송나라 시대에는 麗 자의 발음은 '려'에 가까워져서, 당대에 쓰인 사서에서 고구려의 이름을 표기할 때는 항상 주가 붙어서 리로 발음하라고 써 있다.[1]

그러나 전자의 설만을 토대로 고려의 원래 발음이 '고리'라고 추정하는 것은 어렵다. 《삼강행실도언해(1481)》 등 동시대에 간행된 다른 한글 서적에는 고구려와 고려의 이름이 한글로 '고구려', '고려'라고 분명히 적혀있다. 조선후대의 《오륜행실도(1797)》 등에도 한글로 '고려적', '고려'라고 적힌 표기가 있어 한글 '고려'표기가 이어지는 것은 마찬가지다. 따라서 '고구려', '고려'라는 발음 역시 상당한 역사성이 있는 것은 분명하며, 전술한 사례만으로 '고구리'라는 음가만이 정당한 발음이라고 제시하고 이를 단정하거나, 나아가 현대에 통용되는 발음까지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는 위험한 일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금생여수()[2]
  • 미사여구()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5. 여담[편집]


HSK 4급에 출제되는 한자이다. 2021년 중국공안부의 인명통계에 따르면 외자이름을 쓰는 국민중에 다섯 번째로 흔한 이름이 丽이며 99%이상이 여자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6:45:0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高句麗'와 '高麗'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2] 천자문의 11번째 구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