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대륙


·
·
·
아시아
유럽(구라파)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국가
·
·
·
[1]
· ·

[2]
남한(한국)
북한(조선)
중국
중화민국(대만)[3]
일본

·


·
몽골(몽고)
미국
영국
캐나다(가나다)
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


프랑스(불란서)
독일
오스트리아(오지리)
이탈리아(이태리)
네덜란드(화란)
西

·


스페인(서반아)
포르투갈(포도아)
러시아(노서아·아라사)
인도
인도네시아(인니)
· ·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비율빈)
베트남(월남)
이집트(애급)

·


·
폴란드(파란)
아일랜드(애란)
덴마크(정말)
스웨덴(서전)
노르웨이(나위·낙위)




·
그리스(희랍)
핀란드(분란)
남아프리카공화국
벨기에(백이의)
헝가리(흉아리·홍아리)
西


西

스위스(서서)
튀르키예(토이기)
멕시코(묵서가)
브라질(파서)
아르헨티나(아근정)
사라진 나라

·



가야
고구려 · 고려
백제
신라
조선





로마 제국(대진)
소련
프로이센

류큐
지명

滿



아시아태평양
만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모스크바
베를린
로마
런던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허락할 낙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6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ダク


일본어 훈독


うべな-う






표준 중국어


nuò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諾은 '허락할 낙'이라는 한자로, '허락(許諾)하다', '대답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허락하다



중국어
표준어
nuò
광동어
nok6
객가어
nok
민북어
nŏ̤
민동어
nŏk
민남어
lo̍k
오어
noq (T5)

일본어
음독
ダク
훈독
うべな-う

베트남어
nặc
유니코드는 U+8AF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口廿大口(YRTK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같을 약, 반야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락'이었던 것이 두음법칙 때문에 '낙'으로 변한 것이라 착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다. 활음조 현상 때문에 '허락'(許諾), '수락'(受諾) 등에서 낙의 음이 '락'으로 변한 것이며, 원래 음은 '낙'으로서 '승낙(承諾)' 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𠱓(허락할 궤)
  • (허락할 허)


5. 상대자[편집]


  • (금할 금)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잡을 낙)
  • (갈 냑)
  • (밟을 냑)
  • (볼 말)
  • (나라 이름 야)
  • (나라 이름 약)
  • (물고기 이름 약)
  • (석류 약)
  • (성 이름 약)
  • (취할 첨)
  • (도울 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4:39:2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