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그십 스토어

덤프버전 :

분류




파일:플래그십 스토어.jpg

1. 개요
2. 상세
3. 한국에 있는 플래그십 스토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Flagship Store

플래그십 스토어를 한국어로 쉽게 풀이하자면 주력/대표 매장이라고 할 수 있다. 영단어 플래그십(기함)이 지휘선을 뜻하는 것에서 파생되어 '주력 상품'을 의미하게 된 것과 마찬가지로, 플래그십 스토어는 당 지부의 중소규모 매점을 통솔하는 굵은 가지, 즉 대표적인 매장을 의미한다.

브랜드에 따라선, 플래그십 스토어란 용어 외 '글로벌 스토어', '메가 스테이지', '에피센터'와 같은 조금씩 다른 용어로 이를 표현하기도 한다.


2. 상세[편집]


처음에는 주로 해외 유명 브랜드 업체에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고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하였다. 이후 시간이 흘러 디지털 제품 및 SPA 브랜드, 패션 잡화 브랜드, 스포츠 브랜드, 슈즈 멀티숍, 가구나 대형서점까지 업계 전반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플래그십 스토어는 대개 임대료가 많이 비싼 대형 상권 지대[1]에 설치되어 운영하기 때문에[2] 매출이 높더라도 큰 수익을 기대하긴 힘들다. 고로 애초부터 브랜드나 제품의 홍보 효과를 겸해서 설치하는 것. 마찬가지 이유로 플래그십 스토어의 세일즈 직원들은 판매 능력보다는 제품 홍보 능력이 높은 직원들을 배치하는데, 당연히 초보들은 이런 홍보가 상대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매장에서 직접 뽑기보다는 자사 매장에서 숙련된 직원을 데려오는 경우가 많다.

'본점'과는 다른 개념이다. 플래그십 스토어는 국가별, 도시별로 다수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본점은 하나이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 본점은 1호점, 즉 가장 먼저 개점한 점포가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이마트와 합작하여 세운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의 1호점은 스타벅스 이대R점, 본점은 서울 중구 소공로에 위치한 스타벅스 환구단점(구 소공동점)이었지만 국내 스타벅스 플래그십 스토어는 스타벅스 더종로R점이다.[3] 또 애플도 미국에 본점, 삼성도 한국에 본점을 내고 있지만 북미나 중국, 일본 곳곳에 초대형 플래그십 스토어를 설치하는 것과 같은 맥락. 물론 사업을 확장하면서 더 큰 점포를 개점하고 거기를 본점으로 변경할 수는 있다. CGV도 1호점은 서울시 광진구 테크노마트에 위치한 CGV강변이지만, 플래그십 스토어는 CGV 용산아이파크몰이다.

시장 트렌드의 변화, 신제품에 대한 반응을 보기 위해서 설립하는 안테나숍, 특정 제품군의 다양한 브랜드를 진열하여 판매하는 편집숍과 다소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3. 한국에 있는 플래그십 스토어[편집]


물론 해당 기업 내에서도 플래그십 스토어가 어디냐에 대해선 평이 조금씩 다를 수도 있다.

  • AK플라자 - 수원점, 분당점, 홍대점[4]
  • Apple - 가로수길[5], 여의도, 명동[6], 잠실, 강남, 하남, 홍대
  • BMW 모토라드 - 서울점, 분당점
  • CGV - 용산아이파크몰점
  • G2존 - 영등포점, 가산점
  • SK텔레콤 - 보신각점
  • 갤러리아백화점 - 명품관
  • 게임D - 대연점, 남포점
  • 교보문고 - 광화문점
  • 구찌 - 구찌 청담 플래그십, 구찌 가옥(한남동)
  • 기아 - 강서 플래그십 스토어
  • 까르띠에 - 까르띠에 메종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나이키 - 강남점, 서울점[7]
  • 놀부부대찌개 - 타임스퀘어점
  • 뉴발란스 - 강남점
  • 다이소 - 명동역점, 코엑스몰점
  • 대구백화점 - 대백프라자
  • 돌체앤가바나 -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동아백화점 - 쇼핑점
  • 두카티 - 서울점
  • 디올 - 디올 청담 플래그십
  • 라코스테 - 가로수길점
  • 로로피아나 -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롯데백화점[8] - 본점[9], 잠실점[10], 부산본점
  • 롯데시네마 - 월드타워점
  • 롯데마트 - 제타플렉스 서울역점, 월드타워점, 제타플렉스 잠실점
  • 루이 비통 - 루이 비통 메종 서울(청담동)
  • 막스마라 -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메가박스 - 코엑스점
  • 모모스커피 - 영도점[11]
  • 몽클레르 - 서울 플래그십 스토어(청담동)
  • 무인양품 - 신촌점, 여의도점
  • 반클리프 아펠 - 반클리프 아펠 메종 서울(청담동)
  • 버버리 -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블루보틀 - 성수 카페, 제주 카페
  • 삼성전자 - 삼성 강남[12], 삼성스토어 청담[13]
  • 생 로랑 -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샤넬 - 샤넬 서울 플래그십(청담동)
  • 스와치 - 명동점
  • 스타벅스
  • 스페셜라이즈드 - 한남점
  • 신세계백화점 - 본점, 강남점, 센텀시티점[14], 대구점[15]
  • 아디다스 - 강남점[16], 명동점[17]
  • 아미 - 가로수길점
  • 아이존 팝 - 서면점, 기흥액트몬점
  • 애니메이트 - 서울홍대점
  • 애니플러스샵 - 서울합정점
  • 언더아머 - 스타필드 코엑스몰[18]
  • 에르메스 - 메종 에르메스 도산파크
  • 영풍문고 - 종로점, 여의도점
  • 이마트 - 월계점[19]
  • 지미 추 -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짱오락실 - 홍대점, 부천점, 대구점, 대구동성로점
  • 크리스챤 디올 - 하우스 오브 디올(청담동)
  •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 월계점, 하남점
  • 퍼니랜드 - 홍대점
  • 펀시티 - 건대점
  • 페라가모 -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펜디 - 팔라초 펜디 서울(청담동)
  • 프라다 - 청담 플래그십 스토어
  • 할리 데이비슨 - 용인점, 한남점 등 수도권 전지점
  • 현대백화점 - 더현대 서울, 압구정본점, 무역센터점, 판교점
  • 홈플러스 - 강서점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4:23:49에 나무위키 플래그십 스토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표적인 예시로 뉴욕의 5번가에 가보면 각종 유명 브랜드들의 플래그십 스토어들이 밀집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뉴욕 전체로 봐도 플래그십 스토어가 많긴 하지만.[2] 물론 예외도 있다. 예를 들어 에르메스는 특유의 이미지를 고려해 서울의 대형 상권인 명동 등이 아니라 강남의 공원 옆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설치했다.[3] 현재는 소공동점을 환구단점으로 리뉴얼하고 본점을 스타벅스 별다방점으로 이전하면서 본점도 플래그십 매장으로 취급하고 있다.[4] 플라자로 통합되기 전까지는 AK&로 운영했다. 현재 애경그룹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5] 전세계 500번째 매장.[6] 지금까지 개장한 Apple Store 중 가장 넓은 매장.[7] 명동거리 안에 있으며 2021년 8월 12일에 롯데백화점 본점 바로 맞은 편에 있는 눈스퀘어 1F~3F에 확장이전하면서 전에 있던 장소보다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훨씬 나아졌다. 참고로 롯본 에비뉴엘동과 본관동에 걸친 나이키메가샵도 플래그십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상당히 큰 규모에 탄탄한 라인업을 자랑한다.[8] 세 지점 모두 에비뉴엘동이 존재한다.[9] 매출 집계는 백화점(본관) + 에비뉴엘(신관) + 영플라자로 모두 포함한다.[10] 매출 집계는 백화점(본관) + 에비뉴엘(신관) + 월드몰 + 캐슬플라자로 모두 포함한다.[11] 본점은 금정구에 있다.[12] 모바일 부문.[13] 가전 부문.[14] 전세계에서 가장 큰 백화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15] 전 세계 2위 규모의 백화점이다. 2022년 기준 역대 최단 기간으로 연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16] 퍼포먼스+오리지널스를 모두 취급하는 지점이다.[17] 명동점의 경우 퍼포먼스+오리지널스를 모두 취급하는 명동 브랜드센터점과 오리지널스 라인만 취급하는 오리지널스 명동점으로 분점되어있다.[18] 코로나19서울특별시 내에 위치한 다른 플래그십 점포들이 극심한 매출 부진으로 모두 문을 닫았는데 유일하게 남아있던 강남점마저 강남대로변의 지가도 오르면서 코엑스몰로 이전했다.[19] 2021년 기준 전국 이마트 매출 1위 지점이며, 폐점한 성수점과 함께 플래그십 지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