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조선)

덤프버전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명공신

[ 펼치기 · 접기 ]
1401년 1월 15일 태종에 의해 책록
진충좌명공신 (1등)
민무구1
민무질1
신극례
이거이
이 무2
이숙번
이 애
조영무
하 륜



익대좌명공신 (2등)
이 래
이천우
이 화
익대좌명공신 (3등)
김영렬
류 기
마천목
박석명
박 은
성석린
윤 곤
윤 저
이 숙
이지란
조희민
황거정3
익대좌명공신 (4등)
권 근
김승주
김 우
김정경
류 량
문 빈
서 유
서 익
송거신
심구령
연사종
윤 목
윤자당
이승상
이 원4
이 응
이종무
이 직5
조 경
조 박6
조 온
한 규
홍 서

1 1407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2 1409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후에 신원
3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임 혐의로 인한 제명
4 1426년 노비 불법 모집 혐의로 인한 제명, 1456년 세조 때 복권
5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6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wikistyle="margin: -5px -10px; "
조선 판경승부사(判敬承府事)
계성군(鷄城君)

이래
李來
출생
1362년(공민왕 11)
사망
1416년(태종 16)
시호
경절(景節)
본관
경주 이씨

낙보(樂甫), 안국(安國)
1. 개요
2. 생애
3. 가계



1. 개요[편집]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군호는 계성(鷄城)이다.[1]

2. 생애[편집]


1362년(공민왕 11) 고려 공민왕 때 우정언(右正言) 이존오(李存吾, 1341~1371)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존오는 1366년(공민왕 15) 불과 25세의 나이로 당시 권력을 농단하던 요승(妖僧) 신돈(辛旽)의 무례함과 공민왕의 지나친 총애를 비판하는 상소를 올려 왕의 분노를 샀으며 간신히 사형은 면했으나 좌천되었다. 이후 고향인 공주 석탄(石灘)으로 낙향한 이존오는 1371년(공민왕 20) 사망하였고 3개월 뒤 신돈은 처형되었다. 공민왕은 이존오를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으로 추증하고, 당시 9살이었던 아들 이래에게는 손수 諫臣存吾之子安國[2]이라고 써서 정방(政房)에 내리고 장거직장(掌車直長)[3]에 임명하였다. 이래는 1383년(우왕 9) 문과에 급제하였고, 1391년(공양왕 3) 우사의(右司議)에 임명되었다. 1392년(공양왕 4) 이성계 일파를 제거하려는 정몽주의 지시로 김진양(金震陽)이 정도전, 조준 등을 탄핵할 때 우상시(右常侍) 이확(李擴) 등과 함께 가담하였는데, 그 해 4월 정몽주가 선죽교에서 피살되면서 김진양 등과 함께 계림(鷄林)으로 유배되었다.

조선 건국 후인 1400년(정종 2) 제2차 왕자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워 좌명공신 2등에 책록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해졌다. 1402년(태종 2) 차례로 첨서승추부사(僉書承樞府事), 대사간(大司諫), 공조판서를 지냈다. 1404년(태종 4)에는 정조사(正朝使)[4]로서 명나라에 다녀왔고 대사헌(大司憲)이 되었다. 1406년(태종 6)에는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이 되었다. 1407년 경연관(經筵官)을 거쳐 좌빈객(左賓客)[5]을 지냈고, 1408(태종 8)년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6] 겸 판경승부사(判敬承府事)[7]가 되었다. 1416년(태종 16) 사후 태종묘정배향되었다. 시호는 경절(景節)이다.

3. 가계[편집]


  • 9대조 : 이녹천(李錄千)[15]
    • 조부 : 이길상(李吉祥)
      • 백부 : 이양오(李養吾) - 직장공파 파조
        • 자형 : 조반(趙胖, 1341~1401)
      • 부 : 이존오(李存吾, 1341~1371) - 석탄공파 파조
      • 모 : 여흥 민씨(驪興 閔氏), 민선(閔璿)[13]의 딸.
        • 처 : 무송 윤씨(茂松 尹氏), 윤동명(尹東明)의 딸
        • 첩 : 유씨(劉氏)
          • 자 : 이직생(李直生)
        • 첩 : ?
          • 자 : 이선생(李善生)
        • 남동생 : 이채(李採) 出[8]
        • 누이 : 숙경택주 경주 이씨(淑敬宅主 慶州李氏)
        • 매제 : 권근(權近, 1352~1409) - 길창군(吉昌君),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12]
          • 조카 : 권천(權踐)
          • 조카 : 권제(權踶, 1387 ~ 1445)
          • 질부 : 경주 이씨(慶州 李氏), 이휴(李携, 1372~1448)[9]의 딸
          • 조카 : 권규(權跬, 1393~1421) - 길천군(吉川君)
          • 질부 : 경안공주(慶安公主, 1393~1415), 태종의 적3녀
          • 질녀 : 안동 권씨(安東 權氏)
          • 질서 : 이종선(李種善)[10]
          • 질녀 : 안동 권씨(安東 權氏)
          • 질서 : 서미성(徐彌性, 1383~1431)[11] - 목사(牧使)
          • 질녀 : 안동 권씨(安東 權氏)
          • 조카 : 권준(權蹲)
      • 숙부 : 이존중(李存中) - 진사공파 파조
        • 사촌동생 : 이채(李採) 系[14]
      • 숙부 : 이존사(李存斯) - 교감공파 파조
      • 이모부 : 이방간(李芳幹, 1364~1421) - 회안대군(懷安大君)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3:48:41에 나무위키 이래(조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부분의 기록이 계성군(鷄城君)으로 되어 있으나 계림군(鷄林君)으로 기록된 경우도 있다.[2] '간신(諫臣) 존오의 아들 안국'이라는 뜻이다. 간신(諫臣)은 간관(諫官)의 별칭이다. 안국(安國)은 이래의 어렸을 때의 자(字)이다.[3] 고려사의 기록.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전객녹사(典客錄事)라고 하였다.[4] 조선시대 신년 축하를 위하여 매년 정기적으로 명나라에 보낸 사절이다.[5]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정2품 관직이다. 세자의 스승이다.[6] 의정부의 정2품 지사.[7] 경승부의 종1품 판사. 경승부는 1402년(태종 2) 원자(元子) 제(褆, 양녕대군)를 위하여 성균관의 동북 모퉁이에 별도로 설치한 교육기관이다.[8] 숙부 이존중의 양자로 출계.[9] 검교판한성부사(檢校判漢城府事). 검교좌정승(檢校左政丞) 이성중(李誠中)의 3남.[10] 한산 이씨(韓山 李氏). 이색(李穡)의 차남.[11] 달성 서씨(達城 徐氏). 고려 호조전서(戶曹典書) 서의(徐義)의 아들.[12] 의정부의 종1품 찬성사.[13] 판도판서(版圖判書). 사후 찬성사(贊成事)로 추증됨. 찬성사 민상정(閔祥正)의 아들.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민지(閔漬, 1248~1326)의 손자. 부인은 전주 최씨(全州 崔氏) 첨의참리(僉議參理) 양경공(良敬公) 최문도(崔文度, 1292~1345)의 딸.[14] 생부는 이존오. 이래의 남동생.[15] 고려 인종 때 공부상서(工部尙書) 상장군(上將軍). 고려사에는 이녹천(李祿千)으로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