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판서

덤프버전 :

1. 개요
2. 상당히 경시된 직책
3. 여담


1. 개요[편집]


조선시대 6판서(六判書) 중에 하나이며, 대사공(大司空)이라고도 한다. 공조(工曹)의 으뜸 벼슬로 정이품(正二品)이며 현재의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농림축산식품부, 대한민국 환경부, 고용노동부(공업, 자원, 산업, 과학, 기술, 교통, 토목, 건설, 해운, 수산, 고용, 노동, 농림, 축산, 식품 부문) 장관이고, 정원은 1원이다. 아래로 공조 참판(工曹參判: 종2품), 공조 참의(工曹參議: 정3품 당상) 각 1원, 공조 정랑(工曹正郞: 정5품), 공조 좌랑(工曹佐郞: 정6품) 각 3원이 있다.

2. 상당히 경시된 직책[편집]


공조판서는 장관급 고위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대에는 상업 다음으로 경시된 공(건축/토목 및 도기/금속기구 제조 등)을 담당하는 부서의 관리인지라 실제 취급은 별로 좋지 못했다.[1] 조선 중기 이후의 권력기관이였던 비변사에도 참여 할 수 없는 무력한 자리이기도 했다. 의전서열로도 6조 중 최하위였다.[2]

지금의 국토교통부장관, 해양수산부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환경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이 교통산업, 건축산업, 해운산업, 수산업, 제조업, 토목업, 건설업, 수산업계, 과학기술, 정보통신, 기업, 농림축산, 식품산업, 산림, 환경, 노동권 등의 발달로 강력한 권한이 있거나 나름대로 권한이 있는 것에 비하면 조선시대에 공조판서는 지금과 비교해서 격세지감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이것도 할 일만 엄청나게 늘어난 것뿐, 현재도 다른 중요직이 많으며 이 때도 정2품이라는 절대 낮은 품계가 아니었다. 중요 업무도 있지만 분명 다른 부서보다 가치가 낮아보이는 업무도 많다.

공조판서는 문관 출신들이 자주 임용되었지만 타 판서직에 비해선 무관, 음서 출신들도 자주 임용되었는데, 이는 과거의 교통부장관이 군사정권 시절 군인 출신들이 장관에 오른 것과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에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등의 장관 직은 주로 군인 출신이나 정치인 출신, 국토교통부,해양수산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에서 근무한 산업,과학계 및 기업계 관료들, 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고용노동부 등에서 근무한 축산,환경,노동계 관료들이나 국토통일에 능통한 전문가 출신, 그리고 교통,건설,토목,산업,과학,기술,정보,통신,기업,농림축산,식품,해운,수산에 능통한 전문가 출신이나 공대계열 학자 출신들이 맡기도 했는데 이는 조선시대 공조판서가 유력 권력가나 장인 분야의 관료들이나 학자들이 맡은 것과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3. 여담[편집]


이 직위에 있던 이중 매우 처량하게 죽은 사람이 있는데 바로 태종 시기 공조판서(당시 직제로는 공조 전서) 이우이다. 그는 코끼리에게 침뱉고 돌던지고 놀리다가 그대로 밟혀죽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4:00:51에 나무위키 공조판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금과 다르게 그때 당시 工의 분야는 경시가 되었고 이 때문에 현재의 건설, 교통, 산업, 자원, 과학, 기술, 정보, 통신, 농림축산, 식품, 고용노동, 환경, 국토통일 관련 부처의 장관들이 상당히 큰 권력이 있는 것과는 다르게 공조판서는 판중추부사, 영중추부사 등과 달리 실권직이었음에도 실제로는 한직 취급을 받았다.[2] 당시 의전서열은 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