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 이론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정의와 정리
2.1. 1÷0과 0÷0의 정의
2.2. ∞ = -∞
2.3. ∞와 ⊥의 서로의 합
2.3.1. ∞+∞
2.3.2. ∞+⊥
2.3.3. ⊥+⊥
2.4. ∞와 ⊥의 서로의 곱
2.4.1. ∞×∞
2.4.2. ∞×⊥
2.4.3. ⊥×⊥
2.5. 연산표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Wheel theory/바퀴 이론



[math(\displaystyle {1 \over 0})] 과 [math(\displaystyle {0 \over 0})]를 대수적으로 정의하는 이론으로 이 이론의 수의 순서 구조를 위상적으로 표현해 보면 마치 바퀴처럼 순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1] 즉, 전순서 집합인 기존 실수 체계와는 다르게, [math(\pm \infty)]를 한 점으로 콤팩트화시키고, 여기에 위상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특이점 하나를 추가한 형태가 된다.
부울 대수 짝퉁같아 보인다

2. 정의와 정리[편집]


이 이론에선 각각 [math(\displaystyle {1 \over 0})]과 [math(\displaystyle {0 \over 0})]을 뜻하는 [math(∞)]와 ⊥를 공리로 한다.


2.1. 1÷0과 0÷0의 정의[편집]


첫번째로 [math(\displaystyle {1 \over 0})]을 먼저 정의를 먼저 해보자.

[math(\displaystyle {1 \over 1} = 1, {1 \over 0.1} = 10, {1 \over 0.01} = 100, ... ,{1 \over 0} = ∞)]

간단히 하면

[math(\displaystyle\lim_{x\to 0}{1 \over x} = ∞)]

기존의 무한을 생각한다면 엄밀한 증명은 아니긴 하지만, [math(∞)]를 무한을 뜻하는 기호가 아닌 [math(\displaystyle {1 \over 0})]을 표현한 기호라고 생각하자.

두번째로 [math(\displaystyle {0 \over 0})]은 부정, 모순을 뜻하는 ⊥(Up tack)을 사용한다. 욕 아니다

실제로 [math(\displaystyle {0 \over 0})](이하 ⊥)의 위상학적 구조는 순서가 존재 하지 않는 실수 체계를 벗어난 수이다.


2.2. ∞ = -∞[편집]


이 이론의 이름이 바퀴 이론인 이유라고 할 수 있는 정리이다.

[math(\displaystyle -∞ = -{1 \over 0})]
[math(\displaystyle = \dfrac{1}{-\dfrac{0}{1}})]
[math(\displaystyle = {1 \over 0})]
[math(=∞)]
∴ [math(∞ = -∞)]


2.3. ∞와 ⊥의 서로의 합[편집]


해당 항목에선 [math(\displaystyle{a \over b}+{c \over d}={{a \times d}+{b \times c} \over {b \times d}})]임을 이용한다.

2.3.1. ∞+∞[편집]


[math(\displaystyle ∞+∞ = {1 \over 0}+{1 \over 0})]

[math(\displaystyle = {1 \times 0 + 1 \times 0 \over 0 \times 0})]

[math(\displaystyle = {0 \over 0})]

[math(\displaystyle = ⊥)]

2.3.2. ∞+⊥[편집]


[math(\displaystyle ∞+⊥ = {1 \over 0}+{0 \over 0})]
[math(\displaystyle ={{1 \times 0}+{0 \times 0} \over {0 \times 0}})]
[math(\displaystyle ={{0 + 0} \over 0})]
[math(=⊥)]

2.3.3. ⊥+⊥[편집]


[math(\displaystyle ⊥+⊥ = {0 \over 0}+{0 \over 0})]
[math(\displaystyle ={{0 \times 0}+{0 \times 0} \over {0 \times 0}})]
[math(\displaystyle ={{0 + 0} \over 0})]
[math(=⊥)]

2.4. ∞와 ⊥의 서로의 곱[편집]


해당 항목에선 [math(\displaystyle {{a \over b} \times {c \over d}}={{a \times c} \over {b \times d}})]임을 이용한다

2.4.1. ∞×∞[편집]


[math(\displaystyle {∞ \times ∞} = {{1 \over 0} \times {1 \over 0}})]
[math(\displaystyle ={{1 \times 1} \over {0 \times 0}})]
[math(\displaystyle ={1 \over 0})]
[math(=∞)]

2.4.2. ∞×⊥[편집]


[math(\displaystyle {∞ \times ⊥} = {{1 \over 0} \times {0 \over 0}})]
[math(\displaystyle ={{1 \times 0} \over {0 \times 0}})]
[math(\displaystyle ={0 \over 0})]
[math(=⊥)]

2.4.3. ⊥×⊥[편집]


[math(\displaystyle {⊥ \times ⊥} = {{0 \over 0} \times {0 \over 0}})]
[math(\displaystyle ={{0 \times 0} \over {0 \times 0}})]
[math(\displaystyle ={0 \over 0})]
[math(=⊥)]


2.5. 연산표[편집]


([math(a, b \in \mathbb{R})])
[math(+)]
[math(b)]
[math(0)]
[math(\infty)]
[math(⊥)]

[math(\times)]
[math(b)]
[math(0)]
[math(\infty)]
[math(⊥)]
[math(a)]
[math(a+b)]
[math(a)]
[math(\infty)]
[math(⊥)]
[math(a)]
[math(ab)]
[math(0)]
[math(\infty)]
[math(⊥)]
[math(0)]
[math(b)]
[math(0)]
[math(\infty)]
[math(⊥)]
[math(0)]
[math(0)]
[math(0)]
[math(⊥)]
[math(⊥)]
[math(\infty)]
[math(\infty)]
[math(\infty)]
[math(⊥)]
[math(⊥)]
[math(\infty)]
[math(\infty)]
[math(⊥)]
[math(\infty)]
[math(⊥)]
[math(⊥)]
[math(⊥)]
[math(⊥)]
[math(⊥)]
[math(⊥)]
[math(⊥)]
[math(⊥)]
[math(⊥)]
[math(⊥)]
[math(⊥)]


3.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6:06:08에 나무위키 바퀴 이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존 수 체계의 수의 순서 구조를 위상적으로 표현하면 일직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