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가/소련,러시아

덤프버전 : r20200302





1. 개요[편집]



2015년 승리의 날 퍼레이드 영상. BGM으로 웬만한 러시아 군가는 다 깔렸으니 한번 맞춰 보자.

소련 군가는 군사국가 특유의 웅장한 선율과 위엄, 그리고 붉은 군대 합창단의 신묘한 가창력, 공산주의의 포스[1] 전통있고 매력 있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민요와의 융합, 러시아어 특유의 묘미가 결합되어 세계적으로 팬이 많은 편이다. 현재는 붉은 군대 합창단(Red Army Choir)이라는 이름이 더 유명한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소련의 군가와 우크라이나, 러시아 민요, 전통 춤을 열심히 전파하고 있고, 공산주의 특유의 경직된 분위기가 70여년이나 유지되어 그 전통도 긴 편이라 2000년대에도 여전히 많은 곡들이 편곡되고 있다. 소련에서 군가 등의 행진곡은 국가에서 장려한 문화에 속했기에 가요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이것은 러시아 연방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러시아인들은 군가에 대해서 거부감이 없고 전통이자 문화로 보기 때문에 현재도 전승기념일등에 현대 가수들이 군가를 공연하거나, TV등의 대중매체에서도 군가가 자주 방송되는 등 여파가 강력히 남아있다. 다만 확실히 젊은층으로 올수록 군악에 대한 인기는 낮아진다. 때문에 러시아에서는 이전과 같은 클래식같은 웅장한 곡 대신 잔잔한 곡들을 내세워 홍보중이다.뭐 어차피 젊은 층이건 중장년이든 좋아하는 사람은 좋아한다


2. 역사[편집]


소련 사회에서 군가는 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았으나, 한번에 정립된 것은 아니며 여러 과정이 있었다. 러시아 혁명 시기부터 소련 초기의 군가는 혁명가와 궤를 같이 했고, 여기에 적백내전이라는 상황과 맞물려 공산주의 사상과 혁명을 찬양하는 내용이 많았다. 군가이기도 하면서 혁명가, 민중가요인 셈.[2] 그리고 다른 나라의 혁명가들도 번안되어 군대에서 많이 불렸다. 러시아 혁명을 주도한 가장 중요한 세력 중 하나가 평화를 바라는 전선의 일반 병사들이었기 때문에, 혁명가는 이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했다. 적백내전이 끝나고 이오시프 스탈린 통치기로 들어가기 전에는 내전을 회고하는 군가들과 혁명가풍 군가가 여전히 대세였다. 1928년 10월 12일에는 그 유명한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12명의 단원과 함께 출범했다.

한편 30년대, 적백내전이 끝난 후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로 본격적으로 돌입한 후에는 모든 문학, 미술, 음악이 그랬듯이 군가에서도 스탈린 찬양 일색으로 도배된다. 대숙청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소련의 프로파간다가 군가에 적극적으로 응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프로파간다를 목적으로 만든 영화의 OST들이 군가로 많이 활용되는데, 세 전차병소련 전차병 행진곡의 경우는 '트랙터 운전수(Трактористы)'라는 1939년 소련 영화의 OST로 제작된 것들이다. 적백내전의 영웅인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세묜 부됸니를 찬양하는 군가도 많이 작곡되었는데, 직접적으로 찬양하는 곡도 있었고 이러한 고위 장교들이나 스탈린의 이름을 가사에 넣는 식이었다. 예외적으로 서정적인 곡들이 작곡되기도 하였으나 유명세를 떨친 곡은 드물다.

1941년이 되자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국가 최대의 시련을 맞게 된다. 약 5년 동안 근 2700만명이 사망한 이 거대한 전쟁에서 군가가 중요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야말로 넌센스일터. 이 시기에 우리가 "마더 러시아의 위엄"이라고 칭송하는 군가들이 많이 작곡되었다. 스탈린 통치기였기 때문에 여전히 가사에는 스탈린 찬양이 많이 들어갔지만, 대체적으로 내용은 조국에 쳐들어온 독일놈들과 파시스트놈들을 까부수자는 내용이 주가 되었다.[3]그 밖에도 전설적인 세바스토폴이라든지, 모스크바 방위군 행진곡 등의 영웅적인 전투 현장을 노래한 군가나 스탈린그라드레닌그라드를 소재로 한 군가와 행진곡도 많이 작곡되었다. 이 시기에 전쟁에 끌려온 장병들은 지방 각지에서 끌려온 소련의 일반 농민이나 노동자였기에 러시아의 수준 높은 민요나 민중들이 부르는 투박한 가요들이 군가처럼 변해서 많이 불리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가 '마트베이 블란테르(Матвей Блантер)'의 재즈곡인 카츄샤이다. 1938년에 작곡된 곡인데 독소전쟁기에 수많은 소련군 장병들에 의해 군가처럼 불리고 많은 바리에이션이 제작되었다. 독립국가연합 지역에서만 300가지 정도의 변형판이 존재하고 해외에 퍼진 버전까지 생각하면 그야말로... 또한 전시를 기점으로 소련의 군가는 중요한 변경점을 맞이하는데, 바로 소련 공산당이나 공산주의 이념에 대한 맹목적인 선전보다는 고향이나 가족, 조국에 대한 애국심과 같은 보다 인간적인 부분을 가사에 담는 쪽으로 노선이 바뀌게 된다.

전후 냉전의 주인공이 된 소련에서는 1956년의 스탈린 비판이 국가적 쟁점으로 떠오르게 되었는데, 니키타 흐루쇼프의 제20차 공산당 대회에서의 스탈린 비판 이후 많은 군가의 스탈린을 찬양하는 가사가 개사되었다.[4] 사실상 현재 러시아 연방에까지 이어지는 소련 군악의 문화적 정립이 이 시기부터 이루어진다. 또한 데탕트 시기였던 만큼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적극적으로 외화벌이를 뛰러 나갔기에 서방에도 많이 알려졌다. 시간이 흘러서 페레스트로이카 이후에는 런던이나 뉴욕 같은 적국의 심장에서 소련 군복을 입은 합창단이 라이브를 뛰는, 이전에는 상상도 못할 일들이 벌어지기도 했는데, 내한 공연도 했었다. 소련 군가는 냉전시기 공산권의 종주국답게 바르샤바 조약군 소속 국가들의 군가나 여타 노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동독, 중국, 북한, 헝가리, 폴란드 등등 구 공산권 국가에서 자신들의 언어로 소련군의 군가를 개사한 예시가 많다. 소련군으로 다른 공산권 국가의 군가가 유입 되었는지는 추가바람.

전후에 전략로켓군이나 우주군 등이 새로 창설됨에 따라서, 이전에는 없던 군종에 대한 군가도 속속 등장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소련 해군가는 무겁고 웅장한 편이고, 공군가는 가볍고 신나는 곡조를 가진 편이다.[5] 또한 러시아 혁명 초기에 포템킨 함 반란 사건이라든지 아브로라 함의 포격이라든지 수병들이 많은 역할을 해주었기에 혁명을 소재로 한 군가에는 수병이 많이 등장한다. 기병 군가는 말발굽 소리를 악기로 표현한 것이 포인트. 흥겨운 곡이 많고 주로 코사크를 소재로 하고 있다.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의 군가 메들리 라이브를 통해 짐작해볼 때, 각 군을 대표하는 군가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군대 전체를 대표하는 군가는 진격이며, 육군을 대표하는 군가는 우리는 인민의 군대이고, 기갑부대는 세 전차병, 포병과 전략로켓군은 포병 행진곡, 해군은 만일 운이 좋다면, 공군은 항공행진곡, 방공군은 미사일 사수들의 노래, 우주군은 우주군이다. 그리고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을 대표하는 군가는 알렉산드로프의 노래이며 공연은 항상 소련군 찬가를 부르는 것으로 시작한다.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의 군가 메들리 공연


3. 목록[편집]


어떤 군종의 군가인지 추가 바람. 단 특정 보직을 집어 부르는 군가는 그 특정 보직으로 추가한다.

3.1. 러시아 제국[편집]




3.2. 러시아 혁명 이후[편집]


  • 군용열차의 노래(보로실로프의 노래)Эшелонная Песня(Песня о Ворошилове) - 1933년, 배경은 러시아 혁명기의 차리친에서 전개된 철도 전선(эшелонная война)에 관한 노래다.
  • 부됸니 행진곡 Марш Будённого - 1920년[8]
  • 붉은 군대는 가장 강력하다 Красная Армия всех сильней - 1920년
  • 계곡과 언덕을 넘어 По долинам и по взгорьям - 1922년
  • 모두 더 높이 Всё выше[9] - 1923년(공군)
  • 전진하라, 붉은 함대 장병이여 Вперёд, краснофлотцы - 1926년(해군)
  • 초원 Полюшко-поле - 1934년
  • 타찬카 Тачанка - 1934년
  • 넓구나 나의 조국 Широка страна моя родная - 1936년
  • 5월의 모스크바 Москва майская - 1937년
  • 돈 강의 노래 Донская песня - 1938년
  • 만약 내일이 전쟁이라면 Если завтра война - 1938년
  • 카츄샤 Катюша - 1938년[10](군 전체)
  • 소련 전차병 행진곡 Марш советских танкистов - 1938년(전차)
  • 전선의 구름들은 침울하게 떠다닌다 На границе тучи ходят хмуро - 1939년[11](전차)
  • 전차병의 노래 Песня танкистов - 1939년[12](전차)
  • 카자크, 우리 카자크 Казаки-казаченьки - 1939년
  • 스무글랸카 Смуглянка - 1940년
  • 열성당원 행진곡 Марш Энтузиастов - 1940년


3.3. 겨울전쟁[편집]




3.4. 대조국전쟁[편집]



3.5. 냉전 시대[편집]




3.6. 러시아 연방[편집]


  • 러시아에 충성하라 Служить России - 2000년
  • 육군과 해군 Армия и Флот - 2005년(육군, 해군)
  • 알렉산드로프의 노래 Александровская песня - 2013년[14]
  • 항공우주군 찬가 Гимн Воздушно-космических сил - 2017년(항공우주군)
  • 우주군 Космические войска(우주군)


4. 번외[편집]


아래 둘은 군가가 아니라 서구권 매체의 BGM이며, 소련/러시아에서 작곡한 것도 아니다.



5. 여담[편집]


  • 할리우드 영화에서 소련군이 나오는 장면에서 소련 군가가 BGM으로 깔릴 때가 많은데, 시대 고증이 그렇게 맞는 편은 아니다. 이것은 고증에 부합하면서도 좋은 음질의 판본이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비단 할리우드만의 문제가 아니기도 하다.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등을 초빙해서 새로 녹음하면 해결되겠지만 그렇게까지 돈을 쓰려는 제작자는 없다. 더군다나 지금 러시아는 사실상 공산주의? 닷씨는 안하겠쏘 노선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공산주의 이념이나 이오시프 스탈린 찬양이 한가득인 옛 군가를 부르라는 건 아무리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라도 어른의 사정으로 힘들다.[15] 그래서 과거에 녹음된 유명한 성전이나 소련 국가 정도의 곡들이 클리셰처럼 계속 사용되는 것이다.[16]
    • 사실 BGM은 관객의 집중력을 높히고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음악이기에 효과가 중요하지 고증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작중에서 등장인물들이 노래를 부르거나, 연주하거나, 혹은 라디오 등의 매체에서 흘러나온다는 식의 연출이 있는데 음악의 고증이 틀리면 그것은 고증오류가 맞지만, 단순히 배경음악으로 깔리는 거면 상관이 없다.
  • 소련 국가는 무조건 1977년판만 쓰는데,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의 1977년 국가 판본이 워낙 좋아서 그렇다. 단, 일부 시대고증을 신경쓴 영화들은 스탈린 시대의 그것을 쓰기도 한다.
  • 군가라고 하기에는 애매하긴 하지만 러시아 연방에서는 일부 가수들에 의해서 애국주의 가요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는데, 사실상 군가나 다름이 없다. 수보로프 대원수(Генералиссимус Суворов), 올레크 가즈마노프가 부른 전진하라, 러시아!(Вперёд, Россия!) 등이 있다.
[1] 사실 공산주의라기보단 소련(과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만든 포스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같은 공산권이라고 해도 동독이나 체코등의 동유럽식 군악은 소련식의 위세넘치는 곡과는 거리가 다소 있는 편이었다. 소련 군가는 발표시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초연한다는 것이 거의 관례나 다름이 없었다. 당연히 발표될 때부터 웅장한 남성중창의 위엄을 가질 수밖에 없다.[2] 러시아어에서는 '군악'을 엄밀하게 표현하려면 'военный марш' 정도가 되는데 굉장히 문어적인 표현이고, 보통은 행진곡(марш)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한국어로는 군가, 군악이라고는 하지만 러시아에서는 군대와 상관없이 쓰일 수도 있다. 노동자들이 집회하면서 부르는 것도 марш이고, 시위대가 가두행진하며 부르는 것도 марш, 학생들이 운동회에서 부르는 것도 다 марш이다.[3] 대표적으로 포병 행진곡. 가사가 상당히 호전적이다. 요약하자면 조국과 가족을 건드리는 적들을 전부 포격으로 개발살을 내겠다는 것. 실제로 소련군은 2차대전 기간동안 참전했던 모든 국가들 중 가장 많은 야포를 보유했었고(약 50만 문), 소련군 포병대는 군가의 가사대로 독일군을 그야말로 찢어버리며 독소전쟁 승전에 지대한 공을 세운다.[4] 군가는 아니지만, 당장 소련 국가 1944년 판소련 국가 1977년 판만 비교해 봐도 스탈린에 대한 소련의 태도가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5] 승리의 날 붉은 광장 열병식을 보면 이 차이를 알 수 있다. 공군 다음으로 해군 수병과 보병(주로 발트함대)들이 등장할 때 군가의 무게감 자체가 확 다르다.[6]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행진곡이다.[7] 적백내전 시기의 노래로 알려져 있으나 러일전쟁 뤼순 공방전시기의 곡이다.[8] '우리는 붉은 군대의 기병대다(Мы – красная кавалерия)'라는 다른 이름이 있다.[9] 현 제목은 항공행진곡(Авиамарш).[10] 다만 이쪽은 워낙 대중적이라 민요에 가깝다.[11] 현 제목은 '세 전차병(Три танкиста)'[12] 위 두 곡과는 다른 영화인 Танкисты(전차병)(1939)에서 OST로 쓰였다. 이후엔 잘 안불러지다가 사장된 듯하다. 지금은 유튜브에서도 희귀한 수준이고(정확히 일치하는 영상 중 풀버전 영상이 아주 조금뿐이다. 위 두 곡이랑 같이 짤막하게 무보컬 오케스트라 메들리로 나온 하나(현재 링크가 삭제됬으며, 메들리라 한소절씩 짧다.) 포함.) Sovmusic이나 가야 쉽게 찾는다. 그마저도 적지만. 참고로 세 곡(소련 전차병 행진곡, 세 전차병, 전차병의 노래)은 당시엔 소련 3대 전차병가였다. 참고로 이 곡은 오케스트라 버전(메들리로 나온 그 무보컬 버전)이 아주 듣기좋다.[13] 현 제목은 '소련군 찬가(Песня о Советской Армии)'이다.[14]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을 대표하는 군가이다.[15] 딱 한 곡 제외. 이건 스탈린이 죽자마자 스탈린 찬양을 소멸시켰었는데, 최근 다시 부활시켰다.[16] 비슷하게 나치 독일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는 고증을 지키려면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이것을 녹음해 줄 오케스트라는 없다. 그래서 예전에 실제 연주된 낡은 판본을 사용하되, 라디오라든가 LP 따위에서 흘러나온다 식으로 음질이 나쁜 것에도 타당성을 부여하는 연출을 한다.